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348B1 -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348B1
KR101275348B1 KR1020110097187A KR20110097187A KR101275348B1 KR 101275348 B1 KR101275348 B1 KR 101275348B1 KR 1020110097187 A KR1020110097187 A KR 1020110097187A KR 20110097187 A KR20110097187 A KR 20110097187A KR 101275348 B1 KR101275348 B1 KR 10127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eladon
glaze
clay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231A (ko
Inventor
김갑용
Original Assignee
김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용 filed Critical 김갑용
Priority to KR102011009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3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석, 규석, 석회석, 물토, 카올린, 와목, 황토 및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포함하는 녹청자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약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녹청자에 숨쉬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유약이 가마에서 융용될 때 기면의 표면에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신비스러운 멋을 느낄 수 있고, 녹청자 고유의 전통의 미를 살리면서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을 사용함으로 기물에 통기성(숨을 쉬는 기능)을 부여하여 웰빙 생활도자기로서 손색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Glaze composition for green celadon and method for preparing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성물 유약은 장석, 규석, 석회석, 물토, 카올린, 와목, 황토, 및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포함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원료인 태토를 조합 성형한 후 성형물을 가마에 넣고 초벌소성하고, 초벌소성된 상태에 유약을 입혀 재벌소성하여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자기는 표면이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매끄럽고 무광택이 나는데, 이는 초벌소성된 상태의 표면에 유약을 입혀 재벌소성하였기 때문이며, 이러한 유약은 도자기의 품질과 외관의 미려함과 예술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약은, 도자기의 표면에 점착되는 얇은 유리층으로서 자기의 흡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킴은 물론 도자기에 튼튼한 강도를 부여한다. 즉, 유약은 도자기나 옹기류 등의 표면에 칠해지고 열처리 융착되어 그 표면에 광택 또는 무광택의 표면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제로서, 투수성을 없애고 미적 효과를 크게 하고 아울러 도자기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를 부가한다.
도자기류의 표면에 칠해져서 소성에 의해 광택을 띄게 하는 유약은 통상 장석, 규석, 석회석, 광명단, 활석, 형석, 골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량의 안료가 첨가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들 성분 중에서 납 또는 산화납을 40℃ 이상으로 가열하여 얻어지는 광명단은, 인체에 해로운 오염물질일 뿐 아니라 칠작업 과정에서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또한 소성과정에서 배연과 함께 공기 중으로 발산되어 오염을 일으키는 유독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종래의 도자기용 유약은 별도의 안료를 섞음으로써 도자기의 색을 냈으나, 이는 과거 중국이나 고려, 조선시대의 청자나 백자와 같은 고급스러우면서도 은근한 자연미를 살리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녹청자의 제조에 사용되던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 등)은 주로 참나무재, 소나무 잡재 등을 태운 재를 물에 풀어서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종래 유약은 주루륵 흘러내리는 형식으로 흐르는 부분이 검어져 혐오스럽고 징그러운 비호감의 느낌이 표출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유약은 낮은 온도에서 소성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해 깨지기 쉬우며 높은 흡수성으로 장기간 사용 시 세균감염의 위험이 높아 생활용기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태토 또한 종래의 것은 입도가 고운 일반토를 구입하여 단순 사용함으로 기물자체의 통기성(숨을 쉬는 기능)이 부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0831251호 국내등록특허 제048195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녹청자에 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약이 가마에서 융용될 때 녹청자 기면의 표면에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신비스러운 멋을 느낄 수 있고, 전통의 미를 살리면서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청자 제조 시 태토의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사용함으로써 녹청자에 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부여되어 식품 저장 시 음식의 맛과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 및 장기보관성이 우수한 녹청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소성하여 강도가 높음으로써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 등)의 사용 시 저온소성으로 인하여 잘 깨지는 문제점과 저온소성으로 자화가 안 되어 흡수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 시 세균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를 보완하여, 쉽게 깨지지 않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세균감염이 낮은 녹청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솔방울재는 겨울을 지나 3~4월에 소나무 열매인 솔방울을 채취하여 건조하여 태운 솔방울재를 80~120목에 볼밀한 후 체로 걸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 및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다른 일예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 및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방울을 건조한 후 태워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제조하는 단계; 황토, 점토 및 약토(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가 완료된 도자기에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 및 상기 제조된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10중량%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를 건조시킨 후, 고온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태토 조합물은 거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를 3~4월에 채취하여 거친 알갱이만을 제거해 40~60목에 볼밀한 후 채로 걸러 수분을 제거한 후 얻어진 생흙과 옹기토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소성은 1,250 내지 1,350℃의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녹청자는 식기류, 다기, 다완, 쌀독, 장독, 제례용기, 문방구, 화장용기, 욕조, 변기, 건축용 타일(십장생 문양의 도판 등), 악기류, 장식품, 또는 십이지 문양의 악세사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녹청자에 통기성(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유약이 가마에서 융용될 때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기면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신비스러운 멋을 느낄 수 있고, 녹청자 고유의 전통의 미를 살리면서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녹청자 제조 시 태토의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사용하여 기물이 만들어지므로 통기성(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부여되어 식품 저장 시 음식의 맛과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 및 장기보관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균감염의 위험이 낮은 특성이 있다. 또환,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 등)을 사용한 도자기는 낮은 온도에서 구워지므로 쉽게 깨지고 흡수성이 높아 장기간 사용 시 세균감염이 매우 높고, 겉표면이 혐오스러우며 비호감적이나 본 발명의 녹청자는 고온에서 소성함으로 녹청자 고유의 고풍스러우면서 쉽게 깨지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균감염의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솔방울재를 함유하는 유약을 도포하여 제조한 녹청자 쌀독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솔방울재를 함유하는 유약을 도포하여 제조한 녹청자 다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황토, 점토 및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솔방울재를 함유하는 유약을 도포하여 제조한 녹청자 내장인테리어용 파일(도판)의 사진이다.
도 4는 종래 이라보식 녹유약을 사용하여 제조한 녹청자 쌀독의 사진이다.
도 5는 종래 이라보식 녹유약을 사용하여 제조한 녹청자 다완의 사진이다.
도 6은 종래 이라보식 녹유약을 사용하여 제조한 녹청자 내장인테리어용 파일(도판)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옛 조상님들이 어떤 거친 태토와 유약을 사용해 녹청자를 생산하였는지에 관한 문헌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전국서점과 도서관을 전전한 끝에 문헌으로는 알아볼 길이 없어 고민하던 끝에, 본 발명자는 인천 서구 경서동 녹청자 발굴 도요지(사적211호)를 찾아 부근에서 조상님들의 녹청자 파편을 주워 그 파편을 부수어 깨보고 또 성능을 분석하여 거친 태토 생흙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겉표면 유약의 생김새(결정체)를 보아 재유(회유)와 점토 등을 섞어 유약을 만들어 엷게 시유한 것으로 보아 녹청자를 만들기 위하여 옛 조상님(약 천년전 도공)들은 주로 칼리장석계, 도석계, 황토, 점토, 소나무재, 잡재, 등을 이용하여 만들었음을 알았고, 이를 토대로 추정하여 거친 태토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과 유약 조성물로 소나무재, 잡재, 등을 대신해 본 연구소에서는 알칼리가 제거된 솔방울재를 활용한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오린, 물토, 와목, 황토와 함께 접목하여 사용함으로서 소성 범위가 넓은 질 좋은 우리 고유의 전통의 생활 그릇인 녹청자가 만들어지는 것을 터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녹청자를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다방면으로 연구하여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력 끝에 얻어낸 값진 발명으로,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를 현대인들의 정서에 맞게 재현한데 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솔방울은 겨울을 지나 3~4월에 소나무 열매인 솔방울을 채취하는 것이 좋은데, 소나무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것을 주워서 사용하여도 좋다.
종래 알칼리성 잿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 재를 울겨 낸 후 물을 제거하는 것을 수회 반복함으로 번거롭고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솔방울 내 수분 함량이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10중량%가 되도록 완전히 건조한 후 850~950℃의 초벌구이가마 굴뚝 뒤에서 태워 솔방울재로 만든 다음, 채취한 재를 80~120목 볼밀한 후 채로 걸러내는 간단한 방법으로 솔방울재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솔방울재는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에 사용되어 고온소성 시 높은 온도에서 녹는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오린, 물토, 와목, 등과는 달리 낮은 온도에서 먼저 녹음으로써 유약이 가마에 융용될 때 녹청자 기면의 표면에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우면서 신비로운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솔방울재와 황토의 용량이나, 가마불(요변)에 따라 연록색, 녹갈색, 황록색, 암록색 등 다양한 색깔을 표현할 수 있어 현대인의 기호에 맞게 적절히 색을 표현할 수 있고, 녹청자 고유의 고풍스러운 멋을 낼 수 있다.
상기 솔방울재는 유약 조성물에 3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녹청자 표면에의 문양 형성과 색깔 표현이 부족할 수 있으며,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녹청자 표면에 형성된 문양과 촉감이 거칠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상기 솔방울재 이외에 장석, 규석, 석회석, 물토, 카올린, 와목 및 황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석은 낮은 온도에서 잘 녹고, 알칼리 성분이 다른 광물질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른 광물과 융합이 잘 되고 응집력이 우수하여 유약의 원료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규석은 유리질이 주성분으로 유약의 중추역할을 하며, 석회석은 표면의 광택과 유연성에 영향을 준다
물토는 물에 녹여 둔 흙으로, 유약의 원료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카올린은 고령토, 하동백토라도고 하며, 장석과 석회석을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투명유에 사용되어 얼룩을 방지하고, 뜻하는 색이 잘 표현되도록 한다.
와목은 유약에 소량으로 사용되어 유약이 바닥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황토는 황토흙을 채취하여 물에 풀어 흙물을 만든 후 80~120목의 볼밀을 이용하여 채로 걸러 사용하며, 유약 조성물에 사용되어 철분성분을 함유하므로 초록색을 띄게 하는 산화철 대체물로 사용함으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온소성 시 솔방울재와 함께 낮은 온도에서 녹아 녹청자 표면에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장석, 규석, 석회석, 카올린, 와목 및 황토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에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장석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광물들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유약의 말림현상이 나타나고, 유약의 색깔이 탁해지고 광택이 줄어들며, 원하는 수준의 무광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규석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유약에 광택이 줄어들고, 유약 결정체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석회석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유약 결정체 형성이 어렵고, 유약이 녹는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물토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유약의 색깔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카올린과 와목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유약의 점성이 너무 무르거나, 너무 거칠어질 수 있고, 원하는 색깔을 낼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황토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다양한 색깔을 내기 어려울 수 있고,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미미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상기 솔방울재 이외에 이오장석 15~25중량%, 청주석회석 20~40중량%, 서산물토 30~45중량%, 와목점토 2~7중량%, 황토 1~10중량%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녹청자는 솔방울을 건조한 후 태워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제조하는 단계;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 및 상기 제조된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10중량%를 포함하는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를 건조시킨 후, 고온소성하는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청자는 솔방울을 건조한 후 태워 솔방울재를 제조하는 단계;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한 도자기에 이오장석 15~25중량%, 청주석회석 20~39중량%, 서산물토 30~45중량%, 와목점토 2~7중량%, 황토 1~10중량% 및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10중량%를 포함하는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를 건조시킨 후, 고온소성하는 단계;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솔방울재의 제조와 유약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함으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초벌구이가 완료된 도자기에 도포한다. 구체적으로, 도자기에 그려진 그림이나 문양 등의 무늬가 손상되지 않도록 기물의 끝 부분을 잡고 유약에 담가 골고루 묻도록 돌려내어 건져 유약을 도포하거나, 도자기 표면에 스프레이하여 유약을 도포하는 방법 등으로 유약을 도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자기 제조 시 황토질의 철분 성분이 많이 함유된 거친 태토의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를 3~4월에 채취하여 거친 알갱이만을 제거해 40~60목에 볼밀한 후 채로 걸러 수분을 제거한 후 얻어진 생흙과 옹기토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녹청자에 옹기와 같은 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는 건조 후 고온소성한다.
상기 소성은 1,250 내지 1,350℃의 고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성이 1,25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경우 제조된 녹청자의 강도가 약하게 되어 쉽게 깨질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높아져 장기간 사용 시 세균감염이 매우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고온에서 소성함으로서 강도를 강하게 하여 쉽게 깨지지 않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균감염이 쉽게 되지 않도록 단단한 녹청자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녹청자는 그 적용범위가 단순히 그릇이나 장식을 위한 도자기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도자기로 제조할 수 있는 모든 범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녹청자는 식기류, 다기, 다완, 장독, 쌀독, 제례용기, 문방구, 화장용기, 욕조, 변기, 건축용타일, 십장생 문양의 도판, 악기류, 장식품, 또는 십이지 문양의 악세사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녹청자는 인체에 무해하고, 통기성(숨쉬는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가지며, 유약이 가마에 유용될 때 기면의 표면에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져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이 형성됨으로써 신비스러운 멋을 느낄 수 있고, 녹청자 고유의 전통의 미를 살리면서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녹청자 제조 시 태토의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을 사용함으로써 녹청자에 통기성(숨쉬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출 효과로 식품 저장 시 음식의 맛과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저장성 및 장기보관성이 우수하며,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여 강도가 높아 쉽게 깨지지 않고 그릇으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세균감염의 위험이 적은 실용적인 용기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옛 것에 바탕을 두고 한편으로는 오늘날 현대인들의 정서와 고급문화에 길들여진 수준에 맞추어 현실성 있는 제품으로 제조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를 현대인들의 정서에 맞게 재현함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약 조성물 제조
겨울을 지나 3~4월에 바닥에 떨어져 있는 솔방울을 채취하여 솔방울 내 수분 함량이 10중량% 미만이 되도록 완전히 건조한 후 초벌구이(850~950℃)시 가마 굴뚝 뒤에서 태워 솔방울재를 얻어 80~120목의 볼밀한 후 체에 걸러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준비하였다.
황토흙을 채취하여 물에 풀어 흙물을 만든 후 80~120목의 볼밀한 후 채로 걸러 황토를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솔방울재 3중량%와 황토 10중량%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2~3시간 동안 혼합하고, 여기에 장석 20중량%, 규석 0.5중량%, 석회석 32중량%, 물토 31중량%, 카올린 0.5중량% 및 와목 3중량%를 첨가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질하게 혼합한 후, 80~120목의 채에 걸러 유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녹청자 쌀독 제조
태토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과 옹기토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사용하여 쌀독을 빚은 후 초벌구이가 완료된 쌀독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1,350℃에서 소성하여 녹청자 쌀독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완 제조
태토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과 옹기토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완을 빚은 후 초벌구이가 완료된 다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1,300℃에서 소성하여 녹청자 다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장 인테리어용 타일(도판) 제조
태토 조합물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의 생흙과 옹기토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사용하여 타일(도판)을 빚은 후 초벌구이가 완료된 타일(도판)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1,350℃에서 소성하여 녹청자 타일(도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쌀독 제조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을 도포하여 녹청자 쌀독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다완 제조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을 도포하여 녹청자 다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내장 인테리어용 타일(도판) 제조
종래 유약(이라보식 녹유약)을 도포하여 녹청자 내장 인테리어용 타일(도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녹청자 쌀독, 다완 및 내장 인테리어용 타일(도판)의 사진을 각각 도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3은 실시예 2 내지 4의 쌀독, 다완, 타일의 사진이고, 도 4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의 쌀독, 다완, 타일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녹청자 쌀독, 다완, 타일은 각각 거친 태토를 사용하여 겉표면의 유약 상태가 다소 거칠으나, 숨을 쉬는 전형적인 기능을 가진 쌀독으로, 표면에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퍼쳐 뭉쳐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하였고, 신비스러운 멋과 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4 내지 6의 종래 이라보식 녹유약을 사용하여 제조한 쌀독, 다완, 타일의 경우에는 갈색계통으로 유약이 고르지 않아 미적인 감각이 현저히 부족하고, 겉표면에 혐오스럽고 징그러우며 비호감의 유약 흐르는 문양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녹청자 쌀독의 표면 문양, 색깔 및 강도 흡수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면 문양과 색깔은 실험대상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육안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동일 높이에서 낙하하여 깨지는지를 관찰하여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1
표면 문양 작은 결정체로 알알이 뭉쳐 있는 자연스러운 문양이 형성됨 유약이 흐른 부분이 검게 되어 혐오스러움
색깔 자연스럽고 신비로운 색 검고 혐오스러운 색
강도 깨지지 않음 깨짐
세균성위험 및 흡수력 실험 세균성 위험이 매우 낮고
흡수력이 약함
세균성 위험이 매우 높고 흡수력이 강함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2의 녹청자 쌀독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표면 문양이 자연스럽고 신비로우며, 색깔 또한 비교예 1과는 달리 자연스럽고 신비로운 색을 나타내어 기존의 녹청자에 비하여 다양한 색 표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도에 있어서도 동일 높이에서 낙하한 결과, 비교예 1의 쌀독은 깨지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녹청자 쌀독은 깨지지 않아 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흡수력에 있어서도, 20명을 대상으로 유약이 묻지 않은 쌀독 굽에다 입술을 대 실험하는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비교예 1의 쌀독은 흡수력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 2의 녹청자 쌀독은 흡수력이 적음을 보여 세균 감염의 위험이 적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녹청자 쌀독에 쌀을 넣어 보관하고, 수개월이 지난 후 살펴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녹청자 쌀독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고 처음 보관 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반하여, 비교예 1의 쌀독에는 벌레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2의 녹청자는 음식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고, 저장성 및 장기보관성이 우수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8)

  1.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이오장석 15~25중량%, 청주석회석 20~40중량%, 서산물토 30~45중량%, 와목점토 2~7중량%, 황토 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방울재는 겨울이 지나 3~4월에 소나무 열매인 솔방울을 채취하여 건조하여 태운 솔방울재를 80~120목에 볼밀한 후 채에 걸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5. 솔방울을 건조한 후 태워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를 제조하는 단계;
    황토, 점토 및 약토(藥土)의 생흙을 조합한 태토 조합물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가 완료된 도자기에 장석 15~25중량%, 규석 0.1~0.5중량%, 석회석 20~39중량%, 물토 30~45중량%, 카올린 0.2~1중량%, 와목 2~7중량%, 황토 10~20중량% 및 상기 제조된 알칼리성 잿물이 제거된 솔방울재 3~10중량%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를 건조시킨 후, 고온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토 조합물은 거친 황토, 점토 및 약토(rotten leaves, leaf compost, 藥土)를 3~4월에 채취하여 거친 알갱이만을 제거해 40~60목에 볼밀한 후 채로 걸러 수분을 제거한 후 얻어진 생흙과 옹기토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은 1,250 내지 1,3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녹청자는 식기류, 다기, 다완, 장독, 쌀독, 제례용기, 문방구, 화장용기, 욕조, 변기, 건축용 타일, 십장생 문양의 도판, 악기류, 장식품,또는 십이지 문양의 악세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청자의 제조방법.
KR1020110097187A 2011-09-26 2011-09-26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KR10127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187A KR101275348B1 (ko) 2011-09-26 2011-09-26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187A KR101275348B1 (ko) 2011-09-26 2011-09-26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231A KR20130033231A (ko) 2013-04-03
KR101275348B1 true KR101275348B1 (ko) 2013-06-17

Family

ID=4843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187A KR101275348B1 (ko) 2011-09-26 2011-09-26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3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2747A (zh) * 2016-03-20 2016-06-29 德化县万盛陶瓷有限公司 豆青釉与梅枝斑点釉相结合的瓷器及制备工艺
KR20160126704A (ko) 2015-04-24 2016-11-02 김진량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8886B1 (ko) 2017-08-07 2018-04-13 정경화 고차열성 타일의 제조방법
KR20180057457A (ko) * 2016-11-22 2018-05-30 홍유정 도자기 성형용 흙풀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871B1 (ko) * 2016-10-25 2018-07-04 김경진 청자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9759A (ko) * 2016-11-03 2018-05-11 박시형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CN111704360B (zh) * 2020-07-13 2022-04-22 张玉凤 一种仿古汝瓷青绿釉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759A (ko) * 1995-09-18 1999-06-25 트롤리에 모리스 희토류 및 알칼리의 황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착색 안료로서의 그의 용도
KR20000021383A (ko) * 1998-09-29 2000-04-25 손욱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US6615463B1 (en) 2000-12-05 2003-09-09 Hamid Hojaji Methods to solidify cremation as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759A (ko) * 1995-09-18 1999-06-25 트롤리에 모리스 희토류 및 알칼리의 황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착색 안료로서의 그의 용도
KR20000021383A (ko) * 1998-09-29 2000-04-25 손욱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US6615463B1 (en) 2000-12-05 2003-09-09 Hamid Hojaji Methods to solidify cremation as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704A (ko) 2015-04-24 2016-11-02 김진량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712747A (zh) * 2016-03-20 2016-06-29 德化县万盛陶瓷有限公司 豆青釉与梅枝斑点釉相结合的瓷器及制备工艺
KR20180057457A (ko) * 2016-11-22 2018-05-30 홍유정 도자기 성형용 흙풀의 조성물
KR101848886B1 (ko) 2017-08-07 2018-04-13 정경화 고차열성 타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231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48B1 (ko) 녹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청자의 제조방법
CN104030733B (zh) 宋官月白哥窑瓷器及其制备方法
CN104193417B (zh) 哥釉与弟釉相结合的青瓷烧制工艺方法
KR101998651B1 (ko) 차 잎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28728B (zh) 一种月白釉汝瓷及其制备方法
KR101208350B1 (ko) 지렁이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1393A (ko) 보온성, 통기성, 방부성, 해독 및 정화능력이 뛰어난 전통 옹기용 유약 조성물
KR102196349B1 (ko) 낙엽재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160126704A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646009A (zh) 一种以植物灰为原料制备的复合装饰釉及其制备方法
KR102003245B1 (ko) 시래기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992735A (zh) 一种夹炭黑陶的制备方法
KR102016467B1 (ko) 땅콩껍질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8343B1 (ko) 은향초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0387919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20120061546A (ko) 누에 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3885B1 (ko) 성형용 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07660A (zh) 汝瓷生态瓷泥
KR102234769B1 (ko) 호랑이콩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6254B1 (ko)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330B1 (ko) 덤벙질을 이용한 분청사기 제조방법
KR101055907B1 (ko) 갈색 유약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갈색 조선요 제조 방법
KR101497835B1 (ko) 논흙을 이용한 도자기 유약과 이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의 발색 방법
KR100387920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100782367B1 (ko) 황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