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854B1 -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854B1
KR101894854B1 KR1020170119747A KR20170119747A KR101894854B1 KR 101894854 B1 KR101894854 B1 KR 101894854B1 KR 1020170119747 A KR1020170119747 A KR 1020170119747A KR 20170119747 A KR20170119747 A KR 20170119747A KR 101894854 B1 KR101894854 B1 KR 10189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ange portion
outer container
vessel
low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102017011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측벽(14)에는 상부 플랜지부(16)를 구비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측벽(24)에는 하부 플랜지부(26)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결합된 외부 용기(20); 상기 내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20) 사이에 확보된 화기 공간부(30);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하는 그립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with improved combination sturcure}
본 발명은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결합 구조를 보다 개선하여 품질 향상과 신뢰성을 높여준 새로운 구성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는 바닥부에서 측벽부가 연장된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가 바닥부에서 측벽부를 타고 올라와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일층 구조로만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기 위로 제대로 올라오지 못하여 아래층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화기가 가해지고 위쪽 부분에는 화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가해져서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층 구조의 일반 조리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이층 구조의 이중 조리용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층 구조의 이중 이중 조리용기는 조리시에 화염의 열전도를 고르게 하여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요리의 맛을 좋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기존의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밥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조리하는 음식물의 경우 너무 과도한 열기에 의해 타는 것이 방지되지만 국물이 있는 음식물과 같이 신속하게 끓일 필요가 있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열전도가 너무 늦어서 원하는 데로 신속하게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용기의 바닥과 외부 용기의 바닥 사이의 하부 공간부에는 실리카를 채워넣어서 이중 조리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화기로 이중 조리용기를 데울 때에 실리카가 열전도 효율을 높여 주도록 하는 이중 조리용기가 있는데, 실리카가 데워질 때의 열기가 이중 조리용기의 상부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용기의 측벽부에 구멍을 뚫어주게 된다. 즉, 음식물 조리시 화기가 실리카를 가열하고, 실리카가 신속하게 가열되어 생기는 열기는 상기 구멍에 의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화염 상승 공간부를 타고 올라가게 되어서 이중 조리용기의 바닥부분은 물론 위쪽 부분까지 화염이 타고 올라가면서 조리를 함으로써 국물 음식과 같이 빨리 조리하여 섭취하기 위한 음식물을 빨리 조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결합된 이종 조리용기의 경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가 밀폐되어 있으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화기가 빠져나갈 통로가 없어서 이중 조리용기가 찌끄러지게 되므로, 상기 공간부에서 공기를 빼줘야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벽에 구멍을 뚫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생긴 열기(화기)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로 이루어진 기존의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설겆이를 할 때에 상기 외부 용기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물이 들어간 상태로 그대로 놔뒀다가 다시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때에 화기로 이중 조리용기를 데우게 되는데, 구멍을 통해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 안으로 들어가 있는 물이 조리용기를 데울 때의 열에 의해 끓으면서 수증기가 구멍으로 나오게 되고, 경우에 따라 사람이 구멍을 통해 들여다보다가 화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화상을 입는 것과 같은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화염의 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도중에 용기(특히, 외부 용기)가 옆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가 벌어지는 것과 같이 용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외부 용기의 바닥부의 중심부와 그 주변 영역이 열에 의해 바깥쪽으로 팽창되는 경우가 많아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가 벌어지는 것과 같이 용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열팽창에 의해 이종 조리용기 자체의 기능이 떨어져서 제대로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이 생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05670호(2015.03.18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09172호(2006.02.13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1990-7001202호(1990.12.01 공개)
본 발명은 주요 목적은 내부 용기의 상부 플랜지부와 외부 용기의 하부 플랜지부 사이의 결합 구조를 보다 개선한 새로운 구성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바닥에 내부 측벽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측벽에는 상부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부 용기; 외부 바닥에 외부 측벽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측벽에는 하부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용기의 외표면에 결합된 외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확보된 화기 공간부;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를 그립하는 그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그립부재는 어퍼 그립부와 로워 그립부가 구비되어, 상기 어퍼 그립부와 상기 로워 그립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에는 안쪽면에서 바깥쪽 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화기 공간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그립부재의 상기 로워 그립부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저면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는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각각의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를 그립부재에 의해 잡아주고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은 상기 접지 고정부에 의해 잡아주는 상하 이중 결합 지지구조를 구현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가져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 중의 하나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효과가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의 분해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바닥을 결합하기 위한 접지 돌편이 접지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지 돌편이 접지홀에 압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변형된 실시예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외부 용기의 변형된 실시예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내부 용기에 외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축열판 및 외부 용기가 압착된 접지 돌편과 접지홀 및 그립부재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3은 11에 도시된 내부 용기의 접지 돌편이 외부 용기의 접지홀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접지 돌편이 압착되어 접지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을 센터 요홈부와 센터 돌출부의 끼움 결합에 의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결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내부 용기의 상부 플랜지부와 외부 용기의 하부 플랜지부를 결합돌기와 결합돌기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한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는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되고 내부 측벽(14)에는 상부 플랜지부(16)를 구비한 내부 용기(10)와,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외부 측벽(24)에는 하부 플랜지부(26)를 구비하며 내부 용기(10)에 결합된 외부 용기(20)와,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확보된 화기 공간부(30)와,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가 위아래로 중첩된 용기 플랜지부를 그립하여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그립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용기(10)는 내부 바닥(12)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내부 측벽(14)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의 음식물 수용 공간부가 위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16)는 내부 측벽(14)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6)는 내부 측벽(1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6)가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가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상부 플랜지부(16)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는 알루미늄을 원료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된다. 내부 용기(10)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바닥(22)과 외부 측벽(24)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 용기(20)도 알루미늄을 원료로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된다. 외부 용기(20)의 재질도 알루미늄이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부 용기(20)가 내부 용기(10)에 결합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측벽(2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연장되어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플랜지부(26)를 구비한다. 하부 플랜지부(26)는 외부 측벽(2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도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용기(20)도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하부 플랜지부(26)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는 그립부재(110)에 의해 물려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는 위쪽과 아래쪽에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용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용기 플랜지부를 그립부재(110)가 물어주는 방식으로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그립부재(110)는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그립부재(110)는 어퍼 그립부와 로워 그립부가 구비된다. 그립부재(11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상단부에 어퍼 그립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로워 그립부가 구비된다.
상기 그립부재(110)가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에 끼워지면, 상기 어퍼 그립부는 상부 플랜지부(16)의 상면에 배치되고, 로워 그립부는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배치되는데, 상기 그립부재(110)의 어퍼 그립부와 로워 그립부가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부재(110)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 용기(20)에는 안쪽면에서 바깥쪽 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화기 공간부(30)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멍(H)이 구비된다. 구멍(H)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에 구비된다. 상기 구멍(H)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확보된 화기 공간부(30)를 외부와 연통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멍(H)은 그립부재(110)의 로워 그립부의 하단부와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화기 공간부(30)에서 상기 구멍(H)으로통해 증기(뜨거운 온도의 증기)가 빠질 때에 상기 그립부재(110)의 로워 그립부에 부딪힘으로써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쪽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외부 용기(20)의 외부로 빠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위아래로 겹쳐져서 용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 사이에는 화염 공간부와 연통된 상부 통로(16G)가 확보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단부와 하부 플랜지부(26)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부 플랜지부(26)의 단부와 그립부재(110)의 안쪽면 사이에는 상기 상부 통로(16G)와 연통된 외곽 통로(110G)가 확보된다. 상부 플랜지부(16)의 단부와 하부 플랜지부(26)의 단부 모두와 그립부재(110)의 안쪽면 사이에 상기 상부 통로(16G)와 연통된 외곽 통로(110G)가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는 오목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하부 통로(26G)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통로(26G)가 외곽 통로(110G)와 연통된다.
상기 상부 통로(16G)는 상부 플랜지부(16)의 저면에 오목홈 형태로 구비된다. 상부 통로(16G)는 상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통로(26G)는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오목홈 형태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하부 통로(26G)가 하부 플랜지부(26)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통로(16G)는 상부 플랜지부(12)의 저면에 대략 네 개 정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통로(26G)는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위아래로 겹쳐져서 용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상부 통로(16G)는 상부 플랜지부(16)의 저면에 구비된 오목홈과 하부 플랜지부(26)의 상면에 구비된 오목홈이 위아래에서 만나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플랜지부(16) 저면의 오목홈과 하부 플랜지부(26) 상면의 오목홈이 만나서 이루어진 상부 통로(16G)는 용기 플랜지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부 통로(26G)는 용기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외부 측벽(24)의 외표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용기 플랜지부를 위에서 볼 때에 하부 통로(26G)는 용기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까지 이어진 일자형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결합시키는 접지 고정부(40)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결합시키는 접지 고정부(40)가 중요한 구성이다. 상기 접지 고정부(40)는 내부 용기(10)에 형성된 접지 돌편(42)과, 외부 용기(20)에 형성된 접지홀(44)로 구성된다. 이때, 외부 용기(20)에 접지 돌편(42)이 형성되고, 내부 용기(10)에 접지홀(4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용기(20)의 중심부에 일정 면적의 센터 돌출부(52)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는 외부 용기(20)의 센터 돌출부(52)를 바깥쪽에서 감싸는 구조의 서포트 돌출부(56)가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돌출부(56)의 아래면에서 접지 돌편(42)이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된다. 물론, 상기 서포트 돌출부(56)가 생략되고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서 접지 돌편(42)이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접지 돌편(42)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접지 돌편(42)은 원주형 돌편 형상으로 구성된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을 위에서 볼 때에 각각의 접지 돌편(42)은 90°각도로 배열된다. 각각의 접지 돌편(42)의 중심부 사이의 각도가 90°이다. 물론, 상기 접지 돌편(42)의 갯수는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접지 돌편(42)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접지홀(44)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구비된다. 접지홀(44)은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다. 접지홀(44)은 접지 돌편(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주형 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네 개의 접저홀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된다.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을 위에서 볼 때에 각각의 접지홀(44) 역시 90° 각도로 배열된다. 각각의 접지홀(44)의 중심부 사이의 각도가 90°이다. 접저홀 역시 접지 돌편(42)의 갯수에 대응하여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상기 접지홀(44)은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돌편(42)은 외부 바닥(22)의 접지홀(44)에 끼워짐과 동시에 접지 돌편(42)의 일부가 상기 외부 바닥(22)의 바깥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 돌편(42)에서 외부 바닥(22)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접지 돌편(42)이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서 바깥면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 돌편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테이퍼 형상으로 눌려진 접지 돌편(42)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테이퍼 홀 형상의 접지홀(44)에 걸려지므로, 상기 내부 용기(10)가 외부 용기(20) 위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앙부에 구비된 열감지부(50)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요철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열감지부(50)가 요철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부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구비된 센터 요홈부(54)와, 센터 요홈부(54)에 결합되도록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 구비된 센터 돌출부(52)로 구성된다. 센터 돌출부(52)는 원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센터 요홈부(54)는 원형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돌출부(52)와 센터 요홈부(54)가 열감지부(50)를 구성한다. 센터 요홈부(54)와 센터 돌출부(52)가 결합됨으로써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앙부에 다른 부분보다 상하 두께가 더 두꺼운 열감지부(50)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 요홈부(54)와 센터 돌출부(52)가 열감지부(50)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돌출부(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트 돌출부(56)는 센터 돌출부(52)의 둘레부를 받쳐주도록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구비된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서 서포트 돌출부(56)가 아래로 돌출된 구조이다. 서포트 돌출부(56)는 환형의 돌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서포트 돌출부(56)가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안쪽면에서 위로 돌출된 센터 돌출부(52)의 둘레부를 감싸서 받쳐주는 구조를 취한다. 동시에, 서포트 돌출부(56)의 저면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안쪽면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도 접지 고정부(40)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고정시키는 접지 고정부(40)는 플랜지부 접지 고정부(40)라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 접지 고정부(40)는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에 형성된 접지 돌편(42)과,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된 접지홀(44)로 구성된다. 이때,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접지 돌편(42)이 형성되고,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에 접지홀(4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지 돌편(42)이 내부 용기(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접지 돌편(42)은 원주형 돌편 형상으로 구성된다.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를 위에서 볼 때에 각각의 접지 돌편(42)은 90°각도로 배열된다. 각각의 접지 돌편(42)의 중심부 사이의 각도가 90°이다.
상기 접지 돌편(42)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접지홀(44)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구비된다. 접지홀(44)은 외부 바닥(22)의 하부 플랜지부(26)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다. 접지홀(44)은 접지 돌편(4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주형 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네 개의 접저홀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된다.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를 위에서 볼 때에 각각의 접지홀(44) 역시 90° 각도로 배열된다. 각각의 접지홀(44)의 중심부 사이의 각도가 90°이다. 물론, 상기 플랜지부의 접지 돌편(42)과 접지홀(44)의 갯수는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상기 접지홀(44)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돌편(42)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된 접지홀(44)에 끼워짐과 동시에 접지 돌편(42)의 일부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 돌편(42)에서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접지 돌편(42)이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 돌편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의 저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눌려진 접지 돌편(42)이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된 테이퍼 홀 형상의 접지홀(44)에 걸려지므로, 상기 내부 용기(10)가 상부 플랜지부(16)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 위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내부 용기(10)의 접지 돌편과 외부 용기(20)의 접지홀이 결합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내부 용기(10)와 축열판(70) 및 외부 용기(20)가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와 내부 바닥(12) 및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을 프레싱하여 접지 돌편(42)이 접지홀(44)에 걸려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저면으로 올라온 접지 돌편(44)의 일부(즉, 가압된 접지 돌편(44)의 일부)를 갈아낸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외부 용기(20)에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서 외부로 연통된 구멍(H)이 구비된다. 상기 구멍(H)은 외부 용기(20)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다.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구멍(H)이 연통된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는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 구멍(H)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멍(H)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을 벗어난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하향 연통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외부 측벽(24)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상기 구멍(H)도 상하 방향으로 뚫려 있다. 이때,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되고, 스페이스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가 연통되며, 상기 구멍(H)은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구멍(H)은 외부 용기(20)의 옆쪽(다시 말해, 외부 측벽(24)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구멍(H)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용기(10)는 내부 측벽(1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연장된 상부 플랜지부(16)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측벽(2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아래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하부 플랜지부(26)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연통된 구멍(H)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외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고 외부 측벽(24)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측벽(14)의 외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사이에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된다. 상기 화기 공간부(30)는 화염의 열기(화기)가 위로 올라오는 화기 유입 공간부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기 공간부(30)는, 내부 측벽(14)의 외표면과 외부 측벽(24)의 내표면 사이에 확보된 사이드 화기 공간부(30)와, 내부 바닥(12)의 외표면과 외부 바닥(22)의 내표면 사이에 확보된 하부 화기 공간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사이드 화기 공간부(30)의 폭에 비하여 상기 하부 화기 공간부(30)의 폭이 더 크도록 구성된다. 즉, 내부 측벽(14)과 외부 측벽(24)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사이의 거리가 더 크다. 다시 말해, 화염이 외부 측벽(24)의 외표면에 직접 닿아서 옆으로 퍼지고 화염의 열기는 이중 조리용기의 위쪽으로 올라오는데, 상기 화염이 직접 닿는 외부 측벽(24)과 이러한 외부 측벽(24)에서 위로 떠있는 내부 측벽(14) 사이의 거리가 상기 내부 측벽(14)과 외부 측벽(24)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콘택트 돌출부(62)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서 아래로 돌출된다.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구비된 센터 요홈부(54)에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쪽으로 돌출되도록 보조 콘택트 돌출부(62)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는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안쪽면에서 위로 돌출된 센터 돌출부(52)에서 아래로 오목한 홈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 콘택트 돌출부(62)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로 들어가 접촉된다. 이때,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는 복수개로 구비된다.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 외부 바닥(22) 사이에 축열판(70)이 구비된다. 상기 열감지부(50)의 바깥쪽 영역에 상기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이 서로 이격된 공간인 바텀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되는데, 상기 바텀 화기 공간부(30)에 축열판(70)이 배치된다. 축열판(70)은 도넛형 판으로 구성되어,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사이의 바텀 화기 공간부(30)에 개재된다. 상기 도넛형 판 구조의 축열판(70)의 내측면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서 돌출된 서포트 돌출부(56)의 외측 둘레부에 접촉된 구조를 취한다. 정리하면, 상기 서포트 돌출부(56)의 바깥 영역에 바텀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되고, 상기 바텀 화기 공간부(30)에 축열판(70)이 개재된 구조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이중 이중 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와 같은 조리 기구에 올려놓고 화염(가스불)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내부 용기(10)에 담겨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 중에서 화염이 아래에서 직접 가해지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의 중앙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상하 두께가 더 두꺼운 열감지부(50)(즉, 센터 돌출부(52)와 센터 요홈부(54))가 구비되어 있어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가운데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화염의 화기가 전달되는 경우가 없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가운데 부분과 주위로도 화염의 화기가 고르게 전달되므로, 밥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화기를 가하여 조리하는 음식물이 타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직접 접촉되어 있는 열감지부(50)에 의해 열전도 효율이 높아져서 국 종류와 같이 국물이 있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밥과 같은 음식물을 타지 않도록 조리하기 위한 열전달은 적당히 제대로 되면서도 쿠킹(조리)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국물 음식이 맛있게 끓여지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 된다고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중심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부분보다 상하 두께가 더 두꺼운 열감지부(50)의 센터 돌출부(52)가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가스렌지에 화염원(가스불이 올라오는 부분)에 센서가 구비되어 화염원이 쓸데없이 과열될 때에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불이 꺼지도록 하는 제품이 많이 나와 있는데, 본 발명의 이중 조리용기를 가스 랜지의 화염원에 올려놓고 가스불로 조리하는 도중에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고 가장자리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의 감지에 의해 그냥 가스불이 꺼질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중심부 사이에는 상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열감지부(50)가 구비된 것이며, 이러한 열감지부(50)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이중 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고 가장자리는 가열되지 않고 그대로 가스불이 꺼지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사이의 거리를 내부 용기(10)의 내부 측벽(14)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바텀 화기 공간부(30)와 사이드 화기 공간부(30)에 거의 동일한 화기가 고르게 퍼지게 되므로, 밥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화기를 가하여 조리하는 음식물이 타버리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바텀 화기 공간부(30)와 사이드 화기 공간부(30)로 인하여 열전도가 고르게 분포되어서 국 종류와 같이 국물이 있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더 신속하면서도 국물 음식이 더 맛있게 조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감지부(50)와 서포트 돌편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이 접촉된 상태로 연결된 구조라서, 화염에 의해 음식물 조리시에 슬로우 쿠커식으로 간접열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각각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에 전달되므로, 국물이 있는 음식이 갑자기 끓어오르거나 넘치는 것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열감지부(50)를 구성하는 외부 용기(20)의 센터 돌출부(52)의 둘레부는 내부 용기(10)의 센터 요홈부(54)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구조라서, 화염에 의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가열하여 조리할 때에 상기 내부 용기(10)의 센터 요홈부(54)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이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가 벌어지는 것과 같이 용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와 그 주변 영역이 열에 의해 바깥쪽으로 팽창되는 경우를 방지하여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가 벌어지는 것과 같이 용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열팽창에 의해 이종 조리용기 자체의 기능이 떨어져서 제대로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이 생기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센터 요홈부(54)를 형성하는 서포트 돌출부(56)(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을 위에서 볼 때에 루프형 또는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짐)가 외부 용기(20)의 센터 돌출부(52)의 둘레부를 잡아주는 구조로서,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이 음식물 조리시 가해지는 화염의 화기에 의해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늘어나려고 하여도 상기 서포트 돌출부(56)가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 돌출부(52)의 둘레부를 꽉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와 그 주변 영역이 열에 의해 바깥쪽으로 팽창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사이의 바텀 화기 공간부(30)에 개재된 도넛형의 축열판(70)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서 돌출된 서포트 돌출부(56)의 외측 둘레부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축열판(70)은 금속재의 외피판의 내부 공간부에 세라믹볼과 같이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충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축열판(70)이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사이의 공간부에 내장되어, 조리 용기의 열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면 전체를 통한 균일한 가열이 더 촉진된다.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짐으로써 음식물 조리시에 어느 부분은 과동하게 타버리고 어느 부분은 제대로 조리가 되지 못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적외선 방사 분말에 의해 원적외선 나오게 되어 음식물의 속까지 원적외선이 침투하므로, 음식물을 고르게 잘 익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상기 바텀 화기 공간부(30)와 사이드 화기 공간부(30)로 이루어진 화기 공간부(30)를 확보하도록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접지 고정부(40)에 의해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접지 고정부(40)에 의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내부 용기(10)를 투입하고,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접지 돌편(42)을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관통되어 있는 접지홀(44)에 삽입되도록 한다. 프레싱되기 이전의 접지 돌편(42)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일자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지 돌편(42)이 접지홀(44)에 삽입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모두 채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접지 돌편(42)의 일부는 접지홀(44)을 통과하여 외부 바닥(22)의 바깥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에 접지 돌편(42)이 구비되고,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접지홀(44)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부 플랜지부(16)의 접지 돌편(42)도 하부 플랜지부(26)의 접지홀(44)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부 플랜지부(16)의 접지 돌편(42)도 프레싱되기 이전에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직경이 동일한 일자형 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부 플랜지부(16)의 접지 돌편(42)의 일부도 접지홀(44)을 통과하여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으로 돌출된다.
다음, 상기 접지 돌편(42)에서 외부 바닥(22)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눌러준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프레싱 블록을 배치하여 한쪽의 프레싱 블록으로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을 받쳐주고 다른 쪽의 프레싱 블록으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으로 돌출된 접지 돌편(42)의 일부(외부 노출 접지 돌편(42)이라 할 수 있음)을 프레싱한다.
그러면, 상기 접지 돌편(42)이 눌리면서 외부 바닥(22)의 테이터형 홀인 접지홀(44)에 채워지면서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테이퍼형 접지홀(44)에 걸려지므로, 상기 접지홀(44)과 상기 접지 돌편(42)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을 잡아주는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바닥(22)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인 외부 노출 접지 돌편(42)을 눌러서 생기는 압착 돌출부는 외부 바닥(22)으 바깥면에 남아 있게 되는데, 연마기와 같은 그라인딩 수단으로 이러한 압착 돌출부를 갈아내서 제거한다.
한편,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접지 돌편(42)과 접지홀(44)에 의해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접지 돌편(42)(이하, 편의상 플랜지부측 접지 돌편(42)이라 함)에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된 형성된 접지홀(44)(이하, 편의상 플랜지부측 접지홀(44)이라 함)을 통과하여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눌러준다.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위쪽에 qocxl된 한쪽의 프레싱 블록으로 상부 플랜지부(16)를 받쳐주고 다른 쪽의 프레싱 블록으로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 아래로 돌출된 접지 돌편(42)의 일부(플랜지부측 외부 노출 접지 돌편(42)이라 할 수 있음)을 프레싱한다.
그러면, 상기 접지 돌편(42)이 눌리면서 하부 플랜지부(26) 내부의 테이터형 홀인 접지홀(44)에 채워지면서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내부에 구비된 테이퍼형 접지홀(44)에 상부 플랜지부(16)의 아래면에 구비된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이 걸려지므로, 상기 접지홀(44)과 상기 접지 돌편(42)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를 잡아주는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으로 돌출된 부분인 플랜지부측 외부 노출 접지 돌편(42)을 눌러서 생기는 압착 돌출부는 하부 플랜지부(26)의 바깥면에 남아 있게 되는데, 연마기와 같은 그러인딩 수단으로 이러한 압착 돌출부를 갈아내서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는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20의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부재(110)에 의해 물어주는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 구조를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 그립부재(110)를 끼워주기만 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 그립부재(110)의 위쪽과 아래쪽을 눌러주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결합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각각의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부재(110)에 의해 잡아주고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은 상기 접지 고정부(40), 다시 말해, 압착된 접지 돌편(42)과 접지홀(44)에 의해 잡아주는 상하 이중 결합 지지구조를 구현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가져갈 수 있다. 즉,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그립부재(110)에 의해서 위쪽에서 잡아서 결합시키고 접지 고정부(40)에 의해서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아래쪽에서 잡아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중 조리용기의 품질을 더 향상시키고 제품 신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에 구멍(H)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H)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 저면과 그립부재(110)의 안쪽면(즉, 로워 그립부의 안쪽면) 영역 사이에 배치된 경우, 이중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조리한 도중에 상기 구멍(H)을 통하여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서 뜨거운 증기가 나오더라도 상기 뜨거운 증기 그립부재(110)의 안쪽면에 부딪혀서 다시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쪽으로 회귀한 다음 외부 용기(20)의 바깥으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에서 옆쪽 방향으로 바로 빠져나와서 조리하는 사람이 뜨거운 증기에 의해 손에 화상을 입는 것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외부 용기(20)의 구멍(H)을 통해 옆으로 빠져나온 뜨거운 증기가 그립부재(110)의 안쪽면, 다시 말해, 로워 그립부의 안쪽면에 부딪혀서 아래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손에 화상을 입는 것과 같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 사이에 상부 통로(16G)가 확보되고, 복수개의 상부 통로(16G)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위아래로 겹쳐진 용기 플랜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부 통로(16G)는 그립부재(110)의 안쪽면과 상부 플랜지부(16)의 단부 및 하부 플랜지부(26) 단부에 확보된 외곽 통로(110G)와 연통되고, 상기 용기 플랜지부를 구성하는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상기 외곽 통로(110G)와 연통된 하부 통로(26G)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하부 통로(26G)가 용기 플랜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경우,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서 조리 중에 올라온 뜨거운 증기가 상부 통로(16G)를 거쳐서 외곽 통로(110G)로 나온 다음 외곽 통로(110G)에서 다시 하부 통로(26G)를 통하여 빠져나오기 때문에,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바로 외부 용기(20)의 옆쪽으로 나와서 손에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조리 중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서 생긴 뜨거운 증기는 위로 올라와서 1차로 상부 통로(16G)를 통과하고, 2차로 외곽 통로(110G)로 들어오고, 3차로 하부 통로(26G)를 통하여 외부 용기(20)의 밖으로 빠지는 미로식 배출 통로가 형성되므로,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바로 외부 용기(20)의 옆쪽으로 나와서 손에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 통로(16G)와 외곽 통로(110G)와 하부 통로(26G)가 미로식 통로 구조를 이룬 경우에도 조리 중에 생긴 뜨거운 증기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에서 아래쪽으로 빠지기 때문에,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바로 외부 용기(20)의 옆쪽으로 나와서 손에 화상을 입은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부 통로(16G)와 하부 통로(26G)가 용기 플랜지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어서,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빠질 때에 각각의 상부 통로(16G)와 하부 통로(26G)를 통하여 분산되어 살살 빠지기 때문에, 뜨거운 증기가 급속도로 외부 용기(20)의 바깥으로 빠져나와서 뜨거운 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를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마치 무풍 에어컨처럼 뜨거운 증기가 복수개의 상부 통로(16G)와 하부 통로(26G) 전체로 분산되면서 살살 배출되므로, 뜨거운 증기가 급속하게 배출되어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 사고를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 사이로 외부의 물이 들어와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로 들어오는 경우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하므로, 조리 중에 화기 공간부(30)로 들어와 있는 물이 끓어서 뜨거운 증기가 생기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 뜨거운 증기가 생기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하므로,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나와서 생기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 조리용기를 설겆이 할 때에 물이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 사이의 틈새로 들어와서 상기 화기 공간부(30)로 들어차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된 하부 통로(26G)를 통해 물이 통과되더라도 상기 외곽 통로(110G)와 상기 상부 통로(16G)를 미로처럼 거쳐가야 하기 때문에, 외부의 물이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통해 침투하여 화기 공간부(30)로 들어차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화기 공간부(30)로 물이 들어오더라도 극미량이기 때문에,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생기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조리 중에 뜨거운 증기가 나와서 생기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이중 구조의 용기를 만들고 테이퍼형 접지홀(44)을 통과하여 돌출되어 나온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을 일부를 눌러주기만 하면 테이퍼형 접지홀(44)과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이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조립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한 테이퍼형 접지홀(44)과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에 의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가 조립되는 구조라서 생산 공정이 비교적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 돌편(42)은 핀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접지홀(44)에 접지 돌편(42)을 끼우고나서 눌러주기만 하면 접지 돌편(42)이 테이퍼형 돌편으로 변형되면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 공정의 간소화 효과, 조립이 신속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 생산성의 향상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퍼형 접지홀(44)에 테이퍼형 접지 돌편(42)이 걸려져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결합시키는 구조는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접촉되는 열전도 파티클(9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전도 파티클(90)은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보다 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는데, 열전도 파티클(90)은 철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이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보다 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도 파티클(90)은 입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열전도 파티클(90)을 배열하고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동시에 가압하여 열전도 파티클(90)들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잘 파고들어 접촉되도록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보다 열전도 파티클(90)이 더 단단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전도 파티클(90)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를 접촉시키는 내열 접착제에 혼합되어, 상기 외부 바닥(22)과 내부 바닥(12)을 가압하여 내열 접착제로 부착시킬 때에 상기 열전도 파티클(90)이 동시에 외부 바닥(22)과 내부 바닥(12)에 동시에 파고들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열 접착제는 화염의 화기에 의해 400℃에서 500℃ 정도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 특성을 가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내열성 접착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내열성 접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파티클(90)은 입자형으로 구성되며, 다량의 열전도 파티클(90)들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동시 파고들어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이 다량의 파티클들이 접촉된 구조를 취한다. 바람직하게, 열전도 파티클(90)들은 날카로운 부분이 구비되어, 열전도 파티클(90)들의 날카로운 부분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더 잘 파고들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다량의 열전도 파티클(90)들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동시에 파고들어가서 접촉된 상태라서 열전달 효율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음식물 조리시에 열전달 효율을 보다 높여서 음식물 조리 시간 단축과 연료 절감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다량의 열전도 파티클(90)들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그냥 접촉되기 보다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를 파고들어가서 접촉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열전달 효율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 또는 외부 용기(20)에 세라믹 코팅층(80)을 도포할 수도 있다. 세라믹 코팅층(80)은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 모두 코팅될 수도 있다. 즉, 세라믹 코팅층(80)은 내부 용기(10)의 바깥면 또는 외부 용기(20)의 안쪽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내부 용기(10)의 바깥면과 외부 용기(20)의 안쪽면에 모두 도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세라믹 코팅층(80)에 의해 원적외선이 발생하므로, 음식물의 속까지 원적외선이 고르게 들어가서 음식물이 고르게 익게 되고 나아가 살균 효과도 가지게 되며, 음식물의 조리 시간이 더 단축되는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세라믹 코팅층(80)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조리된 음식의 질을 더 높여주며 위생상으로 보다 더 좋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중에서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의 열감지부(50) 부분에 서로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중에서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를 더 구비함으로 인하여 화염의 화기가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에 보다 더 잘 전달되므로, 열전도 효율을 그만큼 더 높여줄 수 있으며, 열전도 효율을 높이는 만큼 조리 시간의 단축과 연료 절감 등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보조 콘택트 돌출부(62)와 보조 콘택트 요홈부(64)로 인하여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접촉되는 면적을 더 크게 하기 때문에, 열전도 효율을 그만큼 더욱더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멍(H)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옆으로 관통되는 것도 좋지만, 구멍(H)이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H)이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을 벗어난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하향 연통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외부 측벽(24)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상기 구멍(H)도 상하 방향으로 뚫려 있다. 이때,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가 확보되고, 스페이스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가 연통되며, 상기 구멍(H)은 하부 플랜지부(26)에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구멍(H)은 외부 용기(20)의 옆쪽(다시 말해, 외부 측벽(24)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구멍(H)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외부 용기(20)에 형성된 구멍(H)을 통하여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 물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본 발명을 가열하여 조리하다고 상기 물이 끓으면서 생기는 증기가 외부 용기(20)의 옆으로 바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외부 용기(20)에서 아래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멍(H)을 통해 밖으로 퍼져나오는 수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멍(H)이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에서 아래쪽으로 뚫려 있어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화기 공간부(30)에 들어가 있던 물이 끓으면서 생기는 수증기가 조리 기구의 화염원 쪽으로 빠져나오므로 사용자에 수증기가 직접 도달하여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증기가 외부 용기(20)에 형성된 구멍(H)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빠져나오므로 사용자가 수증기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구비된 열감지부(50)가 센터 돌출부(52)와 센터 요홈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센터 돌출부(52)가 센터 요홈부(54)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센터 돌출부(52)와 센터 요홈부(54)의 억지 끼움 결합만으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며, 다만 상기 열감지부(50)를 구성하는 센터 요홈부(54)에 센터 돌출부(52)가 억지 끼움되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센터 요홈부(54)의 단면적은 센터 돌출부(52)의 단면적보다 더 작아서 상기 센터 돌출부(52)를 센터 요홈부(54)에 끼워넣으면 센터 요홈부(54)에 센터 돌출부(52)가 억지로 끼어들어가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 요홈부(54)와 센터 돌출부(52)의 억지 끼움 결합 구조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부 용기(10)의 외측에 외부 용기(2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 사이도 결합돌기(COP)와 결합돌기홈(COG)의 억지 끼움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기 결합돌기홈(COG)의 단면적은 결합돌기(COP)의 단면적보다 더 작아서 상기 결합돌기(COP)를 결합돌기홈(COG)에 끼워넣으면 결합돌기홈(COG)에 결합돌기(COP)가 억지로 끼어들어가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홈(COG)와 결합돌기(COP)의 억지 끼움 결합 구조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6)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6) 사이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부 용기(10)의 외측에 외부 용기(20)가 결합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에는 결합돌기홈(COG)이 결합돌기(COP)이 구비되지 않고,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만이 센터 요홈부(54)에 센터 돌출부(52)가 억지 끼움되어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에 결합돌기홈(COG)이 결합돌기(COP)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부재(110)가 물고 있어서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라서 센터 요홈부(54)와 센터 돌출부(52)의 억지 끼움 결합 상태에서 센터 요홈부(54)이 센터 돌출부(52)에 더 강하게 밀착되는 구조가 되고, 상기 결합돌기홈(COG)과 결합돌기(COP) 역시 억지 끼움 결합 상태에서 결합돌기홈(COG)이 결합돌기(COP)에 더 강하게 밀착되는 구조가 된다.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에서 맞물림 결합부들의 결합 구조가 더 강하게 되므로,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 구조가 궁극적으로 더 강화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내부 용기 12. 내부 바닥
14. 내부 측벽 16. 상부 플랜지부
16G. 상부 통로 20. 외부 용기
22. 외부 바닥 24. 외부 측벽
26. 하부 플랜지부 26G. 하부 통로
30. 화기 공간부 40. 접지 고정부
42. 접지 돌편 44. 접지홀
50. 열감지부 52. 센터 돌출부
54. 센터 요홈부 56. 서포트 돌출부
62. 보조 콘택트 돌출부 64. 보조 콘택트 요홈부
70. 축열판 80. 세라믹 코팅층
90. 열전도 파티클 110. 그립부재
H. 구멍 COP. 결합돌기
COG. 결합돌기홈

Claims (10)

  1.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측벽(14)에는 상부 플랜지부(16)를 구비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측벽(24)에는 하부 플랜지부(26)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결합된 외부 용기(20);
    상기 내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20) 사이에 확보된 화기 공간부(30);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26)를 그립하는 그립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립부재(110)는 어퍼 그립부와 로워 그립부가 구비되어, 상기 어퍼 그립부와 상기 로워 그립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가 위아래로 겹쳐져서 용기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와 하부 플랜지부(26) 사이에는 화염 공간부와 연통된 상부 통로(16G)가 확보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단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단부와 상기 그립부재(110)의 안쪽면 사이에는 상기 상부 통로(16G)와 연통된 외곽 통로(110G)가 확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통로(16G)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의 저면에 오목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통로(16G)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16)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외곽 통로(110G)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하부 통로(26G)는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의 저면에 오목홈 형태로 구비되고, 하부 통로(26G)가 상기 하부 플랜지부(26)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외곽 통로(110G)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20) 사이에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를 결합시키는 접지 고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고정부(40)는,
    상기 외부 용기(20) 또는 상기 내부 용기(10)에 형성된 접지 돌편(42);
    상기 접지 돌편(42)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10) 또는 상기 외부 용기(20)에 형성된 접지홀(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지 돌편(42)을 상기 접지홀(44)에 결합시키고, 상기 접지 돌편(42)을 압착시켜서 상기 접지홀(44)에 상기 접지 돌편(42)을 결합시켜서 상기 내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중앙부에 구비된 열감지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부(50)는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요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리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외부 바닥(22)의 안쪽면에 구비된 센터 돌출부(52);
    상기 센터 돌출부(52)가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 구비된 센터 요홈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리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부(50)의 바깥쪽 영역에 바텀 화기 공간부(30)가 확보되고, 상기 바텀 화기 공간부(30)에는 축열판(7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리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상기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된 세라믹 코팅층(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조리용기.
  10. 삭제
KR1020170119747A 2017-09-18 2017-09-18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189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47A KR101894854B1 (ko) 2017-09-18 2017-09-18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47A KR101894854B1 (ko) 2017-09-18 2017-09-18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854B1 true KR101894854B1 (ko) 2018-10-04

Family

ID=6386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47A KR101894854B1 (ko) 2017-09-18 2017-09-18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92B1 (ko) * 2018-10-08 2020-01-22 전정환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2126775B1 (ko) * 2018-12-26 2020-06-25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01Y1 (ko) * 2006-06-12 2006-11-13 최정호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JP2007229321A (ja) * 2006-03-03 2007-09-13 Isaku Tokuchi 調理鍋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炊飯器
KR101006911B1 (ko) * 2010-07-16 2011-01-13 조순익 이중 조리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21A (ja) * 2006-03-03 2007-09-13 Isaku Tokuchi 調理鍋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炊飯器
KR200430601Y1 (ko) * 2006-06-12 2006-11-13 최정호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KR101006911B1 (ko) * 2010-07-16 2011-01-13 조순익 이중 조리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92B1 (ko) * 2018-10-08 2020-01-22 전정환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2126775B1 (ko) * 2018-12-26 2020-06-25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854B1 (ko)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2057486B1 (ko) 기밀이 유지되는 이중 조리용기
KR101691204B1 (ko) 이중가열 조리기구
KR101931292B1 (ko) 이중 바닥 조리용기
KR101894850B1 (ko) 이중 조리용기
KR101334557B1 (ko) 조리용기
KR101336885B1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2138829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090082961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KR102308627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와 가열 효율 향상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CN105919408A (zh) 一种新型玻璃陶瓷不粘锅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187757B1 (ko) 냄비뚜껑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2308622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970454B1 (ko)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46821A1 (en) Cookware
CN107975830A (zh) 一种灶具支架
KR101068088B1 (ko)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20742Y1 (ko) 조리용기
KR20190042222A (ko)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KR200475452Y1 (ko) 조리용기
KR102342276B1 (ko) 인덕션 구조를 강화한 이중조리용기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