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914A -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914A
KR20020096914A KR1020020033220A KR20020033220A KR20020096914A KR 20020096914 A KR20020096914 A KR 20020096914A KR 1020020033220 A KR1020020033220 A KR 1020020033220A KR 20020033220 A KR20020033220 A KR 20020033220A KR 20020096914 A KR20020096914 A KR 20020096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waterproof
tape
clamping
slide fastener
clamp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421B1 (ko
Inventor
이치카와노부히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2Means for making slide fasteners gas or watert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4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member for sealing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을, 치합헤드부(13b)를 갖는 복수의 치합소자(13)를 플랜지측으로부터 포지한 후 절곡하여 Ω형 단면을 갖는 무치 지지부(11a)를 형성하고, 그 무치 지지부(11a)의 원주면을, 한쌍의 판형 협지편(15a, 15b)으로 대략 U형의 클램프소자(14)로 협지고정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로 이루어진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이다. 상기 클램프소자(14)에, 기밀방수성 테이프(11)를 인접한 클램프소자(14) 사이에서 절곡할 때, 클램프소자(14) 사이에 인접한 상기 협지편(15a, 15b) 끼리의 측면 사이에 있는 테이프부분(11b)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피하기 위한 응력도피부(14d, 14e, R)를 설치하고, 기밀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강하게 절곡되어도 용이하게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AIRTIGHT WATERPROOF SLIDE FASTENER}
본 발명은 잠수복 이나 해중 터널 등과 같은 고압하에서 기밀방수성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부분에 적용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무치(務齒)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제856881호, 일본 실개소58-181210호, 일본 특공소63-8763호 공보 등에 개시된 의치 구조와, 일본 특공평1-54041호, 특공평2-16648호, 실공평5-2098호 등에 개시된 의치구조 등의 2종류의 구조로 크게 구별된다. 이러한 의치의 구성요소는 선단에 치합헤드부를 갖는 창 형상의 치합소자와, 한쌍의 소판형으로 이루어진 협지부와 그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U형의 클램프 소자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클램프소자는 통상 장방형의 판부재를 U형으로 체결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독일 특허 제856881호, 실개소58-181210호, 특공소63-8763호의 무치구조는 상기 치합소자를 클램프소자의 연결부 내면의 중앙으로부터 그 개방단부를 향해 치합헤드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일체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무치를 기밀방수성의 파스너테이프에 고착하는 것은 그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측연부를 따라 소정의 피치로 치합헤드부의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무치의 치합헤드부를 이에 삽입하여,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삽입구멍 형성부를 상기 클램프소자의 만곡저면에 압접시켜서 Ω형으로 절곡하여 압입하고, 클램프소자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체결한 후 강고히 협착고정하여 기밀방수용 파스너 스트링거를 제조한다.
한편, 특공평1-54041호, 특공평2-16648호, 실공평5-2098호의 무치구조는 선단에 치합 헤드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장방형의 플랜지를 창 형상의 치합소자와, U형의 클램프소자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무치를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고착하기 위해서는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측연부를 플랜지측으로부터 선단의 치합헤드부에 걸쳐 상기 치합소자를 포지(抱持)하도록 감아서, 치합소자의 플랜지측으로부터 치합헤드부의 앞에 놓고, 기밀방수성 테이프를 거쳐 상기 클램프소자를 삽입안착시킨 후 포지하도록 강하게 체결하여, 클램프소자에 의해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측연부를 Ω형상으로 절곡하여 강고히 협착고정하여, 기밀방수용 파스너 스트링거를 제조한다.
이러한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기밀방수성은 대향하는 한쌍이 파스너 스트링거의 상기 치합헤드부와 클램프 소자 사이로부터 절곡되어 외부에 노출한 기밀방수성 테이프부분의 압접력에 의해 보증된다. 이러한 압력력이 약하면,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작용하는 수압이나 기타의 외력에 의해, 압접되는 테이프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기밀방수성이 손상된다.
그런데, 치합소자와 클램프소자가 일체로 된 상술의 무치구조에서는 부품수가 감소하여 부품관리가 용이하게 되지만,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상기 무치를 고착하기 위해서는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측연부에 치합헤드부의 삽입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그 삽입구멍에 치합헤드부를 삽입하고나서 클램프소자의 저면을 향해 상기 테이프를 삽입하여 U형으로 끼워넣을 필요가 있으며, 그 고정구조로부터 기밀방수성 테이프가 테이프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고, 클램프 소자에 의한 협지고착력이 약하게 되기 쉽다. 여기서 일본 실개소58-18121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소자의 개방측 단부의 대향면에 테이프 협지용의 림프를 돌출시켜 무치의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대한 고착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기밀방수성의 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대향하는 무치를 치합시켰을 때, 대향하는 테이프부분의 압접력에 의존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독일특허 제856881호나 상기 공보에서 그 압접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거의 U형으로 절곡된 클램프소자의 표리측의 일단 또는 양단에 직각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연장시킨 혀 형상의 부재를 형성하면, 필요로 하는 압접력이 확보되고, 필요로 하는 기밀방수성을 얻기 쉽게 된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소자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혀 형상의 부재를 형성하는 것은 파스너 개폐기구인 슬라이더 전체의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된다.
한편, 상기 특공평1-54041호, 특공평2-16648호, 실공평5-2098호 등과 같이, 치합소자와 클램프소자가 별개로 구성된 무치구조에서는 부품수는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기밀방수성 테이프로의 고착작업은 용이하게 되고, 치합소자의 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존재에 의해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대한 고착강도도 커지지 때문에, 실용화시 바람직한 무치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어떠한 무치구조에서도 종래의 클램프소자는 일부는 제외고는 거의 장방형을 형성하고 있고, 인접한 클램프소자의 협지부에 대향하는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예외로서는 상기 독일특허 제856881호가 있다. 이에 따르면,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측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대향하여 고착되는 각각의 클램프소자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협지선단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클램프소자의 협지선단면끼리 테이프 방향으로 완전히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중첩되는 대향면을 갖고 있지 않다. 이것은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무치가 치합하였을 때 대향하는 클램프소자의 협지부의 각각의 선단면 끼리에 의한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대한 직접적인 압접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수성 테이프 사이에 필요로 하는 압접력이 발생하지 않고, 기밀방수성을 저하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상기 파스너가 장착된 제품, 예를 들어 잠수복 등은 사용시에 절첩되거나, 혹은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스트링거도 무치 사이에서 동시에 절첩된다. 도7a 및 도7b는이때의 파스너 스트링거(108)의 절첩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7a는 파스너 스트링거(108)의 정면도이고, 도7b는 파스너 스트링거(108)의 절첩된 측으로부터 투시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일반적인 클램프 소자의 협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장방형을 이루기 때문에,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 측에 인접한 클램프소자(104)는 그 대향하는 협지편(105a)의 외측 능선끼리 밀착하고; 상기 클램프소자(104)의 기밀방수성 테이프(101)를 협지하여 반대측의 협지편(105b)의 외측 능선끼리 이격하여, 그 외측 능선부분이 협지편(105a)의 절첩된 측의 외측 능선 끼리의 밀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테이프 길이방향으로 크게 개방하려고 한다.
즉, 클램프 소자(104)의 협지부(105)의 외측 능선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회전에 의해 외측 능선부가 밀착되는 측의 기밀방수성 테이프 부분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테이프(101)를 협지한 반대측의 외측 능선부 사이에 있는 기밀방수성 테이프 부분에는 강력한 인장응력이 작용하여, 그 인장응력 측의 기밀방수성 테이프부분이 쉽게 찢어진다. 이러한 기밀방수성 테이프(101)의 찢어짐은 본래의 기능인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기밀방수성을 상실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이러한 종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서 그 기밀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으로 강하게 절곡되어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검토와 실험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 기본적인 구성은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측연을, 복수의 치합소자의 플랜지측으로부터 포지하는 동시에 치합헤드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절곡하고, 상기 테이프의 일측연에 Ω형 단면의 무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무치 지지부의 저면을 한쌍의 판형 협지편으로 이루어진 협지부와 각각의 협지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U형의 클램프 소자로 협지고착하여 구성되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구비한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소자가 기밀방수성 테이프를 인접한 클램프 소자 사이로 절첩하였을 때, 인접한 협지편 끼리의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테이프부분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피하기 위한 응력도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이러한 종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그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프면을 절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되는 측의 인접한 클램프소자가 상대하는 협지편의 외측 능선 끼리 밀착되고, 상기 클램프소자는 상기 외측 능선부의 밀착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절곡측은 반대측의 외측 능선부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를 그 길이방향으로 크게 개방하려고 한다. 이때, 밀착되는 각각의 외측 능선부의 밀착부분은 로킹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회전중심이 고정되어 버리기때문에, 절첩된 기밀방수성 테이프는 양 클램프소자 사이의 절첩측과는 반대측에서 테이프 길이방향으로 커다란 인장응력을 받아 찢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밀방수성 테이프를 거의 C 형상으로 포지하는 클램프소자의 표리면측의 협지편 사이에 있는 테이프 부분에 발생되는 국부적인 과대한 인장응력을 피하기 위한 응력도피부를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가 절첩되었을 때, 상기 응력도피부에 의해 절곡되어 밀착한 능선부 끼리의 밀착고정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절첩측과는 반대측인 협지편 사이의 과대한 인장응력을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절첩되는 측과는 반대측 능선부에 과대한 인장응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그 부분에서의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부가하여, 무치의 치합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대향연부를 따라 소정의 피치로 지그재그형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협지부의 대향하는 선단면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이 양호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클램프소자는 그 표리 협지편의 선단 대향면에는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되는 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립소자를 체결하여, 그 표리 협지편으로 Ω형상으로 절곡된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무치 지지부를 표리측으로부터 강하게 협지할 때, 상기 협지편의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상기 립부가 무치 지지부에 파먹어 들어가, 그 고정을 더욱 강고하게 한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립부의 전방면을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면, 협지부의 선단에 상기 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혀 형상의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쇄시에 발생되는 상기 립부의 전방면에 의한 압압력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대향하는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절곡부분에 필요로 하는 압접력을 부여할 수 있고, 충분한 기밀방수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한편, 상기 립부의 전방면은 무치의 치합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대향연부를 따라 소정의 피치로 지그재그형으로 대향하여 배열되도록, 클램프소자가 각각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독일특허 제856881호와 같이, 클램프소자의 상기 대향면이 테이프 길이방향으로 어긋나 압압력이 직접 작용하는 중첩부분이 없을 때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기밀방수성 테이프 사이의 대향 노출단연에 충분한 압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지그재그형으로 대향하여 배열되는 상기 클램프소자의 각 대향면의 일부를 필히 중첩배치하고, 기밀방수성 테이프 사이의 필요로 하는 압접력을 확보하고,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기밀방수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응력도피부는 클램프소자를 평면투시하였을 때 상기 협지부의 측면이 클램프소자의 연결측 단면으로부터 협지부 선단방향으로 클램프소자의 두께와 기밀방수성 테이프 두께와의 가산위치 보다 선단측을 적어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협지부 선단까지 소정의 각도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그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테이프면을 길이방향으로 절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된 부분에 인접한 협지부는 절첩된측의 협지편의 외측 능선부분 끼리 밀착하고, 그 밀착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협지부가 회전하고, 절첩된 측과는 반대측인 기밀방수성 테이프에는 인접한 상기 클램프소자 사이에서 커다란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클램프소자의 협지부를 평면 도시하였을 때, 종래의 장방형인 경우에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하면 상기 클램프소자의 협지부 선단측이 2중으로 중첩된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테이프 본체측에 있고, 클램프소자의 연결부측이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자유단측으로 되기 때문에, 그 테이프 길이방향으로의 절첩형태는 연결부측이 신장되어 협지부의 선단측이 압축된 원추형의 일부와 유사한 형태로 된다.
그 결과,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절첩부를 중심으로 하여, 클램프소자는 인접한 협지부의 선단측의 외측 능선부까지 밀착되고, 연결부측의 측면 끼리는 미세하게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치합소자의 플랜지측에서 절곡된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무치 지지부는 상기 절첩부의 내측에 내부응력을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절첩부의 외측이 크게 신장되는 듯한 과대한 인장응력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절첩형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먼저 각각의 클램프소자의 협지부의 좌우측면을 상술의 원추형을 따라 선단측이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하므로써 상기 응력도피부로 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대한 무치의 고착구조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치합소자를 중심으로 기밀방수성 테이프와 클램프소자가 상기 치합소자를 포지하도록 굴곡시켜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고착시킨다.
고착구조에 있어서, 클램프소자의 협지부 전체에서 강력하게 기밀방수성 테이프를 협시시키기에는 적어도 협지부와 연결부와의 경계면에 대한 협지력을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협지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적어도 C형으로 절곡되는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무치 지지부와 클램프소자의 연결부로부터 협지부에 걸친 경계면이 종래와 동일한 테이프 길이방향의 폭 칫수를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협지부 선단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상기 테이퍼면의 기점을 클램프소자의 두께와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테이프두께를 더한 치로 설정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대한 무치에 필요한 고착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를 길이방향으로 절첩했을 때도 상기 테이퍼면이 응력도피부로 되어 서로의 간섭을 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 외측 능선부가 접촉할 때에도 절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가볍게 접촉할 정도가 되며, 그 사이에 절첩된 측과는 반대측의 협지부와 연결부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기밀방수성 테이프부분에 과대한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기밀방수성 테이프부분이 찢어지는 상태도 피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소자의 양측면에 대한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은 청구항 4의 발명과 관련된 것으로서, 3°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3°보다 작으면, 절첩되는 측에 인접한 협지편의 외측 능선부가 밀착되어 로크상태로 되므로써 응력도피부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으며, 절첩된 측의 클램프소자 사이에서 기밀방수성 테이프에 찢어짐이 발생되기 쉽다. 또한, 7°를 초과하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쇄시 대향하여 배치되는 클램프소자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직접적인 압압력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대향하는 기밀방수성 테이프 끼리의 압접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필요로 하는 기밀방수 성능을 얻기 어렵게 된다.
상기 응력도피부에 협지부의 선단측 모서리각 부분의 원주면을 면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응력도피부를 협지부의 외측 능선부에 면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력도피부가 협지부의 내측 능선부의 적어도 일단부를 면따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응력도피부는 아무래도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를 길이방향으로 절곡시켰을 때, 그 절첩부를 중심으로 하는 클램프소자 사이에서 기밀방수성 테이프의 일부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치합상태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치합부분의 일부를 절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2는 도1의 선Ⅱ-Ⅱ을 따른 단면도.
도3은 도2의 선Ⅲ-Ⅲ을 따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램프소자열의 고착전 구조를 내측으로부터 투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절첩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6은 종래의 무치 고착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요부평면도.
도7은 종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의 절첩형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 대한 클램프소자에 형성되는 테이퍼면의 테이퍼각의 변화를 기초로 한 기밀도의 변화를 도시한 상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슬라이드 파스너11, 101: 테이프
11a, 101a: 무치 지지부11b, 101b: 테이프부분
12, 102: 무치13, 103: 치합소자
13a, 103a: 장방형 기둥부13b, 103b: 치합헤드부
13c, 103c: 플랜지14, 104: 클램프소자
14a: 오목홈14b: 연결핸들
14c: 테이퍼면14d, 14e: 면따기부
15, 105, 15a, 105a: 협지편16: 연결부
17: 립부18, 108: 파스너 스트링거
R: 면따기부(원호면)
본 실시예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밀방수성 테이프(11), 무치(12) 이외에 도시않은 슬라이더, 상하정지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밀방수성 테이프(11)는 고무재, 연질의 합성수지 등의 단독, 또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가 피착된 직물 등의 수밀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11)의 일측연부를 길이방향으로 굴곡시켜 그 측연부를 따라 일정간격 마다 무치(12)가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치(12)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치합소자(13) 및 클램프소자(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치합소자(13) 및 클램프소자(14)가 일체로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단, 치합소자(13) 및 클램프소자(14)가 별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합소자의 형상의 일부가 치합소자(13) 및 클램프소자(14)를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단독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치합소자(13)의 전체 형상은 종래 실시예와는 다른 점이 없고, 장방형 기둥부(13a)의 선단에 장방형 단면을 갖는 화살촉 형상의 치합헤드부(13b)를 갖는 동시에, 장방형 기둥부(13a)의 기단에 장방형의 플랜지(13c)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치합소자(13)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가 치합소자(13)의 플랜지(13c)를 포함하도록 절곡되고, 그 테이프 본체측과 테이프 측연측을 확장개방형으로 절곡하고, 전체 절곡단면형상이 대략 Ω형상의 무치 지지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무치 지지부(11a)에 의해 치합헤드부(13b)를 외부로 노출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치합소자의 플랜지(13c) 및 장방형 기둥부(13a)를 포지하도록 절곡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무치 지지부(11a)의 원주면을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프소자(14)를 강제적으로 굴곡변형시키므로써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에 필요로 하는 간격을 갖춘 복수의 무치(12)를 고착한다. 복수의 치합소자(13)를 일직선 형태로 나란히 하여 이들 치합소자(13)를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에서 포지하기 위해서는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에서 치합소자(13)를 포지하기 전에, 복수개의 치합소자(13)를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놓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U형으로 굴곡된 클램프소자(1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단부의 대칭간격이 다른쪽 단부의 대칭간격 보다 넓게 되도록 경사시킨 한쌍의 판형 협지편(15a, 15b)의 다른쪽 단부측을 연결부(16)로 연결한 굴곡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판(15a, 15b)의 연결부(16)측과는 반대측인 각각의 단부에는 그 대칭방향으로 돌출되는 립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립부(17)를 포함한 클램프소자(14)의 굴곡내면에는 그 굴곡방향으로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오목홈(14a)이 연결핸들(14b)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클램프소자(14)를 다시 굴곡변형시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에 부착한 후, 상기 연결핸들(14b)은 절제되고, 무치(12)가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부를 따라 고착일체화되어 파스너 스트링거(18)가 제조된다.
필요로 하는 길이를 갖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에 도시않은 슬라이더가 통과하고, 상기 스트링거(18)의 한쪽 단부에는 도시않은 상하정지구가, 그 다른쪽 단부에는 하방 정지구가 각각 고착되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2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가 폐쇄되었을 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의 파스너 구성은 클램프소자(14)의 구성을 제외하면, 종래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종래의 클램프소자(104)의 구성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투시하였을 때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소자(14)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클램프소자(14)의 협지부(15)에,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절곡시 인접한 클램프소자(14) 사이의 무치 지지부(11a)의 테이프부분(11b)에 발생되는 과대한 인장응력의 응력도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소자(14)의 구조를 도시한 도1 내지 도4와, 종래 클램프소자(104)의 구조를 도시한 도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7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클램프소자(104)의 구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클램프소자(104)의 전체적인 형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소자(14)의 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프소자(104)에서는 그 협지부(105)의 협지편(105a, 105b)이 대략 장방형의 소판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 테이프 길이방향의 폭 칫수는 협지부(105)의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협지편(105a, 105b)의 내외면측의 능선부분에는 특별한 가공이 실행되지 않고, 각각이 약 90°의 직각 능선부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파스너 스트링거(108)를 그 테이프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곡시켰을 때, 도7b에 도시된 평면도에서는 절곡중심의 무치(102)와, 이에 인접한 무치(102) 사이에서는 절곡되는 측의 협지편(105a)의 선단측 능선부분이 밀착되는 동시에, 그 연결부(106)측에서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접한 클램프소자(104)의 연결부(106)측의 테이프부분에는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있다. 이때, 동시에 인접하고 있는 클램프소자(104)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측의 협지편(105a)의 상술의 밀착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절곡된 측과는 반대측인 협지편(105b)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사이의 무치 지지부(101a)의 테이프부분, 특히 연결부(106)측의 테이프부분(101b)에 평면투시하였을 때의 연결부(106)측의 테이프부분에 발생되는 인장응력과 함께, 매우커다란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상기 테이프부분(101b)은 협지편(105b)에 의해 협지단부로부터 찢어짐이 시작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소자(14)의 형태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협지편(15a, 15b)의 일부에 다양한 응력도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무치 지지부(11a)에 대한 연결부(16)측의 테이프부분(11b)이 용이하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응력도피부로서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지편(15a, 15b)의 좌우측면상에 형성된 테이퍼면(14c)과, 그 내외 능선부분에 형성된 면따기부(14d, 14e)가 있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1에 도면부호 R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협지편(15a, 15b)의 선단각 모서리부, 특히 그 내면측 모서리부를 면따기하여, 면따기부로서 미소한 원호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응력도피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 응력도피부 전체가 필요한 것은 아닌 경우도 있으며, 그 일부를 제외할 수도 있다.
상기 인장응력의 응력도피부로서 가장 유효한 수단인 상기 테이퍼면(14c)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다른 응력도피부의 설계 이상으로 유의할 점이 있다. 이를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서 그 기능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의해야 할 첫번째 점은 협지부(15)에 형성하는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소자(14)의 크기와 배열피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치수(폭 칫수, 길이치수 등등) 또는 용도, 혹은 테이프구조나 소재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14c)을 클램프소자의 평면도에서 대략 다이형태로 되도록 연결부(16)의 외측단연으로부터 협지부(15)의 선단에 걸쳐 테이퍼면을 형성하면, 클램프소자(14)에 의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협지력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클램프소자(14)에 의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에 대한 필요한 협지력을 확보할, 그 연결부(16)측에서의 기밀방수성 테이프(11)에 대한 실질적인 협지면적을 확보하고 있다. 즉, 상기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연결부(16)의 외측단면으로부터 적어도 클램프소자(14)의 두께(D1)에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테이프두께(D2)를 더한 값(D1+D2) 이상의 칫수 위치(H)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칫수위치(H) 보다 연결부(16)측에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설정하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횡방향 인력에 의한 무치(12)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 다른 유의해야 할 점은 상기 테이퍼면(14c)의 테이퍼각(α)에 있다. 이러한 테이퍼각(α)이 너무 작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절첩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부가 찢어지기 쉽고, 테이퍼각(α)이 너무 크면 클램프소자(14)의 협지편(15a, 15b)의 선단폭 칫수(W)가 적어져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의 대면하는 각각의 클램프소자(14)의 협지편(15a, 15b)의 선단 전방면 사이에 중첩되는 부분(W1)이 없어지고, 대향하는 기밀방수성 테이프(11) 사이에 발생되는 압접력이 작아지게 되어, 필요로 하는 기밀방수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도8은 상기 테이퍼면(14c)의 테이퍼각(α)의 변화에 따른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기밀성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단,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테이퍼각(α)은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클램프소자(14)의 두께(D1)와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테이프두께(D2)를 더한 칫수위치로 하고 있다. 상기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파스너 절첩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적절한 테이퍼각(α)의 범위 또한 기밀방수성 테이프(11) 사이의 상기 압접력과의 관계에서 저절로 변경된다.
도7에 있어서, 테이퍼각(도피각)(α)이 0°인 때는 테이퍼면(14c)을 모두 형성하지 않는 경우이며, 인접한 클램프소자의 측면이 평행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면(14c)의 테이퍼각(α)을 0°에서 8°까지 변화시키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기밀도는 2부터 0.7(kgf/cm)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기밀도를 중시하면, 상기 도면에서 테이퍼각(α)은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밀성능 이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가 길이방향으로 강하게 절곡되었을 때에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부에 찢어짐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도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기밀방수성 테이프(11)에 고무성분의 섬유직물 테이프를 채용하고, 무치(12)의 치합소자(13)를 상술한 도1에 도시된 구조로 하는 동시에, 클램프소자(14)의 협지부(15)에서 상기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상술의 클램프소자(14)의 두께(D1)와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두께(D2)를 더한 칫수위치(H)로 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상기 테이퍼각(α)을 0°, 2°, 5°및 8°로 하여, 상기 칫수위치(H)로부터 협지부(15)의 선단까지의 전체 측면에 테이퍼면(14c)을 형성하고, 각각 10개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를 만들었다. 각각의 파스너(10)에 있어서, 각각의 테이퍼각(α)과 마찬가지로 스트링거 굴곡내구도(굴곡시의 테이프 찢어짐강도), 기밀도(kgf/㎠), 중첩량 비율(압축량 비율)(%), 체인횡인강도(kgf/in)의 평균치를 구한다. 여기서, 스트링거 굴곡내구도는 하나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에서 300회의 절첩을 실행하여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찢어짐의 정도를 「 ×」,「 △ 」,「 0 」으로 평가하였다.
표1은 상기 실험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표1
테이퍼각(α)0° 2° 5° 8°
스트링거굴곡내구도× △ 0 ◎
기밀도(kgf/㎠) ≥2.0 1.5정도 1.0정도 0.7정도
중첩량비율(%) 100 82 34 12
체인횡인강도(kgf/in) 91 88 84 80
표1에 따르면, 스트링거 굴곡내구도는 테이퍼각(α)이 2°에서 「 △ 」, 5°에서 「 0 」, 8°에서는 「 ◎ 」으로, 테이퍼각(α)이 커지면 커질수록, 상기 내구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기밀도는 테이퍼각(α)이 커짐에 따라 저하되고, 그 원인이 클램프소자(14)의 대향 전방면 사이의 중첩량의 비율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첩량비율의 값이 커질수록, 기밀도는 증가한다. 또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 끼리를 이격방향으로 횡인하였을 때의 무치(12)의 탈락강도를 도시하는 체인횡인강도는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테이퍼각(α)이 8°이어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퍼각(α)은 다른 요인과 함께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에 대한 기밀방수 성능이나 내구성, 특히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절곡에 의한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찢어짐을 피하는 동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각(α)의 설정에는 다른 요인, 예를 들어 테이퍼면(14c)의 형성 기점위치, 상기 협지편(15a, 15b)의 내외 능선부분에 형성되는 면따기부(14d, 14d), 또는 상기 협지편(15a, 15b)의 선단 모서리각 부분에 형성되는 원호면(R)의 설정량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한 상기 테이퍼각(α)은 3°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소자(14)의 각각의 협지편(15a, 15b)의 테이프측과는 반대측인 외측 능선부분과 테이프측 능선부분에 면따기부(14d, 14e)를 형성하면,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되었을 때, 그 절첩되는 측에서 인접하는 클램프소자(14)의 협지편(15a) 끼리의 외측 능선부분이 예를 들어 밀착되어도 그곳에 면따기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면따기부(14d, 14e)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밀착점이 이동하고, 특히 그 협지편(15b)의 연결부(16)측의 테이프부분(11b)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의 일부를 피할 수 있어, 상기 테이프부분(11b)이 찢어지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도1에 도면부호(R)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소자(14)의 각각의 협지편(15a, 15b)의 선단 모서리각 부분에 미소한 원호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가 절첩되었을 때, 절첩되는 측에서 인접하는 협지편(15a)의 각각의 선단측의 모서리각 부분에서 협지편(15a) 끼리 밀착하여 회전시의 지점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원호면(R)의 존재에 의해 상기 지점이 이동하고, 상기 면따기부(14D, 14D)와 마찬가지로, 절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협지편(15b)의 연결부(16)측의 테이프부분(11b)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의 일부를 피할 수 있고, 상기 테이프부분(11b)이 찢어지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클램프소자에 형성되는 응력도피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퍼면(14c), 면따기부(14d, 14e) 및 원호면(R) 전체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10)의 길이나 폭,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테이프 재질, 클램프소자(14)의 크기 등의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서, 상기 응력도피부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청구항에 기재된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일측연이, 복수의 치합소자(13)의 플랜지(13c)측으로부터 포지되는 동시에 치합헤드부(13b)를 외부로 돌출되어 절곡되므로써, 상기 테이프(11)의 일측연에 Ω형 단면의 무치 지지부(11a)가 형성되고, 이러한 무치 지지부(11a)의 저면이 한쌍의 판형 협지편(15a, 15b)으로 이루어진 협지부(15)와 각각의 협지편(15a, 15b)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6)를 구비한 U형의 클램프소자(14)에 의해 협지되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를 구비한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소자(14)가 기밀방수성 테이프(11)를 인접한 클램프 소자(14) 사이로 절첩되었을 때, 각각의 클램프 소자(14) 사이에 인접한 협지편(15a, 15b) 끼리의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테이프부분(11b)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피하기 위한 응력도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무치(12)의 치합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8)의 대향연부를 따라 소정의 피치로 지그재그형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협지부(15)의 대향하는 선단면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피부는 클램프소자(14)를 평면도로도시하였을 때 협지부(15)의 측면이 클램프소자(14)의 연결부측 단면으로부터 협지부(15) 선단 방향으로 상기 클램프소자(14)의 두께(D1)와 기밀방수성 테이프(11)의 테이프 두께(D2)를 합한 위치 보다 선단측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협지부 선단까지 소정의 각도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면(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소자(14)의 양측면에서 상기 테이퍼면(14c)의 테이퍼각(α)이 3°내지 7°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피부는 협지부(15)의 선단측 모서리각 부분의 원주면 면따기부(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피부는 협지부(15)의 외측 능선부에 형성되는 면따기부(14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피부는 협지부(15)의 내측 능선부에 형성되는 면따기부(14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02-0033220A 2001-06-18 2002-06-14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KR100446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2785 2001-06-18
JP2001182785A JP3685255B2 (ja) 2001-06-18 2001-06-18 気密防水用スライド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914A true KR20020096914A (ko) 2002-12-31
KR100446421B1 KR100446421B1 (ko) 2004-08-30

Family

ID=1902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220A KR100446421B1 (ko) 2001-06-18 2002-06-14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81455B2 (ko)
EP (1) EP1269878B1 (ko)
JP (1) JP3685255B2 (ko)
KR (1) KR100446421B1 (ko)
CN (1) CN1193698C (ko)
DE (1) DE60222609T2 (ko)
ES (1) ES2292695T3 (ko)
HK (1) HK1049098B (ko)
TW (1) TW5610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86B1 (ko) * 2004-02-25 2006-06-26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방수성 슬라이드 파스너와 그 제조장치
US9456664B2 (en) 2011-05-24 2016-10-04 Yk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stopp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9234B2 (ja) * 2002-12-11 2008-07-16 Ykk株式会社 液体輸送用の可撓性容器
JP3901662B2 (ja) * 2003-04-25 2007-04-04 Ykk株式会社 気密防水用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244024B2 (ja) * 2004-07-05 2009-03-25 Ykk株式会社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と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
NZ550517A (en) * 2006-10-12 2009-03-31 Smartbox Property Ltd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nd method
JP4689631B2 (ja) * 2007-02-08 2011-05-25 Ykk株式会社 液密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液密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4749389B2 (ja) 2007-06-20 2011-08-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両面務歯
DE112008003753B8 (de) * 2008-03-26 2017-08-24 Ykk Corporation Reißverschluss
JP5301650B2 (ja) * 2009-03-05 2013-09-25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ファスナー
CN102395290B (zh) * 2009-06-03 2014-10-01 Ykk株式会社 拉链牙链带
DE112012006637B4 (de) * 2012-07-02 2019-04-04 Ykk Corporation Wasserdichter Reißverschluss
CN104687649B (zh) * 2015-02-09 2017-06-16 张旻曜 一种全封闭水气密封拉链
US9918527B2 (en) * 2016-03-31 2018-03-20 Ykk Corporation Concealable slide fastener
USD809426S1 (en) * 2016-09-14 2018-02-06 Eric Gates Link chain zipper
JP2023503233A (ja) 2019-11-23 2023-01-27 タロン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湾曲ジッパー
US11363860B2 (en) 2019-11-23 2022-06-21 Talon Technologies, Inc. Waterproof curved zippers
KR20230087299A (ko) * 2021-12-09 2023-06-16 김영교 밀폐 지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012A (en) * 1949-12-13 1956-12-25 Mulka Friedrich Slide fastener
US2791017A (en) * 1951-04-03 1957-05-07 Mulka Friedrich Sliding clasp fasteners
GB940461A (en) * 1961-01-17 1963-10-30 Gandolph Doelter Improvements in continuous fasteners
US4348789A (en) * 1980-11-04 1982-09-14 Talon, Inc. Slide fastener with improved clamp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832702A (ja) * 1981-08-20 1983-02-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気密・水密用スライドフアスナ−チエ−ン
KR840002033A (ko) * 1982-10-05 1984-06-11 원본미기재 생화학적 제조방법
KR840002032A (ko) * 1982-10-13 1984-06-11 제이므즈 에이취 루우서 아미노싸이클리톨료의 제조방법
JPH0216648Y2 (ko) * 1985-07-27 1990-05-09
JPH0620411Y2 (ja) * 1985-12-24 1994-06-01 吉田工業株式会社 気密防水型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
JPH052098Y2 (ko) * 1986-03-18 1993-01-20
MY101635A (en) * 1986-03-14 1991-12-31 Ykk Corp Fluid-tight slide fastener stringer
JPS62181207U (ko) * 1986-05-06 1987-11-17
KR890002747Y1 (ko) * 1986-07-11 1989-04-29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방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86B1 (ko) * 2004-02-25 2006-06-26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방수성 슬라이드 파스너와 그 제조장치
US9456664B2 (en) 2011-05-24 2016-10-04 Yk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2609T2 (de) 2008-06-26
CN1391860A (zh) 2003-01-22
HK1049098B (zh) 2005-09-02
ES2292695T3 (es) 2008-03-16
DE60222609D1 (de) 2007-11-08
EP1269878A3 (en) 2003-06-11
JP3685255B2 (ja) 2005-08-17
TW561030B (en) 2003-11-11
CN1193698C (zh) 2005-03-23
US20030000049A1 (en) 2003-01-02
KR100446421B1 (ko) 2004-08-30
HK1049098A1 (en) 2003-05-02
US6681455B2 (en) 2004-01-27
EP1269878A2 (en) 2003-01-02
EP1269878B1 (en) 2007-09-26
JP2003000309A (ja) 200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421B1 (ko) 기밀방수용 슬라이드 파스너
JP4263460B2 (ja) 閉塞栓
KR100679585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상단부 정지구
EP0094690B1 (en) Slide fastener stringer
JPS59137611A (ja) クランプ
US20060064955A1 (en) Hinge mechanism for air cleaner
US5103535A (en) Clamping band
JP2004321547A (ja) 気密防水用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S6313687Y2 (ko)
JPH0246731Y2 (ko)
JP3094269B2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の袋体
JP4132883B2 (ja) メタルガスケットの仮止め構造
JP2924727B2 (ja) 線材の保持具
JP2002012238A (ja) 包装袋
JP2001139039A (ja) 包装袋
JPH08299030A (ja) バックル
JP4021357B2 (ja) 扉の板押え構造
JP2002012237A (ja) 包装袋
JP4248681B2 (ja) 留め具
JPH01131774A (ja) 窓板嵌込み用ガスケツト
KR800001692Y1 (ko) 슬라이드 파스너
JP312721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0287330A (ja) 電線被覆保護用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H11292037A (ja) 袋のファスナー嵌合操作具
JPH10177345A (ja) 封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