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906A - 디스크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906A
KR20020096906A KR1020020033127A KR20020033127A KR20020096906A KR 20020096906 A KR20020096906 A KR 20020096906A KR 1020020033127 A KR1020020033127 A KR 1020020033127A KR 20020033127 A KR20020033127 A KR 20020033127A KR 20020096906 A KR20020096906 A KR 2002009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assage
roller
distribu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315B1 (ko
Inventor
아베히로시
이리에야스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2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90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820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73359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를 배분 수단에서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디스크를 안내 및 배열하는 안내 통로와, 상기 안내 통로에 병렬하고 있는 배분 통로와, 상기 안내 통로와 상기 배분 통로를 연결하는 개구와, 상기 디스크를 안내 통로에서 상기 배분 통로로 이동시키는 압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단부에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안내 장치{Guiding device of disc}
본 발명은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디스크 통로의 좌우로 배분하는 배분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디스크"는 코인과 같은 토큰이나 메달 등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특개평11-339086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 장치는, 디스크를 일렬로 배열하여 안내하는 통로 수단과, 이 통로 수단 상방의 개구에 배치되는 개폐 수단과, 상기 디스크를 통로 수단의 좌로 또는 우로 안내하는 배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크는 통로 수단에서 밀어올려져 개구에 도달한다. 디스크는 개구에서 개폐 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통로 수단으로부터 배분 수단으로 이탈된다. 이탈된 디스크는 배분 수단에 의해 통로 수단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좌우로 배분된다.
상기 종래 장치에서는 디스크가 회전 디스크에 의해 통로 수단 쪽으로 강제적으로 송출된다. 한편, 개구로부터 배분 수단 쪽으로 밀려나온 후, 디스크는 스프링에 의해 이동되는 검출 부재에 의해 경사면에 세게 눌리고, 경사면의 반력에 의해 밀려나온다. 따라서, 통로 수단을 지나는 디스크의 속도에 대하여, 배분 수단에서 경사면에 의해 밀려나오기 전의 디스크 속도는 작다.
즉, 디스크는 속도 제로로부터 가속되기 때문에, 속도 업에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통로 수단에서의 디스크의 속도를 업한 경우, 디스크는 배분 수단에서막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가 배분 수단에서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목적은 디스크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디스크의 배분 속도에 불균일함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인의 배분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인의 자세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디스크의 이동 속도가 일정해지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장착한 호퍼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실시예의 배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y-y선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의 안내판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실시예의 롤러의 확대사시도.
도 9는 실시예의 선택적 이동장치의 작용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의 작용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의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디스크 p2: 안내 통로
7a: 개구 10: 롤러
11a, 11b: 부시 20: 압출 장치
31: 배분 통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안내 장치는, 디스크를 안내 및 배열하는 안내 통로와,
상기 안내 통로에 병렬하여 배치되는 배분 통로와,
상기 안내 통로와 상기 배분 통로를 연결하는 개구와,
상기 디스크를 안내 통로로부터 상기 배분 통로로 코인을 밀어내는 압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단부에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크는 개구의 단부에서 롤러와 접촉하며 압출 장치에 의해 배분 통로쪽으로 이동한다. 디스크의 단부는 배분 통로를 향해 이동하고, 이 때 동시에 이동하는 롤러는 감속된다.
즉, 롤러의 회전 저항이 최소이기 때문에 차이가 매우 작다. 따라서 디스크의 이동 저항이 작기 때문에 저항의 차이는 대단치 않다. 결과적으로 디스크 속도의 차이는 작다.
본 발명은 롤러가 안내 통로와 배분 통로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 디스크는 이동하면 롤러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는 롤러로부터 마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크의 배분은 보다 신속하고 매끄럽게 된다.
상기 롤러는 금속으로 제조되므로 강하고 긴 수명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는 회전가능하고 부시에 의해 지지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부시는 원통형상이며 좁은 공간에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 장치가 안내 통로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개구에 배치되며, 안내 통로의 측부로부터 배분 통로의 측부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디스크는 안내 통로로부터 배분 통로쪽으로 이동할 때 보조 장치를 밀어올린다. 디스크의 하부 에지가 개구의 하부 에지 위로 이동할 때, 가압 장치는 디스크를 배분 통로 쪽으로 밀어낸다. 디스크가 보조 장치를 밀어올리면, 디스크의 상부 에지는 보조 장치의 경사면으로부터 분력을 수용하고 따라서 디스크는 분력의 방향으로 넘어진다. 따라서 디스크가 안내 통로에서 배분 통로쪽으로 이동할때의 디스크의 자세는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디스크의 마찰은 항상 동일하고 코인은 막히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장치는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디스크는배분 통로에서 좌우로 이동하고 디스크는 보조 장치와 롤링 접촉을 한다. 디스크가 롤링 접촉을 하므로 디스크에 수용되는 마찰은 작다. 따라서 디스크의 이동 속도는 거의 항상 일정하다.
본 발명은 보조 장치가 안내 통로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개구에 배치되므로 바람직하고, 상기 개구의 하부 에지의 아래에는 배분체(diverter)가 배치되고 이 배분체는 배분 통로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조 장치 또는 배분체중 적어도 하나는 롤러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크는 보조 장치에 의해 배분 장치쪽으로 밀려난다. 상기 디스크는 보조 장치의 미는 힘과 배분체의 반응력 사이의 합력 방향으로 밀려난다. 이들 디스크는 밀려나면 보조 장치와 배분체의 측부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롤러는 보조 장치 또는 배분체중 적어도 하나가 롤러이므로 디스크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롤러는 회전 또는 이동시 함께 회전하는 보조 장치 또는 배분체중 적어도 하나이다. 따라서, 디스크가 보조 장치 및 배분체에 의해 밀려나면 디스크의 마찰은 적다. 그 결과, 디스크의 이동 속도는 증대되고 코인은 고속으로 배분된다.
본 발명은 보조 장치와 배분체가 롤러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디스크와 보조 장치 또는 배분체 사이에 간접 회전쌍이 존재한다. 상기 간접 회전쌍에서는 구성이 그 최적 상태에 있으며, 그 결과 디스크에 대한 마찰이 적어지고 감소되며, 디스크의 속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롤러가 상기 보조 장치의 아래이고 배분체의 아래인 배분 통로에 배치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크는 배분체에 의해 밀려나고 배분 통로에서 안내된다. 이들 디스크는 배분 통로에서 안내될 때, 롤러에 의해 안내된다. 그 결과, 디스크의 마찰이 감소된다. 배분 통로에서의 디스크의 속도는 커지고, 그 결과 디스크들은 고속으로 배분된다.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호퍼(1)는 프레임(2)과, 원통형상의 보울(bowl)(3), 및 회전 디스크(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에 고정되는 보울(3)에는 디스크가 보관된다. 회전 디스크(4)는 보울(3)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그곳에서 디스크(d)가 송출된다.
상기 호퍼(1)는 일본 특개평6-150102호에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상측으로 연장되는 에스컬레이터(5)가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5)는 세로가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5a)와,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한쌍의 세로가 긴 판형의 스페이서(5b, 5c)와, 스페이서(5b, 5c)에 접촉한 한 쌍의 지지판(5d, 5e)을 갖는다.
한쌍의 스페이서(5b, 5c)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지지판(5d, 5e)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서(5b, 5c) 사이의 간격보다 좁다. 지지판(5d, 5e)과 스페이서(5b, 5c)는 나사(s)에 의해 베이스(5a)에 고정된다. 안내 통로(p)는 상기 베이스(5a), 스페이서(5b, 5c), 지지판(5d, 5e)으로 둘러싸이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에스컬레이터(5)의 상단부에는 배분 장치(6)가 부착되어 있다. 배분장치(6)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를 크랭크형으로 형성한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7)는 상단부 중앙에 직사각형의 개구(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7a)의 하단부로부터 양측에는 측방으로 놓이는 보유홈(7b, 7c)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홈(7a, 7b)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10)의 양단을 삽입한 부시(11a, 11b)가 삽입되어 있다. 롤러(10)의 지름은 베이스 플레이트(7)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다. 롤러(10)는 강도를 갖고, 또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0)의 외주는 제 2 안내 통로(p2) 및 배분 통로(31)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d)는 롤러(10)로부터의 마찰을 받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10)는 제 2 안내 통로(p2)의 중간에 직교하여 배치된다. 롤러(10)가 부시(11a, 11b)내로 삽입될 때, 롤러(10)는 회전 마찰 매우 작고 점유 체적도 작다.
베이스 플레이트(7)의 배면에는 게이트형의 스페이서(9)가 부착된다. 지지 홈(7a, 7b)에는 부시(11a, 11b)가 스페이서(9)에 의해 지지된다. 개구(7a)에 대해서는 수직하게 긴 홈(9a)이 평행 배치된다. 스페이서(8a, 8b)는 베이스 플레이트(7)상에서 스페이서(9)의 반대 측부에 가압된다. 스페이서(8a, 8b) 쌍은 직사각형이며 수직하게 배치된다.
스페이서(8a)의 배면에 고정된 위치결정 핀(12a, 12b), 및 스페이서(8b)의배면에 고정된 위치결정 핀(14a, 14b)은 베이스 플레이트(7) 및 스페이서(9)를 관통하고, 가로방향으로 긴 구멍(13a, 13b, 15a, 15b)에 삽입되어 있다. 스페이서(8a, 8b) 사이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디스크(d)의 직경이 다른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7)를 교환하여 스페이서(8a, 8b)의 간격을 변경한다.
지지판(21)의 네 모서리 각각에는 나사(22a, 22b, 22c, 22d)가 관통한다. 나사(22a 내지 22d) 사이에는 스페이서(8a, 8b), 베이스 플레이트(7), 스페이서(9), 및 설치 베이스(13)가 고정되고 너트(23a, 23b, 23c, 23d)에 밀어 넣어져서 일체화된다.
스페이서(8a, 8b)는 에스컬레이터(5)의 스페이서(5b, 5c)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안내 통로(p2)가, 베이스 플레이트(7), 스페이서(8a, 8b) 및 지지판(21)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 2 안내 통로(p2)는 안내 통로(p)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다음에 압출 장치(20)를 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판(21)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23)의 양측에는 베어링(24a, 24b)이 배치된다. 샤프트(25)의 단부는 수평 상태로 베어링(24a, 24b)에 지지되어 있다.
레버(26)의 중간이 샤프트(25) 상에서 회전 자유롭게 피봇 지지된다. 샤프트(27)는 레버(26)의 상단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27)의 양단에 한쌍의 롤러(28a, 28b)가 장착된다.
레버(26)의 하단부의 지지판(21)측에 돌기(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6a)에 마주 대하여 지지판(21)에 돌기(2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의 단부에 압축 스프링(29)이 배치되어 있다.
레버(26)는 압축 스프링(29)에 의해서 도 5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레버(26)는 지지판(21)의 단부(21a)에 의해 상기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따라서, 단부(21a)가 스토퍼이다.
레버(26)가 스토퍼(21a)에 의해 멈추어지면, 롤러(28a, 28b)의 표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의 개구(7a) 및 스페이서(9)의 세로로 긴 홈(9a)을 통과하고 배분 통로(31)에 배치된다. 롤러(28a, 28b)를 배치하지 않고서, 레버(26)의 선단으로 대용할 수 있다.
다음에 주로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배분 장치(30)를 설명한다. 배분 장치(30)는 배분 통로(31), 배분체(33), 가세(acceleration) 장치(35)를 갖고 있다. 먼저, 배분 통로(31)를 설명한다. 설치 베이스(13)에는, 좌측으로 하강하는 좌측 경사면(31LL)과 우측으로 하강하는 우측 경사면(31rL)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31LL, 31rL) 위에는 경사면(31Lu, 31ru)이 배치되고 이들 경사면은 평행하다. 이들 경사면에 의해, 설치 베이스(13)의 스페이서(9)측에 역 V 자형의 배분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경사면(31LL)과 우측 경사면(31rL)으로 이루어지는 하단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9)에는 설치 베이스(13)가 밀착된다. 스페이서(9)는 좌측 경사면(31LL, 31rL)의 측부와 좌측 경사면(31LL)과 경사면(31Lu)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또한 우측 경사면(31rl)의 측부와 경사면(31rL, 31ru)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좌측 경사면(31LL)과 우측 경사면(31rL)의 꼭지부는 중공형태이고 그곳에 롤러(31e)를 배치하고 있다. 롤러(31e)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d)의 마찰이 최소로 된다. 스페이서(9)로 덮인 배분 홈(32)이 배분 통로(31)이다. 배분 통로(31)는 우측으로 하강하는 우측 통로(31r)와, 좌측으로 하강하는 좌측 통로(31L)를 갖는다. 따라서, 개구(7a)의 하단은 롤러(31e)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구(7a)의 실질적인 하단인 롤러(10)의 상측 에지는 롤러(31e)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배분체(33)를 설명한다. 배분체(33)는 롤러이지만, 대신에 고정체라도 좋다. 배분체(33)는 설치 베이스(13) 중앙의 개구(13c)를 통하여 배분 통로(31)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분체(33)는 설치 베이스(13)의 벽면에 접촉하고 있다. 배분체(33)와 스페이서(9) 사이의 간격은 거의 디스크 1장의 두께와 동일하다. 배분체(33)의 윗면은 롤러(10)의 윗면보다 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이동 장치(34)를, 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분체(33)는 회전가능하고 샤프트(33c)상에 장착된다. 상기 샤프트(33c)는, 설치 베이스(13)에 수평으로 고정한 고정 샤프트(33a)상에서 피봇되는 레버(33b)의 선단에 고정된다.
레버33b의 하단부의 핀(33)은 고정 샤프트(33d)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33e)의 S자형 캠홈(33f)에 삽입된다. 고정 샤프트(33d)는 설치 베이스(13)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33e)의 중간에 솔레노이드(33g)의 코어(33h)가 핀(33i), 링크(33u)와 핀(33v)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코어(33h)는 압축 스프링(33j)에 의해서 하방으로 힘을 받고 있다. 캠 홈(33f)의 개략 형상은 레버(33e)의 신장 방향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긴 구멍이다. 캠 홈(33f)의 제 1 에지(33k)는 직선형이고, 이와 대향하는 제 2 에지(33m)는 활 모양이다. 캠 홈(33f)의 양 단부는 정지(stopping)홈(33n, 33p)으로 되어 있다. 정지홈(33n)은 직선형의 정지면(33q, 33r)을 갖는다. 정지홈(33p)은 직선형의 정지면(33s, 33t)을 갖는다.
핀(33c)이 정지홈(33n)에 삽입하고 있는 경우, 배분체(33)는 도 4에 도시하듯이 좌측 통로(31L)에 배치된다. 그 이유는 핀(33c)이 고정 샤프트(33a)상에서 피봇되더라도 좌우로 이동하므로 정지면(33q, 33r)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핀(33c)이 정지홈(33p)에 배치되어 있을 때, 배분체(33)는 도 9에 도시하듯이, 우측 통로(31r)에 배치된다. 그 이유는, 핀(33c)이 고정된 샤프트(33a)상에서 피봇하더라도 좌우로 이동하므로 정지면(33s, 33t)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핀(33c)이 스토퍼(33n)에 배치되어 있을 때 솔레노이드(33g)가 여자된 경우, 레버(33e)는 도 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핀(33c)은 제 1 에지(33k)에 의해서 눌러져 정지홈(33p)에 삽입된다. 따라서 레버(33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고, 배분체(33)는 우측 통로(32r)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33g)가 소자된 경우, 압축 스프링(33j)에 의해서 레버(33e)가 시계 방향으로 피봇한다. 이 피봇운동에 의해, 핀(33c)은 제 2에지(33m)에 의해서 눌러져 스토퍼(33n)에 삽입된다. 이로써 레버(33b)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어 배분체(33)가 좌측 통로(32L)에 위치한다.
다음에 가세 장치(35)의 구성을 설명한다. 개구(7a)에 마주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구멍(35a)이 설치 베이스(13)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 구멍(35a)에 슬라이드 샤프트(35b)가 관통하고 있다. 슬라이드 샤프트(35b)의 대직경부(35c)가 안내 구멍(35a)에 안내되면서 상하 동작된다.
플랜지(35e)가 부착된 롤러(35f)가 슬라이드 샤프트(35b)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35f가 가세체(加勢體;reinforcement)이다. 가세체는 판형이라도 좋지만, 디스크의 이동 저항이 작은 롤러가 바람직하다.
롤러(35f)는 롤러(31e)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또한, 배분 통로(31), 세로가 긴 홈(9a), 개구(7a), 및 긴 구멍(23)을 횡단하고 있다. 롤러(35f)는 개구(7a)측에서 배분 통로(31)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롤러가 바람직하다.
롤러(35f)가 하한 위치에 있는 경우, 롤러(35f)의 하면은 압출장치(20)의 롤러(28a, 28b)의 상면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롤러(35f)의 레버(26)의 상단에 간극 홈(26b)이 배치된다.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샤프트(35h)가 브래킷(13d, 13e)상에 고정된다. 이들 브래킷(13d, 13e)은 설치 베이스(13)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안내 샤프트(35h)는 슬라이딩 가능하며, 수지로 제조되는 부시(35m, 35n)에 삽입될 수 있다. 이들 부시(35m, 35n)는 가이드(35g)에 고정된다. 가이드(35g)와 브래킷(13d) 사이에는 스프링(35k)이 배치된다. 롤러(35f)는 스프링(35k)에 의해하향으로 밀려나고 있다.
롤러(35f)는 부시(35n)가 브래킷(13e)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그 하한 위치가 결정된다. 이 하한 위치는 사용이 상정되는 최소 디스크(d) 지름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즉, 롤러(35f)의 하한 위치는 디스크(d)의 거의 반경 만큼 롤러(10)의 윗면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롤러(28a, 28b)에 의해서 디스크(d)의 중심보다 하측을 누르기 때문이다.
즉, 디스크(d)의 중심보다 하측을 누르는 것에 의해, 디스크(d)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더욱이, 디스크(d)의 상측 에지가 롤러(35f)의 경사면을 따라 쓰러지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롤러(35f)의 위치 결정은 안내 구멍(35a)의 하단에서 슬라이드 샤프트(35b)를 받더라도 대용할 수 있다.
좌측 포토 센서(37L)와 우측 포토 센서(37r)가, 압출 장치(20)의 좌측과 우측에서 지지판(21)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좌우측 포토 센서(37L, 37r)는 반사형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포토 센서(37L)의 투수광부에 마주 대하여 스페이서(8a)에 구멍(8c), 베이스 플레이트(7)에 구멍(7d), 스페이서(9)에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 포토 센서(37L)는 좌측 통로(31L)에 보내진 디스크(d)를 카운트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우측 포토 센서(37r)의 투수광부에 마주 대하여 스페이서(8b)에 구멍(8d), 베이스 플레이트(7)에 구멍(7e), 스페이서(9)에 구멍(9c)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 포토 센서(37r)는 우측 통로(31r)에 보내진 디스크(d)를 카운트하기 위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배분 장치(6)를 에스컬레이터(5)의 상단에 고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7)와 스페이서(8a, 8b)로 형성한 슬릿(40)에 베이스(5a)의 상단을 삽입하여 나사로 고정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안내 통로(p)의 연장선 상에 제 2 안내 통로(p2)가 위치하여 하나의 안내 통로를 구성한다.
이 상황에서 나사(22a, 22b, 22c, 22d)가 아래쪽으로 스크루잉(screwing)되고 설치 베이스(13)의 위치는 가로로 긴 구멍(13a, 13b, 15a, 15b)의 범위에 대해 측방향을 향하여 조절되며, 그 결과 롤러(35f)는 제 2 안내 통로(p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디스크(d)의 지름이 변경된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7)는 최적의 크기로 변화되어 스페이서(8a, 8b) 사이의 간격을 변경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배분체(33)가 도 6에 도시하는, 좌측 통로(31L)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즉, 솔레노이드(33d)가 소자되어 코어(33h)가 밀려나오고, 그 결과 레버(33e)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 디스크(4)가 회전하여 디스크(d)를 1개씩 보낸다. 디스크(d)는 안내 통로(p)에서 원주면이 접촉한 상태로 일렬로 배열된다. 디스크(d)는 순차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고 제 2 안내 통로(p2)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 2 안내 통로(p2)에 있어서 최상위 디스크(d)의 상단이 개구(7a) 에 배열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d)의 상단이 롤러(28a, 28b)에 접하여 레버(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황에서 디스크(d)의 하단부 측면은 지지판(21)과 베이스 플레이트(7)의 사이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d)는 아직 제 2 안내 통로(p2)에 위치하고 있다.
더욱이 디스크(d)가 밀려올라간 경우, 디스크(d)의 상단은 롤러(35f)에 접촉하여, 롤러(35f)를 스프링(35k)의 하향 가압력에 맞서서 밀어올린다. 이 과정에서, 디스크(d)의 하단부가 지지판(21)으로부터 빠진다.
디스크(d)는 플랜지(35e)측을 향해 롤러(35f)의 경사면으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이 반력과 롤러(28a, 28b)의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d)는 롤러(10)를 지점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롤러(35f)의 플랜지(35e)에 접촉하여, 그 회전을 정지한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d)는 우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밀려올라간다. 디스크(d)의 바닥이 롤러(10)의 윗면에 도달할 때, 롤러(28a, 28b)는 디스크(d)의 중심보다는 하부를 가압하며 따라서 디스크(d)는 배분 통로(31)로 눌린다. 이 상황에서 롤러(10)는 디스크(d)에 의해 회전되며, 따라서 디스크(d)의 마찰은 대단히 작다.
다음에 디스크(d)는 롤러(35f)에 의해서 지지판(13)을 따라서 밀려내려간다. 이 과정에서, 디스크(d)는 배분체(33)와 접촉한다. 디스크(d)는 배분체(33)에 접촉한 상태에서 롤러(35f)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내려가고, 따라서 배분체(33)의 반력과 롤러(35f)의 가압력의 합력 방향의 우측 통로(31r)로 기세 좋게 밀려나간다.
이 때, 디스크d는 도 6에 도시하듯이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롤러(33, 35f)가 회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와의 마찰 카운터는 매우 작다. 밀려나온 디스크(d)는 롤러(31e), 우측 경사면(31ru) 및 경사면(31rL)에 의해 안내되어 우측통로(31r)로부터 추출된다.
이 추출 과정에 있어서, 우측 포토 센서(37r)는 디스크(d)를 검출하여 검지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이 검지신호를 카운트한다. 상술한 작동이 계속 행해지고, 디스크의 카운트수가 소정치가 되었을 때에 호퍼(1)의 회전 디스크(4)의 회전이 정지된다.
좌측 통로(31L)로부터 디스크(d)를 추출하는 경우, 솔레노이드(33d)를 여자하여 배분체(33)를 우측 통로(31r)에 위치시킨다. 디스크(d)는 배분체(33)에 의해 좌측 통로(31L)측으로의 반력을 받고 좌측 통로(31L)로 추출된다.
디스크(d)가 제 2 안내 통로(p2)로부터 개구(7a)를 통하여 배분 통로(31)로 이동할 때, 디스크(d)는 매회 일정한 자세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d)의 이동 위치가 항상 일정하므로, 디스크의 이동 속도도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디스크의 속도가 거의 일정하므로, 디스크가 막히는 일이 없다.
디스크의 송출이 중단될 때, 최상단 디스크(d)의 위치는 그 상단이 롤러(28a, 28b)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디스크(d)의 이동 속도는 일정하다.

Claims (9)

  1. 디스크(d)를 안내 및 배열하는 안내 통로(p2)와,
    상기 안내 통로(p2)에 병렬하여 배치되는 배분 통로(31)와,
    상기 안내 통로(p2)와 상기 배분 통로(31)를 연결하는 개구(7a)와,
    상기 디스크를 안내 통로로부터 상기 배분 통로로 코인을 밀어내는 압출 장치(20)를 포함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7a)의 단부에 롤러(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통로(p2)와 배분 통로(31)에 배치되지 않는 롤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으로 제조되는 롤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고 부시(11a, 11b)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통로(p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개구(7a)에 배치되는 가세 장치(35)를 포함하며, 상기 가세 장치는 안내 통로(p2)의 측부로부터 배분 통로(31)의 측부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5f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 장치(35)는 롤러(35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통로(p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개구(7a)에 배치되는 가세 장치(35)와,
    개구(7a)의 하부 에지 아래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배분 통로(31)에 배치되는 배분체(33)를 포함하고,
    상기 가세 장치(35)와 배분체(33)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 장치(35)와 배분체(33)는 둘다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 장치(35)의 아래에 배분체(33)보다 낮게 위치하는 배분 통로(31)에 배치되는 롤러(3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안내 장치.
KR1020020033127A 2001-06-15 2002-06-14 디스크 안내 장치 KR100873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2322 2001-06-15
JP2001182322A JP4269095B2 (ja) 2001-06-15 2001-06-15 円板体の案内装置
JPJP-P-2001-00182079 2001-06-15
JP2001182079A JP2002373359A (ja) 2001-06-15 2001-06-15 ディスクの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906A true KR20020096906A (ko) 2002-12-31
KR100873315B1 KR100873315B1 (ko) 2008-12-12

Family

ID=2661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127A KR100873315B1 (ko) 2001-06-15 2002-06-14 디스크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21198B2 (ko)
KR (1) KR100873315B1 (ko)
ES (1) ES2226527B1 (ko)
NL (1) NL102075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4773B2 (ja) * 2004-06-02 2011-03-02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5002853B2 (ja) * 2006-02-16 2012-08-15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払出装置
JP5044836B2 (ja) * 2006-07-31 2012-10-10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案内装置
US20090050442A1 (en) * 2007-08-23 2009-02-26 Telequip Corporation Coin and token transporter
US10534138B2 (en) 2015-12-22 2020-01-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Module board coupling
US9836096B1 (en) * 2016-09-30 2017-12-0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Alignment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2798A (en) * 1977-03-12 1978-10-02 Glory Kogyo Kk Coin managing machine
US4592377A (en) 1984-07-02 1986-06-03 Igt Coin escalator
US4923430A (en) * 1987-10-14 1990-05-08 Kabushiki Kaisha Sigma Coin payout apparatus in gaming device
JPH0644306B2 (ja) * 1990-11-15 1994-06-08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の出口装置
US5112060A (en) 1991-05-16 1992-05-12 Jones Daniel A Gaming table apparatus
JP3073804B2 (ja) * 1991-09-13 2000-08-07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メダル投出機
US5386903A (en) 1993-09-17 1995-02-07 Wms Gaming Inc. Coin fill and delivery system for gaming machines
US5484334A (en) 1994-04-01 1996-01-16 Evdokimo; Allen J. Coin handling apparatus with coin filter and improved coin interlock
JP3206699B2 (ja) 1994-06-27 2001-09-10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
US5558197A (en) 1994-07-29 1996-09-24 Wms Gaming, Inc.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TW304608U (en) * 1995-02-23 1997-05-01 Asahi Seiko Co Ltd Coin conveying device
GB2313222B (en) * 1996-05-17 1999-08-04 Asahi Seiko Co Ltd Apparatus for dispensing disks
JP3216042B2 (ja) 1996-05-17 2001-10-09 旭精工株式会社 円板体の揚送装置
JP3216043B2 (ja) 1996-08-06 2001-10-09 旭精工株式会社 円板体の揚送装置
US5876275A (en) 1997-01-30 1999-03-02 Wms Gaming Inc. Escalator with adjustable coin guides
JP3516007B2 (ja) * 1997-07-09 2004-04-05 旭精工株式会社 円板体の送出装置
JP2002032824A (ja) * 2000-07-17 2002-01-31 Asahi Seiko Kk ホッパーのエスカレータに装着するコインセンサ
US6695689B2 (en) * 2000-12-13 2004-02-24 Asahi Seiko Co., Ltd. Detector unit for coin blockage in a coin dispenser
GB2385456B (en) * 2002-01-17 2004-08-04 Asahi Seiko Co Ltd A diverting device of a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21198B2 (en) 2004-11-23
KR100873315B1 (ko) 2008-12-12
NL1020759A1 (nl) 2002-12-17
ES2226527A1 (es) 2005-03-16
NL1020759C2 (nl) 2003-06-30
US20020193062A1 (en) 2002-12-19
ES2226527B1 (es)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315B1 (ko) 디스크 안내 장치
KR20110055336A (ko)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KR19980018077A (ko) 디스크 몸체를 푸싱하는 장치
JP4698849B2 (ja) コイン投出装置
JP4269095B2 (ja) 円板体の案内装置
JP2002373361A (ja) ディスクの案内装置
JP2002373359A (ja) ディスクの案内装置
US7172503B2 (en) Low force coin dispensing apparatus
JP5044836B2 (ja) ディスク案内装置
EP1603084B1 (en) Disc dispensing apparatus
JP4333830B2 (ja) ディスクの選別装置
JP4630972B2 (ja) ディスクのスピン付与送出装置
JP4981761B2 (ja) エレベーター式メダル送出装置のメダル逆流防止器
JP3994132B2 (ja)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2005074098A (ja) ディスク案内装置のディスク検知装置
JP4072749B2 (ja) ディスクの案内装置
JP4747346B2 (ja) ディスクの選別装置
JP2008033723A5 (ko)
JP5337989B2 (ja) 円板体供給装置
JP4224617B2 (ja)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4817149B2 (ja) ディスクの選別装置
JP4822228B2 (ja) ディスクの選別装置
KR100465415B1 (ko) 원판체의상승이송장치
JP2006343811A (ja) コイン投出装置
JP201018622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