KR200185661Y1 - 솥뚜껑 구이판 - Google Patents

솥뚜껑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661Y1
KR200185661Y1 KR2020000002241U KR20000002241U KR200185661Y1 KR 200185661 Y1 KR200185661 Y1 KR 200185661Y1 KR 2020000002241 U KR2020000002241 U KR 2020000002241U KR 20000002241 U KR20000002241 U KR 20000002241U KR 200185661 Y1 KR200185661 Y1 KR 200185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rill
pot lid
receiving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효
Original Assignee
강소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효 filed Critical 강소효
Priority to KR2020000002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기름 배출구가 형성된 기름 받이홈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조리시 고기 기름이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본체(10) 중앙에 손잡이(12)가 돌설되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의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2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된 본체(10)에는 기름 배출구(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여,
조리시 고기 기름이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아 연기가 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고기맛이 좋으며 복잡한 구조의 기름 받이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구이판 하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름 받이통에 모인 기름을 밥을 볶어 먹거나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솥뚜껑 구이판 {COVER OF KETTLE TYPE ROAST PLATE}
본 고안은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를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기름 배출구가 형성된 기름 받이홈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조리시 고기 기름이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은 열판이 금속재로 된 것과 곱돌로 된 것이 있는데 곱돌 구이판은 원기둥 형상의 판체 형상으로 고기를 구울시 돌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으로 인해 고기 맛이 부드럽고 돌 표면의 공극으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일부 베어 고기가 눌러 붙지는 않지만, 돌 표면에 기름 배출구가 없고 경사가 없으므로 기름이 고여 고인 기름을 자주 마른 수건이나 휴지등으로 닦아 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금속재 구이판이 많이 사용되는 바, 특히 가마솥 뚜껑 형상의 금속재 구이판(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2)가 돌설된 중앙에서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져 있어 고기(22)를 구울 때 고기(22)에서 발생하는 기름(24)이 아래로 흐르나 한 곳으로 모여 흐르지 못하고 바로 아래의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져 연기가 나서 비위생적이고 고기맛이 떨어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기름 받이판(26)을 별도로 마련하여 구이판 하부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름 받이판(26)에 모인 기름을 버려 환경 오염의 피해를 주기도 하고 기름 받이판(26)에 기름이 있어 세척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웠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기름 배출구가 형성된 기름 받이홈을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조리시 고기 기름이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아 연기가 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고기맛이 좋으며 복잡한 구조의 기름 받이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구이판 하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름 받이통에 모인 기름을 밥을 볶어 먹거나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중앙에 손잡이가 돌설되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의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 받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받이홈이 형성된 본체에는 기름 배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이판, 10: 본체, 12: 손잡이, 14: 기름 받이홈, 16: 기름 배출구, 18; 기름 받이통, 20: 환형 돌기, 22: 고기, 24: 기름, 26: 기름 받이판, 28: 삼발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0) 중앙에 손잡이(12)가 돌설되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의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2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된 본체(10)에는 기름 배출구(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이 볼록하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만곡지게 형성된 본체(10)의 중앙에는 손잡이(12)가 돌설된다.
하향 경사진 본체(10)의 외주연부에서 연장되게 상향 돌설된 환형 돌기(20)에 의해 홈이 형성되되, 이 홈이 바로 기름 받이홈(14)이 된다.
고기(22)를 구으면서 기름(24)이 배출될 수 있도록 기름 받이홈(14)에 모인 기름(24)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기름 배출구(16)가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된 본체(10)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이판(1)의 본체(10)를 도 3에서와 같이 화기에 올려 놓으면 열이 본체(1)의 저부를 가열시켜 상부에 올려진 고기(22)를 구울 수 있게 된다.
이때 고기(22)가 익으면서 배출되는 고기 기름(24)은 본체(10) 표면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 기름 받이홈(14)에 모이게 되고 기름 받이홈(14)에 모인 기름(24)은 기름 받이홈(22)이 형성된 본체(10)에 형성된 기름 배출구(16)를 통해 아래로 떨어져 기름 받이통(18)에 모이게 된다.
미설명 부호 28은 구이판(1)을 받치는 데 사용되는 삼발이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리시 고기 기름(24)이 아래의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기름(24)에 의해 연기가 발생되지 않아 않아 위생적이고 그 만큼 고기맛이 좋으며 컵이나 사용하고 난 빈 깡통과 같은 기름 받이통(18)만 기름 배출구(14) 하부에 놓으면 되어 별도로 복잡한 구조의 기름 받이판(26)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기름 받이통(18)에 모인 기름(24)을 밥을 볶어 먹는 데 사용함으로써 기름(24)을 버림으로써 생기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기름 받이판(26)을 사용하지 않아 기름 받이판(26)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솥뚜껑 형상의 구이판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기름 배출구가 형성된 기름 받이홈을 형성하는 구조에 의해, 조리시 고기 기름이 불판이나 석쇠 밑으로 떨어지지 않아 연기가 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고기맛이 좋으며 복잡한 구조의 기름 받이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구이판 하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름 받이통에 모인 기름을 밥을 볶어 먹거나 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 중앙에 손잡이(12)가 돌설되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의 솥뚜껑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 외주연부에 환형 돌기(20)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받이홈(14)이 형성된 본체(10)에는 기름 배출구(1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KR2020000002241U 2000-01-27 2000-01-27 솥뚜껑 구이판 KR200185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41U KR200185661Y1 (ko) 2000-01-27 2000-01-27 솥뚜껑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241U KR200185661Y1 (ko) 2000-01-27 2000-01-27 솥뚜껑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661Y1 true KR200185661Y1 (ko) 2000-06-15

Family

ID=1963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241U KR200185661Y1 (ko) 2000-01-27 2000-01-27 솥뚜껑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6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9A (ko) * 2001-03-23 2002-08-29 오화택 돌구이판의 기름받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79A (ko) * 2001-03-23 2002-08-29 오화택 돌구이판의 기름받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151A (en) Barbecuing protective food support
US4428281A (en) Cooking grill
KR102096791B1 (ko) 에어프라이어, 오븐 등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용 실리콘 냄비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US20010023641A1 (en) Grilling device for a cooking appliance
KR200185661Y1 (ko) 솥뚜껑 구이판
KR19980010448U (ko) 솥뚜껑용 고기구이판
CN210169710U (zh) 一种烹饪器具和集成灶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JP3317283B2 (ja) ホットプレート
KR200217673Y1 (ko) 생선구이용 프라이팬 덮개
KR200321487Y1 (ko) 구이판겸용 솥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KR200359184Y1 (ko) 구이기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91295Y1 (ko) 구이판 겸용 전골 냄비
KR20040012226A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36271Y1 (ko) 솥뚜껑형 고기 구이판
KR200150934Y1 (ko) 찜통이 되는 더블팬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JPH0726985Y2 (ja) 天ぷら鍋
KR0129172Y1 (ko) 고기 및 해물요리철판 구조
KR19990012833U (ko) 찜과 구이를 요리할 수 있는 조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