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581B1 - 다기능 불판 - Google Patents

다기능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581B1
KR101096581B1 KR1020090009383A KR20090009383A KR101096581B1 KR 101096581 B1 KR101096581 B1 KR 101096581B1 KR 1020090009383 A KR1020090009383 A KR 1020090009383A KR 20090009383 A KR20090009383 A KR 20090009383A KR 101096581 B1 KR101096581 B1 KR 10109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at
present
base plat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95A (ko
Inventor
이동은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판코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판코상사 filed Critical (주)판코상사
Priority to KR102009000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5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판의 교체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상기 불판에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는 다기능 불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판, 교체, 고기, 열기

Description

다기능 불판{Multifunction Grill}
본 발명은 불판에서 고기를 구울 때 상기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불판 교체를 최소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류를 구워 조리하기 위한 불판은 대개 숯불이나 가스불을 열원으로 하는 화덕에 얹혀지는 후라이팬 형태의 것부터 중앙에 볼록한 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에 다수의 화공이 천공된 원판형태의 불판 및 솥뚜껑 형태 등의 다양한 불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황동과 같은 구리합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부터 맥반석등의 원석을 이용한 불판등 다양한 형태의 구이용 불판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불판은 익혀지는 고기류에서 발생된 기름을 한 곳에 수집한 후 처리해야 하고 상기 불판위에서 완전히 구워져 익은 고기는 불판위에 그대로 놓아두면 타기 때문에 다른 그릇이나 고기류와 함께 나오는 야채위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모두 익은 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가워지고 사용자가 먹기에 거부감이 드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불판 상면에서 고기가 오랫동안 있게 되면서, 상기 불판 상면은 부분적으로 타게되고, 종업원이 일정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유발 되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가 타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기능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판의 교체를 최소화하여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판에 가해지는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이용하여 적정 온도로 고기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은 불판과; 상기 불판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판 하부에 위치한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공급받아 상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불판 상면에서 1차적으로 구워진 고기가 타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불판 상면의 고기가 놓여지는 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는 내부가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상기 연결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부는 다수개의 관통된 슬롯홀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안치판과, 상기 안치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연결부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수 용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은 원판 또는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에는 연결부를 통해 이동된 열기가 안치판의 하면을 따라 유도 가능하도록 상기 안치판의 하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부는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 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부와 연결부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에는 원주 방향의 내측 가장 자리를 따라 기름받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은 중앙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은 불판 상면에서 고기가 타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연기 및 냄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은 불판의 교체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은 불판에 가해지는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이용하여 적정 온도로 고기의 온도를 유지시켜 사용자가 최상의 조건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조건을 유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안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안치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1)은 불판(100)과; 상기 불판(100)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불판(100) 하부에 위치한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공급받아 상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200); 및 상기 불판(100) 상면에서 1차적으로 구워진 고기가 타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200)의 상단에 위치하여 불판(100) 상면의 고기가 놓여지는 안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불판(100)은 중앙에 관통홀(11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10)의 위치가 불판(100) 중앙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불판(10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200)는 내부가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열원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20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열원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안치부(300) 상으로 보다 많이 공급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부(300)는 다수개의 관통된 슬롯홀(312)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안치판(310)과, 상기 안치판(3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연결부(200)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삽입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롯홀(312)이 안치판(310)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치판(310)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거나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은 원판 또는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치판(310)이 원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안치판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안치판(310)의 크기가 불판(100) 전체 직경의 1/3에 해당되는 직경을 갖거나, 안치판(310)이 3각 또는 4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330)는 안치판(310) 상에 고기 가 위치할 때 걸림부(330)에 의해 고기가 불판(100)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에는 연결부(200)를 통해 이동된 열기가 안치판(310)의 하면을 따라 유도 가능하도록 상기 안치판(310)의 하면에 가이드 홈(3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안치판(310)의 하면을 따라 고온의 열기가 보다 더 용이하게 이동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안치판(310) 상에 위치한 고기가 일정한 온도로 온기가 유지되게 하는 구성 요소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302)의 형태는 상부로 라운드 지게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형태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부(300)는 연결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 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부(320)와 연결부(200)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치부(300)의 승, 하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에는 원주 방향의 내측 가장 자리를 따라 기름받이 홈(30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 홈(303)은 고기에 잔존하는 기름이 불판(100)에 그대로 떨어지지 않기 위해 상기 기름이 고이는 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은 중앙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안치판(310)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고기에서 흘러 나오는 기름이 안치판(310)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자연 스럽게 안치판(310)의 하측으로 흘러 내리게 되고, 기름받이 홈(303) 상에 안정적으로 기름이 고이게 되므로 이와 같이 사용한다.
상기 안치판(310)의 경사진 기울기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안치판(310)에 위치한 고기가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기름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불판(1) 상면에 연결부(200)를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부(200)는 하단에 불판(100)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0)에 삽입시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턱부(202)(도 1 및 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200)가 관통홀(110)에 결합될 때 단턱부(202)의 단부가 관통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단턱부(202)는 길이가 불판(1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길이를 갖되, 불판(100) 하부에 위치한 열원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판(100)의 하면으로 적정 길이 만큼 연장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200)는 단턱부(202)의 직경이 관통홀(110)의 직경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나, 상기 연결부(200)가 관통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홀(1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연결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안치부(300)를 연결부(200)의 상단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안치부(300)는 하면에 삽입부(32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에 안치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불판(100) 상부에 고기를 올려 놓으면, 불판(100) 하부에 위치한 숯(미도시) 또는 가스(미도시)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에 의해 상기 불판(100)이 가열되면서 고기가 구워지기 시작한다.
상기 불판(100)에서 1차적으로 고기가 구워지면, 불판(100) 상면에 위치한 고기가 타지 않도록 일부는 상기 불판(100)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고, 일부는 안치부(300)의 안치판(310)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안치판(310)으로 이동된 고기는 불판(100) 하부에 위치한 숯(미도시)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관통홀(110)을 경유하여 연결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열기가 이동되는 관로 역활을 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안치판(310)으로 고온의 열기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연결부(200)에 구비된 개구홀(204)은 고온의 열기가 안치판(310)의 하측면을 통해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열기의 흐름을 안치판(310)의 하면으로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치판(310)은 개구홀(204)을 통해 공급된 열기의일부는 슬롯홀(312)을 통해 고기로 전해지고, 나머지 일부는 안치판(310)에 전도된다.
상기 안치판(310)은 고온의 열기를 지속적으로 전도 받는 조건이 장시간 유지 되면서 고기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고 오랜시간 온기가 유지되고, 슬롯홀(312)을 통해 직접적으로 이동된 열기는 고기 표면과 접촉되면서 고기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치판(310)에 위치한 고기의 온도 상태가 불판(100)에서 이동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고기의 맛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치판(도 4a 참조)은 연결부(200)를 통해 고온의 열기가 이동되어 개구홀(204)을 통해 이동된 후에, 상기 안치판(310)의 하면의 가이드 홈(302)을 따라 일부의 열기는 이동되고, 일부의 열기는 슬롯홀(312)을 통해 고기에 전해 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 홈(302)은 안치판(310)의 상면을 향해 상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 이동되는 고온의 열기가 안치판(310)의 상면을 향해 보다 더 용이하게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되고, 고온의 열기가 안치판(310)의 중앙에서 가장 자리를 향해 균일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치판(도 4b 참조)은 안치판(310)의 중앙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어서 고기가 안치판(310) 상면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열전도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고기에서 발생된 기름이 기름받이 홈(303)으로 유도되어 불판(100)으로 기름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 홈(303)은 불판(100)에 직접적으로 기름이 떨어지면서 주위에 인접한 사용자의 의류 또는 신체에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안치판(310) 상면에 위치한 고기 중에 포함된 기름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은 걸림부(330)에 의해 고기가 불판(100) 상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기를 안치판(100) 상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6e는 안치판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f는 안치판의 회전이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6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은 연결부(200)의 길이 방향를 따라 승,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00)를 경유하여 안치판(310)으로 전달되는 열기의 양이 적거나 온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치판(310)을 연결부(200)의 하측으로 하강시켜 연결부(200)를 통한 고온의 열기가 보다 더 안치판(31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치판(310)을 하강 시키기 위해서는 젖가락을 이용하여 슬롯홀(312)에 삽입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안치판(310)을 회전시킨다.
상기 안치판(310)의 삽입부(320)와 연결부(200)의 상단에는 나사선(도 4a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서 안치판(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연결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 6f를 참조하면, 안치판(310)이 연결부(200)를 따라 하강 되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치판(310)이 연결부(200)의 상단부에서 특정 길이 만큼 하향 되면서, 연결부(200)를 통해 이동된 고온의 열기는 도 6d의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치판(310)상에 용이하게 열전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안치부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에 구비된 안치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결합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불판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불판 200 : 연결부
300 : 안치부 310 : 안치판
320 : 삽입부 330 : 걸림부
302 : 가이드 홈

Claims (10)

  1. 불판;
    상기 불판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불판 하부에 위치한 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를 공급받아 상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 및
    상기 불판 상면에서 1차적으로 구워진 고기가 타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불판 상면의 고기가 놓이는 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치부는,
    다수개의 관통된 슬롯홀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 안치판과,
    상기 안치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연결부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치판에는 연결부를 통해 이동된 열기가 안치판의 하면을 따라 유도 가능하도록 상기 안치판의 하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은 원판 또는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상측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는 연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 하강 가능하도록 삽입부와 연결부에 각각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에는 원주 방향의 내측 가장 자리를 따라 기름받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은
    중앙 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불판.
KR1020090009383A 2009-02-05 2009-02-05 다기능 불판 KR10109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83A KR101096581B1 (ko) 2009-02-05 2009-02-05 다기능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83A KR101096581B1 (ko) 2009-02-05 2009-02-05 다기능 불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95A KR20100090095A (ko) 2010-08-13
KR101096581B1 true KR101096581B1 (ko) 2011-12-21

Family

ID=4275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83A KR101096581B1 (ko) 2009-02-05 2009-02-05 다기능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748A (ko) * 2021-11-18 2023-05-25 최영민 바비큐 그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65B1 (ko) * 2007-02-06 2008-07-11 주식회사 서전테크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65B1 (ko) * 2007-02-06 2008-07-11 주식회사 서전테크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748A (ko) * 2021-11-18 2023-05-25 최영민 바비큐 그릴
KR102599167B1 (ko) * 2021-11-18 2023-11-07 최영민 바비큐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95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699B2 (en) Stovetop grilling device
US7415922B2 (en) Grill pan
US4909137A (en) Cooking grill grease catcher
US9049955B2 (en) Smokeless stovetop grilling device
US8720324B2 (en) Stovetop grilling devic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EP0818168B1 (fr) Appareil de cuisson comportant une plaque et un récipient de cuisson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US20010023641A1 (en) Grilling device for a cooking appliance
US9220369B1 (en) Deep fryer apparatus
KR101096581B1 (ko) 다기능 불판
US6786139B2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US20200337500A1 (en) Cooking vessel with an opening for drainage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100940370B1 (ko) 탄화방지 기능을 갖는 구이용 불판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2125481B1 (ko) 무쇠팬 조리 기구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US20180224126A1 (en) Stove Top BBQ
NZ262840A (en) Gas fired cooking apparatus with apertured plate to support vessel for range cooking and cap locatable over aperture for barbecue cooking
KR102447387B1 (ko) 구이판
US11918146B1 (en) Easy clean grill
KR101314084B1 (ko) 전열기용 조리기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