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391B1 -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Google Patents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5391B1 KR100885391B1 KR1020080080788A KR20080080788A KR100885391B1 KR 100885391 B1 KR100885391 B1 KR 100885391B1 KR 1020080080788 A KR1020080080788 A KR 1020080080788A KR 20080080788 A KR20080080788 A KR 20080080788A KR 100885391 B1 KR100885391 B1 KR 100885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ldspar
- glaze
- water
- mixture
- surface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PZZYQPZGQPZBDN-UHFFFAOYSA-N Alumin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O=[Al]O[Si](=O)O[Al]=O PZZYQPZGQPZBD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DLHONNLASJQAHX-UHFFFAOYSA-N aluminum;potassium;oxygen(2-);silicon(4+) Chemical compound [O-2].[O-2].[O-2].[O-2].[O-2].[O-2].[O-2].[O-2].[Al+3].[Si+4].[Si+4].[Si+4].[K+] DLHONNLASJQAH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99 bas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656 alb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HEHRHMRHPUNLIR-UHFFFAOYSA-N aluminum;hydroxy-[hydroxy(oxo)silyl]oxy-oxosilane;lithium Chemical compound [Li].[Al].O[Si](=O)O[Si](O)=O.O[Si](=O)O[Si](O)=O HEHRHMRHPUNLI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SPPOVYALFLURKN-UHFFFAOYSA-N aluminum;silicic acid;sodium Chemical compound [Na].[Al].O[Si](O)(O)O SPPOVYALFLUR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61 anort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0)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597 celsia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649 di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64 nephe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34 nephe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52 orthocla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70 pet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55 plagioclase feldspa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593922 Quercus acutissim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80066 Quercus alie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80053 Quercus dent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80055 Quercus mongol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80065 Quercus serr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80064 Quercus variabi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21 halloy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22 kaol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n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2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claims 2
- 240000008100 Brassica rapa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00498 ball mil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OSGAYBCDTDRGGQ-UHFFFAOYSA-N calcium;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8000010344 co-fir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932 lus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NEYBMLMFCGWSK-UHFFFAOYSA-N AI2O3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YFGZMCJNACEKR-UHFFFAOYSA-N Aluminium(I) oxide Chemical compound [Al]O[Al] BYFGZMCJNACE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7 ceramic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4 quartz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2—Pretreated ingredients
- C03C1/022—Purification of silica sand or other miner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의 표면에 천연 청자기유를 도포하여 도자기의 색상, 질감, 투광성, 광택을 높이는 것으로서, 상기 천연 청자기유는 장석, 석회석, 재, 물토를 일정비율로 혼합하거나 또는 장석, 석회석, 재, 물토, 카올린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 유약 원료에 물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도자기, 소지, 천연, 청자기유, 장석, 석회석, 재, 물토, 카올린, 청자토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도포함으로써 풍부한 질감, 색상 및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그 제조과정에서 유약처리를 하여 색상과 질감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유약의 시초는 나무 가마로 소성로 소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되었던 것으로, 장시간 소성이 진행되던 과정에서 가마 안의 나무의 재가 점토 위에 내려앉게 되었고, 그 재는 나트륨처럼 융제(Flux)의 역할을 하여 점토의 표면을 코팅하여 유면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를 응용하여 재를 물에 섞어 바르기 시작한 것을 그 시초라 할 수 있다.
그 유약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0440821(공고일자 2004.07.21) '토청 유약의 조성물'에서는 도자기류가 갖는 고유의 색상 및 질감을 발현을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10-0414467(공고일자 2004.01.07)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유약'에서는 도자기류 식기 등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약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유약들은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소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이는 유약과 소지가 서로 민감하게 반응하여 도자기의 색상, 질감 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자기에 적합한 유약을 사용함으로써 도자기의 품질을 높이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소지에 적합한 유약을 제공함으로써 도자기의 풍부한 색상과, 질감 및 심미감을 높여 실용성과 함께 작품성을 높일 수 있는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 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물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유약은 장석 20 ~ 50 wt%, 석회석 10 ~ 25 wt%, 재 15 ~ 30 wt%, 물토 12 ~ 26 wt%의 혼합으로 조성되거나 또는 장석 20 ~ 50 wt%, 석회석 10 ~ 25 wt%, 재 15 ~ 30 wt%, 물토 12 ~ 26 wt%, 카올린 12 ~ 23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약 원료(A) 40 ~ 50 wt%와 물(B) 50 ~ 6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으로 기물에 1.0 ~ 1.3mm의 두께로 시유한 후 7 ~ 8시간 동안 850 ~ 900℃까지 승온시킨 후, 최고 900℃에서 25 ~ 40분간 소성하는 초벌구이와, 0.7루베 도염식 가마를 이용하여 8시간 30분 동안 950℃까지 승온시켜 산화소성을 한 후 950℃ 이후부터는 환원소성하여 최종 온도 1,230℃에서 30분간 소성하는 재벌구이하여 제조되는 도자기를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천연 청자기유는 도자기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도자기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산청토 20 ~ 50 wt%와 분청토 50 ~ 80 wt%의 혼합으로 조성하거나, 또는 산청토 12 ~ 26 wt%, 분청토 35 ~ 45 wt%, 청자토 32 ~ 54 wt%의 혼합으로 소지를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 조성물을 반건조 상태에서 물레로 성형하고, 그 성형물에 장식품을 붙인 후 부착된 부분을 정형 칼로 다듬고, 붓 또는 스펀지로 닦아내서 이음새를 깨끗하게 처리하는 성형 및 정형단계와,
상기 성형 및 정형과정을 거친 도자기를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반 건조 상태에서 양각, 상감조각 및 도장을 찍은 후 화장토를 채워 주고, 화장토를 바른 후 음각 조각하는 문양 형성단계와,
문양을 형성한 후 건조한 도자기의 연당을 사포로 연마하고,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유약 처리단계와,
유약 처리된 도자기를 7 ~ 8시간 동안 850 ~ 900℃까지 승온시킨 후, 최고 900℃에서 25 ~ 40분간 소성하는 초벌구이와, 0.7루베 도염식 가마를 이용하여 8시간 30분 동안 950℃까지 승온시켜 산화소성을 한 후 950℃ 이후부터는 환원염으로 소성하여 최종 온도 1,230℃에서 30분간 소성하는 재벌구이를 하는 소성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소지 조성단계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선택은 가소성(可塑性), 입자의 치밀 여부, 건조 및 소성 시 수축(收縮)에 의한 변형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산청토 또는 물토의 적정한 배합비가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소지는 도자기의 표면에 입히게 될 유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그 성분비율은 산청토 20 ~ 50 wt%와 분청토 50 ~ 80 wt%의 혼합으로 조성하 거나, 또는 산청토 12 ~ 26 wt%, 분청토 35 ~ 45 wt%, 청자토 32 ~ 53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성형 및 정형단계
소지 조성단계를 거친 후에는 소지 덩어리를 반건조 한 후 물레로 성형하게 되며, 물레 성형 외에 도안된 형태로 깎아내면서 성형하는 수공예적인 전통방식 또는 원형 채연은 물레성형하고, 장방형 채연은 속파기로 둘 다 5획 채연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된 도자기는 다시 정형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는 성형이 완성된 것에 장식품을 붙인 후 부착된 부분을 정형 칼로 다듬고, 붓이나 스펀지로 닦아내서 이음새를 깨끗하게 처리하는 과정이다.
문양 형성단계
상기 성형 및 정형과정을 거친 도자기를 완전히 건조하기 전에 반 건조 상태에서 양각을 하고, 상감조각 및 도장을 찍은 후 화장토를 채워 주며, 조화기법은 화장토를 바른 후 음각 조각한다. 상기 화장토는 백색 화장토, 흑색 화장토 또는 적색 화장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한다.
화장토는 백색도가 높고, 소지 및 표면의 결함을 감출 수 있는 양호한 피복력을 가지며, 건조와 소성을 수반한 수축기간 동안에도 강한 부착력이 있어 쉽게 균열이 생기거나 벗겨지지 않아야 한다.
상기 백색 화장토는 규석 40 ~ 60 wt%, 와목 20 ~ 45 wt%, 장석 12 ~ 25 wt%, 알루미나 0.2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규석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나 암석을 총칭하는 것으로, 암석권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59.12%에 달하는 주요 산화물로서, 그 대부분은 규산염을 이루고 있다. 백색 화장토를 이루기 위한 규석의 사용량은 40 ~ 60 wt%로서, 40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6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규석은 40 ~ 60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목은 화강암질의 암석이 풍화, 분해하여 된 진흙으로서, 백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20 ~ 45 wt%로 사용되며,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4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와목은 20 ~ 4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석은 칼륨장석(orthoclase), 나트륨장석(albite), 칼슘장석(anorthite), 바륨장석(celsian), 사장석(plagioclase), 리튬장석(petalite), 하석(nephel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12 ~ 2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12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2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석은 12 ~ 2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나는 백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0.2 ~ 1.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0.2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1.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알루미나는 0.2 ~ 1.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색 화장토는 백화장토 3 ~ 15 wt%, 와목 35 ~ 55 wt%, 규석 35 ~ 55 wt%, 적토 5 ~ 15 wt%, 철 0.1 ~ 0.7 wt%, 코발트 0.25 ~ 0.95 wt%, 크롬 0.01 ~ 0.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백화장토는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3 ~ 1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3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1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백화장토는 3 ~ 1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목은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35 ~ 5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35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5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와목은 35 ~ 5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석은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35 ~ 5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35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5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규석은 35 ~ 5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토는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5 ~ 1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5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1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적토는 5 ~ 1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은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0.1 ~ 0.7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0.7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철은 0.1 ~ 0.7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발트는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0.25 ~ 0.9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0.25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0.9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발트는 0.25 ~ 0.95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롬은 흑색 화장토 전체 중량에 대해 0.01 ~ 0.10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0.01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복력이 떨어질 수 있고, 0.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크롬은 0.01 ~ 0.10 wt%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양이 끝난 것은 건조 과정에 들어가는데, 이는 기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과정으로, 도자기의 제작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기물보다 무게감을 주기 위해 두껍게 하였으므로, 건조시 균열과 파손이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바닥에 천이나 종이를 깔고 뒤집어가며 그늘에서 천천히 말리는 것이 중요하다.
유약 처리단계
시유 전 초벌된 기물의 파손여부를 확인하고 연당(먹을 가는 곳)은 사포로 연마하여 곱게 다듬는다.
초벌 된 도자기의 바닥면에 라텍스(화공품)를 붓으로 칠해 시유 후 걷어내면 깔끔하게 처리되어 마묵(磨墨)과 발묵(髮墨)을 좋게 한다. 시유 전 인화문에 적색 화점을 붓으로 찍어준다. 이 후 유약작업을 하는데 시유방식은 담금법과 분무법으로 한다.
시유는 기물의 표면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으로 유약은 기물의 표면에 융착되는 유리질로 된 균산염이다. 시작품에 사용된 유약은 천연 청자기유로서, 장석 20 ~ 50 wt%, 석회석 10 ~ 25 wt%, 재 15 ~ 30 wt%, 물토 12 ~ 26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약 원료(A) 40 ~ 50 wt%와 물(B) 50 ~ 6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장석 20 ~ 50 wt%, 석회석 10 ~ 25 wt%, 재 15 ~ 30 wt%, 물토 12 ~ 26 wt%, 카올린 12 ~ 23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약 원료(A) 40 ~ 50 wt%와 물(B) 50 ~ 6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장석은 칼륨장석(orthoclase), 나트륨장석(albite), 칼슘장 석(anorthite), 바륨장석(celsian), 사장석(plagioclase), 리튬장석(petalite), 하석(nephel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장석은 용융점이 낮고, 특히 카오린, 석영 등에 대하여 플럭스(flux)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자기 소지나 유약에 많이 이용된다.
상기 장석의 분쇄는 장석과 물의 혼합비율을 1:1 중량비로 하여 볼밀로 23 ~ 25시간 동안 분쇄하고 200mesh 체가름한 후 건조시켜 다시 50mesh 체가름한다.
상기 장석은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20 ~ 50 wt%의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20 wt%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 발현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유약의 유동성이 떨어져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장석은 20 ~ 50 wt%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회석은 칼슘 성분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수성암의 종류로서, 화학식은 CaCO3로써 유약에 첨가되어 유약의 표면을 부드럽고 고르게 해주며 유탁 작용을 한다. 상기 석회석은 비표면적 2.75 ~ 3.26 ㎡/g, pH 9.78의 미정질 방해석형 광석, 비표면적 3.14 ㎡/g, pH 9.87의 미정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7 ㎡/g, pH 9.77의 조립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6 ~ 3.30 ㎡/g, pH 9.85의 거정질 방해석형 광석 중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선택하여 물과 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1 ~ 12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고 200mesh 체가름한 후 건조시켜 다시 50mesh체가름한다.
상기 석회석은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0 ~ 2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의 발현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5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유약의 유동성이 떨어짐으로써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자기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석회석은 10 ~ 25 wt%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는 참나무 재로서,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 variabilis), 신갈나무(Q. 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참나무를 이용하여 공기가 통하는 조건에서 3 ~ 4일간 태워 제조된 것으로 그 입도가 1 ~ 14㎛인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참나무 재는 백자기 유약에는 부적당하지만 청자유에는 Fe2O3를 첨가하지 않아도 유를 두껍게 씌움에 따라서 적당한 청자유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재는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5 ~ 30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용융온도 및 소성 색상에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토는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2 ~ 26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12 wt%미만인 경우에는 광택 발현 및 색상이 떨어질 수 있고, 26 wt%를 초과하 는 경우에는 도자기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물토는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2 ~ 26 w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올린은 경도 2 ~ 2.5, 비중 2.6인 육간판상 결정의 카올린나이트(koalinite), 넥크라이트(nacrite), 딕카이트(dickite) 또는 튜브상의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중 어느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카올린나이트(koalinite), 넥크라이트(nacrite), 딕카이트(dickite)는 화학식 Al2O2·2SiO2·4H2O로 표시되고, 상기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는 화학식 Al2O3·2SiO2·4H2O로 표시된다.
상기 카올린의 분쇄는 카올린과 물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볼밀을 이용하여 23 ~ 25시간 동안 분쇄한 후 200mesh 체가름하고 건조시켜 다시 50mesh 체가름 한다.
상기 카올린에는 유약의 점도를 높여주고 단단하게 해 주는 안정제의 역할을 하는 알루미나(Al2O3)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2 wt%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약의 점도가 떨어져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고, 23 wt%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유약의 균일한 도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카올린은 천연 청자기유 전체 중량에 대해 12 ~ 23 w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단계
소성과정은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로 구분되며, 상기 초벌구이는 도자기의 강도와 흡수성을 증대시키고 유약과 밀착력을 조장하여 시유 할 때 편리하게 하여 기물의 파손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7 ~ 8시간 동안 850 ~ 900℃까지 승온시킨 후, 최고 900℃에서 25 ~ 40분간 소성한다.
이때 소성방법으로는 산화, 환원 또는 중성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방법을 택하여 진행한다.
초벌구이를 완료한 후에는 재벌구이를 진행하게 되며, 상기 재벌구이는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서, 소성에 따라 기물의 생산과 질이 결정되므로 정확한 온도로 소성하여야 한다. 0.7루베 도염식 가마를 이용하여, 950℃까지 산화소성을 한 후 950℃ 이후부터는 환원염으로 소성하여 최종 온도 1,230℃에서 30분간 소성하는 것으로, 재벌구이의 소성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8시간 30분이다.
상기 산화소성은 연소실 내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가 완전 연소될 수 있는 상태에서 기물을 구워내는 소성 방법으로서, 가마 내부의 공기 흐름을 좋게 하여 산소의 공급을 충분히 함으로써 소지(素地)나 유약에 포함된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환원소성은 산소 공급을 줄이고 연료의 양을 많이 하여 불완전 연소 상태에서 기물을 구워내는 소성 방법으로서, 가마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유약과 점토에 함유된 화학 성분들을 변화시켜 좋은 색상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는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소지의 표면에 장석, 석회석, 재, 물토 또는 장석, 석회석, 재, 물토, 카올린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약을 사용함으로써 풍부한 질감과 색상을 표현함으로써 도자기로서의 실용성과 예술적인 작품성을 높일 수 있는 도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자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천연 청자기유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실시 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시 예 1
장석 20㎏, 석회석 25㎏, 재 30㎏, 물토 25㎏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약 원료를 조성한다.
실시 예 2
장석 20㎏, 석회석 20㎏, 재 25㎏, 물토 18㎏, 카올린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약 원료를 조성한다.
실시 예 3
실시 예 1의 유약원료 45㎏과 물 55㎏의 비율로 혼합으로 천연 청자기유를 조성한다.
실시 예 4
실시 예 2의 유약원료 47㎏과 물 53㎏의 비율로 혼합으로 천연 청자기유를 조성한다.
Claims (7)
- 산청토, 분청토 또는 청자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물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유약은 장석, 석회석, 재, 물토의 혼합으로 조성된 유약 원료(A)와 물(B)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에 있어서,상기 유약원료(A)와 물(B)의 혼합비율은 유약 원료(A) 40 ~ 50 wt%와 물(B) 50 ~ 60 wt%로서,상기 유약원료(A)는 칼륨장석(orthoclase), 나트륨장석(albite), 칼슘장석(anorthite), 바륨장석(celsian), 사장석(plagioclase), 리튬장석(petalite), 하석(nephel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으로서, 상기 장석과 물을 1:1 중량비로 하여 23 ~ 25시간 동안 볼밀 분쇄한 후 200mesh 체가름하여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mesh체가름하여 분쇄물로 제조된 장석 20 ~ 50wt%,비표면적 2.75 ~ 3.26 ㎡/g, pH 9.78의 미정질 방해석형 광석, 비표면적 3.14 ㎡/g, pH 9.87의 미정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7 ㎡/g, pH 9.77의 조립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6 ~ 3.30 ㎡/g, pH 9.85의 거정질 방해석형 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으로서, 상기 석회석과 물을 1:1 중량비로 하여 11 ~ 12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고 200mesh 체가름하여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mesh체가름하여 분쇄물로 제조된 석회석 10 ~ 25wt%,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variabilis),신갈나무(Q.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참나무를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3 ~ 4일간 태워 제조된 것으로 그 입도가 1 ~ 14㎛인 재 15 ~ 30 wt%,물토 12 ~ 26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제 1항에 있어서,유약 원료(A)는 칼륨장석(orthoclase), 나트륨장석(albite), 칼슘장석(anorthite), 바륨장석(celsian), 사장석(plagioclase), 리튬장석(petalite), 하석(nepheli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으로서, 상기 장석과 물을 1:1 중량비로 하여 23 ~ 25시간 동안 볼밀 분쇄한 후 200mesh 체가름하여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mesh체가름하여 분쇄물로 제조된 장석 20 ~ 50 wt%,비표면적 2.75 ~ 3.26 ㎡/g, pH 9.78의 미정질 방해석형 광석, 비표면적 3.14 ㎡/g, pH 9.87의 미정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7 ㎡/g, pH 9.77의 조립질 대리암형 광석, 비표면적 2.96 ~ 3.30 ㎡/g, pH 9.85의 거정질 방해석형 광석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으로서, 상기 석회석과 물을 1:1 중량비로 하여 11 ~ 12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고 200mesh 체가름하여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mesh체가름하여 분쇄물로 제조된 석회석 10 ~ 25 wt%,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굴참나무(Q. variabilis), 신갈나무(Q. 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갈참나무(Q. aliena), 떨가나무(Q. dent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참나무를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3 ~ 4일간 태워 제조된 것으로 그 입도가 1 ~ 14㎛인 재 15 ~ 30 wt%,물토 12 ~ 26 wt%,경도 2 ~ 2.5, 비중 2.6인 육간판상 결정의 카올린나이트(koalinite), 넥크라이트(nacrite), 딕카이트(dickite) 또는 튜브상의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인 것으로서, 상기 카올린과 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23 ~ 25시간 동안 볼밀 분쇄하고 200mesh 체가름하여 건조하고, 이를 다시 50mesh체가름하여 분쇄물로 제조된 카올린 12 ~ 23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유약은 기물에 1.0 ~ 1.3mm의 두께로 시유한 후 7 ~ 8시간 동안 850 ~ 900℃까지 승온시킨 후, 최고 900℃에서 25 ~ 40분간 소성하는 초벌구이와, 0.7루베 도염식 가마를 이용하여 8시간 30분 동안 950℃까지 승온시켜 산화소성을 한 후 950℃ 이후부터는 환원소성하여 최종 온도 1,230℃에서 30분간 소성하는 재벌구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788A KR10088539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0788A KR10088539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5391B1 true KR100885391B1 (ko) | 2009-02-24 |
Family
ID=4068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0788A KR100885391B1 (ko) | 2008-08-19 | 2008-08-19 |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539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764B1 (ko) | 2012-09-26 | 2013-07-26 | 이장수 | 철(Fe)을 함유하는 화장토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CN103407322A (zh) * | 2013-08-26 | 2013-11-27 | 郑剑峰 | 具有肌理特征的昆虫翅膀工艺品的烧造工艺 |
KR101403872B1 (ko) * | 2012-12-12 | 2014-06-19 | 양구군 | 고투명성을 발현하는 백자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20180019259A (ko) * | 2016-08-16 | 2018-02-26 | (주)광주요 | 고경도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경도 도자기의 제조방법 |
CN110776255A (zh) * | 2019-11-25 | 2020-02-11 | 中国冶金地质总局第一地质勘查院 | 一种天然矿物-钙长石微晶釉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
KR102082647B1 (ko) * | 2019-07-04 | 2020-02-28 | 유미숙 | 도토리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4746A (ko) * | 2001-09-28 | 2001-11-28 | 김현규 | 토청(土靑) 유약의 조성물 |
KR20020030071A (ko) * | 2002-04-09 | 2002-04-22 | 김동규 | 청자 유약의 제조 방법 및 도포 방법 |
-
2008
- 2008-08-19 KR KR1020080080788A patent/KR1008853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4746A (ko) * | 2001-09-28 | 2001-11-28 | 김현규 | 토청(土靑) 유약의 조성물 |
KR20020030071A (ko) * | 2002-04-09 | 2002-04-22 | 김동규 | 청자 유약의 제조 방법 및 도포 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764B1 (ko) | 2012-09-26 | 2013-07-26 | 이장수 | 철(Fe)을 함유하는 화장토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KR101403872B1 (ko) * | 2012-12-12 | 2014-06-19 | 양구군 | 고투명성을 발현하는 백자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CN103407322A (zh) * | 2013-08-26 | 2013-11-27 | 郑剑峰 | 具有肌理特征的昆虫翅膀工艺品的烧造工艺 |
CN103407322B (zh) * | 2013-08-26 | 2016-01-20 | 郑剑峰 | 具有肌理特征的昆虫翅膀工艺品的烧造工艺 |
KR20180019259A (ko) * | 2016-08-16 | 2018-02-26 | (주)광주요 | 고경도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경도 도자기의 제조방법 |
KR101865750B1 (ko) | 2016-08-16 | 2018-06-08 | (주)광주요 | 고경도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고경도 도자기의 제조방법 |
KR102082647B1 (ko) * | 2019-07-04 | 2020-02-28 | 유미숙 | 도토리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0776255A (zh) * | 2019-11-25 | 2020-02-11 | 中国冶金地质总局第一地质勘查院 | 一种天然矿物-钙长石微晶釉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
CN110776255B (zh) * | 2019-11-25 | 2022-06-17 | 中国冶金地质总局第一地质勘查院 | 一种天然矿物-钙长石微晶釉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5391B1 (ko) |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
CN106986540B (zh) | 一种下陷剥开大理石釉制作配方 | |
CN105924230B (zh) |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 |
CN105000916A (zh) | 用陶瓷废料制造的表面具有石状光泽的釉面砖及其制备方法 | |
KR101466965B1 (ko) |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 |
KR100873029B1 (ko) | 천연 소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 |
CN106045579A (zh) | 一种具有水波纹釉的天青色瓷器及其烧制方法 | |
KR100945787B1 (ko) |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 |
CN1583658A (zh) | 彩色釉中彩瓷及其制备方法 | |
CN105198386B (zh) | 一种以炉膛渣及废料为主料的轻质陶瓷砖及其制造方法 | |
CN104150965A (zh) | 一种铜红釉料配方及铜红釉瓷器的制作工艺 | |
CN107266023A (zh) | 表面温润如玉有透光性的喷墨渗花瓷质抛光砖及制备方法 | |
CN107098584A (zh) | 一种釉料隔离印彩陶瓷器的制备方法 | |
CN104773997A (zh) | 一种绞胎陶瓷仿古砖的制备方法 | |
KR100727375B1 (ko) | 표면처리가 된 점토 벽돌 제조방법 | |
CN110903080B (zh) |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喷墨渗透抛光砖及其制备方法 | |
CN110845252B (zh) |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仿古砖及其制备方法 | |
CN106986538A (zh) | 一种喷彩结晶釉陶瓷器的制备方法 | |
KR101424594B1 (ko) |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
CN106830881A (zh) | 日用陶瓷窑变色釉产品的生产方法 | |
KR20160008334A (ko) |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 |
JP2007022882A (ja) | 釉薬、それを使用した焼物の製法及び焼物 | |
CN109987920A (zh) | 一种环保日用陶瓷碗制作工艺 | |
KR100387919B1 (ko) |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 |
CN109485383A (zh) | 一种菱形花瓶钧瓷工艺品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