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302A - 죽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302A
KR20020088302A KR1020010027688A KR20010027688A KR20020088302A KR 20020088302 A KR20020088302 A KR 20020088302A KR 1020010027688 A KR1020010027688 A KR 1020010027688A KR 20010027688 A KR20010027688 A KR 20010027688A KR 20020088302 A KR20020088302 A KR 2002008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alt
bamboo salt
common salt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206B1 (ko
Inventor
김종대
Original Assignee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대 filed Critical 김종대
Priority to KR10-2001-002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2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염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토 등으로 만들어진 죽염 구이 통속에 일반 생소금과 대나무를 채우되 맨 밑에 생소금을 깔고 중간에 대나무를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넣은 후 그 주위와 상단을 생소금으로 채운 상태에서 상단을 밀봉시키는 준비 단계와, 상기 생소금과 대가 채워진 죽염구이통을 소성로속에 넣고 100℃ 이하의 약한 불로 약 48시간 동안 죽염구이통을 가열하여 생소금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후에 소성로의 온도를 1,300℃ - 1,500℃까지 약 6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생소금을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죽염제조방법은 한번의 공정을 거쳐도 대나무의 유효한 생약 성분과 수기(水氣)가 생소금 속으로 충분하게 배어들 수 있게 할 수가 있으므로 약성이 뛰어난 완전한 죽염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죽염 제조 공정에서 대나무가 타지 않고 양질의 대나무 숯으로 변환되게 되므로, 죽염 제조 후에 죽염으로부터 대나무의 재를 제거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대나무 숯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죽염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bamboo salt}
본 발명은 죽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공정으로 저렴하면서 약효가 뛰어난 죽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죽염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대나무 숯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죽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인체에 필요한 여러 가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 맛을 내게 하는 주성분으로서 생체리듬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소정 이상의 양을 반드시 섭취하여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바닷물에서 바로 만들어진 생소금에는 소금 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금 자체의 유익한 효과만을 얻기가 어려워 옛날부터 생소금을 처리하여 사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일명 "죽염"이라 하는 칭하여지는 가공 소금이 있는 바, 이 죽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죽염제조방법은 그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죽염제조방법 중에 가장 일반적인 것이 소금 속에 대나무의 효과적인 약 성분이 배어들게 하기 위해 반드시 대나무를 사용하고 있는 바, 대개의 종래 방법에 따르면, 대나무의 빈 공간 속에 생소금을 채워 넣은 상태에서 소성로에서 고온으로 가열시키기 때문에 대나무가 타서 재가 되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대나무를 다시 사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대나무 속에서 용해되어 덩어리 상태로 만들어진 소금에 대나무 재가 달라붙게 되므로 죽염의 최종적인 공정에서 반드시 대나무 재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대나무 통속에 소금을 채워 가공하는 이유는, 소성로 속에서 소금과 함께 가열되는 대나무에서 발생하는 수기(水氣)가 소금과 합성되게 하는 것인데, 종전 방식과 같이 대나무 통속에 소금을 채운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면 대나무의 수기가 대나무 통속에 들어 있는 소금 속으로 소량만 들어가고 나머지 대부분은 증발되는 즉시 공기 중으로 발산되므로 대나무의 수기가 소금과 어우러지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대나무의 수기가 조금이라도 더 소금과 어우러지도록 하기 위해 여러 번 반복하여 굽는 작업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번의 반복적인 작업 공정으로 인하여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죽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단한 작업 공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약효가 뛰어난 죽염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죽염제조방법은, 황토 등으로 만들어진 죽염 구이 통속에 일반 생소금과 대나무를 채우되 맨 밑에 생소금을 깔고 중간에 대나무를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넣은 후 그 주위와 상단을 생소금으로 채운 상태에서 상단을 밀봉시키는 준비 단계와,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생소금과 대가 채워진 죽염구이통들을 소성로 속에 넣고 100℃ 이하의 약한 불로 약 48시간 동안 죽염구이통을 가열하여 생소금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후에 소성로의 온도를 1,300℃ - 1,500℃까지 약 6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생소금을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죽염제조방법은 한번의 공정을 거쳐도 대나무의 유효한 생약 성분과 수기(水氣)가 생소금 속으로 충분하게 배어들 수 있게 할 수가 있으므로 약성이 뛰어난 완전한 죽염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죽염 제조 공정에서 대나무가 타지 않고 양질의 대나무 숯으로 변환되게 되므로, 죽염 제조 후에 죽염으로부터 대나무의 재를 제거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대나무 숯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죽염의 제조 방법은 내부가 빈 통으로 이루어진 죽염 구이통속에 일반 생소금과 대나무를 채우되 맨 밑에 생소금을 깔고 중간에 대나무를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넣은 후 그 주위와 상단을 생소금으로 채운 상태에서 상단을 밀봉시키는 준비 단계와,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생소금과 대가 채워진 죽염구이통을 소성로속에 넣고 100℃ 이하의 약한 불로 약 48시간 동안 죽염구이통을 가열하여 생소금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후에 소성로의 온도를 1,300℃ - 1,500℃까지 약 6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생소금을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의 준비 단계에서 사용하는 죽염구이통은 가능한 황토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황토 속에는 인체에 유익한 미량 원소가 많아 소금의 미네랄과 합쳐짐으로써 사람에 매우 유익한 영양 소금을 만들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나무의 수액과 소금 및 황토의 영약 성분이 조화되어 약성이 극히 높은 죽염을 만들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황토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독성 제거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이러한 독성 제거효과도 죽염의 성분 중에 함유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죽염 구이 통속에 생소금과 대나무를 넣을 때 죽염 구이 통의 하단과 상단 및 대나무 주위에는 반드시 생소금이 위치하게 한다. 즉 대나무가 생소금 가운데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대나무가 열을 받을 때 발산하는 수기가 소금 속으로 완전하게 배어들게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생소금과 대나무를 넣은 후에는 죽염구이통을 완전하게 밀봉하여 대나무의 수기가 가능한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소금에서 발산되는 유해한 가스 성분도 완전하게 연소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나무는 적당한 크기로 쪼갠 상태로 적치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대나무를 쪼갠 상태에서 가열하면 대나무의 수기 발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wu 그만큼 약효가 높아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산물로 나오는 숯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나무를 많이 넣으면 넣을수록 그만큼 대나무의 수기가 많이 나와 약효가 높아질 뿐 아니라 양질의 대나무 숯도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숙성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생소금과 대가 채워진 죽염구이통을 소성로 속에 넣고 100℃ 이하의 약한 불로 약 48시간 동안 죽염구이통을 가열시키는 공정인데, 이 공정에서 대나무가 가열됨에 따라 진액과 김이 나오게 되고, 이 대나무 진액과 수기가 소금과 어우러져 소금의 약효를 증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온으로 장시간 가열하는 이유는 종전 방식과 같이 급속하게 고열로 가열하면 대나무의 수기가 소금에 골고루 어우러질 겨를도 없이 대나무가 숯 상태에 이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진액이 말라붙게 되므로 대나무의 수기와 소금의 원만한 합성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숙성 단계에서 대나무는 서서히 타서 숯이 되는데, 이 대나무 숯은 소금과 융합되지 않고 숯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대나무가 타서 재가되지 않으므로 죽염을 제조한 후에 소금에서 대나무 재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용융 단계에서는 소성로의 온도를 1,300℃ - 1,500℃까지 올린상태에서 약 6시간 동안 가열하는데, 이때 소금 속의 불순 성분이 연소되게 되고 소금은 졸 상태로 녹으면서 대나무의 수액과 유효 성분이 완전하게 혼합되어지게 된다.
이후 가열을 중지하고 서서히 소성로를 식히면 약 1000℃의 고열이 장시간 유지되어 약성높은 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가공 소금이 식으면 숯이 내장된 작은 죽염 덩어리로 되는데, 이때의 체적은 본래 죽염 구이 통속에 채워진 소금의 10 ∼ 20%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죽염 덩어리를 깨면 숯은 그대로 빠져 나오고 죽염 덩어리만 남게 되는데, 이 죽염 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시키면 질 좋고 약 성분이 뛰어난 죽염 가루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죽염 덩어리에서 빠져 나온 대나무 숯은 별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바, 일반적으로 숯 중에서 대나무 숯이 가장 고급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므로, 상기 죽염 덩어리에서 빼낸 대나무 숯은 고급 숯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죽염제조방법은 대나무를 생소금 속에 넣고 가열하여 숙성 및 용융 과정을 거침으로써, 단 한번의 공정만으로 대나무의 유효한 생약 성분과 수기(水氣)가 생소금 속으로 충분하게 배어들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죽염제조방법은 약성이 뛰어난 완전한 죽염을 간단하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죽염제조방법은 죽염 제조 공정에서 대나무가 타지 않고 양질의 대나무 숯으로 변환되게 되므로, 죽염 제조 후에 죽염으로부터 대나무의 재를 제거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대나무 숯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죽염제조방법은 죽염과 대나무를 적재하여 숙성 및 용융시키는 죽염구이통을 황토 재질의 것으로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황토의 성분도 죽염 속에 함유되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의 독성 제거 성분이 죽염 속에 함유되어지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가 빈 통으로 이루어진 죽염 구이 통속에 일반 생소금과 대나무를 넣되 맨 밑에 생소금을 깔고 중간에 대나무를 적당한 크기로 쪼개어 넣은 후 그 주위와 상단을 생소금으로 채운 상태에서 상단을 밀봉시키는 준비 단계와,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생소금과 대가 채워진 죽염구이통을 소성로속에 넣고 100℃ 이하의 약한 불로 약 48시간 동안 죽염구이통을 가열하여 생소금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후에 소성로의 온도를 1,300℃ - 1,500℃까지 약 6시간에 걸쳐 가열하여 생소금을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로 구성된 죽염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죽염구이통이 황토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염제조방법.
KR10-2001-0027688A 2001-05-21 2001-05-21 죽염제조방법 KR10045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688A KR100453206B1 (ko) 2001-05-21 2001-05-21 죽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688A KR100453206B1 (ko) 2001-05-21 2001-05-21 죽염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302A true KR20020088302A (ko) 2002-11-27
KR100453206B1 KR100453206B1 (ko) 2004-10-15

Family

ID=2770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688A KR100453206B1 (ko) 2001-05-21 2001-05-21 죽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2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782A (ko) * 2002-10-30 2004-05-07 최명규 황토용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0432435B1 (ko) * 2001-11-19 2004-05-22 이연식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100821386B1 (ko) * 2006-03-28 2008-04-10 서희동 해양 심층수에서 생산된 소금을 이용하여 죽염을 제조하는방법
KR101383888B1 (ko) * 2012-05-14 2014-04-10 한국농어촌공사 황토 용기를 이용한 미네랄 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미네랄죽염
KR101435879B1 (ko) * 2012-08-31 2014-09-02 (주)홍익바이오텍 죽염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89638B1 (ko) * 2015-11-03 2016-01-28 김동우 죽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147B1 (ko) 2005-03-31 2006-07-28 김경동 황토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3806B1 (ko) 2008-06-30 2011-06-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3807B1 (ko) 2008-06-30 2011-06-2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194B1 (ko) 2008-09-11 2015-01-16 유춘봉 복분자를 이용한 복분자 소금의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435B1 (ko) * 2001-11-19 2004-05-22 이연식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20040037782A (ko) * 2002-10-30 2004-05-07 최명규 황토용기를 이용한 천일염의 제조방법
KR100821386B1 (ko) * 2006-03-28 2008-04-10 서희동 해양 심층수에서 생산된 소금을 이용하여 죽염을 제조하는방법
KR101383888B1 (ko) * 2012-05-14 2014-04-10 한국농어촌공사 황토 용기를 이용한 미네랄 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미네랄죽염
KR101435879B1 (ko) * 2012-08-31 2014-09-02 (주)홍익바이오텍 죽염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89638B1 (ko) * 2015-11-03 2016-01-28 김동우 죽염 제조방법
WO2017078395A1 (ko) * 2015-11-03 2017-05-11 김동우 죽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3206B1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206B1 (ko) 죽염제조방법
US5487883A (en) Process for producing moxas
KR100701471B1 (ko) 죽염의 제조 방법
KR20010066711A (ko) 맥반석을 이용한 죽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247B1 (ko) 차엽이 첨가된 황토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55723B1 (ko)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JP2522023B2 (ja) 核砒素含有竹塩とその製造方法
KR100374711B1 (ko)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CN109730296B (zh) 一种紫竹盐的制备方法
JP2006304781A (ja) 竹炭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262693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20180085620A (ko) 복사열을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의 구운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1528A (ko) 칼슘을 포함하는 보조 음식물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4857B1 (ko) 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송죽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송죽염
KR100214223B1 (ko) 위생 송염의 제조방법
KR101946679B1 (ko) 커피고리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제조방법
JPS59111918A (ja) 活性を有するカルシウム粉末の製造法
KR101165068B1 (ko) 딸기를 함유하는 황토 게르마늄 죽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죽염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JP2010273661A (ja) 竹炭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6891A (ko) 천일염과 황토흙을 이용한 대나무숯과 그 제조방법
JPH0558761A (ja) アルカリイオン水を作る凝灰岩による焼結石の製造方法
KR100524370B1 (ko) 식품종이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광물질 첨가재료의제조방법 및 그 첨가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종이의제조방법
KR920004256B1 (ko) 게르마늄성분과 맥반석성분을 혼용한 내열점토제 음식물용기의 제조방법
CN117814425A (zh) 天然碱性竹盐淡盐水及其加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