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24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245A
KR20020075245A KR1020020014707A KR20020014707A KR20020075245A KR 20020075245 A KR20020075245 A KR 20020075245A KR 1020020014707 A KR1020020014707 A KR 1020020014707A KR 20020014707 A KR20020014707 A KR 20020014707A KR 20020075245 A KR20020075245 A KR 2002007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atent image
toner
photosensitive memb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044B1 (ko
Inventor
이케다요시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2007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정보 표시 단말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개량이 용이하며, 불필요한 액세스를 증가시키지 않고 재석(在席)상황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재석 상황을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는 정보 표시 시스템, 정보 표시 방법, 정보 표시 서버 및 정보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 표시 단말(15a ∼ 15n)과, 정보 표시 서버(10)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시스템(1)으로, 정보 표시 서버(10)는 정보 저장 수단(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갱신에 따라 정보 표시 단말(15a) 등에 갱신 통지를 송신하는 갱신 통지 송신 수단(12)을 구비하고, 정보 표시 단말(15a) 등은 정보 표시 서버(10)로부터의 갱신 통지에 따라 갱신된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정보 취득 표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가시상화하며, 그 가시상화된 토너 화상을 용지 등의 피전사체에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토너 화상의 전사 후에 감광체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 장치에 의해 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 화상 형성시에 감광체 표면에 부착한 토너를 다음의 화상을 형성할 때까지에 클리닝하는 장치로서는 고무의 가장자리를 압접시켜 토너를 긁어뜨리는 블레이드 클리닝 방식이 있다. 그러나, 열이나 압력에 의해 미소한 토너의 필림층이 형성되면 감광체의 마찰 계수가 증가하여 블레이드의 말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감광체의 표면에 블레이드 말림 방지용 패턴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그것을 블레이드 가장자리에 입력하여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화상 형성의 바탕 오점에 의한 품질 저하나 장치내의 토너 비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상에 일정 패턴의 가시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상의 토너 농도를 소정의 센서로 검출하며, 이 검출값에 근거하여 토너 농도의 조절을 행하고 있다. 그 경우의 토너 농도 조절 수단으로서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을 형성하고, 그 잠상을 가시상화함으로써 강제적으로 토너를 소비하고, 그 결과로서 소망의 토너 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 토너 농도 검출용 또는 조절용의 패턴과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용의 패턴을 공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10-228164호 공보에는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용의 패턴과 토너 농도 측정 제어용 패턴을 공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또 특허 공개 공보 평성11-024383호 공보에는 토너의 강제적인 소비 동작에 의해 토너 농도를 안정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은 감광체의 주주사 방향으로 클리닝 블레이드 길이만큼 연속적인 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를 윤활제로서 클리닝 블레이드와 감광체 표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에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감광체의 잠상위에 토너를 올리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으로 토너 소비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부주사 방향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토너의 강제 소비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소비 토너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토너 화상의 패턴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토너 화상의 형성은 피전사체인 용지를 감광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톱에 필요 이상의 토너가 부착되고, 그 결과, 분리톱의 기능 열화가 발생하여 그 분리 기능이 소실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토너 화상의 패턴을 작성하여도 분리톱에 토너가 부착하지 않도록 하여 분리톱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복사기의 제어부 중, 주로 화상 처리에 따른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기록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그 디지털 복사기의 전체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a, 5b는 감광체 드럼상에 형성하는 토너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5a는 종래의 토너 패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토너 패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디지털 복사기에 있어서의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유형 작성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기록 제어부
402P센서 블록
406주주사 카운터
407부주사 카운터
214감광체 드럼
231분리톱
239클리닝 블레이드
TP토너 패턴
본 발명은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 화상을 부여하는 잠상 화상 부여 수단과, 잠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 및 잠상 화상 부여 수단에 의해 부여된 잠상 화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에 감광체상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을 부여할 수 없는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은 잠상 불가 영역을 감광체의 주주사 방향에 따라 임의의 영역에 설정하는 수단이면 된다. 나아가, 잠상 불가 영역을 감광체의주주사 방향에 따라 복수 개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광체에 대하여 마련되는 분리톱에 대응하는 영역에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면, 분리톱에 토너가 부착하지 않게 되어 분리톱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이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부여하는 잠상 화상은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유형이어도 좋고, 토너 농도 조절용의 패턴이어도 좋고, 이 양쪽을 겸용하는 패턴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인 디지털 복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그 디지털 복사기의 제어부 중 주로 화상 처리에 사용되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며, 도 3은 기록 제어부(4)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블록도에 있어서, 이 화상 처리부는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부(도 4에 의해 후술한다)로 판독된 RGB(적록청색)의 화상 신호를 A/D 변환(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블랙 오프셋 보정, 음영 보정, 화소 위치 보정을 행하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2), 이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2)로부터 출력되는 RGB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이미지 데어터 처리부(3), 이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기록 제어부(4),이 기록 제어부(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인 레이저 다이오드(6)의 발광 제어를 행하는 LD 제어부(5)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캐너부의 CCD로 판독된 RGB의 화상 신호는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2)에서 적정한 게인(gain)이 부여되어 A/D변환되고, 블랙 보정, 음영 보정, 화소 위치 보정 등을 행한 후, 클록에 동기한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 RDT 0∼7, GDT 0∼7, BDT 0∼7로서 출력된다.
이 경우, 블랙 오프셋 보정이란, CCD의 암전류의 블랙 레벨을 화상 데이터로부터 감산하는 보정이다. 음영 보정은 주주사 방향의 광원의 광량 불균일이나 CCD의 각 화소간의 감도 차에 의한 불균일을 제거하기 때문에, 원고 주사 개시전에 농도가 균일한 백판을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각 화소마다 기억하며, 원고 판독 중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각 화소마다의 백판의 데이터로 제산(除算)함으로써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화소 위치 보정이란, CCD에 3라인의 것을 이용한 경우, 부주사 방향으로 화소의 위치 어긋남이 있으므로 그것을 보정하는 것이다.
또, 기록 제어부(4)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로의 기록 속도로 변환하는 속도 변환 기능, 복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부여 등 동작을 행한다.
나아가, LD 제어부(5)에서는 이 8비트 256명암단계의 흑화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레이저 다이오드(6)에 부여하는 전류의 펄스 폭이나 전류의 량을 제어한다.
도 1에 나타낸 제어부는 나아가, 장치 전체의 통괄적 제어를 실행하는 CPU(7),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고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ROM(8), 제어 프로그램이 데이터 처리할 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RAM(9),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로부터보내오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21), 각 장치간의 데이터 주고받음을 행하는 내부 시스템 버스(10), 시스템 버스(10)와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간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I/F(11), 이용자가 지시를 부여하고 동시에 이용자에 대하여 표시를 행하는 조작부(12)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부의 시스템 버스(10)에는 후처리장치(22) 및 자동 원고 공급 장치(23)도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이미지 데어터 처리부(3)의 각종 블록을 나타낸다.
이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에서는 RGB의 각 신호를 우선 색 분리 회로(301)에 입력시켜 흑화상 데이터 및 적화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계속하여,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변조 전달 함수)보정 회로(302)에서 흑화상 데이터를 MTF 보정한다. 즉, 광학적인 주파수 특성의 열화 등을 2차원의 공간 필터에 의해 보정한다.
또, 적화상 데이터는 2치화 회로(303)에서 2치화한다. 계속하여 배율 변환 회로(304)에서 주주사 방향의 전기적 변배를 행하고, 그 후, γ보정 회로(305)에 있어서 γ보정을 행한다. 나아가, 화상 품질 처리 회로(306)에서는 디더나 오차 확산 등의 화상 품질 처리를 행한다. 이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에 의해 각종 보정이 행해진 흑화상 데이터 BLKDT 0∼7은 도 1에 나타낸 기록 제어부(4)로 보내지지만, 필요에 따라 I/F부(11)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21)에 축적된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는 나아가, 메인 제어부의 CPU와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를 공유하고 있고, 이것을 통하여 통신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는 스캐너나 프린터의 모터를 제어하는 이외에, 각종 클러치, 솔레노이드 등의 제어도행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기록 제어부(4)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 3에 나타낸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3)로부터 보내온 흑화상 데이터는 트림(trim) 블록(401)에서 트림이 행해지고, 나아가, P센서 블록(402)에 있어서, 프로세스 제어에 사용하는 P센서 패턴, 및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이 부여된다. 그 후, γ테이블(403)에 있어서, 데이터의 무게를 변경하고, 레이저 다이오드 ON/OFF블록(404)에 있어서, 동기 검지를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강제 점등의 데이터가 부여된 후, 도 1에 나타낸 LD제어부(5)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점등시킨다.
여기서, 동기 검지/블록 제어 회로(405)로부터의 동기 검지 신호에 의해 클리어되고 화소 클록 CLK에 의해 수시로 카운트 업하는 주주사 카운터(406)와, FGATE에 의해 클리어되고 동기 검지 신호에 의해 수시로 카운트 업하는 부주사 카운터(407)의 두 개 카운터의 카운트 값 조합에 의해 트림 블록(401)내에서 테스트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트림 블록(401)에서는 이 테스트 패턴 데이터와 이미지 센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트림 영역에 있어서 마스크를 행한 후, P센서 블록(402)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P센서 패턴 및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도 상술한 2개의 카운터의 카운트 값 조합에 의해 작성·부여된다. 상세한 예로서는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408)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과 부주사 방향의 게이트 신호를 각 카운트 값으로부터 작성하고, 그 논리 적을 취하여 패턴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로서는 주주사 카운터(406)를 항상 감시하여 소망의 카운트 값인 경우에는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 작성의 주주사 방향의 게이트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마스크 동작을 행하고, 감광체 상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 화상의 형성을 시키지 않도록 하여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고 있다.
나아가,마스크를 행하는 부분의 카운트 값의 설정은 SP모드로 불리우는 특수 모드에 있어서, 조작부 상으로부터 임의의 수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이 주주사 카운터(406) 및 부주사 카운터(407)의 각 카운트 값에 근거하여 잠상 화상 부여 수단의 기능을 갖는 P센서 블록(402)에 있어서 작성된다.
도 4는 이 디지털 복사기의 전체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디지털 복사기는 스캐너부(1)와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상부의 스캐너부(1)에는 원고를 올려놓는 콘택트 유리(201)가 마련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광원(형광등)(202)과 원고로부터의 빛을 수평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거울(203)로 구성되는 주행체(204)가 수평 이동(부주사 방향의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거울(203)로부터의 빛을 순차로 90도마다 반사시키기 위하여, 거울(205) 및 거울(206)로 이루어지는 주행체(207)가 주행체(204)의 이동에 따라서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거울(206)의 반사 광로에는 렌즈(208)가 배치되고, 그 합초점 위치에 라인 이미지 센서(20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캐너부(1)의 하측에는 화상 형성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화상 형성부에는 회전 편향기를 포함하는 레이저광 발생기(211), 이 레이저광발생기(211)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소정 위치에 초점 맞추는 광학계(212), 이 광학계(212)의 출력광을 반사시키는 거울(213)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록 장치와, 감광체 드럼(21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광체 드럼(214)의 주위에 대전기(215), LED광 발생기(210), 현상 장치(216, 217),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9), 전사기(229), 분리기(230), 분리톱(231), 클리닝 유닛(237), 클리닝 블레이드(239)가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감광체 드럼(214)의 전사 위치로 전사 용지를 타이밍을 맞추어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9), 전사 용지가 다수매 세트되는 카세트(220, 221, 222), 각각의 카세트로부터 한 매씩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공급 롤러(223, 224, 225), 이송 유닛(232), 정착기(233), 합성 복사시의 이송 경로(양면 합성 전환톱(243), 반전 전환톱(244), 반전 롤러(245), 조거 유닛(246))등도 마련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부에서는 대전기(215)에 의해 감광체 드럼(214)의 표면을 똑같이 대전시키고, 그 대전면에 기록 장치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광에 의한 노광 주사를 행하여 정전 잠상을 기록한다. 그 정전 잠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LED광 발생기(210)에 의한 LED광을 조사하여 소거한다. 그 후, 그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216)에 의한 블랙 토너 또는 현상 장치(217)에 의한 컬러 토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현상한다.
다음, 토너 화상에 의한 가시상이 감광체 드럼(214)의 전사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카세트(220, 221, 222)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출된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9)로부터 공급되고, 전사 위치에 있어서 전사기(229)에 의해 감광체드럼(214)상의 토너 화상을 용지면에 전사시킨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그 선단으로부터 분리기(230)와 분리톱(231)에 의해 정착기(233)로 이송되고, 거기서 열 및 압력이 부여되어 토너 화상이 용지면 상에 정착된다.
용지가 박리된 후에 감광체 드럼(214)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는 클리닝 유닛(237) 의 클리닝 블레이드(239)에 의해 감광체 드럼(21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클리닝 유닛(237)에 모여진다.
도 5는 이 디지털 복사기에 있어서의 감광체 드럼, 클리닝 블레이드 및 분리톱에 대한 토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부터 도 3에서는 화상 처리의 회로 구성,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의 블록 설명, 및 기록 제어부의 블록 설명에서 블랙 화상 데이터 및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 도 5a, 5b에서는 도 4에 나타낸 감광체 드럼(214)상으로의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인 토너 패턴(TP)과, 분리톱(231), 및 클리닝 블레이드(239)를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도 3의 기록 제어부(4)에서 설정되는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에 근거하여 도 4의 감광체 드럼(214)상을 레이저광의 조사로 노광되는 부분은 비화상 영역이고, 현상 장치(216)의 블랙 토너에 의해 농도 조절된 토너 패턴 (TP)이 형성되도록 잠상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형성된 잠상 화상의 현상에 의해 도 5b에 나타내는 토너 패턴(TP)이 얻어진다.
도 5a는 종래의 토너 패턴 (TP)을 나타내고 있고, 도 5b는 본 디지털 복사기에 있어서 형성되는 토너 패턴(TP)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는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균일하게 토너 패턴(TP)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리톱(23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토너 패턴 TP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감광체(214)의 회전에 따라 분리톱(231)에 토너 패턴 (TP)이 달하지 않는다.
즉, 분리톱(231)의 위치를 피하도록 하여 토너 패턴(TP)을 형성하는 것이고, 기록 제어부(4)에 있어서 FGATE 출력이 바뀌어 비화상 영역으로 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주주사 방향의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을 제어하고 있다. 또, 이 기록 제어부(4)에 의해 형성된 패턴에 근거하여 LD 제어부(5)가 제어되고, 감광체 드럼(214)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도 6은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패턴 작성의 타이밍도이다. 도 6에 있어서, (a)는 주주사에 대한 동기 신호, (b)는 인쇄 동작중(FGATE=H)또는 인쇄 동작 종료 (FGATE=L)를 나타내는 FGATE 출력, (c)는 레이저에 의한 광 파형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시간축에 따라 나타낸 ①∼⑤에 대하여 설명한다.
① 동기 신호를 확보한 후, 인쇄 동작을 행한다 (FGATE=H).
② 인쇄 동작 종료 (FGATE=L).
③ 감광체 상에 토너 패턴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④ 토너 패턴의 작성 종료.
⑤ 인쇄 동작 개시.
나아가, 형성하는 토너 패턴의 현상황(종래예)과 실시형태(본 발명에 따른 것)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디지털 복사기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보통 용지 팩스 장치 등, 전자 사진 방식의 각종 화상 형성 장치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비화상 영역에 잠상을 형성할 때에 잠상 불가 영역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토너 농도 조절용이나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용 등의 패턴 작성 시에, 분리톱에 토너가 도달하는 영역을 잠상 불가 영역으로 하여 분리톱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잠상 불가 영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각종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비화상 영역에 잠상 불가 영역을 복수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분리톱이 복수개 존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도 대응할 수 있다.

Claims (6)

  1.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 화상을 부여하는 잠상 화상 부여 수단과, 상기 잠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 및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에 의해 부여된 잠상 화상을 토너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은 상기 감광체상의 비화상 영역에 잠상을 부여할 수 없는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은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상기 감광체의 주주사 방향에 따라 임의의 영역에 설정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은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상기 감광체의 주주사 방향에 따라 복수 개소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은 상기 감광체에 대하여 마련되는 분리톱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잠상 불가 영역을 설정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이 상기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부여하는 잠상 화상은 클리닝 블레이드 말림 방지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화상 부여 수단이 상기 감광체의 비화상 영역에 부여하는 잠상 화상은 토너 농도 조절용의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14707A 2001-03-22 2002-03-19 화상 형성 장치 KR100418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3910A JP2002287437A (ja) 2001-03-22 2001-03-22 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083910 2001-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45A true KR20020075245A (ko) 2002-10-04
KR100418044B1 KR100418044B1 (ko) 2004-02-11

Family

ID=1893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707A KR100418044B1 (ko) 2001-03-22 2002-03-1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2589B2 (ko)
EP (1) EP1243978B1 (ko)
JP (1) JP2002287437A (ko)
KR (1) KR100418044B1 (ko)
CN (1) CN1228693C (ko)
DE (1) DE602012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0083B2 (en) 2004-02-27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rallel apply processing in data replication with preservation of transaction integrity and source ordering of dependent updates
JP4692168B2 (ja) * 2005-09-06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341134B2 (en) 2010-12-10 2012-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nchronous deletion of a range of messages processed by a parallel database replication apply process
US9727625B2 (en) 2014-01-16 2017-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rallel transaction messages for database re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4579A (ja) 1985-11-26 1987-06-05 Ricoh Co Ltd 電子写真複写機
JPS6459376A (en) * 1987-08-31 1989-03-07 Toshiba Corp Image forming device
JPH01144190A (ja) * 1987-11-30 1989-06-06 Tokyo Electric Co Ltd 電子キャッシュレジスタ
US5253031A (en) * 1990-05-31 1993-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Method of forming a reference pattern for adjusting image density in copying machines
JPH06194917A (ja) * 1992-12-25 1994-07-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164961B2 (ja) * 1994-03-18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記録装置と画質制御方法
JP3298042B2 (ja) * 1995-09-14 2002-07-02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H08197775A (ja) * 1995-10-17 1996-08-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49009A (ja) 1996-11-20 1998-06-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28164A (ja) * 1997-02-17 1998-08-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88895A (ja) * 1997-04-14 1998-10-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24383A (ja) * 1997-07-02 1999-01-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17891B2 (ja) * 1998-03-06 2006-09-0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187365A (ja) * 1998-12-21 2000-07-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181888B1 (en) * 1999-12-01 2001-01-30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toner patch creation for implementing diagnostics for a color image processor's systems parameters and system fault conditions in a manner that minimizes the waste of toner materials without compromising image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3978A2 (en) 2002-09-25
US6842589B2 (en) 2005-01-11
KR100418044B1 (ko) 2004-02-11
EP1243978A3 (en) 2003-05-21
CN1376953A (zh) 2002-10-30
US20020145761A1 (en) 2002-10-10
EP1243978B1 (en) 2004-09-22
CN1228693C (zh) 2005-11-23
JP2002287437A (ja) 2002-10-03
DE60201282T2 (de) 2005-11-10
DE60201282D1 (de)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50062A (ja) 画像入力装置
JP2004048265A (ja) 原稿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21658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18044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57229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13367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カラー複写装置
RU22994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34724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62035A (ja) 画像読取装置
JP2007088920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3688100B2 (ja) 画像処理装置
JP3560640B2 (ja) デジタル複写装置
JP440403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11259008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705639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1298704A (ja) 画像複写装置
JP4315401B2 (ja) 画像形成装置
JP4247889B2 (ja) 画像処理装置
JP4040346B2 (ja) 画像形成装置
JP400403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13629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716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57144A (ja) 情報読取装置
JP20050557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7922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