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507A -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507A
KR20020079507A KR1020020018877A KR20020018877A KR20020079507A KR 20020079507 A KR20020079507 A KR 20020079507A KR 1020020018877 A KR1020020018877 A KR 1020020018877A KR 20020018877 A KR20020018877 A KR 20020018877A KR 20020079507 A KR20020079507 A KR 2002007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nveyor
substrate
gas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431B1 (ko
Inventor
지롱배이얼
하트무트드로세
Original Assignee
에크라 에두아르트 크라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크라 에두아르트 크라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크라 에두아르트 크라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공정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27)의 운반 및 해방 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운반방향(F)으로 놓이는 기체(27)의 측변부 대역(33)과의 접촉에 의하여 기체(27)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3)에 기체(27)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2,4)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3)는 기체(27)가 측변부 대역에 놓이는 지지수단(21)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Conveyor and fixing unit for substrates}
본 발명은 청구항1의 전제부에 따라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substrate)의 운반 및 해방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형의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는 특히 예정된 지점(패드)에서 예컨대 인쇄 회로기판 형태의 기체에 땜납 페이스트를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인쇄기에 설치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체는 세라믹 물건, 가요성 테이프, 웨이퍼 또는 물질 적용에 적당한 기타 물건일수도 있다. 땜납 이외에, 또한 적용되는 물질은 접착제,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일수도 있다. 예컨대 땜납의 적용을 위한 인쇄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하여 예컨대 기체 더미로부터 인쇄기까지 운반되고, 그곳에서 기체는 그곳에 제공되어 있는 마스크에 대하여 정렬되며 그 다음 땜납이 닥터 블레이드에 의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회로기판의 대역에 적용된다.
인쇄공정중에, 기체는 마스크에 대하여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고정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땜납 페이스트에 의한 패드 중간 공간의 습윤 또는 땜납 페이스트의 패드의 불충분한 적용범위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인쇄 영상(image)에 이르게 되기 때문이다.
기체의 한시적이고 국부적인 고정을 위하여, 기체를 기체의 측변부에서 고정 공정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이 경우 기체는 이동 가능한 치크(cheek)에 의하여 정지 안내 치크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은 이후 고정면이라고 칭하여 지는 기체의 평면에서 고정 압력에 이른다.
실제 인쇄공정중에 기체는 닥터 블레이드가 기체에 압축력을 가하기 때문에 지지체에 의하여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상기 압축력은 변부 대역(운반 대역)에 지지체가 없기 때문에 상술한 고정면으로부터 기체의 뒤틀림이 생기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체의 결핍으로 인하여 특히 얇은 기체는 변부 대역에서 닥터 블레이드 힘을 흡수할 수 없어 기체의 하행 이동에 이르게 되고 상술한 중심에서 기체의 상향 뒤틀림에 이르게 된다. 기체의 만곡으로 인하여, 위치설정의 부정확이 기체와 마스크 사이에서 기체의 표면, 또는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 상부 및 마스크 저부에 걸쳐서 일어나므로 땜납 페이스트로 기체에 패드의 소망하는 적용범위가 생기지 않는 다. 상술한 문제점은 특히 만곡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매우 얇은 기체에 대하여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의 만곡을 회피하여 주는 인쇄기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 표면의 전체에 걸쳐 패드의 가장 가능한 적용범위를 조장하는데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쇄공정중에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의 운반 및 해방 가능한 고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경우 상기장치는 운반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체의 측변부 대역과의 접촉에 의하여 기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기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 및 기체가 측변부의 대역에 위치되는 지지 수단을 갖고 있다. 이는 기체가 고정 및 인쇄중에 특히 운반방향의 측부에 있는 기체의 변부 대역의 대역에서 지지수단에 놓이게 함으로, 예컨대 인쇄 회로기판 형태의 기체는 아래로부터 지지되어 인쇄 회로기판의 뒤틀림이 회피된다.
따라서 인쇄 회로기판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에 의하여 인쇄공정중에 해방가능하게 고정되면, 인쇄 회로기판은 그의 중심에서 즉 측변부내에서 뿐만 아니라 바로 측변부에서도 지지되므로 측변부 대역에서 운반 방향으로 인쇄 회로기판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측변부의 어떠한 하향 만곡도 회피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닥터 블레이드가 인쇄 공정중에 마스크 상으로 안내되는 평면에서 인쇄 회로기판의 평면-평행한 정렬을 제공하므로 땜납 페이스트에 의한 인쇄 회로기판의 적용범위가 균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의하면, 지지 수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혀 모양의 지지부재이며, 이는 인쇄 회로기판의 운반 방향으로 연속되는 측변부 대역의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혀 모양의 지지부재는 기체가 고정장치의 대역으로 그리고 고정장치의 대역으로부터 멀리 운반될 수 있는 개개의 지지부재 사이의 대역에 컨베이어 롤러를 갖는 지지 바아의 일체로 된 부분일 수도 있다. 이 수단에 의하여 인쇄될 기체는 공급장치에 의하여 컨베이어 장치에 위치된 다음 컨베이어 장치는 사이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롤러를 갖는 혀 모양의 지지체를 갖는 지지 바아의 대역으로 기체를 운반한다. 그 다음 기체는 인쇄될 패드와 인쇄될 인쇄 회로기판의 상부가 마스크 절개부과 정렬되어 마스크 하면에 평면-평행하게 놓이는 인쇄 가능한 기체의 상측부가 되도록 인쇄공정중에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가 인쇄공정중에 매우 얇은 기체를 적절히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우, 얇은 기체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압착되어 부가적인 고정을 제공하도록 위로 부터 기체의 측변부 대역에 작용하여 이들을 지지부재에 대하여 압착하는 억제 스트립을 고정장치에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접촉을 위하여 이들 억제 스트립은 기체의 저부와 지지부재의 상부 사이의 직선 접촉에 추가적인 보강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하여 고정장치의 대역으로 운반되는데 상기 고정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베이어 장치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와 억제 스트립은 하강 공정중에 기체를 고정시키기를 위하여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고정장치의 하강은 지지부재와 억제 스트립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되게 하여 그들 사이에 기체가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컨베이어 롤러는 또한 기체를 컨베이어 장치로부터 이양한 후 고정장치에 제공된 구동장치를 경유하여 의도된 고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쇄공정의 완결후, 이들은 인쇄기의 적용범위 대역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기체를 고정장치 대역으로부터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제공된 인쇄기가 기체를 자동적으로 수용하여 인쇄한 다음 기체를 전방으로 운반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컨베이어 장치는 운반중에 기체가 놓이는 컨베이어 벨트를 가질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기체는 고정장치의 대역으로 운반되고 이곳으로부터 인쇄공정이 일어난 후 제거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의 절반부의 사시도.
도2는 고정장치가 컨베이어 장치에 대하여 하강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1과 유사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두개의 절반부의 사시도.
도4는 컨베이어 롤러장치를 바라본 고정장치의 배면도.
도5는 도4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6은 고정장치가 하강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5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도7은 고정장치에 배치된 기체의 운반방향의 개략도.
도8은 고정장치의 하강위치에서의 도7과 유사한 개략도.
도9는 기체의 운반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10은 하강위치에 있는 도9와 유사한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따른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12 : 컨베이어 롤러
2 : 컨베이어 장치(좌측) 13 : 구동장치
3 : 고정장치 14 : 기어 스텝
4 : 컨베이어 장치(우측) 15 : 샤프트
5 : 설치대 16 : 기어 스텝
6 : 설치대 17 : 베벨 기어
7 : 복합 테이블 상부 18 : 베벨 기어
8 : 지지대 19 : 고정 스트립
9 : 컨베이어 벨트 20 : 안내장치
10 : 구동 롤러 21 : 지지 부재
11 : 지지 롤러 28 : 베벨 기어 샤프트
22 : 지지 바아 29 : 하우징
23 : 중간 공간 30 : 부시
24 : 상부 31 : 롤러 베어링
25 : 억제 스트립 32 : 롤러 베어링
26 : 전면 변부 33 : 기체의 측변부
27 : 기체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장치(1)의 절반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는 자동 인쇄기의 소위 인라인 조작에 적당하며, 이 경우 예컨대 인쇄 회로기판 형태인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는 이것이 인쇄되는 고정장치(3)의 대역에 도달할 때까지 도면의 좌측에서 컨베이어 장치(2)에 의하여 인쇄기(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까지 안쪽으로 운반된다. 그 다음 도면의 우측 평면에서 인쇄기로부터 컨베이어 장치(4)상으로 운반된다. 여기에서 인쇄기는 공급측[컨베이어 장치(2)] 및 배출측[컨베이어 장치(4)]에 연결된 기계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1은 도7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지지체(8)가 배치될 수 있는 설치대(5, 6)에 맞추어지는 인쇄기의 복합 테이블 상부(7)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지지체(8)는 도1에서 생략되었다.
컨베이어 장치(2)는 사시도로 인하여 보이지 않는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구동 롤러(1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컨베이어 벨트(9)를 갖고 있으며, 지지 롤러(11)가 컨베이어 벨트(9)의 회전방향을 역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컨베이어 장치(4)는 유사한 디자인을 갖고 있으며 이 경우 또한 보이는 컨베이어 벨트를 위한 구동모터를 갖고 있다.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가 인쇄기 속으로 공급되는 경우, 이는 예컨대 공급장치에 의하여 컨베이어 장치(2)의 유효대역에 도달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로부터 기체는 고정장치(3)를 향하여 컨베이어 벨트(9) 상으로 운반되는데, 이는 특히 기체가 컨베이어 벨트(9)에 놓이는 방식으로 그리고 특히 운반방향(화살표F)으로 이동하는 기체의 측변부 대역에 의하여 운반된다.
기체가 고정장치의 유효대역에 도달하자마자 기체는 구동장치(13)(도3)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12)에서 이동된다. 여기에서, 기어 스텝(14)을 경유하여, 구동장치(13)는 컨베이어 롤러(12)의 보충 베벨 기어(18)와 계합하는 예컨대 베벨 기어(17) 형태의 다수의 기어 스텝(16)이 배치되는 샤프트(15)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전기식일 수 있는 구동모터(13)가 기어 스텝(14)을 구동하면, 베벨 기어(17)를 갖는 샤프트(15)가 회전되어 고정장치(3)의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1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되는 컨베이어 롤러(12)는 컨베이어 장치(2)로 인수한 기체를 고정장치(3)의 두개의 절반부내에서 예컨대 센서에 의하여 감시되는 적용범위 위치까지 운반하며, 이 지점에서 구동장치(13)는 정지된다. 기체는 고정 스트립(19)의 수준에서 운반방향(F)에 있으며 이 지점에서 인쇄공정을 위하여 해방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위치에서 기체는 고정 스트립(19) 아래에 위치되는 지지 롤러(12)에 놓인다.
고정 공정을 위하여 이하 도2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고정장치(3)는 고정장치(3)에 제공되는 안내장치(20)가 복합 테이블 상부(7)에 지지될 때까지 컨베이어 장치(2,4)에 대하여 하강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의 결과, 지지 바아(22)의 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혀 모양의 지지부재(21) 사이의 중간 공간(23)에 배치되는 컨베이어 롤러(12)는 중간 공간(23) 속으로 하강되고 혀 모양의 지지 부재(21)는 기체의 저면과 접촉되므로 운반 방향(F)(도7)에서 기체 측변부 대역(33)의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도3은 지지 바아(22)의 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혀 모양의 지지 부재(21)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컨베이어 롤러(12)가 중간 공간(23) 속으로 하강되면 기체가 지지부재의 상측부에 지지되게 한다.
도2에 도시된 고정장치(3)의 하강 이동은 혀 모양의 지지부재(21)의 상부(24)와 고정 스트립(19)의 상부에 제공되는 억제 스트립(25)의 하부 사이의 간격(D)(도3)을 감소시킨다. 화살표(B)의 방향(도3)에서, 억제 스트립은 기체에 할당된 고정 스트립(19)의 전면 변부(26)를 약간 지나 연장된다.
이 지점에서 예컨대 도9 및 도10에 대하여 참조하면, 기체(27)는 고정 스트립(19)과 억제 스트립(25)을 갖는 고정장치(3)의 적용범위의 대역 [도9는 도1에 도시된 고정장치(3)의 미하강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에 도달하면, 구동모터(13)는 정지되고 고정장치(3)는 복합 테이블 상부(7)의 방향에서 컨베이어 장치(2)의 평면으로부터 하강된다.
이 공정에서 컨베이어 롤러(12)는 지지 바아(22)의 중간 공간(23) 속으로 하강되므로, 기체(27)의 하부는 혀 모양의 지지 부재(21)의 상부(24)에 지지하게 되고 유사하게 하강된 억제 스트립(25)에 의하여 지지 부재(21)에 대하여 압착된다. 이 하강 위치는 도10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도10은 기체(27)의 하부가 복합 테이블 상부(7)에 놓이는 지지체(8)에 놓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기체(27)는 지지체(8) 및 지지부재(2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기체(27)의 어떠한 만곡도 회피된다.
도11은 도10의 하강 위치의 확대 절개부를 보여주고 있다. 명백히 알수 있는바와 같이, 혀 모양의 지지부재(21)의 상부(24)는 기체(27)를 아래로부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없으면 만곡의 위험이 있는 운반방향(F)에 평행한 측변부 대역(33)에서 지지한다.
도4는 고정 스트립(19), 베벨 기어(17, 18), 샤프트(15), 구동모터(13) 및 안내장치(20)를 갖는 고정장치(3)의 배면도를 나타낸것이다.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로서 특히 하강하지 않은 위치에서의 고정장치(3)를 나타낸 것이다.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벨 기어(18)는 기어 스텝(14)을 통하여 구동된다. 지지 롤러(11)에 연결된 베벨 기어 샤프트(28)는 베벨 기어(18)를 통하여 지나간다. 동시에 베벨 기어 샤프트(28)는 특히 롤러 베어링(31,32)을 경유하여 부시(30)에서 하우징(29)에 지지된다. 하우징(29)에는 억제 스트립(25)이 위치되는 고정 스트립(19)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장치(3)가 도6에 따른 하강 위치로 이동되면, 컨베이어 롤러(12)는 중간 공간(23)으로 하강되고, 혀 모양의 지지 부재(21)는 억제 스트립(25)으로부터 그들의 거리(D)를 줄인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7은 기체가 여전히 지지 롤러(12)에 지지되는 미하강 위치를 보여주는 반면에 도8은 기체가 기체 측변부(33)의 대역에서 혀 모양의 지지부재(21) 상에 지지되면서 지지체(8) 상의 인쇄 대역에 놓이는 하강 위치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1)는 심지어 매우 얇은 기체에 대하여도, 기체 운반방향(F)에 대하여 직각으로 즉 도8의 화살표 방향(H)으로 중심부에서 상향 방향 및 화살표 방향(V)으로 운반 대역의 측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기체(27)의 만곡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지지부재(21)의 상부(24)에 기체 하부의 직선 지지는 기체 측변부 대역(33)의 지지를 제공하므로, 기체 측변부의 대역에서 만곡의 위험이 제거된다.
변형예(기술하지 않음)에 따르면, 복합 테이블 상부(7)에 지지 바아(22)를 부착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운반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체의 측변부 대역과의 접촉에 의하여 기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기체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 및 기체가 측변부의 대역에 위치되는 지지 수단을 갖고 있어, 기체가 고정 및 인쇄중에 만곡되는 일이 회피되게 된다.

Claims (10)

  1. 인쇄 공정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27)의 운반 및 해방 가능한 고정을 위한 것으로서, 운반방향(F)으로 놓이는 기체(27)의 측변부 대역(33)과의 접촉에 의하여 기체(27)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3)에 기체(27)를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2, 4)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3)는 기체(27)가 측변부 대역에 놓이는 지지 수단(21)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혀 모양의 지지부재(21)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1)는 지지 바아(22)의 일체로 된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재(21) 사이의 대역에는 기체(27)가 고정장치(3)의 안밖으로 운반될 수 있는 컨베이어 롤러(12)가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장치(3)는 상부로부터 기체(27)의 측변부 대역(33)에 작용하고 지지부재(21)에 대하여 압착하는 억제 스트립(25)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장치(3)는 컨베이어 장치(2,4)에 대하여 하강될 수 있으며 하강시에 지지부재(21)와 억제 스트립(25)은 기체(27)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함께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장치(3)는 고정력으로 기체(27)의 측변부 대역(33)에 작용하는 고정 스트립(19)를 갖고 있고, 고정된 기체(27)는 고정 스트립(19)에 의하여 지지부재(21)에 대하여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컨베이어 롤러(12)는 고정장치(3)에 제공된 구동장치(13)에 의하여 기체(27)를 운반하도록 구동되고 함께 연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정 위치에서 고정장치(3)는 인쇄공정중에 기체가 고정장치(3)내의 대역에 위치된 지지체(8)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인쇄하고자 하는 기체(27)를 컨베이어 장치(2,4)에 대하여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컨베이어 장치(2,4)는 기체(27)가 운반중에 지지되고 고정장치(3)의 대역의 안밖으로 운반될 수 있는 구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9)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0018877A 2001-04-10 2002-04-08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KR100503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7873.5 2001-04-10
DE10117873A DE10117873B4 (de) 2001-04-10 2001-04-10 Transport- 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507A true KR20020079507A (ko) 2002-10-19
KR100503431B1 KR100503431B1 (ko) 2005-07-26

Family

ID=768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877A KR100503431B1 (ko) 2001-04-10 2002-04-08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9058B2 (ko)
KR (1) KR100503431B1 (ko)
CN (1) CN1214961C (ko)
DE (1) DE10117873B4 (ko)
GB (1) GB2376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378B2 (ja) * 2002-06-27 2008-07-02 日本ユニカ株式会社 識別対象物支持装置
DE102006007447A1 (de) * 2005-12-30 2007-07-12 Teamtechnik Maschinen Und Anlagen Gmbh Solarzellen-Verbindungsvorrichtung, Streifen-Niederhaltevorrichtung und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Solarzellen-Verbindungsvorrichtung
DE102007017486B4 (de) 2007-04-13 2009-03-05 Ekra Automatisierungssysteme Gmbh Asys Grou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flächigen Substraten, wie zum Bedrucken von Leiterplatten oder dergleichen
CN101631451B (zh) * 2008-07-17 2011-06-08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基板转移系统及转移方法
CN102548217B (zh) * 2010-12-14 2014-10-01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固持装置
TWI430721B (zh) * 2012-03-14 2014-03-11 Giga Byte Tech Co Ltd 電路板固定裝置
JP6151925B2 (ja) * 2013-02-06 2017-06-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基板固定装置、基板作業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9613A (ja) * 1983-01-17 198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カツタ−
DE3665050D1 (en) * 1985-11-08 1989-09-21 Ciba Geigy Ag Conveyor for boards
JPH01133668A (ja) 1987-11-20 1989-05-25 Kenji Kondo プリント基板の保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73403B2 (ja) * 1994-09-05 2000-08-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リーム半田印刷装置
EP0768019B1 (en) 1995-03-28 2003-06-04 Assembléon N.V. Method of position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component placement machine, and component placement machine for this method
US5871325A (en) * 1995-04-19 1999-02-16 Jabil Circuit, Inc. Thin support for PC board transfer system
NL1001090C2 (nl) 1995-08-29 1997-03-04 Soltec Bv Transportinrichting met fixatievinger.
JP2909473B2 (ja) * 1996-10-21 1999-06-23 有限会社コスモ 簡易暖房装置
IT1296096B1 (it) * 1997-11-11 1999-06-09 Pri Te Ma S R L Dispositivo per il sostegno di una piastra di supporto per circuiti stampati durante la fase di stampa serigrafica
JP3659003B2 (ja) * 1998-07-03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方法
JP2001044695A (ja) * 1999-07-26 2001-02-16 Fuji Mach Mfg Co Ltd 基板搬送方法および基板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17873A1 (de) 2002-11-07
GB2376935B (en) 2004-11-10
CN1380237A (zh) 2002-11-20
US20020185810A1 (en) 2002-12-12
CN1214961C (zh) 2005-08-17
GB0207827D0 (en) 2002-05-15
DE10117873B4 (de) 2005-06-09
GB2376935A (en) 2002-12-31
US6749058B2 (en) 2004-06-15
KR100503431B1 (ko)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3428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作業システム
KR100503431B1 (ko) 기체용 컨베이어 및 고정장치
JP3828808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KR20090039709A (ko) 기판을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50831B2 (ja) 基板搬送コンベヤ
JP2003037394A (ja) 基板保持装置および電気回路の製造方法
US6481099B1 (en)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2009137705A (ja) テープ部材搬送装置
JPS61142039A (ja) 基板位置決め装置
JP5031675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3115972B2 (ja) 実装機の基板搬送装置
JPH08307092A (ja) 実装機の部品供給部構造
JP6741602B2 (ja) コンベア支持構造および部品実装装置
CN213012577U (zh) 基板切割装置
US5868542A (en) Magazine conveying device
JP4362698B2 (ja) フープ材押え機構及び部品組立装置
JPH07187368A (ja) 部品装着機における基板搬送装置
JP4370192B2 (ja) 基板搬送機
JPH1041691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装置
JP2003226424A (ja) 予備位置決め機構およびその方法
JPH0355537Y2 (ko)
JP2010010531A (ja) 基板搬送装置
JP4755570B2 (ja) 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の処理方法
JPH0336797A (ja) 電子部品実装機における基板の給排出装置
JP2514976Y2 (ja) 高粘性流体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