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775B1 -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775B1
KR102126775B1 KR1020180169102A KR20180169102A KR102126775B1 KR 102126775 B1 KR102126775 B1 KR 102126775B1 KR 1020180169102 A KR1020180169102 A KR 1020180169102A KR 20180169102 A KR20180169102 A KR 20180169102A KR 102126775 B1 KR102126775 B1 KR 10212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sensing
piece
sensing pie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Priority to KR102018016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의 구성은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22)에는 바텀 센싱부가 구비된 외부 용기(20);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상기 바텀 센싱부에 결합된 픽싱돌편(16);을 포함하며, 상기 바텀 센싱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의 단면 두께에 비하여 더 얇게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with simple bottom sensing part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기의 열전달은 제대로 균일하게 되면서도 조리기구의 센서와 마주하는 바텀캡의 조립은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새로운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는 바닥부에서 측벽부가 연장된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가 바닥부에서 측벽부를 타고 올라와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일층 구조로만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기 위로 제대로 올라오지 못하여 아래층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화기가 가해지고 위쪽 부분에는 화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가해져서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음식물이 부분적으로 타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층 구조의 일반 조리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이층 구조의 이중조리용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층 구조의 이중 이중조리용기는 조리시에 화염의 열전도를 고르게 하여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요리의 맛을 좋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기존의 이중조리용기의 경우 밥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조리하는 음식물의 경우 너무 과도한 열기에 의해 타는 것이 방지되지만 국물이 있는 음식물과 같이 신속하게 끓일 필요가 있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열전도가 너무 늦어서 원하는 데로 신속하게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용기의 바닥과 외부 용기의 바닥 사이의 하부 공간부에는 실리카를 채워넣어서 이중조리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화기로 이중조리용기를 데울 때에 실리카가 열전도 효율을 높여 주도록 하는 이중조리용기가 있는데, 실리카가 데워질 때의 열기가 이중조리용기의 상부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용기의 측벽부에 구멍을 뚫어주게 된다. 즉, 음식물 조리시 화기가 실리카를 가열하고, 실리카가 신속하게 가열되어 생기는 열기는 상기 구멍에 의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화염 상승 공간부를 타고 올라가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부분은 물론 위쪽 부분까지 화염이 타고 올라가면서 조리를 함으로써 국물 음식과 같이 빨리 조리하여 섭취하기 위한 음식물을 빨리 조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만이 다른 외곽 부분에 비하여 과도하게 더 많이 가열되면서 조리 음식이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어 음식물의 타버리고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를 벗어난 부분에 있는 조리 음식은 제대로 익지 못하여 조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화염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다가 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과도하게 올라가면 센서가 자동으로 화염을 소화시키는 구조의 레인지(주로 가스레인지)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이중조리용기의 경우 내부 용기의 바닥부와 외부 용기의 바닥부 사이에 열전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이 정해진 과도한 온도로 올라가버려서 상기 가스레인지의 센서가 이러한 과도한 높은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중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골고루 제대로 조리가 되지 않으면서도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조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꺼져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움푹 들어간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여, 조리시에는 조리기구에 있는 센서가 이중조리용기의 상기 오목홈과 마주하도록 이중조리용기를 조리기구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조리가 되도록 한다. 상기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이 있는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에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조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만 과도하게 열이 올라가지 않고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퍼진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오목한 센싱홈에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화염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면 이중조리용기의 센싱홈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열전도가 느리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센싱홈 부분과 다른 외곽 부분에 조리기구의 화염이 고르게 퍼진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센서가 이중조리용기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고, 이중조리용기의 과열이 감지되면 조리기구의 센서가 작동하여 조리기구의 화염을 연속하게 된다.
한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결합된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가 밀폐되어 있으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화기가 빠져나갈 통로가 없어서 이중조리용기가 찌끄러지게 되므로, 상기 공간부에서 공기를 빼줘야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벽에 구멍을 뚫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생긴 열기(화기)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센싱홈 부분을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33598호(2015.06.29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83941호(2017.07.19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87877호(2002.08.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밥과 같이 화기를 비교적 천천히 가하여서 조리를 해야 하는 음식물의 경우 너무 높은 화기에 의해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달은 골고루 제대로 되도록 하는 한편 조리기구의 센서와 마주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22)에는 바텀 센싱부가 구비된 외부 용기(20);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상기 바텀 센싱부에 결합된 픽싱돌편(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바텀 센싱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의 단면 두께에 비하여 더 얇게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내부 바닥 바깥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내부 바닥의 바깥면에 구비된 픽싱돌편에 의해 상기 내부 바닥의 바깥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에 하단부가 이어진 제1바텀 센싱편; 상기 제1바텀 센싱편에 이어진 제2바텀 센싱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은 상기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과 마주하는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은 상기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과 상기 제2바텀 센싱편에 의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가운데에 바텀 센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텀 센싱부의 내부에 바텀 센싱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은 상기 바텀 센싱부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연장되어,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의 내측단에 픽싱돌편 결합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외부 바닥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부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는 내부 용기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측벽은 상기 외부 측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내부 바닥은 상기 외부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내부 바닥의 바깥면에 돌출된 픽싱돌편은 상기 외부 바닥의 상기 제2바텀 센싱편에 형성된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상기 픽싱돌편에 의해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을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돌편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내측면이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변형된 부분이 제2바텀 센싱편을 밑에서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바텀 센싱부를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 내부에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상기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바텀 센싱부를 상기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 센싱부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에 하단부가 이어진 제1바텀 센싱편과, 상기 제1바텀 센싱편에 이어진 제2바텀 센싱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의 내측단에 구비된 픽싱돌편 결합홀에 상기 내부 바닥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상기 픽싱돌편을 결합하고, 상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을 밑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의 단면 두께가 균일하도록 상기 제1바텀 센싱편의 표면을 그라인딩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의 캐비티에 알루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상기 외부 용기와 제1바텀 센싱편과 제2바텀 센싱편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금형 내부의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에 연결되는 센싱편 런너는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의 둘레부에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 런너는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와 같은 조리 기구에 올려놓고 화염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내부 용기에 담겨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는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 가운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텀 센싱부가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만 화기가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게 되면서 기본적으로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음식물만 익고 나머지 부분의 음식물은 익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용기의 센서가 작동되어 화기가 꺼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는 바텀 센싱부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바텀 센싱부의 두께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의 두께와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의 두께보다 더 얇게 구성함으로써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하면서도 두께가 더 얇은 바텀 센싱부로 인하여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로만 집중적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고 이중조리용기 바닥 전체로 열이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효과가 더 확실하다.
또한,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에 형성된 바텀 센싱부를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에 구비된 픽싱돌편을 눌러줌으로써 픽싱돌편의 프레싱 작업에 의해 눌려진 부분이 외부 용기의 바텀 센싱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므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바텀 센싱부를 형성하기가 기존에 비하여 손쉬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바텀 센싱부를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하는 수단을 만족스럽게 구현한 시너지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외부 용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픽싱돌편을 외부 용기의 바텀 센싱부의 픽싱돌편 삽입홀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은 도 3에 도시된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바깥면에 바텀 센싱부를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성형을 위한 금형의 단면도
도 6는 도 5의 A-A선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는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와,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외부 바닥(22)에는 바텀 센싱부가 구비된 외부 용기(20)와,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바텀 센싱부에 결합된 픽싱돌편(16)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바텀 센싱부를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 내부에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와, 상기 외부 용기(20)의 바텀 센싱부를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 센싱부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용기(10)는 내부 바닥(12)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내부 측벽(14)을 구비한다. 내부 용기(10)는 음식물 수용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 수용 공간부는 위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15)는 내부 측벽(14)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5)는 내부 측벽(1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5)가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가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상부 플랜지부(15)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 가운데에는 픽싱돌편(16)이 구비된다. 내부 바닥(12)의 바깥면 가운데에서 아래쪽으로 픽싱돌편(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픽싱돌편(16)은 폐루프 돌편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싱돌편(16)이 원형 폐루프 돌편으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픽싱돌편(16)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내측면이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내부 용기(1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픽싱돌편(16)의 내측면이 외측면 쪽으로 외향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픽싱돌편(16)이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바닥(22)과 외부 측벽(24)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부 용기(20)가 내부 용기(10)에 결합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측벽(2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연장되어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플랜지부(25)를 구비한다. 하부 플랜지부(25)는 외부 측벽(2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도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용기(20)도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하부 플랜지부(25)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는 상부 그립편(15GP)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그립편(15GP)은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에서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 밑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상부 그립편(15GP)이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는 위쪽과 아래쪽에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를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의 일부와 상기 상부 그립편(15GP)에 의해 물어주는 방식으로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 및 상부 그립편(15GP)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다. 즉, 상기 상부 그립편(15GP)은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의 저면을 상기 상부 그립편(15GP)이 받쳐주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가 상부 그립편(15GP)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 이중조리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측벽(14)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내표면 사이 및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내표면 사이에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 것이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는 바텀 센싱부가 구비된다. 바텀 센싱부는 외부 바닥(22)의 가운데 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바텀 센싱부는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을 구비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의 하단부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연결된다. 제1바텀 센싱편(122)은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서 위쪽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향 연장된다. 외부 바닥(22)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외부 용기(2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은 외부 바닥(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다. 제1바텀 센싱편(122)은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도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은 원형 폐루프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외부 용기(20)의 저면에서 볼 때에 제1바텀 센싱편(122)은 링 형상이다.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은 제1바텀 센싱편(122)에 연결된다. 제1바텀 센싱편(122)의 상단부에 제2바텀 센싱편(124)의 외측단이 연결된다. 제2바텀 센싱편(124)에는 픽싱돌편 결합홀(124H)이 구비된다. 픽싱돌편 결합홀(124H)의 중심부가 제2바텀 센싱편(124)의 중심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124H)은 제2바텀 센싱편(124)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된다. 픽싱돌편 결합홀(124H)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중심부와 상하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으로 돌출된 픽싱돌편(16)이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바텀 센싱편(124)의 상면이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의 픽싱돌편 결합홀(124H)은 픽싱돌편(16)의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픽싱돌편 결합홀(124H)은 원형홀 형상이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픽싱돌편(16)이 원형 폐루프 형상이므로,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124H)도 원형홀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 픽싱돌편(16)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으로 이루어진 바텀 센싱부는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와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바텀 센싱부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중심부와도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이중조리용기를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 용기(10)를 외부 용기(20)의 내부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결합한다.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바텀 센싱부를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 내부 수용부에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수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으로 돌출된 픽싱돌편(16)을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안쪽면에서 위로 올라와 있는 바텀 센싱부의 픽싱돌편(16) 삽입홀에 끼워준다. 이러한 단계가 내부 용기 수용단계이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바텀 센싱부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한다. 픽싱돌편(16)이 바텀 센싱부를 구성하는 제2바텀 센싱편(124)이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 끼워진 상태에서 픽싱돌편(16)의 일부가 제2바텀 센싱편(124)의 아래로 돌출되며, 상기 픽싱돌편(16)의 일부를 프레싱 작업으로 눌러주면 픽싱돌편(16)의 일부가 변형되어, 상기 픽싱돌편(16)의 눌려져서 변형된 부분이 상기 바텀 센싱부의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을 아래에서 받쳐줌으로써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가 내부 용기 바텀 센싱부 고정단계이다. 물론,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렌지의 센서가 배치되는 오목한 홈 형태의 바텀 센싱부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가운데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제대로 고르게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조리기구의 화염(조리기구가 가스 레인지인 경우에는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최근에는 가스렌지에 화염원(가스불이 올라오는 부분)에 센서가 구비되어 화염원이 쓸데없이 과열될 때에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불이 꺼지도록 하는 제품이 많이 나와 있는데,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의 화염원에 올려놓고 가스불로 조리하는 도중에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고 가장자리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의 감지에 의해 그냥 가스불이 꺼질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바닥 가운데에 구비된 바텀 센싱부 내부의 오목홈 형태의 바텀 센싱홈은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의 가운데 부분으로만 조리의 화염 열기가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차단 공간부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의 전체 부분의 고른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가운데 부분만 과도하게 가열되어 가스 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센서가 작동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제대로 고르게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조리기구의 화염(조리기구가 가스 레인지인 경우에는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바텀 센싱부의 두께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두께보다 더 얇게 구성, 다시 말해,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의 단면 두께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단면 두께보다 더 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서부터 바텀 센싱부를 통해서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으로만 집중적인 화염의 열기가 전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기 때문에, 음식물의 조리 도중에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음식물만 타거나 이중조리용기에서 음식물의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스랜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센서에 의해 불이 꺼져버리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바텀 센싱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바텀 센싱부에서는 열전도율이 다른 부분보다 더 낮아지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만 집중적인 열이 가해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바텀 센싱부(30)에 의한 조리시의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부분(즉,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부분) 전체에 고른 열전도가 되도록 하는 작용이 더욱 확실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픽싱돌편(16)은 종단면으로 볼 때에 내측면이 외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픽싱돌편(16)을 프레싱 작업으로 눌러줄 때에 픽싱돌편(16)의 일부가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의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잘 눌려지도록 방향성을 가지게 하므로, 상기 픽싱돌편(16)을 프레싱하여 외부 용기(20)의 바텀 센싱부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고정하는 작업이 보다 편리하면서도 확실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이캐스팅 작업에 의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두께가 더 얇은 바텀 센싱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바텀 센싱부와 바텀 센싱홈을 형성하기가 기존에 비하여 보다 쉽다. 즉, 본 발명은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바텀 센싱부와 바텀 센싱홈 부분을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아지도록 보다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금형의 내부 캐비티를 외부 용기 포밍 캐비티(206)와, 상기 외부 용기 포밍 캐비티(206)와 이어지는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를 포함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금형의 외부에서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와 연통된 금형 내부의 런너를 통해서 고온의 용탕(고온의 알루미늄 용탕)을 일정 압력으로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로 주입하고, 용탕을 경화시킨 다음, 상기 금형에서 외부 용기(20)를 탈거시켜서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으로 이루어진 바텀 센싱부를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의 폭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과 외부 바닥(22)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측벽 캐비티(203)와 외부 바닥 캐비티(201)의 폭보다 얇기 때문에,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로 용탕이 제대로 들어가지 못할 여지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을 원하는 얇은 두께로 제대로 형성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센싱편 런너(209)를 더 형성한다.
다시 말해, 금형의 캐비티에 알루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상기 외부 용기(20)와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금형 내부의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에 연결되는 센싱편 런너(209)는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의 둘레부에 배치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 런너(209)는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센싱편 런너(209)는 금형 내부의 외부 측벽 캐비티(203)와 외부 바닥 캐비티(201)와 연결되면서 동시에 외부 측벽 캐비티(203)와 외부 바닥 캐비티(201)의 폭에 비하여 상기 센싱편 런너(209)의 폭이 더 얇게 형성하며, 상기 센싱편 런너(209)는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의 주위에 배치되어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의 폭에 비하여 센싱편 런너(209)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한다.
상기 금형의 외부에서 외부 측벽 캐비티(203)와 외부 바닥 캐비티(201)에 연통된 센싱편 런너(209)에 용탕을 일정 압력으로 주입하면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외부 측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로도 용탕이 들어오는데, 상기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의 주위에 연통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센싱편 런너(209)의 폭이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의 폭보다 더 넓으므로 상기 센싱편 런너(209)를 통해서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202)와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204)까지 막힘이 없이 용탕이 원활하게 주입되므로, 상기 외부 용기(20)의 제1바텀 센싱편(122)과 제2바텀 센싱편(124)을 차질없이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의 단면 두께가 균일하도록 제1바텀 센싱편(122)의 표면을 그라인딩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라인더에 의해 제1바텀 센싱편(122)의 표면을 그라인딩 가공함으로써 제1바텀 센싱편(122)의 단면 전체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2바텀 센싱편(124)의 표면도 그라인딩 가공에 의해 그라인딩하여 제2바텀 센싱편(124)의 전체 단면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센싱편 런너(209)에 의해 제1바텀 센싱편(122)의 외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분은 그라인더에 의해 그라인딩 작업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내부 용기 12. 내부 바닥
14. 내부 측벽 15. 상부 플랜지부
16. 픽싱돌편 20. 외부 용기
22. 외부 바닥 24. 외부 측벽
25. 하부 플랜지부 122. 제1바텀 센싱편
124. 제2바텀 센싱편 202. 제1바텀 센싱편 캐비티
204. 제2바텀 센싱편 캐비티 206. 외부 용기 포밍 캐비티
208. 런너 209. 센싱편 런너

Claims (12)

  1.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22)에는 바텀 센싱부가 구비된 외부 용기(20);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상기 바텀 센싱부에 결합된 픽싱돌편(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텀 센싱부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의 단면 두께에 비하여 더 얇게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하단부가 이어진 제1바텀 센싱편(122);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에 이어진 제2바텀 센싱편(1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은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마주하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은 상기 내부 바닥(1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과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에 의해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 가운데에 바텀 센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텀 센싱부의 내부에 바텀 센싱홈이 구비되며, 상기제2바텀 센싱편(124)은 상기 바텀 센싱부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연장되어,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의 내측단에 픽싱돌편 결합홀(124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바닥(22)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부 측벽(24)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20)의 내부에는 내부 용기(10)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측벽(14)은 상기 외부 측벽(24)과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내부 바닥(12)은 상기 외부 바닥(22)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돌출된 픽싱돌편(16)은 상기 외부 바닥(22)의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에 형성된 상기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돌편(16)을 프레싱하여 상기 픽싱돌편(16)에 의해 상기 제2바텀 센싱편을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9.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바텀 센싱부를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 내부에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상기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바텀 센싱부를 상기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 센싱부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센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하단부가 이어진 제1바텀 센싱편(122)과,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에 이어진 제2바텀 센싱편(124)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의 내측단에 구비된 픽싱돌편 결합홀(124H)에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상기 픽싱돌편(16)을 결합하고, 상기 픽싱돌편(16)을 프레싱하여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을 밑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과 상기 제2바텀 센싱편(124)의 단면 두께는 상기 외부 바닥(22)의 단면 두께보다 더 얇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의 단면 두께가 균일하도록 상기 제1바텀 센싱편(122)의 표면을 그라인딩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0180169102A 2018-12-26 2018-12-26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12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02A KR102126775B1 (ko) 2018-12-26 2018-12-26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02A KR102126775B1 (ko) 2018-12-26 2018-12-26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775B1 true KR102126775B1 (ko) 2020-06-25

Family

ID=7140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102A KR102126775B1 (ko) 2018-12-26 2018-12-26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7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7Y1 (ko) 2002-05-31 2002-09-09 주식회사 광해물산 이중조리용기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1533598B1 (ko) 2013-12-05 2015-07-03 (주)삼미통상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KR101691204B1 (ko) * 2015-07-31 2016-12-30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KR20170083941A (ko) 2016-01-11 2017-07-19 김차식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KR101894854B1 (ko) * 2017-09-18 2018-10-04 김민호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1931292B1 (ko) * 2017-10-16 2018-12-20 (주)옥샘코리아 이중 바닥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7Y1 (ko) 2002-05-31 2002-09-09 주식회사 광해물산 이중조리용기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1533598B1 (ko) 2013-12-05 2015-07-03 (주)삼미통상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KR101691204B1 (ko) * 2015-07-31 2016-12-30 조관형 이중가열 조리기구
KR20170083941A (ko) 2016-01-11 2017-07-19 김차식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KR101894854B1 (ko) * 2017-09-18 2018-10-04 김민호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1931292B1 (ko) * 2017-10-16 2018-12-20 (주)옥샘코리아 이중 바닥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66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102138829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894854B1 (ko)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1515579B1 (ko) 인덕션용 구이판
US9572448B2 (en) Dual pot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1894850B1 (ko) 이중 조리용기
KR102308627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와 가열 효율 향상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CN206080102U (zh) 一种玻璃陶瓷不粘锅
KR102308622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N101273837A (zh) 一种煮饭隔
TWM559142U (zh) 高安全性之隔熱防燙鍋具
KR101493881B1 (ko) 가열용기
CN106419514A (zh) 一种可自动控制的电加热汽锅
KR101299920B1 (ko)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CN205299529U (zh) 多面加热型燃烧器
KR200179561Y1 (ko) 이중 구이판
KR200199932Y1 (ko) 세라믹 저면판이 설치된 음식물 조리용기
CN216416778U (zh) 一种多功能早餐机
CN105423303B (zh) 多面加热型燃烧器
JPS5851844Y2 (ja) 電気炊飯器
CN206612559U (zh) 烹饪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