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333A - 라벨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333A
KR20020095333A KR1020010033488A KR20010033488A KR20020095333A KR 20020095333 A KR20020095333 A KR 20020095333A KR 1020010033488 A KR1020010033488 A KR 1020010033488A KR 20010033488 A KR20010033488 A KR 20010033488A KR 20020095333 A KR20020095333 A KR 2002009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lider
suction pad
pad
peel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이사오
사카이슈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to KR102001003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333A/ko
Publication of KR2002009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2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 B65C9/14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65H3/126Suction bands or belt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흡착 패드에 흡착된 라벨체의 라벨을 받침 용지로부터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는 라벨 박리 장치를 제공한다.
라벨 박리 장치(10)는 베이스(10a) 위에 반송된 라벨체(20)의 최선단의 라벨(22)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11)와, 흡착 패드(11)보다 선단측의 받침 용지(21)를 되접어 꺾은 상태로 잡아당기는 인장 롤러(12)를 구비하고 있다. 되접어 꺾인 받침 용지(21)간에 슬라이더(16)가 삽입되고, 이 슬라이더(16)는 흡착 패드(11)에 대응하는 작동위치와 흡착 패드(11)로부터 떨어지는 대기위치 사이를 접동(摺動)한다. 라벨체 중 흡착 패드(11)보다 상류측의 라벨(22)은 라벨 누름기(15)에 의해서 눌러진다. 인장 롤러(12)에 의해서 받침 용지(21)를 잡아당기면, 슬라이더(16)는 작동위치로부터 대기위치까지 이동하고, 슬라이더(16)의 선단은 라벨(22)의 박리 포인트로 되어, 받침 용지(21)로부터 라벨(22)은 스무드하게 박리된다.

Description

라벨 박리 장치{LABEL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받침 용지 위에 라벨을 점착하여 되는 라벨 본체로부터 라벨을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는 라벨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받침 용지 위에 라벨을 점착하여 되는 라벨체로부터, 라벨을 한장 한장 박리하고, 박리된 라벨을 첩부 대상물에 첩부(貼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라벨체의 라벨은 흡착 패드에 의해 흡착되어 받침 용지로부터 박리된다.
상술과 같이, 라벨체의 라벨은 흡착 패드에 의해 흡착되어 받침 용지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나 라벨이 흡착 패드에 의해서 흡착되어도 받침 용지로부터 라벨을 스무드하게 박리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행하여진 것으로서, 라벨체의 라벨을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는 라벨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벨 박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흡착 패드가 강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대기 위치까지 이동하여 라벨과 받침 용지의 박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흡착 패드에 의해 흡착된 라벨을 첩부 대상물에 첩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작동 위치까지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받침 용지가 인장 롤러에 의해서 잡아 당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b는 슬라이더 근방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라벨 박리 장치 10a 베이스
11 흡착 패드 12 인장 롤러
13 누름 롤러 15 라벨 누름기
16 슬라이더 20 라벨체
21 받침 용지 22 라벨
본 발명은 받침 용지 상에 라벨을 점착하여 되는 라벨체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라벨체 중 최선단의 라벨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와, 흡착 패드보다 선단측의 받침 용지를 되접어 꺾은 상태에서 인장하는 인장 롤러와, 되접어 꺾인 받침 용지 사이에 삽입되어, 흡착 패드에 대응하는 작동 위치와, 흡착 패드로부터 떨어지는 대기 위치 사이를 접동하는 슬라이더와, 라벨체 중 흡착 패드보다 상류측의 라벨을 누르는 라벨 누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박리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를 흡착 패드에 대응하는 작동 위치까지 가져와서 흡착 패드에 의해 라벨체의 라벨을 흡착한다. 동시에 흡착 패드보다 상류측의 라벨을 라벨 누름기에 의해 누른다. 다음에 인장 롤러에 의해서 받침 용지를 인장하면, 슬라이더가 대기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의 흡착 패드측 단부는 받침 용지와 라벨과의 박리 포인트로 되어, 받침 용지로부터 라벨을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라벨 박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벨 박리 장치(10)는 받침 용지(21) 위에 라벨(22)을 점착하여 구성된 라벨체(20)로부터 라벨(22)을 박리하는 것이다.
즉, 박리장치(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라벨체(20)가 접동하는 베이스(10a)와, 베이스(10a) 선단측(도 1의 좌측)에 설치되어 라벨체(20) 중 최선단의 라벨(22)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11)와, 흡착 패드(11)보다 선단측에 위치하는 받침 용지(21)를 되접어 꺾은 상태로 인장하는 인장 롤러(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흡착 패드(11)는 흡착된 라벨(22)을 첩부 대상물(19)까지 이송하고, 이 첩부 대상물(19)에 라벨(22)을 첩부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라벨체(20)는 흡착 패드(11)까지 베이스(10a) 위를 수평방향으로 반송되고, 흡착 패드(11)보다 선단측의 받침 용지는 아래쪽으로 되접어 꺾여서 인장 롤러(12)에 의해 인장된다. 또 흡착 패드(11)의 아래쪽에는 되접어 꺾인 받침 용지(21, 21)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16)가 삽입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6)는 베이스(10a) 아래쪽에 배설되고, 흡착 패드(11)에 대응하는 작동위치(도 1 참조)와, 흡착 패드(11)로부터 떨어지는 대기 위치(도 3 참조) 사이를 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베이스(10a)의 후단측(도 1의 우측)에는, 라벨체(20)의 라벨(22)을 누르는 라벨 누름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흡착 패드(11)와 라벨 누름기(15) 사이에, 라벨체(20)를 소정의 압압력으로 베이스(10a)에 대하여 압압하는 누름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롤러(13)는 후술과 같이, 인장 롤러(12)가 화살표(L1) 방향으로 회전하여 라벨체(20)를 인장한 경우에, 라벨체(20)를 베이스(10a)에 대하여 압압하여 라벨체(20)의 휘어짐을 억제하는 것이다.
다음에 슬라이더(16)에 대하여 도 7a, b에 의해 상술한다. 이 중 도 7a는 슬라이더(16) 근방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B방향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16)에 랙(16a)이 고착되고, 이 랙(16a)에 피니온(14)이 맞물려 있다. 피니온(14)에는 토크 제어부(24)가 연결되고, 슬라이더(16)가 작동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접동할 때, 토크 제어부(24)로부터 피니온(14) 및 랙(16a)을 거쳐서 슬라이더(16)에 대하여 저항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랙(16a)과, 피니온(14)과, 토크 제어부(24)에 의해서 슬라이더(16)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구가 구성된다. 또 토크 제어부(24)의 저항력은 가변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초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16)는 흡착 패드(11) 아래쪽까지 뻗는 작동위치에 있고, 흡착 패드(11) 및 라벨 누름기(15)는 어느 것이나 라벨(22)로부터 떨어져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흡착 패드(11)가 강하하여 라벨(22)을 흡착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벨 누름기(15)가 강하하여 대응하는 라벨(22)을 누른다. 동시에 인장 롤러(12)는 도 3의 화살표(L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라벨체(20)의 받침 용지(21)가 인장 롤러(12)에 의해서 인장되고, 이에 수반되어 슬라이더(16)가 피니온(14) 및 랙(16a)을 거쳐서 전해지는 토크 제어부(24)로부터의 저항력에 저항하여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하고, 흡착 패드(11)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까지 온다. 이 때 슬라이더(16)의 선단측(도 3의 좌측) 단부가 받침 용지(21)와 라벨(22)과의 박리 포인트로 되므로, 슬라이더(16)를 우측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킴으로써, 흡착 패드(11)에 흡착된 라벨(22)과 받침 용지(21)를 스무드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벨(22)을 흡착한 흡착 패드(11)는 90°회전되어, 흡착 패드(11)에 흡착된 라벨(22)은 첩부 대상물(19)에 첩부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더(16)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실린더에 의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온다. 이 때 인장 롤러(12)는 도 5의 화살표(L2) 방향으로 회전하여 받침 용지(21)를 흡착 패드(11)측으로 되돌린다.
그 후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라벨 누름기(15)를 상승시켜, 인장 롤러(12)를 도 6의 화살표(L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의 라벨(22)을 흡착 패드(11) 아래쪽 위치까지 가져온다. 이 경우 누름 롤러(13)는 라벨 본체(20)를 압압하여 라벨체(20)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다음 라벨(22)을 정밀하게 흡착 패드(11) 아래쪽 위치까지 가져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16)의 접동 작용을 이용하여, 흡착 패드(11)에 흡착된 라벨(22)과 받침 용지(21)를 스무드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접동 작용을 이용하여, 흡착 패드에 흡착된 라벨을 받침 용지로부터 스무드하게 박리할 수 있다.

Claims (4)

  1. 받침 용지 위에 라벨을 점착(粘着)하여 되는 라벨체로부터 라벨을 박리하는 라벨 박리 장치에 있어서,
    라벨체 중 최선단의 라벨을 흡착하는 흡착 패드와,
    흡착 패드보다 선단측의 받침 용지를 되접어 꺾은 상태에서 인장하는 인장 롤러와,
    되접어 꺾인 받침 용지 사이에 삽입되고, 흡착 패드에 대응하는 작동 위치와, 흡착 패드로부터 떨어지는 대기 위치 사이를 접동(摺動)하는 슬라이더와,
    라벨체 중 흡착 패드보다 상류측의 라벨을 누르는 라벨 누름기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박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흡착 패드와 라벨 누름기 사이에, 라벨체를 압압하는 누름 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박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작동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접동하는 슬라이더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박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저항기구는 슬라이더에 고착된 랙과, 이 랙에 맞물리는 피니온과, 피니온에 연결된 토크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박리 장치.
KR1020010033488A 2001-06-14 2001-06-14 라벨 박리 장치 KR20020095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88A KR20020095333A (ko) 2001-06-14 2001-06-14 라벨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88A KR20020095333A (ko) 2001-06-14 2001-06-14 라벨 박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333A true KR20020095333A (ko) 2002-12-26

Family

ID=3749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488A KR20020095333A (ko) 2001-06-14 2001-06-14 라벨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3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69B1 (ko) * 2006-06-26 2007-07-02 유종재 라벨지 탈리장치
CN102795445A (zh) * 2012-08-31 2012-11-28 深圳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烟箱条码压紧装置
WO2017159952A1 (ko) * 2016-03-18 2017-09-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DE102018217921A1 (de) * 2018-10-19 2020-04-23 Tesa Se Applikationseinheit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selbstklebenden Stanzteilen zum Verschluss von Öffnungen in einem Fahrzeugelement
KR2023008087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케이텍 라벨지 분리 접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69B1 (ko) * 2006-06-26 2007-07-02 유종재 라벨지 탈리장치
CN102795445A (zh) * 2012-08-31 2012-11-28 深圳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烟箱条码压紧装置
WO2017159952A1 (ko) * 2016-03-18 2017-09-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DE102018217921A1 (de) * 2018-10-19 2020-04-23 Tesa Se Applikationseinheit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selbstklebenden Stanzteilen zum Verschluss von Öffnungen in einem Fahrzeugelement
KR2023008087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케이텍 라벨지 분리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2609A (ko) 테이프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JP3886353B2 (ja) フィルム貼付方法及び装置
JPH05207B2 (ko)
KR20020095333A (ko) 라벨 박리 장치
JP2000033924A (ja) ラベル貼付装置
JP4921999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H1034476A (ja) 薄板貼付装置
JPH037342A (ja) 薄膜張付装置
JP4848129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4651840B2 (ja) 剥離紙分離装置
JP2001163517A (ja) ラベル剥離装置
JP4418524B1 (ja) スプライサ装置
JP2010149988A (ja) フィルム片剥離装置
JP2002114211A (ja) シール剥離装置、シール剥離方法およびシール台紙
JP6081642B1 (ja) ラベル剥離装置及びラベル剥離・貼付装置
JPH10203518A (ja) ラベル剥離装置
JP5341558B2 (ja) ラベル貼付装置
JPH05254274A (ja) ページめくり装置
KR20040090693A (ko) 자동 시일 부착 장치
JP2002338136A (ja) 粘着シールの受け渡し方法および装置
JPH1191748A (ja) 薄厚シールの自動貼着方法および装置
JP2006082812A (ja) ラベル剥離方法、剥離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JP2012140150A (ja) ラベル貼付け装置
JP3477601B2 (ja) 偏光板張り付け装置及びその張り付け方法
JPH09240642A (ja) タブ貼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