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268A -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268A
KR20020076268A KR1020027009647A KR20027009647A KR20020076268A KR 20020076268 A KR20020076268 A KR 20020076268A KR 1020027009647 A KR1020027009647 A KR 1020027009647A KR 20027009647 A KR20027009647 A KR 20027009647A KR 20020076268 A KR20020076268 A KR 2002007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sub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374B1 (ko
Inventor
이시모토히데후미
오구라히로시
와타나베히로시
아다치히로유키
사쿄츠요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정보표시장치(47)는 유압셔블(1)의 운전실내에 설치되고, 차체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471)를 구비하고, 표시부(471)에 표시되는 화면은 하나의 주 화면과 복수의 부 화면으로 구성되고, 주 화면은 복수의 정보카테고리 중의 하나 정보를 상세 표시하고, 복수의 부 화면은 복수의 정보카테고리의 각각에 대응하고, 또한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에는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를 간략 표시하여 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를 조작부(470)의 키조작에 의하여 선택·전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최근, 유압셔블, 크레인, 터널 굴삭기, 재목이나 암석 등의 파쇄기, 또는 오염된 토양이나 영양분이 적은 토지의 토양을 개량하는 토질개량기를 포함하는 건설기계는 성능향상·다기능화에 의하여 전자화가 더욱 진행되어, 차체 정보관리나 시공효율향상, 또는 메인티넌스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각각의 기능별로 전자제어장치가 개발·탑재되어 있다. 이들 전자제어장치는 각각이 조작자에게의 정보제공장치를 가지고, 따라서 운전실(캐브)내에 있어서의 정보제공장치가 다양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감시해야 할 정보의 증가나 조작의 복잡화에 의하여 조작자의 부담이 증가하는, 전자제어장치의 증가에 따라 한정된 운전실내 공간에의 탑재가 곤란하게 되는, 기능별로 독립된 복수종의 정보제공장치의 개발 및 탑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가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표시화면에 복수종의 정보를 집약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288648호 공보에는 차체의 가동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의 복수의 표시모드를 가지고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표시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관리모니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287782호 공보에는 표시부 패널에 표시부와 스위치부를 설치하여 파워셔블 등의 굴삭기의 굴삭상황을 모니터하여 굴삭기를 모방한 일러스트와 수치정보를 병용하여 표시, 또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프론트자세에 관한 정보의 표시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103925호 공보에는, 터치패널에 의하여 표시내용을 전환하는 굴삭기의 굴삭정보 모니터장치를 사용한 굴삭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기계의 운전실내에 설치되어 차체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그 표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표시장치를 구비한 유압셔블의 전자제어시스템을 유압셔블 및 이것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과 함께 나타내는 도,
도 2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공통 통신라인을 거쳐 제어유닛 및 모니터유닛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신데이터의 상세를 표 형식으로 나타내는 도,
도 4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일례로서,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주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다른 일례로서, 차체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이상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화면표시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처리블록(1001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처리블록(1002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처리블록(1003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처리블록(1004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화면 일람을 계층으로 나누어 나타내는 도,
도 15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일례로서, 차체 자세정보로서 버킷자세 및 차체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다른 일례로서, 차체 자세정보로서 작업장치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7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엔진회전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냉각수온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작동유온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21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굴삭부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22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정보로서 펌프부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23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초기상태의 화면 천이블록도,
도 24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화면표시처리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1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1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7은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1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2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9는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3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0은 도 24에 나타낸 처리블록(10140)의 상세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1a, 도 31b, 도 31c, 도 31d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1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
도 3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도,
도 3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예 2의 순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표시장치를 구비한 유압셔블의 전자제어시스템을 유압셔블 및 이것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과 함께 나타내는 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일례로서, 차체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1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다른 일례로서 계기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2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3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이상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44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조작부의 키배열을 나타내는 도,
도 45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0의 화면으로부터 커서가 다른 부 화면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6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0의 화면으로부터 커서가 다시 다른 부 화면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7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0의 화면으로부터 커서가 다시 다른 부 화면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8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0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9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8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조작에 의하여 차체 자세정보로서 작업장치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50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9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이 사라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1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42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2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1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조작에 의하여 가동정보로서 빈도 분포표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53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2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조작에 의하여 다시 그 하위의 메뉴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4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3의 화면으로부터 다시 하위의 메뉴화면조작에 의하여 빈도 분포표로서 작동유온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주 화면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도 55는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4의 화면으로부터 하위의 메뉴화면이 사라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56은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55의 화면으로부터 부 화면의 메뉴화면이 사라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설기계는 차체 정보관리나 시공 효율향상, 또는 메인티넌스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운전실내에 있어서의 정보제공장치가 다양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표시화면에 복수종의 정보를 집약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검토되어 있으나, 현상의 정보표시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 5-28864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모니터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표시모드가 차량의 상태 또는 조작지시에 의하여 전환 선택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대응하는 표시내용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다. 그러나 표시모드 전환에 의하여 화면의 표시내용을 완전히 전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동정보를 표시 중에 동시에 메인티넌스정보를 표시한다는 바와 같은 복수정보의 동시열람은 할 수없다.
일본국 특개평 10-103925호 공보 및 특개평 5-287782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모니터장치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화면에는굴삭기의 차체 정보 등의 단일기능의 정보만이 표시되어, 화면 전체를 전환함으로써 표시내용을 전환하는 것이다.
또 이들 모니터장치는 통상의 계기반과는 독립된 장치로서 운전실내에 탑재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상황에 따라 통상의 계기반과 이들 모니터장치의 양쪽을 주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성 및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그 표시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운전실내에 설치되어 차체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은 하나의 주 화면과 복수의 부 화면을 가지고, 상기 주 화면은 복수의 정보카테고리 중의 하나의 정보를 상세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적어도 상기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고, 또한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 표시하고, 상기 주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전환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이 입력수단을 조작하면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하나에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주 화면에 상세 표시하고, 이 주 화면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임의의 하나에 간략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주 화면과 복수의 부 화면을 설치하여, 상세 표시와 간략 표시에 의하여 복수의 정보카테고리를 표시하고, 또한 그 표시정보를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화면은 상기 표시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크기이고,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상기 주 화면보다 작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화면에 효율적으로 복수종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3) 또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내의 대표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의하여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 표시할 수 있다.
(4) 또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의 적어도 하나는 그 정보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부 카테고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화면은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주 화면에 표시하는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전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종류를 늘릴 수 있어, 많은 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472)에 표시되는 화면은 미리 위치가 정해진 주 표시영역(1000)과 부 표시영역(2000)을 가지고, 상기주 표시영역에 상기 주 화면(1002)을 표시하고, 상기 부 표시영역에 상기 복수의 부 화면(2003, 2004, 2005, 2006)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에 의하여 주 화면과 부 화면이 표시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조작자에 게 보기 쉽게 된다.
(6) 상기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표시영역의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의 부 화면은,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상기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를 표시한다.
이에 의하여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7) 또 상기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 표시영역의 복수의 부 화면은 상기 주 표시영역의 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인덱스 태그의 역할을 가지고, 상기 주 표시영역에 대한 인덱스 태그를 모방하여 디자인·레이아웃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부 화면을 표제로 함으로써 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8) 또한 상기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의 적어도 하나는 그 정보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부카테고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표시영역의 주 화면은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주 화면에 표시하는 부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전환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주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종류를 늘릴 수 있어 많은 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9) 상기 (8)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표시영역의 주 화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카테고리정보를 표시할 때, 그것이 속하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의 부 화면은,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그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의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그 부 화면과 상기 주 표시영역은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상기 부카테고리정보를 전환할 때의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표시하는 정보의 종류가 증가하여도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정보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0) 또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는 적어도 계기정보 및 이상 경고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자는 계기정보를 취득하는 데 운전실내의 계기반을 주시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운전실내의 계기반 그 자체가 불필요하게 되어 계기반과 표시장치의 양쪽을 주시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이상 경고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메인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11)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운전실내에 설치되어 차체 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의 표시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하나의 주 화면과 복수의 부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 화면에 복수의 정보카테고리 중의 하나의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상세 표시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을 적어도 상기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시키고, 또한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 표시시키는 연산제어수단과, 상기 주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조작되면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하나에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주 화면에 상세 표시하고, 이 주 화면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임의의 하나에 간략 표시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3에 의하여 설명한다.
<유압셔블의 기구·유압시스템·전자회로·동작>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정보표시장치를 구비한 유압셔블의 전자제어시스템을 유압셔블 및 이것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유압셔블(1)은 주행체(2), 선회체(3), 굴삭작업장치(프론트작업기)(7)를 구비하고 있다. 굴삭작업장치(7)는 선회체(3)에 부앙동(俯仰動;버킷이 위를 향하고 밑을 향하는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움(8)과, 이 부움(8)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9)과, 이 아암(9)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 (10)과, 부움(8)을 부앙동시키는 부움조작용 유압실린더(11)와, 아암(9)을 회동시키는 아암조작용 실린더(12)와, 버킷(10)을 회동시키는 버킷조작용 실린더(13)로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는 엔진(14)이나 유압펌프(18) 등의 유압기기 등의 수납실(4)을 구비하고, 또한 선회체(3)의 앞 부분 왼쪽에 운전실(6)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14)은 그 회전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전자식 거버너장치 (15)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14)의 목표회전수(Nr)는 목표회전수 설정기(16)에 의하여 설정된다.
유압펌프(18)는 엔진(1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또 유압펌프(18)는 가변 용량형 펌프이고, 그 토출량을 바꾸는 사판(19)을 구비하고, 이 사판(19)에는 토출량 조정장치(20)가 연결되어 있다. 또 사판(19)의 경전(傾轉;사판식 유압펌프에 있어서 사판의 경사 또는 기울어짐)위치(θ)를 검출하는 사판위치 검출기(21) 및 유압펌프(18)의 토출압력(Pd)을 검출하는 압력검출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부움조작용 유압실린더(11), 아암 조작용 실린더(12), 버킷 조작용 실린더 (13)는 각각 제어밸브(24, 25, 26)를 거쳐 유압펌프(18)에 접속되고, 제어밸브(24, 25, 26)에 의하여 유압펌프(18)로부터 각 실린더(11, 12, 13)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 및 방향이 조정된다. 제어밸브(24, 25, 26)에 대하여 조작레버(27, 28, 29)가 설치되고, 조작레버(27, 28, 29)에 레버작동기(30, 31, 32)가 연결되고, 이들 레버작동기(30, 31, 32)는 조작레버(27, 28, 29)의 조작신호(X1, X2, X3)로서 그 조작량에 대응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굴삭작업장치(7)에는 부움(8)의 회전각도(α)를 검출하는 부움회전각 검출기 (35), 아암(9)의 회전각도(β)를 검출하는 아암회전각 검출기(36), 버킷(10)의 회전각도(γ)를 검출하는 버킷회전각 검출기(3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유압셔블의 각 부위의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제 1 제어유닛(17), 제 2 제어유닛(23), 제 3 제어유닛(33), 제 4 제어유닛(37)이 설치되고, 또한 차체 내외의 정보를 조작자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모니터유닛(45), 제 2 모니터유닛 (46), 정보표시장치(47)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 제어유닛(17, 23, 33, 37) 및 제 1 및 제 2 모니터유닛(45, 46)과 정보표시장치(47)는 공통의 통신라인 (40)에 의하여 접속되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제 1 제어유닛(17)은 엔진(14)을 제어하는 것으로, 목표회전수 설정기(16)로부터의 목표회전수(Nr)와 거버너장치(15)에서 검출된 실제의 회전수(Ne)를 입력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거버너장치(15)에 제어신호(R)를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엔진(14)은 실제의 회전수(Ne)가 목표회전수 설정기(16)의 목표회전수(Nr)에 일치하 도록 제어된다.
제 2 제어유닛(23)은 유압펌프(18)를 제어하는 것으로, 압력검출기(22)에 의하여 검출된 유압펌프(18)의 토출압력(Pd)과 사판위치 검출기(21)에 의하여 검출된 사판(19)의 경전위치(θ)와, 제 3 제어유닛(33)으로부터의 조작신호(X1 내지 X7)를 입력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유압펌프(18)의 토출량 조정장치(20)에 사판(19)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유압펌프(18)는 토출량 조정장치(20)를 거쳐 그 토출량이 제어된다.
제 3 제어유닛(33)은 제어밸브(24, 25, 26)를 제어하는 것으로, 레버작동기 (30, 31, 32)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제어밸브(24, 25, 26)의 조작부(24L, 24R, 25L, 25R, 26L, 26R)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밸브(24, 25, 26)는 조작레버(27, 28, 29)의 조작신호(X1, X2, X3)에 따라 그 위치가 제어되어, 각각의 실린더(11, 12, 13)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과 흐름방향을 제어한다.
또 도시 생략한 선회용 조작레버장치, 주행용 조작레버장치, 어태치먼트용 조작레버장치가 설치되고, 제 3 제어유닛(33)은 이들 조작레버장치에 의한 선회용 조작신호(X4), 좌우 주행용 조작신호(X5, X6), 표준적으로 장비되는 버킷(10)과는 다른 어태치먼트용 조작신호(X7)를 입력하여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도시 생략한 제어밸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엑츄에이터(도시 생략)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과 흐름방향을 제어한다.
제 4 제어유닛(37)은 굴삭작업장치(7)를 제어하는 것으로, 회전각검출기(35, 36, 38)로부터의 회전각도(α, β, γ)의 각 신호와 제 3 제어장치(33)로부터의 조작레버장치(27, 28, 29)의 조작신호(X1, X2, X3)를 입력하여 소정의 연산처리를 행하고, 조작신호(X1, X2, X3)를 보정하여 제 3 제어유닛(33)에 제어구동지령(Yα, Yβ, Yγ)을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밸브(24, 25, 26)가 제어되어 굴삭작업장치(7)는 예를 들면 그 동작궤적이 제어된다.
또 엔진(14)에는 윤활유(엔진오일)의 압력(Poi1)을 계측하기 위한 유압센서 (41)가 설치되고,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51)에는 냉각수온(Tw)을 검출하는 수온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41, 42)에서 검출한 엔진오일 압력 (Poi1), 냉각수온(Tw)의 각 신호는 제 1 제어유닛(17)에 입력된다.
또한 유압셔블(1)의 차체의 각 부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로서 연료레벨(연료잔량)(Fuel)을 계측하는 연료레벨센서(43), 유압시스템의 회로에 구비되는 필터(50)의 눈 막힘을 검지하기 위하여 그 필터압력(Pfit)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44), 유압시스템의 작동오일의 온도(To)를 검출하는 유온센서(56), 차체의 경사각 (ξ)을 검출하는 경사센서(49)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43, 44)에서 검출한 연료레벨 (Fuel), 필터압력(Pfit), 작동유온(To)의 각 신호는 제 1 모니터유닛(45)에 입력되고, 센서(56)로 검출한 작동유온(To)의 신호는 제 2 제어유닛(23)에 입력되고, 경사센서(49)로 검출한 차체의 경사각(ξ)의 신호는 제 4 제어유닛(37)에 입력된다.
제 1 모니터유닛(45)은 센서(43, 44)에서 검출한 연료레벨(Fuel), 필터압력 (Pfit)의 정보를 정보표시장치(47)에 송신한다. 운전실(6)내에 계기패널이 있는 경우는 그들 정보를 계기패널에 표시한다.
제 2 모니터유닛(46)은 제 1 제어유닛(17), 제 2 제어유닛(23), 제 1 모니터유닛(45)으로부터 통신라인(40)을 거쳐 검출데이터(뒤에서 설명)를 수신하고, 이들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이상검지이력, 기계의 가동시간, 가동상태 등을 시계열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계측·기억함과 동시에, 이들 정보를 정보표시장치(47)에 송신한다.
정보표시장치(47)는 제 1 내지 제 4 제어장치(17, 23, 33, 37) 및 제 1 및 제 2 모니터유닛(45, 46)으로부터 통신라인(40)을 거쳐 각종 정보(뒤에서 설명)를 수신하고, 그들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 정보표시장치(47)는 제 4 제어유닛(37)에대하여 예를 들면 굴삭작업장치(7)의 목표로 하는 작업궤적을 지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보표시장치>
도 2에 정보표시장치(47)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표시장치(47)는 입력수단으로서의 조작부(470), 표시제어부(471), LCD 등의 스크린(472a)을 구비한 표시부 (472)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470)는 조작자가 표시를 전환하고 싶을 때 등에 누르는 상하방향의 화살표 키(470a, 470b) 및 좌우방향의 화살표 키(470c, 470d)와, 제어의 목표값을 입력할 때 등에 누르는 증감의 수치 입력키(470e, 470f)나 도시 생략한 모드 스위치 등의 여러가지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표시제어부(471)는 조작부(47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471a), 중앙연산처리장치(CPU)(471b), 제어순서의 프로그램이나 제어에 필요한 정수를 저장하는 리드온리메모리(ROM)(471c), 연산결과 또는 연산도중의 수치를 일시 기억하는 랜덤엑세스메모리(RAM)(471d), 출력용 인터페이스(I/F)(471e), 공통 통신라인(40)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4 제어장치(17, 23, 33, 37) 및 제 1 및 제 2 모니터유닛(45, 46)과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471f)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표시장치(47)는 운전실(6)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정보표시장치(47)의 조작부(470), 표시제어부(471), 표시부(472)는 바람직하게는 별개체가 되고, 표시부 (472)는 운전실(6)내의 조작자가 보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운전석에서 보아 비스듬하게 오른쪽의 운전실 코너부에 설치된다.
<공통 통신라인의 통신데이터>
도 3에 공통 통신라인(40)을 거쳐 상기 제어유닛 및 모니터유닛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신데이터의 상세를 표 형식으로 나타낸다. 도면 중, 「ID No」는 하나하나의 데이터에 부착되는 식별번호이다. 0표는 각 제어유닛 또는 모니터유닛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표는 각 제어유닛 또는 모니터유닛의 수신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통신주기는 그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유닛이 그 데이터를 통신하는 간격, 즉 데이터를 갱신하는 시간간격을 나타내고 있다. 주기중 「표시조작시」는 정보표시장치(47)의 조작부(470)에 구비되는 지시버튼(도시 생략)을 조작하였을 때에만 정보표시장치(27)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제 2 모니터유닛(46)은 제 1 제어유닛(17)으로부터 실제의 엔진회전수 (Ne) 등 엔진오일 압력(Poil), 냉각수온(Tw)의 데이터를 제 2 제어유닛(23)으로부터 펌프토출압(Pd), 펌프경전각(θ), 작동유온(To)의 데이터를 제 3 제어유닛(33)으로부터 아암용 조작신호(X2), 선회용 조작신호(X4), 좌우 주행용 조작신호(X5, X6), 어태치먼트용 조작신호(X7)를 제 1 모니터유닛(45)으로부터 연료레벨(Fuel), 필터압력 (Pfit)의 데이터를 각각 수신한다. 제 2 모니터유닛(46)은 그들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상검지이력(HisW), 가동시간(키 ON)(TmwKey), 가동시간(엔진 ON)(TmwEng), 가동시간(굴삭)(TmwExc), 가동시간(주행)(TmwRun), 가동시간(선회)(TmwRot), 가동시간 (ML)(TmwML), 가동시간(ATT)(TmwATT), 엔진회전수 빈도분포(HistEng), 냉각수온 빈도분포(HistTw), 작동유온 빈도분포(HistTO), 펌프부하빈도분포(HistPld), 굴삭부하빈도분포(HistEld)의 각종 데이터를작성하rh, 제 2 모니터유닛(46)이 내장하는 RTC (시계기능)에 의한 시각(Time)의 정보와 함께 그들 데이터를 정보표시장치(47)에 송신한다.
여기서 이상검지이력(HisW)의 데이터는 엔진오일 압력(Poi1), 냉각수온(Tw), 펌프토출압(Pd) 등의 데이터에 의해 작성되고, 가동시간(키 ON)(TmwKey)은 제 2 모니터유닛(46)의 전원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엔진 ON)(TmwEng)은 엔진회전수(Ne)의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굴삭)(TmwExc)은 아암용 조작신호(X2)의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주행)(TmwRun)은 좌우 주행용 조작신호(X5, X6)의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선회)(TmwRot)은 선회용 조작신호(X4)의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ML)(TmwML)은 도시 생략한 ML모드 스위치신호의 온시간으로 계산되고, 가동시간(ATT)(TmwATT)은 어태치먼트용 조작신호(X7)의 온시간으로 계산된다.
또 엔진회전수 빈도분포(HiStEng)는 엔진회전수(Ne)의 데이터를 빈도분포처리 함으로써 작성되고, 냉각수온 빈도분포(HistTw)는 냉각수온(Tw)의 데이터를 빈도분포처리함으로써 작성되고, 작동유온 빈도분포(HistTo)는 작동유온(To)의 데이터를 빈도분포처리함으로써 작성되고, 펌프부하 빈도분포(HistPld)는 펌프토출압 (Pd)의 데이터를 빈도분포처리함으로써 작성되고, 굴삭부하 빈도분포 (HistEld)는 아암용 조작신호(X2)가 온일 때의 펌프토출압(Pd)의 데이터를 빈도분포처리함으로써 작성된다.
정보표시장치(47)는 제 1 제어유닛(17)으로부터 실제의 엔진회전수(Ne), 엔진 오일 압력(Poil), 냉각수온(Tw)의 데이터를, 제 2 제어유닛(23)으로부터 작동유온 (To)의 데이터를, 제 4 제어유닛(37)으로부터 제어구동지령(Yα, Yβ, Yγ), 부움, 아암, 버킷의 각 회전각도(α, β, γ), 버킷선단깊이(높이)(hx), 버킷선단리치 (hy)의 데이터를, 제 1 모니터유닛(45)으로부터 연료레벨(Fuel), 필터압력(Pfit)의 데이터를, 제 2 모니터유닛(46)으로부터 상기한 각종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그들을 전환 또한 적절하게 조합하여 표시한다.
<화면표시예>
정보표시장치(47)의 표시부(472)(도 2)에 대한 표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있어서 표시부(472)의 스크린(472a)에 표시되는 화면(이하, 표시화면이라 함)에는 복수의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한다. 그때 복수의 정보카테고리 중의 하나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세하게, 그 밖의 카테고리의 정보는 간략화하여 표시한다. 어느 정보카테고리를 상세하게 표시할지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부(470)(도 2)의 키조작으로 순차 전환 가능하다.
표시화면은 미리 위치가 정해진 주 표시영역(1000)과 부 표시영역(2000)을 가지고 있다. 주 표시영역(1000)은 상세표시를 위한 영역이고, 부 표시영역(2000)은 간략화 표시를 위한 영역이다.
도 4에 있어서, 주 표시영역(1000)에는 하나의 주 화면(1002)이 표시되고, 부 표시영역(2000)에는 정보카테고리수와 같은 수(同數)의 부 화면(2005, 2006, 2003, 2004)이 표시된다. 각 부 화면은 각 정보카테고리와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있어서, 주 표시영역(1000)에는 하나의 주 화면(1001)이표시되고, 부 표시영역(2000)에는 정보카테고리수와 같은 수의 부 화면(2001 내지 2004)이 표시되고, 도 6에 있어서 주 표시영역(1000)에는 하나의 주 화면(1003)이 표시되고, 부 표시영역(2000)에는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2001, 2006, 2007, 2004)이 표시되고, 도 7에 있어서 주 표시영역(1000)에는 하나의 주 화면 (1004)이 표시되고, 부 표시영역(2000)에는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 (2001, 2006, 2003, 2008)이 표시된다. 각 부 화면은 각 정보카테고리와 대응하고 있다.
주 화면(1001 내지 1004)에는 각각의 정보카테고리의 정보가 상세하게 표시된다.
주 화면(1001 내지 1004)에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2002, 2005, 2007, 2008)에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이나 조작자에 대한 조작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한다.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는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의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조작부 (470)의 상하의 화살표키(470a, 470b)(도 2)를 모의하여 디자인되고 있다. 그 밖의 부 화면[2006, 2003, 2004(도 4), 2001, 2003, 2004(도 5), 2001, 2006, 2004(도 6), 2001, 2006, 2003(도 7)]에는 대응하는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표시한다. 간략 표시는 예를 들면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내의 대표적인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행한다.
부 화면(2005, 2006, 2003, 2004(도 4), 2001 내지 2004(도 5), 2001, 2006, 2007, 2004(도 6), 2001, 2006, 2003, 2008(도 7)]은 각 정보카테고리의 인덱스태그 (표제)의 역할도 하도록 배치되어, 주 표시영역(1000)에 대한 인덱스태그를 모방하여 디자인·레이아웃되어 있다.
조작자가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의 조작과 화면 전환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예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예로 전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조작자가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2002)을 대신하여 소망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2001)을 새로이 선택함으로써, 주 표시영역(1000)에 상세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수 있다. 그 선택은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80)를 목표로 상향의 화살표 키(470a)(도 2)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뒤에서 설명). 그때, 새롭게 선택된 정보카테고리의 부 화면(2001)에 간략 표시되어 있던 정보는 주 화면(1002)으로 옮겨 상세 표시된다. 대신 부 화면(2005)에는 선택된 정보카테고리의 명칭 및 조작자에 대한 조작가이드의 일러스트(80)를 표시한다. 또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던 정보카테고리의 주 화면(1001)의 상세정보는 화면전환후에는 부 화면(2006)의 간략화 표시로 이행한다. 다음에 표시부(472)의 표시 화면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카테고리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계기정보, 차체 자세정보, 가동정보, 이상 경고정보의 4개를 설정한다. 이하에 각 정보카테고리가 선택된 상태의 표시화면의 내용을 설명한다.
≪카테고리 A≫ 도 4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2)은 계기패널에 상당하는 화면이고, 엔진회전수(1200), 냉각수온(1201), 작동유온(1202), 연료레벨 (1203)을 수치, 원형 미터, 막대형 미터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5)은 선택되고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과 조작자에 대한 조작가이드의 일러스트(80)를 표시한다. 부 화면(2006, 2003, 2004)은 각각 차체 자세정보, 가동정보, 이상 경고정보에 대응하여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화한 것(대표적인 정보)을 표시한다. 부 화면 (2006)은 버킷자세 및 선단위치를 수치 및 일러스트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3)은 엔진 온시간 및 굴삭 누적시간을 수치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4)에는 이상발생시에 이상 항목을 표시한다.
≪카테고리 B≫ 도 5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1)은 버킷자세 및 차체 자세를 표시하는 화면이고, 차체 좌우 경사각(1100), 버킷 회전각(1101), 버킷높이(1102)를 수치 및 실제 기기의 전체상 또는 각 부위를 모방한 일러스트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2)은 선택되고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과 조작자에 대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한다. 부 화면(2001, 2003, 2004)은 각각 계기정보, 가동정보, 이상 경고정보에 대응하여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화한 것(대표적인 정보)을 표시한다. 부 화면(2001)은 냉각수온 및 작동유온과 연료레벨을 바늘형 미터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3, 2004)은 상기 설명과 동일하다. 이점에 관해서는 이하 동일하다.
≪카테고리 C≫ 도 6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3)은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고, 키 온시간(1300), 엔진 온 시간(1301), 굴삭시간(1302), 주행시간(1303), 선회시간(1304), ML크레인조작시간(1305), 어태치먼트조작시간(1306)을 수치 및 막대형 미터로 표시한다. 부 화면(2007)은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과 조작자에 대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한다. 부 화면(2001, 2006, 2004)은 각각 계기정보, 차체 자세정보, 이상 경고정보에 대응하여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화한 것(대표적인 정보)을 표시한다.
≪카테고리 D≫ 도 7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4)은 이상경고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상발생이력, 고장발생이력을 발생일시와 함께 표시한다. 부 화면 (2008)은 선택되고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과 조작자에 대한 사용가이드의 일러스트(81)를 표시한다. 부 화면(2001, 2006, 2003)은 각각 계기정보, 차체 자세정보, 가동정보에 대응하여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화한 것(대표적인 정보)을 표시한다.
<화면 표시처리의 설명>
상기한 화면표시를 행하는 정보표시장치(47)의 표시제어부(471)(도 2)에 의한 처리내용을 표시상태 플래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는 정보카테고리명(A, B, C, D) 중 어느 하나를 세트하는 것으로 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8에 나타낸다.
(1) 단계(10001) : 먼저, 정보표시장치(47)가 기동하면 현재 어떤 정보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표시상태 플래그를 A, 즉 계기정보에 설정한다. 즉, 초기상태는 카테고리(A)로 설정되게 된다.
(2) 단계(10002) : 정보표시장치(47)에 구비되는 조작부(470)의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0b)(도 2) 중 어느 하나가 눌려져 있지 않는가를 판정한다. 눌러져있으면 단계(10003)로,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100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003) : 눌러진 화살표 키를 따라 표시상태 플래그를 전환하는 처리블록(10010)을 실행한다.
(4) 단계(10004) : 주 화면 표시처리를 행하는 처리블록(10020)을 실행한다.
(5) 단계(10005) : 부 화면 표시처리 1(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하는 블록(10030)을 실행한다.
(6) 단계(10006) : 부 화면 표시처리 2(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하는 블록(1O04O)을 실행한다.
(7) 단계(10007) : 단계(10002)로 되돌아가 반복한다.
<처리블록(10010)의 설명>
블록(10010)은 눌러진 화살표 키에 따라 표시상태 플래그를 전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9에 나타낸다.
(1) 단계(10011) : 눌러진 화살표 키가 상향 화살표 키(470a)(이하, 적절하게 「↑」로 나타냄) 또는 하향 화살표 키(480b)(이하 적절하게 「↓」로 나타냄) 중 어느것인지를 판정한다. 「↑」인 경우는 단계(10012a)로, 「↓」인 경우는 단계 (10012b)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2) 단계(10012a) : 표시상태 플래그가 A인 경우는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한다. B, C, D인 경우는 각각 표시상태 플래그를 A, B, C로 변경한다.단계(100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012b) : 표시상태 플래그가 D인 경우는 아무것도 변경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한다. A, B, C인 경우는 각각 표시상태 플래그를 B, C, D로 변경한다. 단계(100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4) 단계(10013) : 블록(1001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0020)의 설명>
블록(10020)은 표시상태 플래그에 따라 주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처리 플로우를 도 10에 나타낸다.
(1) 단계(10021) : 표시상태 플래그가 A일 때는 단계(10022a)의 처리, B일 때는 단계(10022b)의 처리, C일 때는 단계(10022c)의 처리, D일 때는 단계(10022d)의 처리를 각각 행한다.
(2) 단계(10022a) : 통신에 의하여 얻은 엔진회전수, 냉각수온, 작동유온, 연료레벨을 수치 및 단위로, 원형 미터 또는 막대형 미터를 사용하여 그래프로 표시한다. 단계(1002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022b) : 먼저, 통신에 의하여 얻은 차체 좌우 경사각을 수치 및 단위로 표시하고, 또 동시에 차체를 뒤쪽에서 본 일러스트를 통신에 의하여 얻은 차체 좌우 경사각에 맞추어 회전시켜 표시한다. 다음에 통신에 의하여 얻어진 버킷의 회전각도를 수치 및 단위로 표시하고, 또 동시에 버킷을 측면에서 본 일러스트를 통신에 의하여 얻은 버킷 회전각도에 맞추어 회전시켜 표시한다. 다음에 통신에 의하여 얻어진 버킷 선단위치의 높이를 수치 및 단위로 표시하고, 또 동시에기준면 높이를 나타내는 수평선과 그것에 수직한 선에 버킷을 측면에서 본 일러스트를 겹쳐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버킷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한다. 단계 (1002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4) 단계(10022c) : 통신에 의하여 얻은 가동정보를 표시한다. 제 2 모니터유닛(46)이 계측·관리하는 키 온시간, 엔진 온시간, 굴삭시간, 주행시간, 선회시간, ML크레인 조작시간, 어태치먼트조작시간의 각각에 대하여 수치 및 단위로 펴시하고, 또 키 온시간을 100%로 하였을 때의 키 온시간 이외의 각 동작시간이 상대적인 비율을 길이로 한 막대형 그래프를 사용하여 그래프로 표시한다. 단계(1002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5) 단계(10022d) : 통신에 의하여 이상발생정보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상내용에 따라 미리 관련지어진 일러스트, 이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 및 이상발생일시를 표시한다. 이상발생마다 동일한 표시를 추가하여 간다. 통신에 의하여 이상이 해소되었다라는 정보가 얻어진 경우는 해당하는 이상의 일러스트와 이상의 해소를 나타내는 메시지와 이상 해소일시를 마찬가지로 추가표시한다. 단계(1002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6) 단계(10023) : 블록(1002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0030)의 설명>
블록(10030)은 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11에 나타낸다.
(1) 단계(10031) : 표시상태 플래그가 A일 때는 단계(10032a)의 처리, B일때는 단계(10032b)의 처리, C일 때는 단계(10032c)의 처리, D일 때는 단계(10032d)의 처리를 각각 행한다.
(2) 단계(10032a) : 정보카테고리명「계기정보」를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0)로서 하향 화살표 키(470d)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0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032b) : 정보카테고리명「차체 자세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0, 81)로서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0b)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0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4) 단계(10032c) : 정보카테고리명「가동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0, 81)로서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0b)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0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5) 단계(10032d) : 정보카테고리명「이상경고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1)로서 하향 화살표 키(470b)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0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6) 단계(10033) : 블록(1003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0040)의 설명>
블록(10040)은 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12에 나타낸다.
(1) 단계(10041) : 표시상태 플래그가 A가 아니면 계기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냉각수온과 작동유온을 바늘형 미터의 일러스트로 표시한다. 미터는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냉각수온, 작동유온정보에 의하여 바늘의 위치를 계산하여 차례로 묘획갱신한다.
(2) 단계(10042) : 표시상태 플래그가 B가 아니면, 차체 자세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버킷 선단위치 및 회전각도를 수치 및 단위로 표시한다. 또 버킷을 측면에서 본 일러스트를 회전각도에 따라 차례로 회전시켜 표시한다.
(3) 단계(10043) : 표시상태 플래그가 C가 아니면, 가동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엔진 온시간과 굴삭시간을 수치와 단위 및 막대형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4) 단계(10044) : 표시상태 플래그가 D가 아니면, 이상경고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이상경고정보에 의하여 이상발생시에는 이상내용에 따라 미리 관련지어진 일러스트를 표시하여 조작자에 알린다. 또 동시에 이상내용을 간단한 메시지로 표시한다. 통신에 의하여 해당하는 이상이 해소되었다라는 정보가 얻어졌을 때는 이상내용에 관련지어진 일러스트 및 이상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표시를 정지한다.
(5) 단계(10045) : 블록(10040)을 종료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예 및 화면천이예>
제 1 실시형태의 조작예로서, 초기상태의 계기정보카테고리(A)의 화면으로부터 가동정보카테고리(C)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순서를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초기상태에 있어서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는 A 이다. 주 화면에는 카테고리(A)가 표시된다. 즉, 주 화면(1002)이 표시된다.
(2) 「↓」를 입력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정보카테고리는 B가 된다. 주 화면에는 카테고리(B)가 표시되어 주 화면(1001)이 된다.
(3) ↓를 입력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정보카테고리는 C가 된다. 주 화면에는 카테고리 (C)가 표시되어, 주 화면(1003)이 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여 초기상태의 계기정보카테고리(A)의 화면으로부터 가동정보카테고리(C)의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시 화면을 이상경고 정보카테고리(D)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는, ↓를 입력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하여,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정보카테고리는 D가 되어, 주 화면에는 카테고리(D)가 표시되어 주 화면(1004)이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보표시장치(47)의 표시부(472)의 표시화면에 하나의 주 화면을 가지는 주 표시영역(1000)과 복수의 부 화면을 가지는 부 표시영역(2000)을 설치하여 상세 표시와 간략 표시에 의하여 복수의 정보카테고리를 표시하고, 또한 그 표시정보를 전환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2000)의 부 화면은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함으로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 표시영역(2000)의 복수의 부 화면은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인덱스태그의 역할을 가지고, 주 표시영역(1000)에 대한 인덱스태그를 모방하여 디자인·레이아웃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표제로서 사용 함으로써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선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정보카테고리는 계기정보와 이상경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자는 계기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운전실내의 계기반을 주시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실내에 계기반 그 자체도 생략 가능하여, 운전실내 공간의 유효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상경고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메인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4 내지 도 34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장치구성에 있어서, 정보표시장치(47)에 있어서의 각 정보카테고리내의 표시내용을 다시 몇개인가의 부카테고리로 나누어 정보카테고리의 선택·전환수단에 더하여, 정보카테고리 중의 부카테고리의 선택·전환수단을 추가하여 표시내용을 더 상세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도 14를 사용하여 정보카테고리마다의 표시화면에 설정되는 표시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테고리 A≫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한다.
≪카테고리 B≫ 카테고리(B)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카테고리(계층 2)를 가지고,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1)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버킷자세 및 차체 자세를 표시하는 화면과, 본 실시형태에서 새로이 추가하는 작업장치자세를 표시하는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버킷자세 및 차체 자세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에 나타낸 화면과 동일하다. 작업장치 자세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움, 아암, 버킷의 각 관절각의 변화에 의한 자세변화를 실제 기기의 전체 상을 포함한 측면도(1103)로 표시한다. 또 아울러 버킷 선단위치를 수치로 표시한다.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2002) 및 그것 이외의 부 화면(2001, 2003, 2004)은 전자의 부 화면(2002)에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2)가 추가 표시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2)는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주 카테고리(계층 1)로부터 부 카테고리로 이행하기 위한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조작부(470)의 왼쪽 화살표 키(470c)를 모의하여 디자인되어 있다. 또 주 표시영역 (1000)에도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부 카테고리를 전환하기 위한 목표로서, 조작부(470)의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b)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3, 84)를 표시하고, 또한 부 카테고리로부터 주 카테고리로 이행하기 위한 목표로서, 조작부(470)의 오른쪽 화살표 키(470d)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일러스트(85)를 표시한다.
≪카테고리 C≫
카테고리(C)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부 카테고리(계층2)를 가지고, 표시화면의 주 화면(1003)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과, 본 실시형태에서 새로이 추가하는 차체정보의 빈도분포를 그래프로 표시하는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또 빈도분포의 부 카테고리는 다시 5개의 부 카테고리(계층 3)를 가지고, 엔진회전수 빈도분포, 냉각수온 빈도분포, 작동유온 빈도분포, 굴삭부하 빈도분포, 펌프부하 빈도분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한다.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낸 화면과 동일하다. 엔진회전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회전수에 대한 가동시간의 분포 (1307)를 표시하고, 냉각수온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온에 대한 가동시간(엔진 가동시간)의 분포(1308)를 표시하고, 작동·유온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온에 대한 가동시간(엔진 가동시간)의 분포(1309)를 표시하고, 굴삭부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부하에 대한 굴삭이동시간의 분포(1310)를 표시하고, 펌프부하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화면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부하에 대한 펌프가동시간(엔진이동시간)의 분포(1311)를 표시한다.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2007) 및 부 화면(2001, 2006, 2004)은 카테고리 (B)와 마찬가지로 전자의 부 화면(2007)에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2)가 추가 표시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 주 화면(1003)에 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는 카테고리(B)와 마찬가지로 주 표시영역(1000)에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3, 84, 85)를 표시한다. 주 화면(1003)에 빈도분포를 표시하는 경우는 도 18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표시영역(1000)에는 다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6)를 표시한다.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6)는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부 카테고리(계층 2)로부터 다시 그 밑의 부 카테고리(계층 3)로 이행하기 위한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조작부(470)의 왼쪽 화살표 키(470c)를 모의하여 디자인되어 있다.
≪카테고리 D≫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한다.
이들 표시화면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명을 붙인다. 카테고리 (A)의 계기정보화면을 A-0-0, 카테고리(B)의 차체 자세정보 화면을 B-1-0, 카테고리 (B)의 작업장치 자세정보 화면을 B-2-0, 카테고리(C)의 가동정보 화면을 C-1-0, 카테고리(C)의 엔진회전수 빈도분포 화면을 C-2-1, 카테고리(C)의 냉각수온 빈도분포 화면을 C-2-2, 카테고리(C)의 작동유온 빈도분포 화면을 C-2-3, 카테고리(C)의 굴삭부하 빈도분포 화면을 C-2-4, 카테고리(C)의 펌프부하 빈도분포 화면을 C-2-5, 카테고리(D)의 이상경고정보 화면을 D-0-0으로 한다.
여기서, 라벨의 1번째 문자는 카테고리의 구별을 나타낸다. 라벨의 2번째 문자는 부 카테고리(계층 2)가 존재하면 그 구별을 나타낸다. 라벨의 3번째 문자는 다시 부 카테고리(계층 3)가 존재하면 그 구별을 나타낸다. 카테고리(A)와 같이 부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라벨의 2번째와 3번째는 0으로 한다. 카테고리 (D)도 마찬가지로 부 카테고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라벨의 2번째와 3번째는 0으로 한다. 카테고리(B)는 계층(2)이 2개 존재하므로 그들을 각각 B-1, B-2로 한다. B-1, B-2 모두 계층(3)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라벨의 3번째는 0이 되어 카테고리(B)에 속하는 화면의 라벨은 B-1-0, B-2-0 이 된다. 카테고리(C)는 계층(2)이 2개 존재하므로 그들을 각각 C-1, C-2로 한다. C-1은 계층(3)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카테고리(C-1)에 속하는 화면의 라벨은 C-1-0으로 한다. C-2에 대하여 계층(3)이 5개 존재하므로 카테고리(C-2)에 속하는 화면의 라벨은 차례로 C-2-1, C-2-2, C-2-3, C-2-4, C-2-5로 한다.
이에 의하여 카테고리전환에 의하여 A가 선택되었을 때는 화면(A-0-0)이, B가 선택되었을 때는 화면(B-1-0) 또는 화면(B-2-0)이, C가 선택되었을 때는 화면(C-1-0) 또는 화면(C-2-1) 또는 화면(C-2-2) 또는 화면(C-2-3) 또는 화면(C-2-4) 또는 화면(C-2-5)이, D가 선택되었을 때는 화면(D-0-0)이 각각 표시되게 된다.
도 23에 초기상태의 화면 천이블록도를 나타낸다.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빈도분포에는 엔진 회전수분포(C-2-1)로부터 펌프부하 빈도분포(C-2-5)까지의 중에서 엔진 회전수분포(C-2-1)를 선택하고, 가동정보에는 가동시간이력(C-1-0)과 빈도분포(C-2-1) 중으로부터 빈도분포(C-2-1)를 선택하고, 차체 자세정보에는 버킷자세 및 차체 경사(B-1-0)와 작업장치자세(B-2-0) 중으로부터 버킷자세 및 차체 경사(B-1-0)를 선택하고, 각각 초기상태로서 설정하여 둔다. 카테고리(A)와 카테고리(D)는 부 카테고리 선택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각각 화면(A-0-0), 화면(D-0-0)을 초기상태로서 설정하여 둔다. 또 초기화면은 카테고리(A)를표시하도록 설정하여 둔다. 따라서 정보표시장치(47)의 기동시의 초기화면으로서 화면(A-0-0)이 표시된다.
<화면표시처리>
이하, 화면표시처리를 현재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상태 플래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는 표시상태의 천이에 따라 각 표시화면마다의 라벨명 중 어느 하나가 세트되는 것으로 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24에 나타낸다.
(1) 단계(10101) : 먼저, 초기상태를 도 23의 천이블록도와 같이 설정하고 표시상태 플래그에 A-0-0을 세트한다. 즉 초기화면은 계기정보 화면으로 설정되게 된다.
(2) 단계(10102) : 정보표시장치(47)에 구비되는 조작부(470) 중 어느 하나의 화살표 키가 눌러져 있지 않은가를 판정한다. 눌러져 있으면 단계(10103)로,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101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103) : 눌러진 화살표 키에 따라 표시상태 플래그를 전환하는 처리블록(10110)을 실행한다.
(4) 단계(10104) : 주 화면 표시처리를 행하는 처리블록(10120)을 실행한다.
(5) 단계(10105) : 부 화면 표시처리 1(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을 행하는 블록(10130)을 실행한다.
(6) 단계(10106) : 부 화면 표시처리 2(표시상태 플래그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하는 블록(1O14O)을 실행한다.
(7) 단계(10107) : 단계(10102)로 되돌아가 반복한다.
<처리블록(10110)의 설명>
블록(10110)은 눌러진 화살표 키에 따라 표시상태 플래그를 전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 23의 화면천이 블록도에서는 도면의 오른쪽이 부 카테고리의 계층보다 깊은 쪽에 대응하고 있으나, 이하의 조작예에서는 표시화면의 레이아웃에 맞추어 왼쪽 화살표 키(470c)(이하, 적절하게 「←」로 나타냄)를 보다 깊은 계층으로의 천이의 지시, 오른쪽 화살표 키(470d)(이하, 적절하게 「→」로 나타냄)를 보다 얕은 계층으로의 천이의 지시에 할당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25 내지 도 27에 나타낸다.
(1) 단계(10111) : 도 25,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의 어느 계층에 있느냐에 따라 눌러진 화살표 키가 「↑」, 「↓」, 「←」, 「→」 중 어느것인지를 판정한다. 「↑」의 경우는 단계(10112a)로, 「↓」의 경우는 단계 (10112b)로, 「←」의 경우는 단계(10112c)로, 「→」의 경우는 단계(10112d)로 처리를 진행한다.
(2) 단계(10112a) : 도 25,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이블록도에 있어서 현재 선택표시되어 있는 화면보다 위에 인접하는 천이 가능한 화면이 있는 경우는 그 화면으로 천이하여 표시상태 플래그에 천이지 화면의 라벨명을 세트한다. 현재의 계층이 2 또는 3인 경우는 인접하는 왼쪽 계층으로부터의 링크를 천이지의 화면으로 이어 바꾼다. 천이 가능한 화면이 없는 경우는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유지한다. 단계(101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112b) : 도 25,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이블록도에 있어서 현재 선택표시되어 있는 화면보다 아래로 인접하는 천이 가능한 화면이 있는 경우는 그 화면으로 변환하여 표시상태 플래그에 천이지 화면의 라벨명을 세트한다. 현재의 계층이 2 또는 3인 경우는 인접하는 왼쪽 계층으로부터의 링크를 천이지의 화면으로 이어 바꾼다. 천이 가능한 화면이 없는 경우는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유지. 단계(101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4) 단계(10112c) :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의 계층이 1 또는 2 또한 인접하는 오른쪽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인접하는 오른쪽 계층으로 천이한다. 그때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하는 라벨명은 천이지 화면의 라벨명(즉 표시상태 플래그는 불변). 인접하는 오른쪽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현재의 계층이 3인 경우(도 27)는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유지한다. 단계(101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5) 단계(10112d) :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의 계층이 2 또는 3인 경우는 인접하는 왼쪽 계층의 표시화면으로서 현재의 표시화면을 선택하고, 왼쪽 계층으로 천이한다. 그때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하는 라벨명은 천이지 화면의 라벨명(즉 표시상태 플래그는 불변). 또 현재의 계층이 1인 경우(도 25)는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유지한다. 단계(1011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6) 단계(10113) : 블록(1011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0120)의 설명>
블록(10120)은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에 대응하는 주 화면의 묘획처리를 행한다. 각각의 주 화면의 상세한 묘획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28에 나타낸다.
(1) 단계(10121) : 표시상태 플래그의 라벨명에 대응하는 화면을 묘획한다.
(2) 단계(10122) : 블록(1012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0130)의 설명>
블록(10130)은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에 대응하는 정보카테고리, 즉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29에 나타낸다.
(1) 단계(10131) :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가 A일 때는 단계(10132a)의 처리, B일 때는 단계(10132b)의 처리, C일 때는 단계(10132c)의 처리, D일 때는 단계(10132d)의 처리를 각각 행한다.
(2) 단계(10132a) : 정보카테고리명「계기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0)로서 하향 화살표 키(470d)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l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3) 단계(10132b) : 정보카테고리명「차체 자세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0, 81)로서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0b)를 모의한 「↑」「↓」를 표시한다. 단계(101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4) 단계(10132c) : 정보카테고리명「가동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로서 상하의 화살표 키(470a, 470b)를 모의한 「↑」 「↓」를 표시한다. 단계(101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5) 단계(10132d) : 정보카테고리명「이상경고정보」을 표시하고, 또 조작자에 대한 조작 가이드용 일러스트(81)로서 하향 화살표 키(470b)를 모의한 「↑」를 표시하는 단계(10133)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6) 단계(10133) : 블록(10130)을 종료한다.
<처리블록(1O14O)의 설명>
블록(1O14O)은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로 선택되어 있지 않은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처리플로우를 도 30에 나타낸다.
(1) 단계(10141) :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가 A가 아니면 계기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냉각수온과 작동유온을 바늘형 미터의 일러스트로 표시한다. 미터는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냉각수온, 작동유온정보에 따라 바늘의 위치를 계산하여 차례로 묘획 갱신한다.
(2) 단계(10142) :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가 B가 아니면 차체 자세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버킷 선단위치 및 회전각도를 수치 및 단위로 표시한다. 또 버킷을 측면에서 본 일러스트를 회전각도에 따라 차차 회전시켜 표시한다.
(3) 단계(10143) :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가 C가 아니면 가동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엔진 온시간과 굴삭시간을 수치와 단위 및 막대형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4) 단계(10144) :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된 라벨명의 1번째 문자가 D가 아니면 이상경고정보의 간략화 표시로서 통신에 의하여 얻어지는 이상경고정보에 의하여 이상발생시에는 이상내용에 따라 미리 관련지어진 일러스트를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알린다. 또 동시에 이상내용을 간단한 메시지로 표시한다. 통신에 의하여 해당하는 이상이 해소되었다라는 정보가 얻어졌을 때는 이상내용에 관련지어진 일러스트 및 이상내용을 나타내는 메시지의 표시를 정지한다.
(5) 단계(10145) : 블록(10140)을 종료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조작 및 화면 천이예 1>
제 2 실시형태의 첫번째 조작예로서, 초기상태의 계기정보화면(A-0-0)으로부터 작업장치자세(B-2-0)로 화면을 전환하는 순서를, 도 31a 내지 도 31d의 화면 천이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초기상태에 있어서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어 있는 라벨명은 A-0-0. 표시상태를 도 31a의 화면 천이블록도에 나타낸다.
(2)「↓」를 입력한다. 도 31b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B-1-0 이 된다.
(3)「→」를 입력한다. 도 31c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오른쪽으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B-1-0 그대로이다.
(4)「↓」를 입력한다. 도 31d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하여, 인접하는 왼쪽 계층으로부터의 링크를 천이지 화면으로 이어 바꾼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B-2-0 이 된다.
이상의 순서로 초기상태의 계기정보화면(A-0-0)으로부터 작업장치자세(B-2-0)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조작 및 화면 천이예 2>
제 2 실시형태의 2번째 조작예로서, 작업장치자세(B-2-0)로부터 작동유온 빈도분포(C-2-3)로 화면을 전환하는 순서를, 도 32 내지 도 38의 화면 천이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어 있는 라벨명은 B-2-0 으로 한다. 표시상태를 도 32의 화면 천이블록도에 나타낸다.
(2)「→」를 입력한다. 도 33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왼쪽으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B-2-0 그대로이다.
(3)「↓」를 입력한다. 도 34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C-2-1 이 된다.
(4)「←」를 입력한다. 도 35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오른쪽으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C-2-1 그대로이다.
(5)「←」를 입력한다. 도 36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오른쪽으로 천이한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C-2-1 그대로이다.
(6) 「↓」를 입력한다. 도 37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하고, 인접하는 왼쪽 계층으로부터의 링크를 천이지 화면으로 이어 바꾼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C-2-2 가 된다.
(7)「↓」를 입력한다. 도 38의 화면 천이블록도에서는 표시화면은 아래로 천이하여 인접하는 왼쪽 계층으로부터의 링크를 천이지 화면으로 이어 바꾼다. 표시상태 플래그에 세트되는 라벨명은 C-2-3 이 된다.
이상의 순서로 작업장치자세(B-2-0)로부터 작동유온 빈도분포(C-2-3)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하기의 효과가 얻어진다.
복수의 정보카테고리 중, 카테고리(B, C)는 복수의 부 카테고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은 그 중의 하나인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조작부(470)의 키조작에 의하여 주 화면에 표시하는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전환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종류를 늘릴 수 있어, 많은 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에 선택된 서브 카테고리정보를 표시할 때, 그것이 속하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2000)의 부 화면은 조작부 (470)의 키조작으로 그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함과 동시에, 그 부 화면과 주 표시영역 (1000)은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부 카테고리정보를 전환할 때의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2 내지 86)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시하는 정보의 종류가 늘어나도 조작부(470)의 키조작으로 주 표시영역(1000)에 표시하는 정보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39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어유닛 및 모니터유닛과 정보표시장치를 하나의 공통 통신라인으로 접속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어유닛 및 모니터유닛을 각각 독립된 통신라인으로 정보표시장치와 접속한 것이다.
도 39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제어유닛(17, 23, 33, 37) 및 제 1 및 제 2모니터유닛(45, 46)은 각각 개별의 통신라인(90 내지 95)에 의하여 정보표시장치 (47)와 접속되고, 정보표시장치(47)는 이들 통신라인(90 내지 95)을 거쳐 각각의 제어유닛, 모니터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수한다. 정보표시장치(47)에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조작부(470), 표시제어부(471), 표시부(472)(도 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40 내지 도 56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정보표시장치의 표시부의 스크린에 표시한 화면(표시화면)을 주 표시영역과 부 표시영역으로 나누었으나, 제 4 실시형태는 그와 같은 명확한 표시화면의 영역나눔은 행하지 않고, 부 화면의 표시위치에 자유도를 가지게 한 것이다.
도 40 내지 도 43은 각각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 도 4, 도 6 및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0에 있어서 표시부(472)(도 2참조)의 스크린(472a)에는 하나의 주 화면(3001)과,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4001, 4002, 4003, 4004)이 표시되고, 도 41에 있어서 스크린(472a)에는 하나의 주 화면(3002)과,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4003, 4004, 4005, 4006)이 표시되고, 도 42에 있어서 스크린(472a)에는 하나의 주 화면(3003)과,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 (4001, 4004, 4006, 4007)이 표시되고, 도 43에 있어서 스크린(472a)에는 하나의 주 화면(3004)과, 정보카테고리수와 동수의 부 화면(4001, 4003, 4006, 4008)이 표시되어 있다. 주 화면(3001 내지 3004)은 명확한 경계선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부 화면 이외의 화면영역이 주 화면영역으로 되어 있다.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계기정보 [카테고리 (A)], 차체 자세정보[카테고리(B)], 가동정보[카테고리(C)], 이상경고정보는[카테고리(D)] 4개를 설정하고, 또한 카테고리(B)의 차체 자세정보 및 카테고리(C)의 가동정보는 각각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부 카테고리를 더 가지는 것으로 한다.
주 화면(3001 내지 3004)에는 각각 카테고리(A 내지 D)의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다.
주 화면(3001 내지 3004)에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4002, 4005, 4007, 4008)에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이 표시되고, 그 밖의 부 화면[4001, 4003, 4004(도 40), 4003, 4004, 4006(도 41), 4001, 4004, 4006(도 42), 4001, 4003, 4006(도 43)]에는 대응하는 각 정보카테고리의 정보가 간략 표시된다.
즉, 도 40도의 부 화면(4002)에는 정보카테고리(B)의「차체자세」의 문자가표시되고, 부 화면(4001, 4003, 4004)에는 각각 계기정보, 가동정보, 이상경고정보가 간략 표시되고, 도 41의 부 화면(4005)에는 정보카테고리(A)의「계기정보」의 문자가 표시되고, 부 화면(4003, 4004, 4006)에는 각각 가동정보, 이상경고정보, 차체자세정보가 간략 표시되고, 도 42의 부 화면(4007)에는 카테고리(C)의「가동정보」의 문자가 표시되고, 부 화면(4001, 4004, 4006)에는 각각 계기정보, 이상경고정보, 차체 자세정보가 간략 표시되고, 도 43의 부 화면(4008)에는 카테고리(D)의「고장이력」의 문자가 표시되고, 부 화면(4001, 4003, 4006)에는 각각 계기정보, 가동정보, 차체 자세정보가 간략 표시된다.
또 도 40 내지 도 43에 있어서 정보카테고리의 명칭이 표시되는 부 화면 (4002, 4005, 4007, 4008)에는 커서(3080)가 위치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서(3080)는 부 화면(4002, 4005, 4007, 4008)을 굵은선으로 테두리를 한 화상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커서의 표시방법으로서는 그 이외에 부 화면 (4002, 4005, 4007, 4008)을 점멸 표시하여도 좋고, 부 화면(4002, 4005, 4007, 4008)의 색조를 바꾸어, 다른 부위와 구별하여도 좋다.
주 화면(3001 내지 3004)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주 화면에 어느 정보카테고리를 상세 표시할지)는 커서(3080)를 이동함으로써 행한다. 커서(3080)의 이동은 조작자가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작부(470A)를 사용하여 행한다. 조작부 (470A)는 화살표 키(470a, 470b, 470c, 470d)의 중앙에 결정 키(470g)를 더 가지는 점을 제외하고, 도 2에 기재한 조작부(470)와 동등하다. 화살표 키(470a, 470b, 470c, 470d)의 화살표는 커서(308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조작자가 주 화면(상세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을 전환하여 선택할 때의 조작에 대하여 도 45 내지 도 4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0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도 41에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 화면(4002)에 커서(3080)가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오른쪽의 화살표 키(470d)를 누르면, 커서 (3080)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화면(4001)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이 바뀐다. 즉, 주 화면(3001)은 주 화면(3002)으로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부 화면(4002)은 부 화면(4005)으로 전환되고, 부 화면(4001)은 사라지고 부 화면(4006)이 나타난다. 또 커서(3080)는 부 화면(4005)으로 이동한다.
도 40에 나타내는 화면으로부터 도 42, 도 43에 나타내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40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 오른쪽의 화살표 키(470d)를 누르고, 다시 하향의 화살표 키(470b)를 누르면, 커서(3080)는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화면(4003)으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 (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이 바뀐다. 즉, 주 화면(3001)은 주 화면(3003)으로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부 화면(4002)은 부 화면(4007)으로 전환되고, 부 화면(4003)은 사라지고, 부화면(4006)이 나타난다. 또 커서(3080)는 부 화면(4007)으로 이동한다.
또 도 40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하향의 화살표 키(470b)를 누르면 커서(3080)는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화면(4004)으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이 바뀐다. 즉, 주 화면(3001)은 주 화면(3004)으로 바뀌고, 이와 동시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부 화면(4002)은 부 화면(4008)으로 바뀌고, 부 화면(4004)은 사라지고 부 화면(4006)이 나타난다. 또 커서(3080)는 부 화면 (4008)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카테고리(B) 및 카테고리(C)의 부 카테고리의 선택·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8은 주 화면(3001)에 카테고리(B)의 차체 자세정보를 표시하는 도 40의 화면으로부터 카테고리(B)의 부 카테고리(계층 2)로 천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48의 화면으로 바뀌어 부 화면(4002)에 일부 겹치도록 부 카테고리의 메뉴화면(401O)이 나타난다. 메뉴화면(4O10)은 「버킷 모니터」와 「프론트 모니터」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버킷 모니터」는 현재 주 화면(3001)에 표시되어 있는 버킷자세 및 차체 자세(1100, 1101, 1102)의 정보에 대응하고, 「프론트 모니터」는 도 16에 나타낸 작업장치자세(1103)의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또 「버킷 모니터」의 항목에는 부 커서(3081)가 위치하고, 현재 주 화면(3001)에 표시되는 차체 자세정보가 버킷 자세 및 차체 자세(1100, 1101, 1102)의 정보인 것을 나타내고있다.
도 48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하향의 화살표 키(470b)를 누르면 도 49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메뉴화면(4010)내의 부커서(3081)는 「버킷 모니터」로부터 「프론트 모니터」의 항목으로 이동하고, 주 화면(3001)에는 작업장치자세(1103)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49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50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부 카테고리의 메뉴화면(4010)은 사라지고, 부 화면 (4002)만이 표시된다. 도 50은 도 40과 비교하면 주 화면(3001)에 표시되는 차체 자세정보가 버킷 자세 및 차체 자세정보(1100, 1101, 1102)로부터 작업장치 자세정보(1103)로 전환되어져 있다.
도 51은 주 화면(3003)에 카테고리(C)의 가동정보(가동시간정보)를 표시하는 도 42의 화면으로부터 카테고리(C)의 부 카테고리(계층 2)로 천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 (470g)를 누르면 도 51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부 화면(4007)에 일부 겹치도록 부 카테고리(계층 2)의 메뉴화면(4020)이 나타난다. 메뉴화면(4020)은 「누적 가동시간」과 「빈도분포표」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누적 가동시간」은 현재 주 화면 (3003)에 표시되어 있는 키 온시간(1300), 엔진 온시간(1301), 굴삭시간(1302), 주행시간(1303), 선회시간(1304), ML크레인조작시간(1305), 어태치먼트조작시간 (1306)의 각 정보에 대응하고, 「빈도분포표」는 도 18 내지 도 22에 나타낸 엔진회전수 빈도분포(1307), 냉각수온 빈도분포(1308), 작동유온 빈도분포(1309), 굴삭부하 빈도분포(1310), 펌프부하 빈도분포(1311)의 각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또 「누적 가동시간」의 항목에는 부 커서(3081)가 위치하고, 현재 주 화면(3003)에 표시되는 가동정보가 누적 가동시간정보(1300 내지 1306)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빈도분포표」의 항목에는 조작부(470A)의 왼쪽 화살표 키(470d)를 모의하여 디자인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7)가 표시된다.
도 51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하향의 화살표 키(470b)를 누르면, 도 52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메뉴화면(4020)내의 부 커서(3081)는「누적 가동시간」으로부터 「빈도분포표」의 항목으로 이동하여 주 화면(3003)에는 엔진회전수 빈도분포(1307)가 표시된다.
도 52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53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메뉴화면(4020)의 「빈도분포표」 항목의 오른쪽에 다른 부 카테고리(계층 3)의 메뉴화면(4030)이 나타난다. 메뉴화면(4030)은 「엔진회전수」, 「수온」, 「작동유온」, 「굴삭부하」, 「펌프부하」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이들 각 항목은 각각 도 18 내지 도 22에 나타낸 엔진회전수 빈도분포 (1307), 냉각수온 빈도분포(1308), 작동유온 빈도분포(1309), 굴삭부하 빈도분포 (1310), 펌프부하 빈도분포(1311)의 각 정보에 대응하고 있다. 또 「엔진회전수」의 항목에는 부 커서(3082)가 위치하고, 현재 주 화면(3003)에 표시되는 빈도분포표가 엔진회전수 빈도분포(1307)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3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하향의 화살표 키 (470b)를 2회 누르면, 도 54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메뉴화면(4030)내의 부 커서(3082)는 「엔진회전수」로부터 「작동유온」의 항목으로 이동하고, 주 화면(3003)에는 작동유온 빈도분포(1309)가 표시된다.
도 54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55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계층(3)의 부 카테고리의 메뉴화면(4030)은 사라지고, 부 화면(4007)과 계층(2)의 메뉴화면(4020)이 표시된다. 도 55를 도 52와 비교하면 주 화면(3003)에 표시되는 가동정보가 엔진회전수 빈도분포(1307)로부터 작동유온 빈도분포(1309)로 전환되어져 있다.
도 55에 나타내는 화면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470A)의 결정키(470g)를 누르면, 도 56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부 카테고리의 메뉴화면(4020)은 사라지고, 부 화면 (4007)만이 표시된다. 도 56을 도 42와 비교하면, 주 화면(3003)에 표시되는 가동정보가 키 온시간(1300), 엔진 온시간 (1301), 굴삭시간(1302), 주행시간 (1303), 선회시간(1304), ML크레인조작시간(1305), 어태치먼트조작시간(1306)의 각 정보로부터 작동유온 빈도분포(1309)로 전환되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주 화면(3001 내지 3004)을 전환하였을 때, 주 화면(3001 내지 3004)에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의 명칭을 표시하는 부 화면(4002, 4005, 4007, 4008)은 항상 화면 왼쪽 위의 동일위치에 표시하고, 주 화면(3001 내지 3004)에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를 간략 표시하는 부 화면(4001, 4003, 4004, 4006)은 카테고리별로 항상 동일한 위치에 표시하였으나, 이들 부 화면의 표시위치를 적절하게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4의 화면으로부터 결정키(470g)를 눌러 도 41의 화면으로 전환할 때, 카테고리(B)의 차체 자세정보를 간략 표시하는 부 화면(4006)을 지금까지 카테고리(A)의 계기정보를 간략 표시하는 부 화면(4001)을 표시하고 있는 위치에 표시하여도 좋고, 화면 전체에서 가장 공간에 여유가 있는 장소를 찾아 표시하여도 좋다.
또 부 화면(4001 내지 4008)의 위치는, 컴퓨터로 드래그조작을 할 때와 같이 조작부(470A)의 적당한 키조작의 조합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부 화면은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하였으나, 주 화면에 정보가 상세 표시되어 있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화면은 정보카테고리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테두리가 있는 부 화면으로 하지 않고, 단지 문자정보만을 표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종류의 정보를 복합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있어, 조작자의 정보파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1)

  1. 건설기계(1)의 운전실(6)내에 설치되어 차체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472, 472a)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72, 472a)에 표시되는 화면은 하나의 주 화면(1001-1004 ; 3001-3004)과 복수의 부 화면(2001-2008 ; 4001-4008)을 가지고,
    상기 주 화면은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 중의 하나의 정보를 상세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적어도 상기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고, 또한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표시하고,
    상기 주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전환하기 위한 입력수단 (470)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을 조작하면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하나에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주 화면에 상세 표시하고, 상기 주 화면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임의의 하나에 간략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화면(1001-1004 ; 3001-3004)은 상기 표시부(472, 472a)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크기이고, 상기 복수의 부 화면(2001-2008 ; 4001-4008)은 상기 주 화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 화면(2001-2008 ; 4001-4008)은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내의 대표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 중 적어도 하나(B, C)는 그 정보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부 카테고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화면 (1001, 1003 ; 3001, 3003)은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47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주 화면에 표시하는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72, 472a)에 표시되는 화면은 미리 위치가 정해진 주 표시영역 (1000)과 부 표시영역(2000)을 가지고, 상기 주 표시영역에 상기 주 화면(1001-1004)을 표시하고, 상기 부 표시영역에 상기 복수의 부 화면(2001-2008)을 표시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은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의 각각에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1001-1004)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A, B, C, D)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2000)의 부 화면(2001-2008)은, 상기 입력수단(470)의 조작으로 상기 정보카테고리(A, B, C, D)를 전환할 때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 표시영역(2000)의 복수의 부 화면(2001-2008)은 상기 주 표시영역 (1000)의 주 화면(1001-1004)에 표시하는 정보카테고리(A, B, C, D)의 인덱스태그의 역할을 가지고, 상기 주 표시영역에 대한 인덱스태그를 모방하여 디자인·레이아웃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의 적어도 하나(B, C)는 그 정보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의 부 카테고리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표시영역 (1000)의 주 화면(1001,1003)은 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47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주 화면에 표시하는 부 카테고리정보를 선택·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 표시영역(1000)의 주 화면(1001, 1003)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카테고리정보를 표시할 때, 그것이 속하는 정보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부 표시영역 (2000)의 부 화면(2002, 2007)은 상기 입력수단(470)의 조작으로 그 정보카테고리를 전환할 때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0, 81)를 표시함과 동시에, 그 부 화면과 상기 주 표시영역은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으로 상기 부 카테고리정보를 전환할 때의 기준이 되는 화살표 키를 모의한 조작 가이드의 일러스트(82, 85)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카테고리는 적어도 계기정보 및 이상경고정보(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11. 건설기계(1)의 운전실(6)내에 설치되고, 차체정보나 메인티넌스정보 등 복수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표시부(472, 472a)를 구비한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47)의 표시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장치(47)의 표시부(472, 472a)에 표시되는 화면을 하나의 주화면(1001-1004 ; 3001-3004)과 복수의 부 화면(2001-2008 ; 4001-4008)으로 구성하고, 상기 주 화면에 복수의 정보카테고리(A, B, C, D) 중 하나의 정보를 상세 표시시켜,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을 적어도 상기 주 화면에 정보를 상세 표시한 정보카테고리 이외의 정보카테고리에 대응시키고, 또한 해당하는 정보카테고리의 정보를 간략 표시시키는 연산제어수단[470, 단계(1004, 1005, 1006)]과,
    상기 주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470)이 조작되면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하나에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주 화면에 상세 표시하고, 상기 주 화면에 지금까지 표시되어 있던 카테고리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부 화면의 임의의 하나에 간략 표시하는 전환수단[470, 단계(1002, 100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의 표시제어장치.
KR10-2002-7009647A 2000-11-29 2001-11-28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KR10052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3745 2000-11-29
JPJP-P-2000-00363745 200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268A true KR20020076268A (ko) 2002-10-09
KR100522374B1 KR100522374B1 (ko) 2005-10-18

Family

ID=188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647A KR100522374B1 (ko) 2000-11-29 2001-11-28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26465B2 (ko)
EP (1) EP1342853B1 (ko)
JP (1) JP3869794B2 (ko)
KR (1) KR100522374B1 (ko)
CN (1) CN1249308C (ko)
WO (1) WO20020444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293A1 (ko) * 2011-12-15 2013-06-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효율 양호 rpm 구간 표시 장치
EP2784230A3 (en) * 2013-03-27 2014-10-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KR20150033031A (ko)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0644A1 (en) * 2003-04-08 2004-10-14 Alan Paine Safe load lifting measurement device
JP4506286B2 (ja) 2003-08-19 2010-07-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3902168B2 (ja) 2003-09-04 2007-04-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US7010367B2 (en) * 2003-10-16 2006-03-07 Caterpillar Inc. Operator interface for a work machine
US7480869B2 (en) * 2003-10-31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atus of hierarchical operations
JP4310632B2 (ja) * 2003-11-07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079113B2 (ja) *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074615B2 (ja) * 2004-11-17 2008-04-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US7441189B2 (en) * 2005-06-20 2008-10-21 Navico International Limited Instrumentation interface display customization
US7580781B2 (en) * 2005-12-14 2009-08-25 Clark Equipment Company Diagnostic system for a power machine
JP4853921B2 (ja) * 2007-02-14 2012-01-11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機体診断システム
JP4847913B2 (ja) * 2007-03-30 2011-12-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周辺監視装置
US7729835B2 (en) * 2007-08-21 2010-06-01 Jcb Compact Products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a working machine
EP2181879B1 (en) * 2007-09-11 2013-10-23 Sharp Kabushiki Kaisha Instrument panel image forming device, instrument panel image forming method, vehicle, instrument panel image display device, instrument panel image display method, instrument panel image forming program,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nstrument panel image forming program is recorded
KR100934947B1 (ko) * 2007-10-02 2010-01-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레벨링 수단이 구비된 중장비의 영상표시 시스템
US7810260B2 (en) * 2007-12-21 2010-10-12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Control system for tool coupling
JP4700077B2 (ja) * 2008-03-26 2011-06-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装置
US20090283068A1 (en) * 2008-05-15 2009-11-19 William L Willison Fuel filter assembly with pressure sending unit
US7936261B2 (en) * 2008-09-26 2011-05-03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machine using an interactive test script
JP5215204B2 (ja) * 2009-01-29 2013-06-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構造
JP5054833B2 (ja) * 2011-02-22 2012-10-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977441B2 (en) 2011-06-28 2015-03-10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displaying work tool orientation and machine using same
EP2796623B1 (en) * 2011-12-21 2017-03-15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pparatus for setting degree of controllability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20130304331A1 (en) * 2012-05-10 2013-11-14 Caterpillar, Inc. Display-Based Control for Motor Grader
DE102012014655A1 (de) * 2012-07-24 2014-03-06 Bomag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Bau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edieneinheit
DE102012107550A1 (de) * 2012-08-17 2014-05-1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Anzeigenvorrichtung für Landmaschinen
JP5624101B2 (ja) * 2012-10-05 2014-11-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機械の表示システム、掘削機械及び掘削機械の表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78354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CN103148882B (zh) * 2013-01-09 2018-01-09 华东理工大学 一种物理参量测量值的复合指示方法
KR101979029B1 (ko) * 2013-01-23 2019-05-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의 연비 표시 장치
JP5906209B2 (ja) * 2013-03-15 2016-04-20 Kyb株式会社 作業機の制御装置
US9575628B2 (en) * 2013-03-29 2017-02-21 Deere & Company Icon featured touch screen display system including status shortcuts for a work 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the same
JP6284302B2 (ja) * 2013-04-02 2018-02-28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の伸縮パターン選択装置
US9050891B2 (en) * 2013-07-25 2015-06-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rticulating instrument cluster
KR102333783B1 (ko) * 2014-04-25 2021-11-30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방법
USD781890S1 (en) * 2014-10-31 2017-03-21 Auto Meter Product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314105B2 (ja) * 2015-03-05 2018-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道生成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6633052B2 (ja) * 2015-03-27 2020-01-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DE102016012786A1 (de) * 2016-10-26 2018-04-26 Liebherr-Werk Biberach Gmbh Fernsteuer-Einrichtung für Kran, Baumaschine und/oder Flurförderzeug
JP6825901B2 (ja) 2016-12-22 2021-02-03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表示装置
JP6718399B2 (ja) * 2017-02-21 2020-07-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20180346301A1 (en) * 2017-06-05 2018-12-06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or calibrated implement position display
EP3543402A1 (de) 2018-03-19 2019-09-25 Joseph Vögele AG Baumaschine zum erstellen oder bearbeiten einer strasse
JP6962841B2 (ja) * 2018-03-22 2021-11-05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表示システム
JP7097022B2 (ja) * 2018-08-31 2022-07-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202193B2 (ja) * 2019-01-18 2023-01-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装置、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7264795B2 (ja) * 2019-11-21 2023-04-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稼働エリア提示装置および稼働エリア提示方法
JP7186270B1 (ja) 2021-08-31 2022-12-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24005169A (ja) * 2022-06-30 2024-01-1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495B2 (ja) 1992-04-13 1999-06-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多機能ディスプレイモニタ装置とその操作方法
JPH05288648A (ja) 1992-04-13 1993-11-02 Komatsu Ltd 建設機械の管理モニタ装置
US5854988A (en) * 1996-06-05 1998-12-29 Topcon Laser System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excavator
US6275231B1 (en) * 1997-08-01 2001-08-14 American Calcar Inc. Centralized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automobiles
JPH1169258A (ja) 1997-08-20 1999-03-09 Fujitsu General Ltd マルチチャンネル表示装置
JP3293762B2 (ja) 1997-09-08 2002-06-17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5956255A (en) * 1997-09-23 1999-09-21 Case Corporation Seed planter performance monitor
US6039141A (en) * 1998-02-23 2000-03-21 Case Corporation Moving operator and display unit
JPH11286971A (ja) * 1998-04-02 1999-10-19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2000297443A (ja) * 1999-04-15 2000-10-24 Komatsu Ltd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293A1 (ko) * 2011-12-15 2013-06-2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효율 양호 rpm 구간 표시 장치
EP2784230A3 (en) * 2013-03-27 2014-10-2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US9481981B2 (en) 2013-03-27 2016-11-01 Sumitomo(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KR20150033031A (ko)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2853A4 (en) 2009-04-15
US6826465B2 (en) 2004-11-30
EP1342853A1 (en) 2003-09-10
CN1249308C (zh) 2006-04-05
KR100522374B1 (ko) 2005-10-18
JPWO2002044480A1 (ja) 2004-04-02
JP3869794B2 (ja) 2007-01-17
EP1342853B1 (en) 2012-03-14
US20030001750A1 (en) 2003-01-02
WO2002044480A1 (fr) 2002-06-06
CN1395642A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374B1 (ko)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KR100678532B1 (ko) 건설 기계의 진단 정보 제공 장치, 진단 정보 표시 시스템및 진단 정보 제공 방법
US6766600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ler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0762161B1 (ko) 작업기계의 표시장치
KR100673501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CN109790704B (zh) 挖土机
JP2002275949A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EP2634316B1 (en) Work vehicle
CN103492646A (zh) 作业车辆、作业车辆用显示装置、作业车辆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反铲式挖掘装载机、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以及反铲式挖掘装载机用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20130035824A1 (en)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EP3666979B1 (en) Display device for a shovel, corresponding shovel and display method
CN108699808A (zh) 作业机械
CN107949676A (zh) 工程机械的驱动控制装置
US20120016659A1 (en) Display Apparatus for Work Machine and Language Rewriting System for Display Apparatus
JP2024045756A (ja)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286287B2 (ja)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8145685A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装置
US20240159020A1 (en)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System, Work Machine Display System, Work Machine,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2067736A (ja) 表示装置
JP3539815B2 (ja) 建設機械の電子制御装置の故障診断表示装置
CN117328529A (zh) 工程机械的显示控制装置
US20240157795A1 (en) Display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KR20240018374A (ko) 표시 장치 및 건설 기계
JP2024005874A (ja) 作業機械用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