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916Y1 -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 Google Patents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916Y1
KR200206916Y1 KR2019960049981U KR19960049981U KR200206916Y1 KR 200206916 Y1 KR200206916 Y1 KR 200206916Y1 KR 2019960049981 U KR2019960049981 U KR 2019960049981U KR 19960049981 U KR19960049981 U KR 19960049981U KR 200206916 Y1 KR200206916 Y1 KR 200206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weather strip
close contact
tru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966U (ko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9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9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916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반복적인 개폐작동에도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된 일정한 공간(1)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1)의 양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 립(3)을 돌출형성하여, 고정 립(3)의 밀착력으로 차체 패널(31)의 플렌지(5)에 결합되는 고정부(7)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중공부(9)를 형성하여, 트렁크 리드(11)의 인너 패널(13)과 밀착되는 밀착부(15)와; 상기한 밀착부(15)의 일측 중앙으로 개구부(17)를 가지며, 개구부(17)의 양단부가 중공부(9)측으로 연장 되어 형성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본 고안은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더 스트립의 완충력 및 밀착력을 향상시켜서, 트렁크 리드와 차체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시일링성 향상을 통하여 주행 소음을 감소시킨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더 스트립은 차량의 도어나 후드 및 트렁크 등의 개폐되는 곳에 장착되어, 비나 물,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주행중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용도에 따라서 중실의 완충부를 갖는 것과 중공의 완충부를 갖는 것이 장착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복적인 충격력에 복원되어 진다.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07은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이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리어 윈도우 하부 차체 패널(101)에 형성된 플렌지(103)에 고정되어 트렁크 리드(105)의 인너 패널(107)과 밀착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하부가 개방된 일정한 공간(109)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의 양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 립(111)을 돌출형성하여 고정 립(111)의 밀착력으로 차체 플렌지(103)에 결합되는 고정부(113)를 포함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고정부(113)의 상측으로 중공부(115)를 형성하여, 트렁크 리드(105)의 인너 패널(107)과 밀착되는 밀착부(115)를 포함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트렁크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체 플렌지(103)에 결합되어 빗물이나 공기등이 트렁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의 밀착부(11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중공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트렁크 리드(105)의 닫힘 작동시 발생하는 층격력을 흡수하고, 트렁크 리드(105)의 인너 패널(107)과 밀착되어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은 밀착부가 하나의 중공부를 갖는 구조로 되어서, 트렁크 리드에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밀착부 상단이 경화되거나 마모되어서 시일링성이 떨어지고 트렁크 리드의 밀착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반복적인 개폐작동에도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의 양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 립을 돌출형성하여, 고정 립의 밀착력으로 차체 플렌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중공부를 형성하여 트렁크 리드의 인너 패널과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한 밀착부의 일측 중앙부가 개구부를 가지며, 개구부의 양단부가 중공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을 제공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의 밀착부는 2중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트렁크 리드의 닫힘 작동시에는 상측 중공부에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며, 트렁크 리드가 닫힌 후에는 하부 중공부에서 강한 반발력을 작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는 차량의 골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간 3 : 고정 립
4 : 차체 패널 5 : 플렌지
7 : 고정부 9 : 중공부
11 : 트렁크 리드 13 : 인너 패널
15 : 밀착부 17 : 개구부
19 : 상부 립 21 : 하부 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내는 차량의 골조도로서, 도면부호 A는 웨더 스트립이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리어 윈도우 하부 차체 패널(4)에 형성된 플렌지(5)에 고정되어 트렁크 리드(11)의 인너 패널(13)과 밀착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개폐되는 트렁크 리드(11)와 차체 패널(4) 사이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공기가 트렁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트렁크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체 패널(4)의 플렌지(5)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트렁크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의 기능이 저하되어 빗물이 유입되면 차체의 조기 부식을 초래하며, 공기가 유입되면 주행중 소음이 발생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1은 트렁크 리드 인너 패널이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하부가 개방된 일정한 공간(1)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1)의 양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 립(3)을 돌출 형성하여, 고정 립(3)의 밀착력으로 차체 패널(4)의 플렌지(5)에 결합되는 고정부(7)를 포함한다.
상기한 고정부(7) 내부에 형성된 고정 립(3)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웨더 스트립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고정후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고정부(7)의 상측으로 중공부(9)를 형성하여, 트렁크 리드의 인너 패널(13)과 밀착되는 밀착부(15)를 포함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의 밀착부(1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중공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시 발생하는 충력력을 흡수하고, 트렁크 리드(11)의 인너 패널(13)과 밀착되어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의 밀착부는 일측으로 개구부(17)를 형성하여, 개구부(17)의 양단부를 중공부(9) 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2중의 중공부(9)를 형성한다.
상기한 밀착부(15)는 상측 중공부에서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한다.
상기한 밀착부(15)의 하측 중공부에서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후에 지속적인 지지력을 트렁크 리드(11)에 가하여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트렁크 리드(11)의 열림 작동시에 상측 중공부와 하측 중공부가 복원되는 상태로 되어, 중공부(9)에 형성된 상,하측 립(19,2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한 웨더 스트립은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시 밀착부(15)의 개구부(15)가 형성된 반대측에서 초기 반발력을 발생하여 완만한 완충작용을 한다.
상기한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이 계속되면, 밀착부(15)의 상, 하측 립(19,21)이 접촉하며 밀착부(15) 상측 중공부에서 트렁크 리드(11)에 반발력을 작용하는 상태로 트렁크 리드(11)가 닫힌다.
상기한 트렁크 리드(11)의 닫힘 작동이 끝나면, 밀착부(15)의 하측 중공부에서 지속적으로 반발지지력을 발생하여 트렁크 리드(11)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의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은 트렁크 리드의 반복적인 접촉에도 변형되지 않고, 트렁크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웨더 스트립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Claims (2)

  1. 하부가 개방된 일정한 공간(1)을 형성하고, 상기한 공간(1)의 양측 내벽에 다수의 고정 립(3)을 돌출형성하여, 고정 립(3)의 밀착력으로 차체 패널(4)의 플렌지(5)에 결합되는 고정부(7)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중공부(9)를 형성하여, 트렁크 리드(11)의 인너 패널(13)과 밀착되는 밀착부(15)와; 상기한 밀착부(15)의 일측 중앙으로 개구부(17)를 가지며, 개구부(17)의 양단부가 중공부(9)측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 수단은 밀착부(15)의 개구부(17)에 형성된 상부 립(19)과 하부 립(21)을 형성하여 밀착부(15)가 2중 중공부(9)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2019960049981U 1996-12-17 1996-12-17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200206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81U KR200206916Y1 (ko) 1996-12-17 1996-12-17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981U KR200206916Y1 (ko) 1996-12-17 1996-12-17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66U KR19980036966U (ko) 1998-09-15
KR200206916Y1 true KR200206916Y1 (ko) 2001-01-15

Family

ID=5399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981U KR200206916Y1 (ko) 1996-12-17 1996-12-17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9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966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6916Y1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102042030B1 (ko) 차량용 도어 웨더스트립
KR19980028462U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더 스트립
KR200344140Y1 (ko)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100820479B1 (ko) 버스 플랩도어의 웨더스트립구조
KR19980041997U (ko) 차량용 웨더 스트립
KR19980036965U (ko) 승용차량용 트렁크 리드 웨드 스트립
KR100906886B1 (ko) 도어 웨더 스트립
KR100189025B1 (ko) 밀착력을 증대시킨 자동차 프레임레스 도어 윈도우부 웨더 스트립
KR970006815Y1 (ko) 트럭 윈도우의 들뜸 방지 구조용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
JP360041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KR100217534B1 (ko) 실링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오프닝어퍼 웨더스트립 구조
KR0135213Y1 (ko) 자동차의 쐐기형 웨더 스트립 글라스 몰딩 장착구조
KR0173412B1 (ko) 자동차 도어의 실링 구조
KR200160316Y1 (ko) 도어프레임의 부압 방지장치
KR200146787Y1 (ko) 프레임리스 도어의 풍음 방지구조
KR19980056598A (ko) 더스트 웨더 스트립
KR19980042249U (ko) 더스트 웨더 스트립
KR19990025540U (ko) 자동차 오프닝 웨더스트립
KR19980046659U (ko) 트렁크룸의 웨더스트립
KR19980021942U (ko) 자동차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단면구조
KR19990011539U (ko) 다단계 흡수형 보디사이드 웨더스트립
KR19980032964U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구조
KR20000008178U (ko) 자동차의 프레임레스 도어용 웨더스트립
KR20000008043U (ko) 중공 리브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의 웨이스트 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