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435B1 -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435B1
KR100432435B1 KR10-2001-0072004A KR20010072004A KR100432435B1 KR 100432435 B1 KR100432435 B1 KR 100432435B1 KR 20010072004 A KR20010072004 A KR 20010072004A KR 100432435 B1 KR100432435 B1 KR 10043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ocher
fire
temperature inside
bu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291A (ko
Inventor
이연식
Original Assignee
이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식 filed Critical 이연식
Priority to KR10-2001-007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4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맥반석성분 및 미네랄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황토 용기내에 천일염을 충진하여 대형 불가마 속에 거치시킨 후 산화불 및 환원불을 사용하여 불가마 내부의 온도 조절을 통해 천일염을 구움으로써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일염을 충진한 황토용기를 도자기 등을 굽는 불가마에 거치시킨 후 산화불과 환원불을 이용하여 가열시킴으로써, 소금에 함유된 비소 및 각종 불순물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제품의 질도 균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OESS SALT BAKED IN LOESS POTTERY BRICK}
본 발명은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맥반석성분 및 미네랄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고 있는 황토 용기내에 천일염을 충진하여 대형 불가마 속에 거치시킨 후 산화불 및 환원불을 사용하여 불가마 내부의 온도 조절을 통해 소금을 구움으로써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물질로서, 건강한 사람의 혈액 속에는 0.9% 정도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몸 구석구석을 돌면서 세포 속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생산하는 소금의 70~80%는 암염이고 나머지가 천일염인데, 이 천일염 속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수십여종이 넘는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식용소금은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황토용기에 소금을 굽는 것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전승 비법으로 옛날에는 임금님의 수랏상에 황토소금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청정 지역의 순수한 천일염을 12시간 이상 구워 만든 '황토 소금'은 소금이 재결정화되는 과정에서 황토의 원적외선이 작용하여 소금의 쓴맛과 짠맛을 순화시키고, 불순물이 제거된 알카리성 소금으로 변하게 됨으로써, 일반 소금과 비교하여 맛이 덜 짜고 부드러워 음식 본래의 맛을 그대로 살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황토소금과 기타 다른 소금들의 차이점이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황토소금과 다른 소금들의 비교표
항 목 황토소금 천일염 맛소금 죽염
염화나트륨 96%이상 88%이상 90%이상 95%이상
순한맛 떫고 쓴맛 조미료의 맛 구린 맛
냄새 없음 없음 없음 유황 냄새
간수 산화처리 함유 함유 일부제거
제조방법 황토단지에 구움 자연증발 글루타민산 첨가 대나무와 같이 태움
이러한 황토소금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몇가지의 특허를 통해 개시되어 있는데, 한국공개특허공보 91-5774호에서는 3년이상 된 왕대나무 마디에 천일염을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막은 다음 소성로의 망판에 올려 놓고 왕대나무가 다 타서 재가 될 때까지 참솔 나무로 소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천일염은 단단하게 굳은 덩어리가 된다. 이 소금 덩어리를 분쇄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마디에 다져 넣고 소성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나무 마디에 다져 넣고 소성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9회째는 소성된 소금 덩어리를 분쇄하고 여기에 느릅나무 껍질 분말을 섞은 다음 왕대나무 마디속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봉하고 참솔나무와 송진을 연료로 하여 가열통 내의 온도를 10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융용시키고 이를 식혀 죽염을 제조하였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94-1394호에서는 염전에서 수집한 통상의 소금을 도자기에 담아 고열로 가열하여 줌으로서 소금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유해한 불순물들이 도자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양질의 식염에 다시 적량의 쑥 엑기스를 배합하여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를 이용하여 쑥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염과 쑥염은 대나무통 또는 도자기속에 소금을 넣어 구울 때 문제점은 대나무가 500℃~600℃ 온도만 되어도 타 버리기 때문에 장시간 소성할 수 없는 문제점과 대나무가 타고 남은 재가 항상 섞여 있어 소금의 색깔이 회색 빛깔이고 물에 희석할 때 재가 뜨고 유황 냄새로 먹기에 역한 점과 9회 소성 과정에 2차 불순물이 유입될 확률이 높다. 또한, 도자기에서 소금을 구울 때는 도자기 자체의 유약 때문에 황토의 미네랄성분 합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항아리 밑 부분에 개봉되지 않아서 소성시 간수가 흘러 내릴 수도 없게 되어 간수와 불순물 제거가 문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63769호에서는 황토용기에 지장수를 1:1로 혼합한 소금을 투입하여 소성로 속에서 20시간동안 서서히 가열하여 780∼1,000℃에 4∼5시간 지속 가열 소성하는 황토소금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소금은 본래 800℃ 이상이 되면 녹아내리기 때문에 황토소금으로 제조할 수 없어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황토용기에 천일염을 충진하여 대형 불가마속에서 산화불 및 환원불을 이용한 독특한 온도조절을 통해 황토소금을 제조함으로써 소금내에 함유된 비소 및 각종 불순물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의 방사 및 미네랄 함량을최대로 할 수 있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금을 구울 수 있는 불가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금을 굽기 위해 소금을 충진할 수 있는 황토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불가마 20a,...,20n : 버너
30 : 투시경 40 : 연결관
43 : 홀 45 : 벽돌
50 : 굴뚝 55 : 차단판
100 : 황토용기 110 : 관통홀
200 : 덮개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은 (a) 하면에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는 다수의 황토용기를 입구가 서로 대향되도록 두개씩 적층하여 천일염을 충진시킨 후 불가마 내부에 거치시키는 단계; (b) 불가마에 설치된 다수의 버너 전체를 점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460 내지 470℃가 되도록 1차 가열시킨 후, 투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360 내지 370℃까지 감온시키고, 소화된 버너들을 다시 점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최고 560 내지 570℃가 되도록 2차 가열시키는 총 11 내지 12시간의 산화불 가열단계; 및 (c) 투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460 내지 470℃까지 감온시킴과 동시에 굴뚝 본체의 일정부분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차단판으로 공기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불가마 내부의 공기가 굴뚝을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소화되었던 버너들을 모두 점화시켜 불가마를 가열하여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780℃에 도달하면 모든 버너의 밸브를 차단시켜 소화시키고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200 내지 230℃가 될 때까지 대기하는 총 17 내지 26시간의 환원불 가열단계를 포함한다.이때, 입구가 서로 대향되도록 두개씩 적층되는 상기 황토용기 중 하부쪽에 위치한 황토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한 덮개부재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금을 구울 수 있는 불가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소금을 굽기 위해 소금을 충진할 수 있는 황토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소금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도자기를 굽는 불가마내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가열방법에 의해 굽는 것으로, 순수한 알카리성 황토소금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약 560℃까지는 산화불로 가열하고 그로부터 약 780℃까지는 환원불로 가열하는 것이다.
이때, 산화불이라 함은 불가마(10) 내부와 굴뚝을 연통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불가마(10) 내부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불꽃의 방향도 직상방을 향하는 것이다.
또한, 환원불이라 함은 불가마(10) 내부와 굴뚝(50)을 연통시키지 않는 것으로, 그 방법으로는 불가마(10)와 굴뚝(50)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40)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홀(43)을 덮고 있는 다수의 벽돌(45)을 제거하여 외부의 공기가 그 홀(43)을 통해 굴뚝(50)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불가마(10) 내부의 공기가 굴뚝(50)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과 굴뚝(50) 본체의 일정부분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차단판(55)으로 공기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불가마(10) 내부의 공기가 굴뚝(50)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면 불가마(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불가마(10) 내부에 불꽃이 갇혀서 외부로 못나가고 모든 버너(20a,...,20n)에서 동일한 불꽃모양을 유지하며 불가마(10) 내부의 전체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불꽃이 타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움직이기 때문에 불가마(10) 내부에 거치된 황토용기(100)의 관통홀(110)을 통과해 내부의 천일염을 가장 최적으로 구울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천일염내에 함유된 불순물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에서 산화불과 환원불을 이용하여 황토소금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특징적인 내용인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용기(100)는 일반적인 U자형 용기로서 그 하면에 관통홀(110)이 천공되어 있고, 두 개의 황토용기(100)를 입구가 서로 대향되도록 적층하며, 하부쪽에 위치한 황토용기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한 덮개부재(200)가 설치되어 있어, 그 두 개의 황토용기(100) 내부에 천일염(S)을 충진시켜 황토소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황토용기내에 고온의 불이 가해지면 천일염내에 함유된 비소 및 각종 불순물등이 녹아서 상기 덮개부재(200)와 황토용기(100)의 바닥면 사이로 빠져나가 최종적으로 관통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고온의 불에 의해 태워져 없어져 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황토용기에 천일염을 충진시킨 후 불가마 내부에 황토용기를 거치시키고, 불가마에 설치된 다수의 버너(20a,...,20n) 전체를 점화시켜 불가마(10) 내부의 온도를 460∼470℃까지 약 7∼8시간동안 가열시킨다.
그후에, 1차로 불을 걸러주는 것으로, 투시경(30)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360∼370℃까지 약 2시간정도 감온시킨다. 이때에 소화된 버너들은 모두 다시 점화되어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최고 560∼570℃까지 약 2∼3시간동안 다시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까지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산화불 가열단계인 것이다.
또한, 2차로 불을 걸러주는 것으로, 투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460∼470℃까지 감온시킴과 동시에 불가마 내부의 공기가 굴뚝을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때부터가 환원불 가열단계의 시작으로서, 불을 불가마속에 가두는 개념으로 온도가 서서히 올라가고 불가마 내부의 온도도 전체가 동일하며 불꽃의 모양도 동일하기 때문에, 불가마 속의 모든 황토소금이 균일하게 제조되며 불량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불가마 내부의 공기가 굴뚝을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불가마(10)와 굴뚝(50)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굴뚝 자체에 차단판(55)을 설치하여 차단판으로 굴뚝을 폐쇄하는 방법이 있다.
그 후에, 2차로 불을 걸러주는 단계에서 완전 소화되었던 버너들을 모두 점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최고 780℃까지 서서히 가열시키는데, 이때에는 불가마의 공기가 굴뚝으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온도의 승온속도가 매우 느려서 가열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불가마에 거치된 황토용기속의 천일염을 장시간동안 가열할 수 있어 본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780℃에 도달하면 모든 버너의 밸브를 차단시켜 소화시키고 온도가 200∼230℃의 온도가 될 때까지 대기한 후 불가마의 문을 서서히 열어 황토용기를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소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약 30시간 정도가 소요되는데, 즉 산화불(560∼570℃)로 11∼12시간 정도, 환원불로 17∼26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때, 각각의 시간 차이는 외부의 온도나 날씨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외부의 기온이 낮으면, 굴뚝이 불가마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함으로써 불가마 내부의 불이 강해지고 그로인해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완성된 황토소금은 황토용기(100)로부터 추출되어 분쇄기를 통해 굵은소금이나 고운소금등으로 분쇄되어 시판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소금에 대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의뢰하여 각종 시험을 한 결과가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황토소금에 함유된 성분 및 그들의 적합성 비교
성분 시험결과 규격 비고
수분(%) 0.3 0.5이하 상압가열건조법
비소(mg/kg) 불검출 0.5이하 I.C.P법
납(mg/kg) 0.71 2.0이하 가열기화금아말감법
수은(mg/kg) 0.001 0.1이하
황산이온(%) 1.37 1.5이하 I.C.P법
카드뮴(mg/kg) 불검출 0.5이하
불용분(%) 1.0 3.0이하
염화나트륨(%) 95.2 88.0이상
사분(%) 불검출 0.1이하
총염소(%) 55.2 50.0이상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토소금은 모든 규격에 만족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적합한 제품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소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금내에 함유된 비소 및 각종 불순물들을 완전히 제거하고 원적외선의 방사 및 미네랄 함량을 최대로 한 황토소금을 제조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a) 하면에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는 다수의 황토용기를 입구가 서로 대향되도록 두개씩 적층하여 천일염을 충진시킨 후 불가마 내부에 거치시키는 단계;
    (b) 불가마에 설치된 다수의 버너 전체를 점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460 내지 470℃가 되도록 1차 가열시킨 후, 투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360 내지 370℃까지 감온시키고, 소화된 버너들을 다시 점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최고 560 내지 570℃가 되도록 2차 가열시키는 총 11 내지 12시간의 산화불 가열단계;
    (c) 투시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화력이 강한 버너들을 완전 소화시켜 불가마 내부의 온도를 460 내지 470℃까지 감온시킴과 동시에 굴뚝 본체의 일정부분에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차단판으로 공기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불가마 내부의 공기가 굴뚝을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소화되었던 버너들을 모두 점화시켜 불가마를 가열하여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780℃에 도달하면 모든 버너의 밸브를 차단시켜 소화시키고 불가마 내부의 온도가 200 내지 230℃가 될 때까지 대기하는 총 17 내지 26시간의 환원불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입구가 서로 대향되도록 두개씩 적층되는 황토용기 중 하부쪽에 위치한 황토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막기 위한 덮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10-2001-0072004A 2001-11-19 2001-11-19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10043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04A KR100432435B1 (ko) 2001-11-19 2001-11-19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004A KR100432435B1 (ko) 2001-11-19 2001-11-19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91A KR20030041291A (ko) 2003-05-27
KR100432435B1 true KR100432435B1 (ko) 2004-05-22

Family

ID=2957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004A KR100432435B1 (ko) 2001-11-19 2001-11-19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4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147B1 (ko) 2005-03-31 2006-07-28 김경동 황토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194B1 (ko) 2008-09-11 2015-01-16 유춘봉 복분자를 이용한 복분자 소금의 제조 방법
KR20150115998A (ko) * 2014-04-03 2015-10-15 이구원 훈제소금 제조용기 및 이를 이용한 훈제소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164B1 (ko) * 2005-09-29 2007-09-19 김현철 1차 점토와 황토로 이루어진 황토 용기를 이용한 황토염의제조방법
KR100794325B1 (ko) * 2006-02-22 2008-01-11 남 종 김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불가사리 소금
KR100934044B1 (ko) * 2007-09-12 2009-12-29 김태중 갯벌용기를 이용한 갯벌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갯벌소금
KR101036538B1 (ko) * 2008-06-20 2011-05-24 전영호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
KR20160026294A (ko) 2014-08-29 2016-03-09 권오근 염전용 황토천일염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42A (ko) * 1993-06-11 1995-01-03 김충식 참소금 제조 방법
KR20010062500A (ko) * 1999-12-21 2001-07-07 김응섭 왕겨를 이용한 죽염의 제조방법
KR20020088302A (ko) * 2001-05-21 2002-11-27 김종대 죽염제조방법
KR100374711B1 (ko) * 2000-08-02 2003-03-04 최원수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42A (ko) * 1993-06-11 1995-01-03 김충식 참소금 제조 방법
KR20010062500A (ko) * 1999-12-21 2001-07-07 김응섭 왕겨를 이용한 죽염의 제조방법
KR100374711B1 (ko) * 2000-08-02 2003-03-04 최원수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20020088302A (ko) * 2001-05-21 2002-11-27 김종대 죽염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147B1 (ko) 2005-03-31 2006-07-28 김경동 황토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194B1 (ko) 2008-09-11 2015-01-16 유춘봉 복분자를 이용한 복분자 소금의 제조 방법
KR20150115998A (ko) * 2014-04-03 2015-10-15 이구원 훈제소금 제조용기 및 이를 이용한 훈제소금 제조방법
KR101596705B1 (ko) 2014-04-03 2016-02-24 이구원 훈제소금 제조용기 및 이를 이용한 훈제소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91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435B1 (ko)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CN106430965B (zh) 一种樱花釉及其制备工艺
CN116410020B (zh) 滴釉仿绿珊瑚条纹釉陶瓷及其制备方法
CN108546102A (zh) 一种用于柴烧陶的钴蓝和闪光质地坯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陶瓷及陶瓷制备方法
CN104193412B (zh) 一种低膨胀无光釉及涂覆有该釉的堇青石烧烤板
CN109654881A (zh) 九次熔化竹盐高温熔化炉系统及九次熔化竹盐的制备方法
KR101473920B1 (ko) 음식물 조리장치
CN113387577B (zh) 一种汝瓷用青绿釉及青绿釉汝瓷的制备方法
KR100707737B1 (ko) 패각 이온화칼슘 제조방법 및 패각 이온화칼슘 제조용소성설비
KR100760164B1 (ko) 1차 점토와 황토로 이루어진 황토 용기를 이용한 황토염의제조방법
KR20020088302A (ko) 죽염제조방법
CN109942282A (zh) 一种建水陶翡翠绿自然落灰釉的烧制方法
CN108483909A (zh) 一种用于柴烧陶的吸碳裂纹釉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陶瓷和陶瓷制备方法
KR100865268B1 (ko) 숯가마를 이용한 구운 소금 제조방법
KR100334326B1 (ko)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KR100551129B1 (ko) 자죽염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300133B1 (ko)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H07265009A (ja) 竹の塩の製造方法および竹の塩製造用窯
JP2006304781A (ja) 竹炭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0392B1 (ko) 직화구이기의 화염차단용 내화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화소재 제조방법
KR20000073829A (ko) 내열 도자기제 음식물 조리용 용기 제조방법 및 그 용기
KR100782367B1 (ko) 황자의 제조방법
KR102617489B1 (ko) 알칼리성 구운 소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05180891A (ja) 焼成炉
CN108546078A (zh) 一种磁州窑瓷器配方及其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