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59952A1 -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 Google Patents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59952A1
WO2017159952A1 PCT/KR2016/012727 KR2016012727W WO2017159952A1 WO 2017159952 A1 WO2017159952 A1 WO 2017159952A1 KR 2016012727 W KR2016012727 W KR 2016012727W WO 2017159952 A1 WO2017159952 A1 WO 20171599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bel
carrier tape
roller
pee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7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반종억
장태성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1599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599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Definitions

  • Various film tapes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 a protective film, a release film,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for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 Label pickup devices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feed these tapes.
  • the label pickup apparatus may separate the label attached to the carrier tape from the carrier tape and supply the label to various devices.
  • the label pick-up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may generally include a pick-up unit for absorbing and supplying a tape, and a label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a tape while transferring a carrier tap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pick-up unit.
  • the label supply device may be formed in various configurations to supply a tap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label supply device, a label pickup device and a label pickup method.
  • a winding roller wound around a carrier tape with a label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 body part to which the carrier tape moves, and a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body part to discharge the carrier tape to the outside. It includes, The body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rier tape to move the separation of the carrier tape and a portion of the label Disclosed is a label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a peeling section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 carrier tap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bel supply device for separating a label from a carrier tape, and 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a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supply device, wherein the label supply device includes a carrier tape wound with a label.
  •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includes a body part to which the carrier tape moves, and a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body part to discharge the carrier tape to the outside, wherein the body part includes a main body to which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And a peeling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eeling portion being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an oblique lin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so that the carrier tape moves to separate the carrier tape and a portion of the label. Start the device.
  • a label pickup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label from the carrier tap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 it possible to peel labels from a carrier tape effectively and quickly.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lab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bel supply device shown in FI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label pickup apparatus in which a label supply apparatus shown in FIG. 1 is installed.
  • a winding roller wound around a carrier tape with a label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 body part to which the carrier tape moves, and a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body part to discharge the carrier tape to the outside. It includes, The body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rrier tape to move the separation of the carrier tape and a portion of the label Disclosed is a label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a peeling section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 carrier tape.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fferent in size from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bel.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ed shaft part installed on the body part to change a path of the carrier tape moved to the driving part.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roller and rotated to transfer the carrier tape. Can b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bel supply device for separating a label from a carrier tape, and an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a label separated from the label supply device, wherein the label supply device includes a carrier tape wound with a label.
  •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includes a body part to which the carrier tape moves, and a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body part to discharge the carrier tape to the outside, wherein the body part includes a main body to which the winding roller is installed. And a peeling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peeling portion being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an oblique line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so that the carrier tape moves to separate the carrier tape and a portion of the label.
  • a device can be provided.
  • the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label seating part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peeling part and to which a part of the label separated from the carrier tape rests.
  •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abel mounting portion.
  • the step of conveying the carrier tape, bending the carrier tape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to separate the label from the carrier tape, and by adsorbing the label to the pickup portion may provide a label pickup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label from the carrier tape.
  • the end of the peeling unit 112 may be formed in an oblique line.
  • the ends of the peeling part 112 may form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C (for example, the + X axis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C).
  •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peeling part 112 to the other end of the peeling part 112 for bending the carrier tape C may var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eling part 112. That is, the end of the peeling part 112 can form an oblique line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C.
  • an oblique portion at the end of the peeling part 112 may be disposed in a plane parallel to one surface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or an XY plane) of the carrier tape C.
  • the carrier tape C is bent such that the carrier tape C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C. You can.
  • the peeling part 112 may bend the carrier tape C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er tape C and bend down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1.
  • An end of the label seating portion 113 facing the end of the peeling part 112 may be formed diagonally similarly to the end of the peeling part 112.
  • the ends of the peeling part 112 facing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label seating part 113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such a space, the carrier tape C from which the label L begins to be separated may be bent and inserted.
  • the protrusion part 114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label seating part 113.
  • the protrusion 114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bel seating portion 113.
  • th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so tha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label (L) is minimized after the label (L)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tape (C).
  • th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 th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a hemisphere, or the like.
  • the protrusions 1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s 114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4 may have different sizes. For example,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4 may be formed to be smaller or larger in sequence in one direction.
  • connection unit 116 may be connected to the seating unit to receive a driving signal and a current.
  • the pickup unit 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bel supply apparatus 100 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bel supply apparatus 100 after being disposed elsewhere. However, hereinafter, the pickup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pickup unit 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bel supply device 1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arrier tape C may be unwound from the take-up roller R to move to the peeling part 112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the carrier tape C may be continuously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 the carrier tape C may enter the body portion 110 along the peeling portion 112 sequentially from the portion where one end of the label L is disposed to the center portion.
  • the carrier tape C may enter the body portion 110 along the peeling portion 112 sequentially from the portion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label L to the portion having the other end of the label L. .
  • the label L may be separated from the carrier tape C sequential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label L may be seated on the protrusion 114.
  • a portion of the label L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pickup 10 while being seated on the protrusion 114.
  • the other end of the label L may remain in a state not completely peeled off from one end of the carrier tape C.
  • the pick-up part 10 can adsorb
  • the pickup unit 10 may adsorb the label L using a vacuum or the like.
  • the pickup unit 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bel seating portion 113.
  • the pickup unit 10 may be disposed to overlap a part of the peeling unit 112.
  • the pickup unit 10 may transfer the adsorbed label L and attach it to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 the label supply device 100 separates the label (L) from the carrier tape (C) by part of the carrier tape (C) when the pickup portion 10 of the label supply device (100) separates the label (L). Errors such as being broken or accompanying the carrier tape C can be minimized.
  • a label supply apparatus for quickly and accurately separating a label attached to a carrier tape, the proces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 label provid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semiconductors, mobile phones, etc.
  •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semiconductors, mobile phones, etc.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본 발명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장치에는 다양한 필름 형태의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는 보호필름, 이형필름, 편광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라벨픽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라벨픽업장치는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라벨을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여 다양한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벨픽업장치는 일반적으로 테이프를 흡착하여 공급하는 픽업부와, 픽업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면서 테이프를 공급하는 라벨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라벨공급장치는 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벨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라벨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라벨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할 때,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픽업부에 정확하게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라벨은 손상되거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라벨픽업장치는 일본등록특허 제05501784호(발명의 명칭 : 접착 장치 및 접착 방법, 출원인 : CANON MACHINERY INC)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을 분리하는 라벨공급장치와, 상기 라벨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된 라벨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는,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픽업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케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절곡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픽업부로 상기 라벨을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상기 라벨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벨픽업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벨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벨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벨공급장치가 설치된 라벨픽업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박리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라벨의 일부가 안착하는 라벨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라벨안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라벨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부는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고정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을 분리하는 라벨공급장치와, 상기 라벨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된 라벨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는,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와,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픽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박리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라벨의 일부가 안착하는 라벨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업부는 상기 라벨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라벨안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케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케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절곡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픽업부로 상기 라벨을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상기 라벨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벨픽업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라벨의 일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벨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라벨공급장치가 설치된 라벨픽업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라벨공급장치(100)는 바디부(110), 구동부(120) 및 고정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라벨(L)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C)를 권취한 권취롤러(R)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에는 권취롤러(R)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외부의 라벨픽업장치(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에는 외부의 라벨픽업장치(1)에 설치되어 신호가 인가되는 접속부(116)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메인바디부(111), 박리부(112), 라벨안착부(113) 및 돌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부(111)는 라벨픽업장치(1)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15)이 배치될 수 있다.
박리부(112)는 메인바디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박리부(112)는 캐리어 테이프(C)를 절곡시킬 수 있다. 박리부(112)의 끝단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리부(112)는 바디부(110)의 상측으로터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박리부(112)가 절곡되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박리부(112)의 끝단은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리부(112)의 끝단 중 적어도 일부는 캐리어 테이프(C)의 이송 방향(예를 들면, +X축 방향 또는 캐리어 테이프(C)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박리부(112)의 일단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C)를 절곡시키는 박리부(112)의 타단까지의 거리는 박리부(112)의 폭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다. 즉, 박리부(112)의 끝단은 캐리어 테이프(C)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박리부(112)의 끝단의 사선진 부분은 캐리어 테이프(C)의 일면(예를 들면, 상면, 하면 또는 XY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박리부(112)에서는 캐리어 테이프(C)와 라벨(L)이 박리된 후 캐리어 테이프(C)가 캐리어 테이프(C)의 진행 방향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캐리어 테이프(C)를 절곡시킬 수 있다. 특히 박리부(112)는 캐리어 테이프(C)를 캐리어 테이프(C)의 일면으로부터 절곡시킴과 동시에 메인바디부(111)의 상측으로 하측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라벨안착부(113)는 박리부(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라벨안착부(113)는 바디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라벨안착부(113)는 박리부(112)에서 캐리어 테이프(C)와 분리된 라벨(L)이 안착할 수 있다.
박리부(112)의 끝단과 대향하는 라벨안착부(113)의 끝단은 박리부(112)의 끝단과 유사하게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박리부(112)의 끝단과 라벨안착부(113)의 끝단은 평행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으로 라벨(L)이 분리되기 시작한 캐리어 테이프(C)가 절곡되어 삽입될 수 있다.
돌기부(114)는 라벨안착부(113)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기부(114)는 라벨안착부(113)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14)는 라벨(L)이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떨어진 후 라벨(L)과 접촉하는 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114)는 다각기둥, 반구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부(114)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돌기부(114)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돌기부(114)는 캐리어 테이프(C)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개의 돌기부(114)는 캐리어 테이프(C)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돌기부(114)가 캐리어 테이프(C)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돌기부(114)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돌기부(114)는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돌기부(114)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돌기부(114)의 길이는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20)는 제1 롤러(121) 및 제2 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121) 및 제2 롤러(122)는 바디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121)는 제2 롤러(1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21) 또는 제2 롤러(122) 중 하나는 제1 롤러(121) 또는 제2 롤러(122) 중 다른 하나의 구동에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121)는 제1 롤러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제2 롤러(122)를 회전시킬 수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 롤러(122)는 제2 롤러구동부(122a)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설치되어 제1 롤러(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롤러(122)가 회전함으로써 제1 롤러(121)를 회전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축부(130)는 바디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축부(130)는 캐리어 테이프(C)의 진행 방향을 절곡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축부(130)는 박리부(112)에서 절곡되어 이동하는 캐리어 테이프(C)를 다시 절곡하여 구동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고정축부(130)는 캐리어 테이프(C)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라벨픽업장치(1)는 라벨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라벨픽업장치(1)는 라벨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안착부(미도시)와, 라벨공급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픽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라벨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경우 접속부(116)는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구동신호 및 전류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픽업부(10)는 라벨공급장치(100)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다른 곳에 배치된 후 라벨공급장치(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픽업부(10)가 라벨공급장치(10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120)가 작동하여 캐리어 테이프(C)를 이송시키면 캐리어 테이프(C)는 권취롤러(R)로부터 권출되어 바디부(110)의 상면을 따라 박리부(112)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캐리어 테이프(C) 상에는 라벨(L)이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라벨(L)은 박리부(112)에 오면 일단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벨(L)이 박리부(112)의 일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박리부(112)와 라벨(L)의 일단이 겹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박리부(112)를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C)는 바디부(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절곡되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라벨(L)이 위치한 캐리어 테이프(C) 중 라벨(L)의 일단 부분의 캐리어 테이프(C) 부분은 바디부(110)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다른 부분은 바디부(110)의 상면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라벨(L)의 일단은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라벨(L)의 일단이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박리되는 동안 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C)가 지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캐리어 테이프(C)는 라벨(L)의 일단이 배치된 부분에서 중앙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박리부(112)를 따라 바디부(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C)는 라벨(L)의 중앙 부분에 있는 부분에서 라벨(L)의 타단이 있는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박리부(112)를 따라 바디부(1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벨(L)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라벨(L)의 일부는 돌기부(1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라벨(L)의 일부는 돌기부(114)에 안착되면서 픽업부(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벨(L)의 타단은 캐리어 테이프(C)의 일단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픽업부(10)는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일부가 박리된 라벨(L)을 흡착할 수 있다. 이때, 픽업부(10)는 진공 등을 사용하여 라벨(L)을 흡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픽업부(10)는 라벨안착부(1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픽업부(10)는 박리부(112)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픽업부(10)는 라벨(L)이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돌기부(114)에 안착되면 라벨(L)을 흡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라벨(L)은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돌기부(114)에 안착된 상태일수 있다.
픽업부(10)는 흡착된 라벨(L)을 이송하여 외부의 장치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공급장치(100)는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라벨(L)을 순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라벨(L)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라벨공급장치(100)는 캐리어 테이프(C)로부터 라벨(L)을 일부 분리함으로써 라벨공급장치(100)의 픽업부(10)가 라벨(L)을 분리할 때 캐리어 테이프(C)가 파손되거나 캐리어 테이프(C)가 딸려오는 등과 같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라벨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하기 위한 라벨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부품, 반도체,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장치에 제공되는 라벨을 공급하는 공정 및 장치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박리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라벨의 일부가 안착하는 라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라벨안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라벨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라벨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라벨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부는 높이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을 가변시키는 라벨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고정축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대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라벨공급장치.
  9.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을 분리하는 라벨공급장치; 및
    상기 라벨공급장치로부터 분리된 라벨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공급장치는,
    라벨이 부착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권취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권취롤러가 설치되는 메인바디부; 및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 테이프가 이동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라벨의 일부를 분리시키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형성된 박리부;를 포함하는 라벨픽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박리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라벨의 일부가 안착하는 라벨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픽업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라벨안착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라벨픽업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라벨안착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라벨픽업장치.
  13. 케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케리어 테이프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사선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절곡시켜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라벨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픽업부로 상기 라벨을 흡착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상기 라벨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벨픽업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라벨의 일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라벨을 흡착하는 라벨픽업방법.
PCT/KR2016/012727 2016-03-18 2016-11-07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WO20171599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12 2016-03-18
KR1020160032912A KR102535351B1 (ko) 2016-03-18 2016-03-18 라벨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9952A1 true WO2017159952A1 (ko) 2017-09-21

Family

ID=5985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727 WO2017159952A1 (ko) 2016-03-18 2016-11-07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5351B1 (ko)
WO (1) WO20171599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058A (zh) * 2018-12-28 2019-03-29 巨力自动化设备(浙江)有限公司 漆包线包纸设备中的自动送纸机构
CN114379848A (zh) * 2020-10-22 2022-04-22 嘉丰工业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手机片材生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808U (ko) * 1987-06-05 1988-12-20
JPH0826235A (ja) * 1994-07-12 1996-01-30 Suzuka Fuji Xerox Kk ラベル剥離装置
KR20020095333A (ko) * 2001-06-14 2002-12-26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라벨 박리 장치
JP2007153595A (ja) * 2005-12-08 2007-06-21 Seiko Epson Corp ラベル剥離機構およびラベルプリンタ
JP2016020265A (ja) * 2014-07-15 2016-0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剥離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285A (en) 1990-05-18 1993-03-23 Xinix, Inc. Method for control of photoresist develop processes
JP2004231274A (ja) 2003-01-31 2004-08-19 Sato Corp 剥離装置
JP2008184193A (ja) * 2007-01-31 2008-08-14 Nec Saitama Ltd ラベル剥離装置およびその剥離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7808U (ko) * 1987-06-05 1988-12-20
JPH0826235A (ja) * 1994-07-12 1996-01-30 Suzuka Fuji Xerox Kk ラベル剥離装置
KR20020095333A (ko) * 2001-06-14 2002-12-26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라벨 박리 장치
JP2007153595A (ja) * 2005-12-08 2007-06-21 Seiko Epson Corp ラベル剥離機構およびラベルプリンタ
JP2016020265A (ja) * 2014-07-15 2016-02-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剥離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4058A (zh) * 2018-12-28 2019-03-29 巨力自动化设备(浙江)有限公司 漆包线包纸设备中的自动送纸机构
CN114379848A (zh) * 2020-10-22 2022-04-22 嘉丰工业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手机片材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351B1 (ko) 2023-05-23
KR20170108652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21381B (zh) 带供给器和部件安装设备
WO2014035075A1 (ko)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WO2017159952A1 (ko) 라벨공급장치, 라벨픽업장치 및 라벨픽업방법
WO2017135518A1 (ko) 웨이퍼 정렬 장치 및 웨이퍼 이송 장치
KR20170056280A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WO2021045315A1 (ko) 양면테이프 자동부착장치
WO2018190472A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박리기 및 박리 방법
CN111252326A (zh) 自动贴标机及贴标方法
WO2015167070A1 (ko) 반도체용 기판 보호필름의 직립식 박리 방법 및 직립식 박리 장치
KR20140111908A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JP2003175922A (ja) 自動ラベル貼付装置
KR101737941B1 (ko) 라벨을 따라 이동하는 픽업부를 가진 라벨 픽업 장치 및 방법
JP2012188136A (ja) ラベル貼付装置およびラベル貼付方法
KR20080061461A (ko) 게터 부착 장치 및 방법
CN114446854A (zh) 膜剥离装置和剥离膜的方法
CN114043208A (zh) 一种传感器组装机构和组装设备
JP2006202877A (ja) 半導体装置実装装置
KR100688346B1 (ko)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JPH02106560A (ja) フィルム剥離装置
JPH09104426A (ja) ラベル吸着貼付装置
KR200400961Y1 (ko)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KR20200088939A (ko) 밀집된 테이프용 부착장치
KR101577405B1 (ko)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필름에 대한 직립형 필링장치
WO2023191181A1 (ko) 버퍼링유닛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장치
KR101070896B1 (ko) 캐리어테이프 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46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46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