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133B1 -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133B1
KR100300133B1 KR1019990008146A KR19990008146A KR100300133B1 KR 100300133 B1 KR100300133 B1 KR 100300133B1 KR 1019990008146 A KR1019990008146 A KR 1019990008146A KR 19990008146 A KR19990008146 A KR 19990008146A KR 100300133 B1 KR100300133 B1 KR 10030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enware
hours
kiln
oyster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097A (ko
Inventor
배요섭
Original Assignee
배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연식 filed Critical 배연식
Priority to KR101999000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1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27B17/0041Chamber type furnaces specially adapted for burning bricks or pottery
    • F27B17/0075Heat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점토를 숙성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이 반죽으로 소망하는 형태 및 모양으로 성형하고 건조한 기물을 유약을 바르지 않고 가마에 넣어 장작불로 1차 소성만을 행하되, 상기 소성단계를 400∼450℃에서 10∼14시간 가열하는 밑불 공정, 800∼850℃에서 15∼18시간 가열하는 중불 공정, 850∼1200℃에서 10∼12시간 가열하면서 장작수급시마다 천일염을 공급하는 본불 공정, 천일염 투입을 중단하고 1260∼1280℃에서 2∼4시간 가열하는 창불공정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의 제조방법과 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가마에 관한 것이며, 이에 의하면 방수투기성을 가져서 다양한 특수 목적에 적용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며, 자연친화성이 우수한 등의 많은 장점을 갖는 고 품질의 토기를 낮은 코스트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ARTHEN WARE}
본 발명은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특히 가마에 관한 것이다.
우리 조상들은 물건을 담기 위하여 그릇을 만들어 왔으며, 확실히 언제부터 토기가 쓰여졌는지 알 수 없지만 삼국시대 이후 그릇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차 단단하고 가볍게 만들어져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토기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편, 토기의 역사는 가야시대와 신라시대 때의 토기형태에서 고려시대 청자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조그마한 형태로 만들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와서야 질이 단단하고 광택을 띄운 독그릇이라는 토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토기는 17세기부터 옹기형태에 잿물을 사용하게 되었고 광명단을 사용한 옹기 형태의 용기가 만들어 졌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경기도 전곡을 정점으로 북한 지방에서 점토의 성분상 남한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유기질 성분이 많이 포함된 점토 성분으로 인하여 토기가 만들어졌으나, 남한 유일의 경기도 전곡 토기가 1945년 8·15 해방 이후 없어져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때 만들어진 토기는 8·15 해방을 전후해서까지 한강, 임진강, 대동강의 뱃길을 이용하여 강화도나 경기도 내륙지방, 충청남도 강경 지방에까지 널리 보급되어진 사실이 옛 뱃길을 이용한 나루나 포구 주변에서 아직까지도 많이 발견됨으로 해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토기는 제조시 재와 소금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는 말이 구전되어 알려져 왔을 뿐 그 구체적인 이용방법이 전해지지 않았고 단지, 출토된 토기의 성능을 시험한 결과 공기는 통과시키되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식품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특징이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자는 이러한 우수한 장점을 갖는 토기는 대외 경쟁력 있는 신상품의 될 것이라는 점을 중시하였고, 따라서 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다년간의 시행착오를 거듭한 끝에 양질의 토기를 제조하는데 성공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질의 토기를 제조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가마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가마의 개략적인 평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가마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마의 화구의 개략적인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굴 등창 11 : 창불 구멍
20 : 접발 21 : 화구 22 : 연통부
30 : 굴판 40 : 연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차 점토(퇴적점토)를 숙성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이 반죽으로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유약을 바르지 않고 1차 소성만을 행하되, 상기 소성단계를 400∼450℃에서 10∼14시간 가열하는 밑불 공정, 800∼850℃에서 15∼18시간 가열하는 중불 공정, 850∼1200℃에서 10∼12시간 가열하면서 장작수급시마다 천일염을 공급하는 본불 공정, 천일염 투입을 중단하고 1260∼1280℃에서 2∼4시간 가열하는 창불공정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흙을 이겨 다져서 만들며 다수개의 창불구멍이 형성된 아치형 굴 등창, 내화벽돌로 이루어지고 전단이 입구를 형성하고 후단이 연돌과 연통하는 접발 및 가마의 바닥을 형성하는 굴판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이 수직방향으로 상협 하광의 반타원 단면형상을 갖는 쌀가마형 토기 제조용 가마를 구성하되, 굴판이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약간 전방이 가장 넓고 전단부 및 후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고, 굴판이 연돌쪽이 높아지게 수평면과 20∼30°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접발과 연돌을 이어주는 연통부가 병목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 제조용 가마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토기 제조방법의 주된 특징은 소성단계에 있다. 본 방법에서 소성단계는 밑불공정, 중불공정, 본불공정 및 창불공정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밑불공정에서는 400∼450℃에서 10∼14 시간 동안 서서히 가열하여 기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때, 기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과 같은 이물질의 일부를 제거한다.
중불공정에서는 800∼850℃에서 15∼18 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하며 이 공정에서는 그을음이 없어지고 기물의 이물질이 타서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본불공정에서는 850∼1200℃에서 10∼12시간 가열하면서 장작수급시마다 천일염을 공급한다. 이때, 천일염은 타면서 화염을 일으켜 순간적인 소성온도를 높여주고, 기물 표면에 반질반질한 유리막을 형성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천일염에 의한 유리막의 형성과정은 천일염이 타면서 휘산하는 Na, Mg, Ca 등의 원소가 기물에 부착된 재, 기물에서 녹아 나온 규산 화합물 등과 반응하여 유약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창불공정에서는 천일염 투입을 중단하고 가마의 화구와 창불구멍 양방에서 화염을 공급하여 보다 고온인 1260∼128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기물을 숙성시킨다.
이와 같은 소성단계에 사용되는 장작은 육송, 참나무, 밤나무, 아카시아나무 등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소재로 자연에서 얻어진 2차 점토(퇴적점토)를 사용하는 이유는 2차 점토에는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고 모래 알갱이가 혼재하고 있어 이를 반죽하여성형한 기물을 소성하면 유기물이 타서 제거되고 모래 알갱이로부터 규산성분 등이 녹아 나와서 그 자리에 기체는 통과하되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미세한 공기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형성된 미세한 공기구멍은 토기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안에 담은 음식물이 젓갈이나 김치 등의 발효식품인 경우에는 잘 익게 하고 오랫동안 싱싱하게 보존하여 주고, 또한 물의 정화능력이 있어 꽃꽂이용으로도 적합하다.
국내에서 구입할 수 있는 2차 점토중 바람직한 것은 예산점토, 아산점토, 당진점토 등이 있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토기의 성형에는 환식의 베게타렴 또는 나선형식 베게타렴 썰질법(소품)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토기의 형태로 배가 부르지 않고 입과 믿지름이 같으며 전과 굽이 큰 계란형을 선택할 수도 있다.
토기는 소성중 연(연기)을 먹이거나 안먹이거나 하여 색상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방법에 의하면 단미 그대로 소성중 자연스럽게 재가 달라붙도록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은은하며 잔잔한 색상을 띠어 친근감을 주는 외관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토기를 제조하는 데 바람직한 가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는 가마는 굴 등창(10)부분을 벽돌을 사용하지 않고 흙을 이겨 다져서 만드는 쌀가마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물을 적재하는 가마의 내부 공간은 수직방향으로 상협 하광의 반타원 단면형상을 갖는다.
도1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굴 등창(10)에는 다수개의 창불구멍(11)이 제공된다. 창불구멍(11)은 굴 등창(10)에 대략 20∼60㎝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시키고, 각각은 단면이 장경 약 30㎝ 단경 약 20㎝의 타원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마의 벽체를 이루는 접발(20)은 내화벽돌(예: 내화벽돌 S.K 36)로 제조되며, 전단이 화구(21)를 형성하고 후단이 연돌(40)과 연통한다. 특별히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화구(21)는 입구폭 70∼100㎝, 입구높이 95∼100㎝, 길이 150∼250㎝가 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 참조).
도 3에 자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가마에서 굴판(30)은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넓고 전단부 및 후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굴판(30)은 연돌(40)쪽이 높아지게 수평면과 30°각도로 경사를 이룬다. 접발(20)과 연돌(40)을 이어주는 연통부(22)는 병목을 이루어 열기를 가마 내부에 축적시키는 작용을 한다(도3 참조).
본 가마에서 굴 등창(10)과 굴판(30)은 오부점토, 알루미나 샤모트, 목절점토, 납석분 및 백토를 주원료로 하여 배합한 조합토를 이겨 다져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조합토는 오부점토 35중량%, 알루미나 샤모트 30-중량%, 목절점토 15중량%, 납석분 15중량% 및 백토 5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년 이상 숙성시킨 예산점토:아산점토:당진점토 = 3:3:4 비율의 혼합 2차점토를 3단 롤러 분쇄방식으로 진공토련하여 반죽을 얻고, 이를 환식 베게타렴 썰질법으로 계란형태의 항아리를 성형하였다. 이 기물을 도 1의 가마에 넣고 400∼450℃에서 14시간 가열하는 밑불 공정, 800∼850℃에서 18시간 가열하는 중불 공정, 850∼1200℃에서 12시간 가열하면서 장작수급시마다 천일염을 공급하는 본불 공정, 천일염 투입을 중단하고 1260∼1280℃에서 4시간 가열하는 창불공정으로 이루어진 48시간 동안의 소성하여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토기 항아리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예의 토기 항아리와 일반 옹기 항아리에 김치를 담그어 본 결과, 일반 옹기 항아리에 비해 본 발명 토기 항아리가 김치가 잘 익고 오랫동안 싱싱하게 보존되는 것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토기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통기성과 방수성을 갖는 미세다공 형성으로 토기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안에 담은 음식물을 잘 익게 함과 더불어 오랫 동안 싱싱하게 보존하여 주고, 물의 정화능력이 우수하며, 곡식과 씨앗 등을 넣어 두면 다음해까지 썩지 않고 보관할 수 있는 한편, 소성중 재와 약간의 천일염이 음식물을 썩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고, 단미 그대로 소성중 자연스럽게 재가 달라붙도록 약간의 천일염을 사용하였기에 본 발명 토기는 조심스럽게 사용하면 몇 백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중 깨어지더라도 자연 그대로이기 때문에 완전 무공해 토기이며 땅속에서 쉽게자연으로 되돌아가고, 신라 토기와 같이 은은하며 잔잔한 색상을 띄므로 집안 곳곳에서 장독대, 생활용품, 민간신앙용, 의료용품, 악기, 장식용품 등으로 우리 생활에 폭 넓게 사용되며 자연스럽고 장식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마를 이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갖는 토기를 낮은 코스트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토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차점토를 숙성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이 반죽으로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건조한 기물을 유약을 바르지 않고 1차 소성만을 행하되, 상기 소성단계를 400∼450℃에서 10∼14시간 가열하는 밑불 공정, 800∼850℃에서 15∼18시간 가열하는 중불 공정, 850∼1200℃에서 10∼12시간 가열하면서 장작수급시마다 천일염을 공급하는 본불 공정, 천일염 투입을 중단하고 1260∼1280℃에서 2∼4시간 가열하는 창불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의 제조방법.
  2. 흙을 이겨 다져서 만들며 다수개의 창불구멍(11)이 형성된 아치형 굴 등창(10), 내화벽돌로 이루어지고 전단이 입구를 형성하고 후단이 연돌과 연통하는 접발(20) 및 가마의 바닥을 형성하는 굴판(30)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이 수직방향으로 상협하광의 반타원 단면형상을 갖는 쌀가마형 토기 제조용 가마에 있어서, 굴판(30)이 길이방향 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넓고 전단부 및 후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고, 굴판이 연돌(40)쪽이 높아지게 수평면과 20∼30°각도로 경사를 이루며, 접발과 연돌을 이어주는 연통부(22)가 병목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 제조용 가마.
KR1019990008146A 1999-03-11 1999-03-11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300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46A KR100300133B1 (ko) 1999-03-11 1999-03-11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46A KR100300133B1 (ko) 1999-03-11 1999-03-11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97A KR20000060097A (ko) 2000-10-16
KR100300133B1 true KR100300133B1 (ko) 2001-09-22

Family

ID=1957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146A KR100300133B1 (ko) 1999-03-11 1999-03-11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86B1 (ko) * 2008-10-02 2011-08-10 김인수 한옥용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69B1 (ko) * 2009-10-21 2010-04-28 오창윤 돌가마의 축조 방법
KR101607061B1 (ko) * 2015-09-11 2016-03-28 양웅모 장작 가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86B1 (ko) * 2008-10-02 2011-08-10 김인수 한옥용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097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48B1 (ko)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CN104860652A (zh) 一种烧制建水紫陶的新方法
KR100885391B1 (ko)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20160001393A (ko) 보온성, 통기성, 방부성, 해독 및 정화능력이 뛰어난 전통 옹기용 유약 조성물
CN102992735B (zh) 一种夹炭黑陶的制备方法
KR100300133B1 (ko) 토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73029B1 (ko)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CN106365448A (zh) 多孔隙仿石釉瓷器及制备工艺
KR100432435B1 (ko) 황토용기에 충진하여 굽는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CN100588635C (zh) 一种青陶器皿的制备方法
KR100782367B1 (ko) 황자의 제조방법
KR101628034B1 (ko) 꺼먹이 소성기법을 이용한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분
KR20100100143A (ko) 갈색 유약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선요 제조 방법
KR100311183B1 (ko) 현무암인공제조법
Hessenberg The complete potter: sawdust firing
Khomenko et al.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for obtaining engobed construction articles with the" antiquity" effect
JP4148697B2 (ja) 来待石の焼成方法
Tudball Soda glazing
KR100916551B1 (ko) 숯 성형물이 내장된 도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숯 성형물이 내장된 도기
TW202219014A (zh) 陶土配方
JP4777688B2 (ja) 窯業用窯、焼成方法及び窯業用補助燃料
KR20060012511A (ko) 자죽염 제조 방법 및 장치
JPH11322474A (ja) 菩提樹を使用した釉薬
KR100740438B1 (ko) 카본 도자 조형물
Dewar Stone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