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829B1 -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829B1
KR102138829B1 KR1020180172251A KR20180172251A KR102138829B1 KR 102138829 B1 KR102138829 B1 KR 102138829B1 KR 1020180172251 A KR1020180172251 A KR 1020180172251A KR 20180172251 A KR20180172251 A KR 20180172251A KR 102138829 B1 KR102138829 B1 KR 10213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flange portion
cap
botto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066A (ko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나토얀
Priority to KR102018017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8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의 구성은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22)에는 센터홀(28)이 구비된 외부 용기(20);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상기 센터홀(28)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 가운데의 외표면에 고정된 바텀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with increased assembly efficiency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기의 열전달은 제대로 균일하게 되면서도 조리기구의 센서와 마주하는 바텀캡의 조립은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새로운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기에 관한 것이다.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는 바닥부에서 측벽부가 연장된 용기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가 바닥부에서 측벽부를 타고 올라와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일층 구조로만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기 위로 제대로 올라오지 못하여 아래층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화기가 가해지고 위쪽 부분에는 화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가해져서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기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음식물이 부분적으로 타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일층 구조의 일반 조리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이층 구조의 이중조리용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층 구조의 이중 이중조리용기는 조리시에 화염의 열전도를 고르게 하여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요리의 맛을 좋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기존의 이중조리용기의 경우 밥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조리하는 음식물의 경우 너무 과도한 열기에 의해 타는 것이 방지되지만 국물이 있는 음식물과 같이 신속하게 끓일 필요가 있는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열전도가 너무 늦어서 원하는 데로 신속하게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용기의 바닥과 외부 용기의 바닥 사이의 하부 공간부에는 실리카를 채워넣어서 이중조리용기에 음식물을 담고 화기로 이중조리용기를 데울 때에 실리카가 열전도 효율을 높여 주도록 하는 이중조리용기가 있는데, 실리카가 데워질 때의 열기가 이중조리용기의 상부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용기의 측벽부에 구멍을 뚫어주게 된다. 즉, 음식물 조리시 화기가 실리카를 가열하고, 실리카가 신속하게 가열되어 생기는 열기는 상기 구멍에 의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화염 상승 공간부를 타고 올라가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부분은 물론 위쪽 부분까지 화염이 타고 올라가면서 조리를 함으로써 국물 음식과 같이 빨리 조리하여 섭취하기 위한 음식물을 빨리 조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만이 다른 외곽 부분에 비하여 과도하게 더 많이 가열되면서 조리 음식이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어 음식물의 타버리고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를 벗어난 부분에 있는 조리 음식은 제대로 익지 못하여 조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최근에는 음식물을 화염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다가 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과도하게 올라가면 센서가 자동으로 화염을 소화시키는 구조의 레인지(주로 가스레인지)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이중조리용기의 경우 내부 용기의 바닥부와 외부 용기의 바닥부 사이에 열전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이 정해진 과도한 온도로 올라가버려서 상기 가스레인지의 센서가 이러한 과도한 높은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므로, 이중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은 골고루 제대로 조리가 되지 않으면서도 가스레인지의 화염이 조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꺼져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움푹 들어간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여, 조리시에는 조리기구에 있는 센서가 이중조리용기의 상기 오목홈과 마주하도록 이중조리용기를 조리기구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조리가 되도록 한다. 상기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이 있는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에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화염에 의해 조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중조리용기의 가운데 부분만 과도하게 열이 올라가지 않고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퍼진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오목한 센싱홈에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화염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면 이중조리용기의 센싱홈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열전도가 느리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센싱홈 부분과 다른 외곽 부분에 조리기구의 화염이 고르게 퍼진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센서가 이중조리용기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고, 이중조리용기의 과열이 감지되면 조리기구의 센서가 작동하여 조리기구의 화염을 연속하게 된다.
한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결합된 이중 조리용기의 경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가 밀폐되어 있으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화기가 빠져나갈 통로가 없어서 이중조리용기가 찌끄러지게 되므로, 상기 공간부에서 공기를 빼줘야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벽에 구멍을 뚫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부에서 생긴 열기(화기)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센싱홈 부분을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33598호(2015.06.29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83941호(2017.07.19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87877호(2002.08.2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밥과 같이 화기를 비교적 천천히 가하여서 조리를 해야 하는 음식물의 경우 너무 높은 화기에 의해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전달은 골고루 제대로 되도록 하는 한편 조리기구의 센서와 마주하는 바텀캡의 조립은 쉽게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바닥에 내부 측벽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 외부 바닥에 외부 측벽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에는 센터홀이 구비된 외부 용기;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에 형성된 상기 센터홀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내부 바닥에 구비된 픽싱돌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내부 바닥 가운데의 외표면에 고정된 바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바텀캡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에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캡에는 바텀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바텀 플랜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내부에 파고들은 고정 쐐기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의 바텀 플랜지부에 결합된 아웃터 픽싱돌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플랜지부에 아웃터 픽싱돌편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 결합홀은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의 상기 바텀 플랜지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보강 픽싱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내부 측벽에 구비된 상부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외부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측벽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는 상부 그립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용기는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저면에 바텀캡을 고정하는 상부 보강 픽싱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바닥에 외부 측벽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의 가운데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센터홀을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에서 상기 센터홀에 바텀캡을 삽입하는 외부 용기 바텀캡 삽입 단계; 상기 바텀캡을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상기 외부 바닥에 고정하는 외부 용기 바텀캡 고정단계; 내부 바닥에 내부 측벽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를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 상기 바텀캡을 상기 내부 바닥에 구비된 픽싱돌편에 의해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캡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에 파고들도록 상기 바텀캡의 바텀 플랜지부에 구비된 고정 쐐기편을 상기 외부 바닥의 내부로 눌러주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외표면에서 돌출된 아웃터 픽싱돌편을 상기 바텀캡의 바텀 플랜지부에 형성된 아웃터 픽싱돌편 결합홀에 결합한 다음,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을 눌러서 변형된 아웃터 픽싱돌편의 일부에 의해 상기 바텀 플랜지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의 아웃터 픽싱 지지턱은 상기 바텀캡의 상기 바텀 플랜지부를 지지하여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외표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외부 바닥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의 상기 바텀 플랜지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 픽싱돌편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와 같은 조리 기구에 올려놓고 화염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내부 용기에 담겨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는 바텀캡이 결합된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 조리기구의 센서가 마주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과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만 화기가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퍼지게 되면서 기본적으로 바닥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음식물만 익고 나머지 부분의 음식물은 익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용기의 센서가 작동되어 화기가 꺼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는 바텀캡을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외부 용기의 외부 바닥에 고정하고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에는 바텀캠을 픽싱돌편으로 지지하여 고정하므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기가 기존에 비하여 손쉬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센싱홈 부분을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하는 수단을 만족스럽게 구현한 점에서 특징이 있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효과에 의해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외부 용기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바텀캡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바텀캡 및 외부 용기의 결합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부 용기와 바텀캡과 외부 용기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텀캡을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픽싱돌편을 외부 용기에 고정된 바텀캡의 픽싱돌편 삽입홀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바깥면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바텀캡과 외부 용기를 결합시킨 상태와 바텀캡의 픽싱돌편 삽입홀의 내주면에 경사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바깥면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조리용기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바텀캡 및 외부 용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바텀캡을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바텀캡과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 사이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와 바텀캡 및 외부 용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바텀캡을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바텀캡과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 사이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내부 용기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다른 주요부인 바텀캡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바깥면에 도 19의 바텀캡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바텀캡을 내부 용기의 내부 바닥 바깥면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캡을 결합시키는 구조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바텀캡을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캡을 결합시키는 구조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로서 바텀캡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끼워지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바텀캡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는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되고 내부 측벽(14)에는 상부 플랜지부(15)를 구비한 내부 용기(10)와,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외부 측벽(24)에는 하부 플랜지부(25)를 구비하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내부 용기(10)와 결합된 외부 용기(20)와,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동시에 결합된 바텀캡(3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센터홀(28)을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에서 센터홀(28)에 바텀캡(30)을 삽입하는 외부 용기 바텀캡 삽입단계와, 상기 바텀캡(30)을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외부 바닥(22)에 고정하는 바텀캡(30) 고정단계와, 상기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와, 상기 바텀캡(30)을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하는 외부 용가 바텀캡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용기(10)는 내부 바닥(12)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내부 측벽(14)을 구비한다. 내부 용기(10)는 음식물 수용 공간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음식물 수용 공간부는 위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15)는 내부 측벽(14)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5)는 내부 측벽(1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부 플랜지부(15)가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가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상부 플랜지부(15)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 가운데에는 픽싱돌편(16)이 구비된다. 내부 바닥(12)의 바깥면 가운데에서 아래쪽으로 픽싱돌편(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픽싱돌편(16)은 폐루프 돌편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픽싱돌편(16)이 원형 폐루프 돌편으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바닥(22)과 외부 측벽(24)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외부 용기(20)가 내부 용기(10)에 결합된다. 상기 외부 용기(20)는 외부 측벽(2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연장되어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플랜지부(25)를 구비한다. 하부 플랜지부(25)는 외부 측벽(24)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방향으로 외향 연장된다.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도 일정 폭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용기(20)도 원형 용기 형상이므로, 하부 플랜지부(25)가 일정 폭의 원형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는 상부 그립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그립편은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에서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 밑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상부 그립편이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는 위쪽과 아래쪽에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를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의 일부와 상기 상부 그립편에 의해 물어주는 방식으로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가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 및 상부 그립편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다. 즉, 상기 상부 그립편은 내부 용기(10)의 상부 플랜지부(15)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용기(20)의 하부 플랜지부(25)의 저면을 상기 상부 그립편이 받쳐주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부 플랜지부(15)와 하부 플랜지부(25)가 상부 그립편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 용기(10)의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내표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 이중조리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측벽(14)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측벽(24) 내표면 사이 및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내표면 사이에 화기 공간부가 확보된 것이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는 센터홀(28)이 구비된다. 상기 센터홀(28)을 외부 바닥(22)의 내표면에서 외표면 쪽으로 연통된다. 상기 센터홀(28)의 내주면은 외부 바닥(22)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홀(28)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과 위아래에서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바닥(22)의 센터홀(28)은 픽싱돌편(16)의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센터홀(28)은 원형홀 형상이다.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픽싱돌편(16)이 원형 폐루프 형상이므로, 상기 센터홀(28)도 원형홀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텀캡(30)은 바텀 측벽(34)과 바텀 천정벽(32) 및 바텀 플랜지부(36)를 구비한다. 또한, 바텀캡(30)은 고정 쐐기편(38)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측벽(34)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홀(28)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바닥(22)의 센터홀(28)은 원형홀 형상이라서 바텀 측벽(34)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바텀 측벽(34)이 원통 형상이어서 바텀 측벽(34)이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원형홀 형상의 센터홀(28)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텀 천정벽(32)은 바텀 측벽(34)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바텀 천정벽(32)의 상면은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바텀 천정벽(32)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픽싱돌편 삽입홀(33)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픽싱돌편(16)이 원형 폐루프 형상이어서, 상기 픽싱돌편(16)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픽싱돌편 삽입홀(33)은 원형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싱돌편 삽입홀(33)은 바텀 천정벽(32)의 가운데에 구비된다. 즉, 바텀캡(30)의 가운데에 픽싱돌편 삽입홀(33)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바텀캡(30)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홀(28)에 결합되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가운데의 외표면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이중조리용기를 만드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부 용기(20)에 바텀캡(30)을 결합한다.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홀(28)에 바텀캡(30)의 바텀 측벽(34) 부분을 끼워준다. 상기 바텀 측벽(34)을 외부 바닥(22)의 센터홀(28)에 끼워줘서 바텀 플랜지부(36)의 상면이 외부 바닥(22)의 외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동시에 바텀 플랜지부(36)에서 외부 바닥(22)의 외표면 쪽으로 연장된 고정 쐐기편(38)의 상단부는 외부 바닥(22)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외부 바닥(22)의 외표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가 외부 용기 바텀캡 삽입단계이다.
상기 바텀캡(30)을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고정한다.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외부 바닥(22)의 외표면에서 내부 쪽으로 눌러준다. 프레스장치에 의해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눌러줄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랜지부(36)를 프레싱하게 되면, 바텀캡(30)의 바텀 측벽(34)과 바텀 플랜지부(36)가 외부 바닥(22)의 센터홀(28)에서 외부 바닥(22)의 안쪽면 쪽으로 눌려지고 동시에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에 구비된 상기 고정 쐐기편(38)은 외부 바닥(22)의 외표면에서 외부 바닥(22) 내부로 파고 들어가게 되므로, 상기 바텀캡(30)을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가 외부 용가 바텀캡 고정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바닥(22)을 파고 들어간 상기 고정 쐐기편(38)이 바텀캡(30)을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고정하는 아웃터 픽싱부가 된다.
상기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한다. 상기 바텀캡(30)이 외부 바닥(22)에 결합된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상기 내부 용기(10)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가 내부 용기 수용단계이다. 상기 내부 용기 수용단계에서 내부 용기(10)가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내부 바닥(12)의 바깥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픽싱돌편(16)이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 형성된 픽싱돌편 삽입홀(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픽싱돌편(16)의 일부는 바텀 천정벽(32)의 저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된다.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이 픽싱돌편(16)에 의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부 용기(10)에 바텀캡(30)이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내부 용기(10)의 픽싱돌편(16)의 일부가 바텀 천정벽(32)의 저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된 상태에서 픽싱돌편(16)을 프레싱한다. 프레스장치 등에 의해 픽싱돌편(16)을 눌러줄 수 있다. 상기 픽싱돌편(16)을 눌러주면 픽싱돌편(16)의 일부가 변형되면서 상부 픽싱 지지턱(16FP)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픽싱 지지턱(16FP)이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받쳐주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시키는 픽싱돌편(16)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계가 바텀캡(30)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캡 고정단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렌지의 센서가 배치되는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을 상기 바텀캡(30)에 의해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가운데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제대로 고르게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조리기구의 화염(조리기구가 가스 레인지인 경우에는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기본적인 효과이다.
최근에는 가스렌지에 화염원(가스불이 올라오는 부분)에 센서가 구비되어 화염원이 쓸데없이 과열될 때에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불이 꺼지도록 하는 제품이 많이 나와 있는데, 본 발명의 이중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의 화염원에 올려놓고 가스불로 조리하는 도중에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의 가운데 부분만 가열되고 가장자리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의 감지에 의해 그냥 가스불이 꺼질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바닥 가운데에 구비된 바텀캡(30)과 오목홈 형태의 센싱홈은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의 가운데 부분으로만 조리의 화염 열기가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차단 공간부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의 전체 부분의 고른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10)와 외부 용기(20)의 가운데 부분만 과도하게 가열되어 가스 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구의 센서가 작동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제대로 고르게 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조리기구의 화염(조리기구가 가스 레인지인 경우에는 가스불)이 꺼지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센터홀(28)과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사이에 바텀캡(30)을 결합한 상태에서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눌러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고정시키고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형성된 픽싱돌편(16)을 눌러서 픽싱돌편(16)에 의해 바텀캡(30)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 오목한 홈 형태의 센싱홈을 형성하기가 기존에 비하여 보다 손쉬운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의 센싱홈 부분을 손쉽게 형성하면서도 조리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에 골고루 열이 확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텀캡(30)에서는 열전도율이 낮아지게 되어서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가운데 부분에만 집중적인 열이 가해지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바텀캡(30)에 의한 조리시의 이중조리용기의 바닥 부분(즉, 내부 바닥(12)과 외부 바닥(22) 부분) 전체에 고른 열전도가 되도록 하는 작용이 더욱 확실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고정하는 아웃터 픽싱부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결합된 아웃터 픽싱돌편(26)으로 구성한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아웃터 픽싱돌편(26)을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에는 아웃터 픽싱돌편 삽입홀(36FH)을 형성한다.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형성된 아웃터 픽싱돌편 삽입홀(36FH)에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아웃터 픽싱돌편(26)을 삽입하여 아웃터 픽싱돌편(26)의 일부가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저면에서 더 아래로 돌출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저면에서 더 아래로 돌출된 아웃터 픽싱돌편(26)을 눌러주면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26)이 변형되면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저면에 받쳐서 고정한다.상기 바텀 플랜지부(36)를 받쳐주는 아웃터 픽싱돌편(26)이 아웃터 픽싱부가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과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웃터 픽싱부가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아웃터 픽싱부가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는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이 더 구비된다.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은 아웃터 픽싱돌편(26)의 바깥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바닥(22)의 바깥면 구비된다. 상기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은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을 눌러주어서 변형시키면 상기 바텀 플랜지부(36)를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이 아웃터 픽싱부에 포함된다.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이 받쳐주어서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고정하는 결합력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에 의해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가 더 견고하게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고정되므로 바텀캡(30)과 외부 용기(20) 사이의 결합 구조가 더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단부는 경사형 단부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형 단부는 바텀캡(30)의 중심부 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을 눌러줄 경우에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이 변형되면서 자동적으로 바텀 플랜지부(36)의 경사형 단부를 아래에서 받쳐주게 되어서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바텀캡(30)을 고정하는 결합력을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저면으로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의 일부가 더 돌출된 경우에 바텀 플랜지부(36)의 저면보다 더 돌출된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의 일부를 갈아내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의 저면과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의 하단부의 높이를 같아지도록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보강 픽싱돌편(27)의 일부가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보다 더 아래로 돌출되지 않고 깔끔하게 마무리하므로, 이종조리용기의 외관이 보다 깔끔해져서 이중조리용기의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가 가지는 효과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가 가지는 기본적인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에 의해 바텀캡(30)이 내부 용기(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에는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돌출된다.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은 픽싱돌편(16)의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내부 바닥(12)의 외표면에서 돌출된다. 내부 바닥(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는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이 구비된다.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은 픽싱돌편 삽입홀(33)의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바텀 천정벽(32)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은 바텀 천정벽(32)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에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아래로 돌출된 상기 복수개의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삽입되고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일부가 바텀 천정벽(32)의 저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하단부를 눌러주면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변형되면서 상기 바텀 천정벽(32)을 아래에서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싱돌편(16)에 더해서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아래에서 받쳐준 상태로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외표면에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바텀캡(30)이 내부 용기(10)에 고정되는 결합력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은 테이퍼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은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에서 상면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 형성된 상부 보강 픽싱돌편 삽입홀(33)도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에서 상면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으로 돌출된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을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일부를 눌러주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테이퍼 쐐기 형상의 돌편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이 눌러서 변형된 부분의 일부가 상기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에서 더 돌출된 경우, 상기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으로 더 돌출된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일부는 그라인딩 작업에 의해 갈아내서 제거하면 된다. 또한, 상기 픽싱돌편(16)도 보강 픽싱돌편(16)이 눌려질 때에 같이 눌려지면서 테이퍼 형상의 상부 픽싱 지지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지지하여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테이퍼 쐐기 형상의 상부 보강 픽싱돌편(17)과 테이퍼 지지돌편 형상의 상부 픽싱 지지턱이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픽싱 지지턱(16FP)의 일부가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텀 천정벽(32)의 저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상부 픽싱 지지턱(16FP)의 일부를 그라인딩 작업에 의해 갈아내어 제거하면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하는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가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텀 천정벽(32)의 저면으로 더 돌출된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일부를 그라인딩 작업에 의해 갈아내주면 되므로, 상기 바텀캡(30)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더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외관은 보다 깔끔하게 된다.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고정하는 상기 상부 픽싱 지지턱(16FP)과 상부 보강 픽싱돌편(17)의 하단부 높이를 바텀 천정벽(32)의 저면 높이와 같아지도록 그라인딩 작업하여 외관이 깔끔해지도록 함으로써 이중조리용기의 상품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캡을 결합시키는 구조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바텀캡을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의 끝단을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구비된 아웃터 픽싱돌편(26)의 내주면에 삽입한다.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26)을 프레싱하여 아웃터 픽싱돌편(26)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고정한다. 다음,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 형성된 픽싱돌편 삽입홀(33)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구비된 픽싱돌편(16)의 외주면에 삽입한다. 상기 픽싱돌편(16)을 프레싱하여 픽싱돌편(16)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캡(30)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가운데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가운데 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바텀캡을 결합시키는 구조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로서 바텀캡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끼워지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바텀캡이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픽싱돌편과 아웃터 픽싱돌편을 프레싱하여 바텀캡을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는 픽싱돌편 삽입홀(33)의 둘레부에 구비되도록 상향 연장된 상부 인서트편(GP)을 구비하고,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끝단에는 상향 연장된 하부 인서트편(GP)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는 픽싱돌편(16)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상부 오목홈(GR)을 형성하고,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는 바깥면에는 아웃터 픽싱돌편(26)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하부 오목홈(GR)을 형성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구비된 하부 인서트편(GP)을 외부 바닥(22)의 아웃터 픽싱돌편(26) 안쪽에 구비된 하부 오목홈(GR)에 끼운 다음,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26)을 프레싱하여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바깥면에 고정한다. 다음,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에 구비된 상부 인서트편(GP)을 내부 바닥(12)의 픽싱돌편(16) 바깥쪽에 구비된 상부 오목홈(GR)에 끼운 다음, 상기 픽싱돌편(26)을 프레싱하여 바텀캡(30)의 바텀 천정벽(32)을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바깥면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캡(30)의 상부 인서트편(GP)과 하부 인서트편(GP)이 각각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에 형성된 상부 오목홈(GR)과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12)에 형성된 하부 오목홈(GR)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바텀캡(30)이 내부 용기(10)의 내부 바닥(12) 가운데와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 가운데 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 내지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 내지 효과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내부 용기 12. 내부 바닥
14. 내부 측벽 15. 상부 플랜지부
16. 픽싱돌편 17. 상부 보강 픽싱돌편
20. 외부 용기 22. 외부 바닥
24. 외부 측벽 25. 하부 플랜지부
26. 아웃터 픽싱돌편 27. 하부 보강 픽싱돌편
28. 센터홀 30. 바텀캡
32. 바텀 천정벽 33. 픽싱돌편 삽입홀
34. 바텀 측벽 36. 바텀 플랜지부
38. 고정 쐐기편

Claims (11)

  1.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외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바닥(22)에는 센터홀(28)이 구비된 외부 용기(20);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형성된 상기 센터홀(28)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부 용기(10)의 상기 내부 바닥(12) 가운데의 외표면에 고정된 바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텀캡(30)은 상기 외부 용기(20)의 외부 바닥(22)에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캡(30)에는 바텀 플랜지부(36)가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 내부에 파고들은 고정 쐐기편(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결합된 아웃터 픽싱돌편(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 외표면에서 상기 바텀캡(30)의 상기 바텀 플랜지부(36)의 단부를 지지하는 보강 픽싱돌편(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10)는 상기 내부 측벽(14)에 구비된 상부 플랜지부(15)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측벽(24)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측벽(14)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 플랜지부(25)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15)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25)는 상부 그립편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7. 외부 바닥(22)에 외부 측벽(24)이 연결되고 상기 외부 바닥(22)의 가운데에는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센터홀(28)을 구비한 용기 형상의 외부 용기(20)에서 상기 센터홀(28)에 바텀캡(30)을 삽입하는 외부 용기 바텀캡 삽입단계;
    상기 바텀캡(30)을 아웃터 픽싱부에 의해 상기 외부 바닥(22)에 고정하는 외부 용가 바텀캡 고정단계;
    내부 바닥(12)에 내부 측벽(14)이 연결된 용기 형상으로 구성된 내부 용기(10)를 상기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내부 용기 수용단계;
    상기 바텀캡(30)을 상기 내부 바닥(12)에 구비된 픽싱돌편(16)에 의해 고정하는 내부 용기 바텀캡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에 파고들도록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구비된 고정 쐐기편(38)을 상기 외부 바닥(22)의 내부로 눌러주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픽싱부는 상기 외부 용기(20)의 상기 외부 바닥(22) 외표면에서 돌출된 아웃터 픽싱돌편(26)을 상기 바텀캡(30)의 바텀 플랜지부(36)에 형성된 아웃터 픽싱돌편 삽입홀에 결합한 다음, 상기 아웃터 픽싱돌편(26)을 눌러서 상기 바텀 플랜지부(36)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72251A 2018-12-28 2018-12-28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13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51A KR102138829B1 (ko) 2018-12-28 2018-12-28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51A KR102138829B1 (ko) 2018-12-28 2018-12-28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66A KR20200082066A (ko) 2020-07-08
KR102138829B1 true KR102138829B1 (ko) 2020-07-28

Family

ID=7160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51A KR102138829B1 (ko) 2018-12-28 2018-12-28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488B1 (ko) * 2021-11-12 2023-03-03 영성금속(주) 이중 조리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92B1 (ko) * 2017-10-16 2018-12-20 (주)옥샘코리아 이중 바닥 조리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7Y1 (ko) 2002-05-31 2002-09-09 주식회사 광해물산 이중조리용기
KR101147783B1 (ko) * 2009-10-22 2012-05-21 김영승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533598B1 (ko) 2013-12-05 2015-07-03 (주)삼미통상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KR20170083941A (ko) 2016-01-11 2017-07-19 김차식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KR101903446B1 (ko) * 2016-08-10 2018-11-22 김차식 공기층 이중 조리기
KR101954781B1 (ko) * 2018-03-23 2019-03-06 공재철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292B1 (ko) * 2017-10-16 2018-12-20 (주)옥샘코리아 이중 바닥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066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0176A1 (en) Pan, system and method of cooking
KR102138829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78888B1 (ko) 과열방지센서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KR101894854B1 (ko)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2308627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와 가열 효율 향상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US9572448B2 (en) Dual pot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515579B1 (ko) 인덕션용 구이판
CN208551115U (zh) 高安全性的隔热防烫锅具
KR102308622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KR101894850B1 (ko) 이중 조리용기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CN206080102U (zh) 一种玻璃陶瓷不粘锅
KR101493881B1 (ko) 가열용기
KR101299920B1 (ko) 이중 판 구조를 갖는 불판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KR200475452Y1 (ko) 조리용기
KR20070061492A (ko)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다용도 요리기구
CN216416778U (zh) 一种多功能早餐机
KR200199932Y1 (ko) 세라믹 저면판이 설치된 음식물 조리용기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KR101187445B1 (ko) 찜요리가 가능하고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구이판
KR101254132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CN206745236U (zh) 微波加热烤盘的底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