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78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784A
KR20020072784A KR1020020012826A KR20020012826A KR20020072784A KR 20020072784 A KR20020072784 A KR 20020072784A KR 1020020012826 A KR1020020012826 A KR 1020020012826A KR 20020012826 A KR20020012826 A KR 20020012826A KR 20020072784 A KR20020072784 A KR 20020072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oor
opening
cage
light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794B1 (ko
Inventor
시카이마사히로
나카지마하지메
나카시마도시로우
다카시마가즈오
다카하시다츠시
야마카와시게키
후지키다케시
고우라구니카즈
난노고우이치
아베시게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9266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7278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수직 프레임과 도어와의 간극 또는 도어와 도어 사이의 간극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는 일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0)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대향하고 그 사이에 개구부(34)를 형성하는 좌우 수직면(82)과, 개구부를 수평 방향으로 횡단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8)를 갖는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발광기(88)와 수광기(9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개구부를 수직 방향으로 횡단하는 단면상에서 상기 개구부에 면하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기(88)와 수광기(90)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하방에 배치된 한쪽은 좌우 수직면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는, 발광기와 수광기는 수직면으로부터 개구부내로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WITH SAFETY INSTALL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시에 도어와 도어 수용부와의 간극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종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88-66084 호에는 출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수직 프레임의 도어 수용부측에 종방향의 홈을 설치하고, 이 홈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발광기(發光器)와 수광기(受光器)를 설치하고, 이들 발광기와 수광기에 의해 도어와 도어 수용부와의 간극의 가까이에 물체(예컨대, 의복)의 존재가 검출되면, 도어의 개방 동작을 금지하는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9-310375 호에는 도어와 도어 수용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상하에 발광기와 수광기를 배치하고, 간극에 침입한 물체를 검출하는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공보에 개시된 안전장치는 종방향 홈의 하단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고, 이에 의해 오검출이 초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자의 공보에 개시된 안전장치는 간극 중에 들어간 물체를 검출하는 것으로, 간극에 물체가 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면으로서, 이들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케이지로의 출입구 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발광기를 구비하는 제 1 광학 장치와 상기 발광기로부터 발광된 빛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하는 제 2 광학 장치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횡단하는 수직면에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의 한쪽은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의 다른 쪽의 하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도어의 이동중에 상기 수광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구동기구의 구동을 금지하는 컨트롤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경보장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도어의 이동중에 상기 수광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케이지의 출입구를 케이지의 내부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승강장의 출입구를 승강장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케이지와 승강장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케이지와 승강장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안전장치의 제어 회로도,
도 7은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제어(케이지측)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제어(승강장측)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안전장치의 다른 형태의 제어 회로도,
도 10은 안전장치의 다른 도어 개방 제어(케이지측)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안전장치의 다른 도어 개방 제어(케이지측)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케이지와 승강장의 출입구의 정면도,
도 13은 도어 개방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고장 검출의 플로우 차트,
도 15는 케이지와 승강장의 출입구의 정면도,
도 16은 케이지와 승강장의 출입구의 정면도,
도 17은 케이지와 승강장의 출입구의 정면도,
도 18은 케이지와 승강장의 도어의 정면도,
도 19는 케이지와 승강장의 도어의 정면도,
도 20은 케이지와 승강장의 도어의 단면도,
도 21은 케이지와 승강장의 도어의 단면도,
도 22는 다른 형태의 도어의 단면도,
도 23은 또 다른 형태의 도어의 단면도,
도 24는 발광부의 단면도,
도 25는 다른 형태의 발광부의 단면도,
도 26은 또 다른 형태의 발광부의 단면도,
도 27은 또 다른 형태의 발광부의 단면도,
도 28은 또 다른 형태의 발광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 장치26 : 케이지
32 : 승강장34 : 케이지 출입구(개구부)
38 : 케이지 도어40 : 승강장 도어
42 : 수직 프레임58 : 경보장치
60 : 표시장치70 : 도어 구동부
72 : 간극74 : 안전장치
78 : 제 1 광학기기80 : 제 2 광학기기
82 : 수직면84 : 수평면
88 : 발광기90 : 수광기
102 : 경보장치104 : 표시장치
112 : 간극114 : 안전장치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건물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이하, '케이지'로 약칭함)의 내부에서 케이지의 출입구와 도어를 본 도면이고, 도 3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이하, '승강장'으로 약칭함)에서 승강장의 출입구와 도어를 본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승강장에 정차한 케이지와 승강장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0)의 승강체(12)는 건물(14)의 엘리베이터 승강로(16)내를, 이 승강로(16)를 따라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 가이드 레일(18)에 안내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6)의 상부에는 모터(20)를 내장한 와이어 권취 장치(22)가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권취 장치(22)에 감긴 와이어(24)의 단부는 승강체(12)에 연결되어 있고, 권취 장치(22)의 구동에 따라서 승강체(12)가 승강로(16)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체(12)는 승객이나 하물을 적재하기 위한 거실(居室)을 구성하는 케이지(26)와, 이 케이지(26)의 주위에 설치한 보강 구조의 케이지 프레임(28)을 갖는다. 승강체(12)의 정지층에 있어서 케이지(26)내의 거실(30)과 정지층의 승강장(32)을 서로 연통시키고 또한 연통된 거실과 승강장을 차단하기 위해 케이지(26)의 출입구(개구부)(34)와 승강장(32)의 출입구(개구부)(36)에 각각 케이지 도어(38)와 승강장 도어(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26)의 출입구(34)는 좌우의 수직 프레임(42)과, 수직 프레임(4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수평 프레임(44)과, 좌우 수직 프레임(4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 프레임(46)에 의해, 이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지(26)의 거실(30)을 향하는 수직 프레임(42)의 전부(前部) 수직면(48)에는 조작 패널(5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50)에는 복수의 하차층 지정버튼(52), 열림 버튼(54), 닫힘 버튼(56), 경보장치(58), 표시장치(6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 수평 프레임(46)의 전부 수직면(62)에는 케이지(26)의 위치(이동중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64)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38)는 좌우의 수직 프레임(42)의 배후에 형성된 도어 수용부(66)(도 4 및 도 5 참조)로부터 출입구(34)로 진퇴하는 2장의 도어 부분(68)을 구비한 양측 열림식 도어이다. 이들 좌우의 도어 부분(68)은 케이지(26)의 적당한 장소에 설치한 도어 구동부(70)(도 1 참조)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도어 부분(68)의 대향 단부면이 서로 접촉하여 출입구(34)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도어 부분(68)이 출입구(34)로부터 퇴출하여 각각 좌우의 도어 수용부(66)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어 구동부(70)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 3,783,977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와 이 전동 모터의 회전을 문에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을 갖는 케이지(26)는 수직 프레임(42)과 개방 동작 중인 도어(38)와의 사이의 간극(72)에 물체(예컨대, 의복)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74)를 구비하고 있다. 안전장치(74)는 출입구(34)를 횡단하는 수직 단면[도 4에 가상선(76)으로 도시한 단면]상에 제 1 광학기기(78)와 제 2 광학기기(8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광학기기(78)는 출입구(34)의 좌우 단부를 정하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제 2 광학기기(80)는 출입구(34)의 상단을 정하는 상부 수평면(84)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광학기기(78)에 발광기(88)가 이용되고, 제 2 광학기기(80)에 수광기(90)가 이용되고 있고, 발광기(88)로부터 출사(出射)된 빛이 수광기(90)로 수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간극(72)의 가까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 1 광학기기(78)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의 하단 근방[바람직하게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의 하단으로부터 약 10 내지 30cm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광학기기(80)는 상부 수평면(84)의 수직 프레임 상단 근방[바람직하게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의 상단으로부터 약 5 내지 20cm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학기기(78, 80)는 간극(72)의 근방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는 목적을 위해 가능한 한 간극(72)의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광학기기(78)와 제 2 광학기기(80)는 간극(72)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한,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가시광 또는 비가시광의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파장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74)가 가장 특징으로 하는 점 중의 하나는, 발광기(88)의 출입구(34)를 향하는 광출사면이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의 표면과 거의 일치되게, 즉 실질적으로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후퇴하는 경우도 없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수광기(90)도 상부 수평면(46)의 표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출입구(34)를 통과하는 하물이 발광기(88) 또는 수광기(90)에 접촉하여 이들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부 수평면(46)에 설치된 수광기(90)는 그 광입사면이 아래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 광입사면에 먼지가 부착되어 퇴적하는 일이 없고, 마찬가지로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에 설치한 발광기(88)의 출사면도 수직으로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먼지가 부착하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장 출입구(개구부)(36)는 좌우의 수직 프레임(수직벽)(92)과, 수직 프레임(9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수평 프레임(바닥벽)(94)과, 수직 프레임(9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수평프레임(96)에 의해, 이들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36)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양측의 건물 벽부분에는 상승 호출 버튼(98), 하강 호출 버튼(100), 경보장치(102), 표시장치(1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수평 프레임(96)에는 케이지(26)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등(106)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40)는 케이지(26)의 도어(38)과 마찬가지로 좌우의 수직 프레임(92)의 배후에 형성된 도어 수용부(108)(도 4 및 도 5 참조)로부터 출입구(36)로 진퇴하는 2장의 도어 부분(110)을 갖는 양쪽 열림식 도어로, 좌우의 도어 부분(110)은 승강장 도어 구동기구(111)(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구동기구(111)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승강하는 케이지(26)가 승강장(32)에 도착했을 때, 상기 케이지(26)의 도어 구동부(70)에 구동 연결되고, 케이지 도어(38)의 개폐에 맞추어 승강장 도어(40)를 도 4에 도시한 폐쇄 위치와 도 5에 도시한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시킨다.
케이지(26)와 마찬가지로, 승강장(32)도 승강장 수직 프레임(92)과 개방 동작 중인 도어 부분(110) 간의 간극(112)에 물체(예컨대, 의복)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114)를 구비하고 있다. 안전장치(114)는 출입구(36)를 횡단하는 수직 단면[도 4에 가상선(116)으로 도시하는 단면]상에 제 1 광학기기(118)와 제 2 광학기기(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광학기기(118)는 출입구(36)의 좌우 단부를 정하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122)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제 2 광학기기(120)는 출입구(36)의 상단을 정하는 상부 수평면(124)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광학기기(118)에 발광기(88)가 이용되고, 제 2 광학기기(120)에수광기(90)가 이용되고 있고,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이 수광기(90)로 수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광학기기(118)는 수직면(122)의 하단 근방[바람직하게는, 수직면(122)의 하단으로부터 약 10 내지 30cm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광학기기(120)는 상부 수평면(124)의 단부 근방[바람직하게는, 수직면(122)의 상단으로부터 약 5 내지 20cm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광학기기(118, 120)는 가능한 한 간극(112)의 가까이, 즉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장(32)의 안전장치(114)에 있어서도, 발광기(88)는 그 광출사면이 수직 프레임 수직면(122)의 표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수광기(90)도 그 수광면이 상부 수평면(124)과 거의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장 출입구(36)를 통과하는 하물이 발광기(88) 또는 수광기(90)에 접촉하여 이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발광기(88) 및 수광기(90)의 표면에 먼지가 부착되어 퇴적하지도 않는다.
도 6은 안전장치(74, 114)의 제어 회로(122)를 도시한다. 이 제어 회로(122)는 주로 건물측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중앙 제어부)(124)와, 각 케이지(26)에 설치한 장치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케이지 제어부)(126)를 갖고, 양 제어부(124, 126)는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 1 제어부(124)는 각 승강장(32)의 발광기(88), 수광기(90), 경보장치(102), 표시장치(104)와, 모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 2 제어부(케이지 제어부)(126)는 케이지(26)의 발광기(88), 케이지 수광기(90), 경보장치(58), 표시장치(69), 도어 구동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130)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은 케이지측 안전장치(74)에 관한 제 2 제어부(126)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제 2 제어부(126)는 케이지(26)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6)내를 승강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 판단은 케이지(26)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124)로부터 제 2 제어부(126)에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다. 케이지(26)가 승강 중인 경우, 제 2 제어부(126)는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90)의 수광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치 이하(비수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2). 판단 결과, 수광기(90)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비수광)라고 판단된 경우, 즉, 간극(72)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2 제어부(126)는 케이지(26)내의 케이지 경보장치(58)를 기동하고, 케이지(26)내에 있는 승객에게 필요한 경고를 한다(단계 S5). 경고 내용은 경고음(부저음), 음성메시지(예컨대, '문에서 떨어져 주십시오.'), 경고음과 음성메시지의 병용 중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경고 뿐만 아니라, 케이지 표시장치(60)에 음성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를 문자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S1)에서 케이지(26)가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 2 제어부(126)는 수광기(90)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3). 판단 결과, 수광기(90)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즉, 간극(72)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 2 제어부(126)는 개폐 제어부(130)에 신호를 보내고, 도어(38, 40)의 개방 동작을 금지한다(단계 S4). 이미, 도어(38, 40)가 개방 동작중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광기(90)가 빛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개방 동작을 일단 정지한다. 다음으로, 제 2 제어부(126)는 케이지(26)내의 경보장치(58)를 기동하고, 케이지(26)내에 있는 승객에게 필요한 경고를 한다(단계 S5).
도 8은 승강장측 안전장치(114)에 관한 제 1 제어부(124)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의 플로우 차트와 유사하고, 제 1 제어부(124)는 케이지(26)가 엘리베이터 승강로(16)내를 승강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6), 케이지(26)가 승강중인 경우,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기(90)의 수광량이 소정 기준치 이하(비수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7). 판단 결과, 수광기(90)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즉, 간극(112)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제어부(124)는 경보장치(102)을 기동하고, 승강장(32)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에게 필요한 경고를 한다(단계 S10). 경고의 내용은 케이지(26)의 경보장치(58)에서 나오는 것과 동일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케이지(26)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 제 1 제어부(124)는 승강장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을 승강장 수광기(90)가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8), 승강장 수광기(90)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 즉, 간극(112)의 근방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 1 제어부(124)는 도어(38, 40)의 개방 동작을 금지하고(단계 S9), 경보장치(102)를 기동하여 대기중인 승객에게 필요한 경고를 한다(단계 S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안전장치(74, 114)에 의하면, 도어(38, 40)와 도어 수용부(66, 108)와의 사이의 간극(72, 112)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가 검출되면, 도어(38, 40)의 개방 동작이 금지되기 때문에 그 간극(72, 112)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케이지(26)의 승강 중에도, 도어(38, 40)의 근방에 물체가 있으면 그 물체가 검출되어, 경보 또는 표시에 의해서 승객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도어(38, 40)의 개방시 간극(72, 112)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지 않아 더욱 안전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양쪽 열림식 도어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한쪽 열림식 도어에도 이상의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어(38, 40)의 개방 동작을 정지하는 처리는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 그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그러나,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없는 경우, 도어(38)의 개방 동작 중에 간극(72) 사이에 물체가 끌려 들어갈 위험은 없다. 따라서,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어 개방처리를 실행하고,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처리를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치(10)에는 케이지(26)내의 승객(부하)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0)의 부하 검출기(132), 와이어(24) 및 케이지(26)와의 연결부에 설치한 부하 검출기(134), 또는 케이지(26)의 저부와 케이지 프레임(28) 사이에 설치한 부하 검출기(136)가 배치되고, 이 검출기(132, 134 또는 136)가 제 2 제어부(126)에 접속된다(도 9 참조).이들 부하(하중) 검출기 대신에, 케이지(26)의 천정부 등에 CCD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도 2에 참조부호(138)로 도시함]를 설치하고, 이 촬상장치(138)로 촬영한 화상을 처리함으로써 승객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부하 검출기를 구비한 제어 회로의 제어를 도시하며, 이 제어에 따르면, 제 2 제어부(126)는 부하 검출기(132, 134 또는 136)의 출력으로부터 부하의 유무(즉, 케이지 내에 승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0). 그리고, 부하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제 2 제어부(126)는 상술한 단계 S1 내지 S5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서 도어 개방 처리를 종료하고, 부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술한 도어 개방 처리(도 7 참조)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기(88) 또는 수광기(90)의 오작동 또는 고장에 의해 불필요하게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정지하는 일은 없다.
(제 3 실시예)
부하 검출기를 구비한 안전장치의 도어 개방 처리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있는 것이 검출되면(단계 S0) 발광기(78)를 작동하고(단계 S11), 케이지(26)내에 승객이 없는 것이 검출되면(단계 S0) 발광기(78)의 발광을 정지하도록(단계 S11)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기(88)를 쓸데없이 동작하는 일이 없어 이 발광기(88)의 수명이 길어진다.
(제 4 실시예)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안전장치에서는 1개의 발광기(88)에 1개의 수광기(90)가 대응하고 있지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수직면(82)으로부터 다른 거리의 위치에 복수의 수광기(90)를 설치하고, 1개의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을 복수의 수광기(90)로 동시에 검출하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수광기(90)의 광량 검출치에 따라, 다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면(82, 122)의 근방에 있는 수광기(90)(Dl)의 수광량이 기준치 보다도 저하했을 때는 도어 구동부(70)의 작동을 금지하고(단계 S21, 단계 S22), 수직면(82, 12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수광기(90)(D2)의 수광량만이 소정 값보다도 저하했을 때는 경보장치(58, 102), 표시장치(60, 104)를 작동하여 승객에게 경고하도록(단계 S23, 단계 S24)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수광기(90)(Dl, D2)의 수광량을 각각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고(단계 S31), 양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발광기(88)가 고장이라고 판단하고(S32), 어느 한쪽의 수광량이 기준치 이하일 때는 대응하는 수광기(90)(D1, D2)가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그리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서 경보장치(58, 102), 표시장치(60, 104)를 작동하여 고장을 보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는 상술한 부하 검출기(132)등에 의해서 검출된 부하가 소정 기준치 이하(즉, 승객이 없는 상태)인 경우에만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수평면(46, 124)의 양 단부와 중앙부의 3곳에 수광기(90)를 설치하고, 좌우의 발광기(88)로부터 부채 형상의 광속을 교대로 출사하고, 출입구(34, 36)의 단면에 물체가 있는지 없는지, 또한 간극(72, 112) 근방에 물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동시에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기(90)를 각 수직면(82, 122)에 설치하고, 이 수광기(90)로 반대측의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광기(90)를 설치한 경우, 간극(72, 112)의 근방에만 한정되지 않고, 도어(38, 40)의 가까이에 있는 물체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수직면(82, 122)에 수광기(90)를 설치한 것으로는 낮은 위치에 있는 물체도 확실히 검출하여 물체의 끌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의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은 부채 형상의 퍼짐을 갖는 광속일 필요는 없고, 빛의 출사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발광기(8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출사 방향 가변형의 발광기는 뒤에 설명한다.
복수의 수광기(90)와 발광기(88)의 고장 검출은 상술한 도 14에 도시하는 제어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수평면(46, 124)에 설치한 3개의 수광기(90)에 대해서, 한쪽의 발광기(88)에 대한 수광량과 다른 쪽의 발광기(88)에 대한 수광량을 비교함으로써, 2개의 발광기(88)의 발광량 저하를 평가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프레임 수직면(82, 122)에 발광기(88)를 설치하고, 이 발광기(88)의 상방에 수광기(90)를 배치하고 있지만,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 수직면(82, 122)에 수광기(90)를 설치하고, 그 상방의 상부 수평면(46, 124)에 발광기(8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 7 실시예)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수직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된 고정의 출입구(개구부)를 지나는 수직 단면상에 발광기와 수광기를 배치했지만, 도어의 단부면과 이에 대향하는 벽(양쪽 열림식 도어의 경우는 다른 쪽 도어의 단면, 한쪽 열림식 도어의 경우는 대향하는 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출입구(개구부)를 지나는 수직 단면상에 발광기와 수광기를 배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 내지 도 21의 형태에서는 양쪽 열림식 도어의 각 도어 부분(68, 110)의, 다른 쪽 도어 부분에 대향하는 단부면(140, 142)에 발광기(8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광기(90)는 단부면(140)의 상단부에 상기 단부면(140)으로부터 다른 쪽의 도어 부분을 향해서 돌출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형태의 안전장치에서는 발광기(88)로부터 출사된 빛이 동일 단부면상에 설치한 수광기(90)(도 18참조), 또는 다른 쪽의 도어 부분(68, 110)에 설치한 수광기(90)(도 19 참조)로 검출된다. 그리고, 대향하는 도어 부분(68과 68, 110과 110)의 사이에 물체가 있는 경우, 이 물체에 의해서 빛이 차단되고 수광기(90)의 수광량이 저하하여 그 물체의 존재가 검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도어 부분(68, 110)의 상단에 설치한 수광기(90)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의 횡단 방향[화살표(142)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기(88)를 도어 단부면(140, 142)에 설치하고, 수광기(90)를 그 상방에 설치했지만, 수광기(90)를 도어 단부면(140,142)에 설치하고, 발광기(88)를 그 상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 8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양쪽 열림식 도어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8)가 제 1 도어 부분(저속 도어)(150)과, 상기 제 1 도어 부분(150)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 1 도어 부분(150)의 이동 방향을 향해 상기 제 1 도어 부분(1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 2 도어 부분(고속 도어)(152)에 의해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 도어 부분(150)과 수직 프레임(42)과의 간극(154)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직 프레임 수직면(82)의 하단 근방과 그 상단 근방에 있는 상부 수평면에 각각 발광기(88)와 수광기(90)를 설치한다. 또한, 제 1 도어 부분(150)과 제 2 도어 부분(152)과의 간극(156)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도어 부분(150)의 단부면의 하단 근방에 발광기(88)를 설치하고, 상기 단부면의 상단 근방에 수광기(90)를 설치한다. 또한, 발광기(88)와 수광기(90)의 배치 관계는 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승강장측의 도어(4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도 24는 상술한 발광기(88), 특히 수직면(82, 122)에 부착하는 발광기의 적당한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기(88)는 수직면(82, 122)에 형성된 개구부(160)에 끼워 넣어진 투광판(162)을 갖는다. 투광판(162)의 출입구를 향하는 출사면(164)은 이 투광판(162)을 유지하는 면[수직면(82) 또는 수평면(84)]의 출입구에 접하는 면과 거의 일치, 즉,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투광판(162)의 배후에는 복수의 발광원(166)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원(166)으로서는 각종의 광원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 반도체 레이저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각 발광원(166)은 상기 발광원(166)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방으로 보내지도록, 투광판(162)에 대해 비스듬히 향하고 있다. 또한, 발광원(166)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광판(162)에 닿았을 때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투광판(162)의 입사면(168)은 각 발광원(166)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거의 직각으로 입사하도록, 이 빛에 대하여 수직인 면(170)에 의해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발광기(88)에 의하면, 각 발광원(166)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계단 형상의 입사면(168)으로부터 투광판(162)에 입사하고, 출사면(164)으로부터 출사한다. 출사면(164)으로부터 빛이 출사할 때 빛이 굴절하여, 수직면(82, 122)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고서 발광기(88)의 상방에 배치된 수광기를 향해 진행한다.
도어와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간극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빛의 경로를 간극의 근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투광판(162)의 출사면(164)과 발광원(166)의 위치는 투광판(162)의 출사면에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을 임계각보다도 조금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발광원(166)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해서, 각 발광원(166)의 측부에 수광소자(172)를 설치하여 발광원(166)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광량을 검출하고, 그 검출치가 기준치 이하로 된 경우, 발광원(166)의 고장이라고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0 실시예)
도 25는 발광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이 발광기(88A)는 수직벽(82, 122)의 개구부(160)에 끼워넣은 평판 형상의 투광판(174)을 갖고, 그 배후에 상술한 투광판(162)이 적당한 부재(예컨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제 11 실시예)
투광판(162, 174)은 접촉시켜 배치할 필요는 없고, 도 26에 도시한 발광기(88B)와 같이 서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제 12 실시예)
투광판(162)과 복수의 발광원(166)은 각각 독자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도 27에 도시한 발광기(88C)와 같이 투광판(162)과 발광원(166)을 1개의 지지부재(176)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의 통과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178)을 중심으로 지지부재(17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정역(正逆) 회전 모터(180)에 구동 연결하여, 이 모터(180)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해 투광판(174)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발광기(88D)와 같이 개구부(160)에 끼워 넣은 투광판(182)에 발광원(184)을 일체적으로 매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안전장치를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한 예를 개시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건물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 통상의 도어부착 개구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수직 프레임과 도어와의 간극 또는 도어와 도어와의 사이의 간극에 물체가 끌려 들어가지 않아, 지극히 안전하다.

Claims (3)

  1.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면으로서, 이들 사이에 엘리베이터 케이지로의 출입구 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수직면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빛을 발하는 발광기를 구비한 제 1 광학 장치와 상기 발광기로부터 발광된 빛을 받는 수광기를 구비한 제 2 광학 장치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횡단하는 수직면에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의 한쪽은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 장치의 다른 쪽의 하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도어의 이동중에 상기 수광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미리 결정된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을 금지하는 컨트롤러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경보장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도어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도어의 이동중에 상기 수광기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2-0012826A 2001-03-12 2002-03-11 슬라이드 도어 장치 KR100449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8445A JP3958940B2 (ja) 2001-03-12 2001-03-12 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JP-P-2001-00068445 200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84A true KR20020072784A (ko) 2002-09-18
KR100449794B1 KR100449794B1 (ko) 2004-09-22

Family

ID=1892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826A KR100449794B1 (ko) 2001-03-12 2002-03-11 슬라이드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1788B2 (ko)
EP (2) EP1243544B2 (ko)
JP (1) JP3958940B2 (ko)
KR (1) KR100449794B1 (ko)
CN (1) CN1276867C (ko)
DE (2) DE60236694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17A1 (ko) * 2017-08-30 2019-03-07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US20210323792A1 (en) * 2020-04-20 2021-10-21 Fujitec Co., Ltd. Elevator Safet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110045D1 (de) * 2000-06-13 2006-07-20 Cedes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türen
JP3958940B2 (ja) * 2001-03-12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3995522B2 (ja) * 2002-05-0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1518814B1 (en) * 2002-06-28 2010-08-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4601935B2 (ja) * 2003-10-14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4481091B2 (ja) * 2004-06-15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
EP1817255B1 (en) * 2004-09-03 2011-11-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equipped with a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and particularly fingers, between the doors and the contiguous walls of an elevator car with glass doors
JP2006143443A (ja) * 2004-11-24 2006-06-08 Otis Elevator Co 扉の安全装置
FR2883584B1 (fr) * 2005-03-25 2007-06-08 Maviflex Sa Sa Dispositif de detection d'un obstacle et de limitation d'effort d'un tablier d'une porte de manutention
JP4525473B2 (ja) * 2005-06-06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の位置制御システムと位置制御方法
JP2007137555A (ja) 2005-11-16 2007-06-07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安全装置
JPWO2008136092A1 (ja) * 2007-04-24 2010-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
EP2062842A1 (en) * 2007-11-23 2009-05-27 Inventio Ag Monitoring device for a lift, lif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ift
JP5554236B2 (ja) * 2008-07-16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5287597B2 (ja) * 2009-08-18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スライドドア装置
US8471704B2 (en) * 2010-04-13 2013-06-25 Cedes Ag Door system comprising a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vertical door edges
CN102235732B (zh) * 2010-04-26 2013-08-28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滑动门的控制装置及方法
KR101305719B1 (ko) * 2013-03-22 2013-09-09 이호연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6209905B2 (ja) * 2013-09-04 2017-10-11 富士電機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
KR101442577B1 (ko) 2013-12-05 2014-10-07 이호연 틸팅 기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GB2526072B (en) * 2014-05-02 2019-08-14 Ensota Ltd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US10308481B2 (en) * 2015-03-19 2019-06-04 Wittur Holding Gmbh Elevator door and method for opening an elevator door having two sliding door panels
GB201506645D0 (en) * 2015-04-20 2015-06-03 Vip Lift & Escalator Services Ltd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of adapting an elevator system
DE102015208206A1 (de) * 2015-05-04 2016-11-10 Franz Xaver Meiller Fahrzeug- Und Maschinenfabrik - Gmbh & Co Kg Schiebetür, insbesondere Aufzugschiebetür
SG10202001794YA (en) * 2016-01-11 2020-04-29 Opex Corp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delivery vehicles
EP3196160B1 (de) * 2016-01-19 2021-07-07 Inventio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chliessvorgangs einer aufzugtür einer aufzugkabine
GB2549760B (en) * 2016-04-28 2018-04-25 Ensota Guangzhou Tech Ltd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CN110526058B (zh) * 2018-05-23 2022-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监控系统、电梯系统和电梯门监控方法
CN108715384B (zh) * 2018-06-25 2024-05-10 苏州德林宝电梯制造有限公司 电梯层门防撞安全预警系统
JP6716741B1 (ja) * 2019-03-20 2020-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システム
CN111824911A (zh) * 2020-07-20 2020-10-27 吴建国 一种电梯层门安全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3199A (de) 1970-12-30 1972-05-31 Inventio Ag Tü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Aufzüge
JPS5349868A (en) 1976-10-18 1978-05-06 Daisaku Hayashi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d tire and such
USRE33668E (en) * 1981-02-10 1991-08-20 Otis Elevator Company Detection device having energy transmitters located at vertically spaced apart points along movable doors
US4621452A (en) * 1985-01-18 1986-11-11 Deeg Wyman L Powered sliding door safety system
JPH07106867B2 (ja) 1986-09-04 1995-11-1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出入口安全装置
GB2254916B (en) * 1991-04-15 1993-12-22 John Trett Detection systems
GB9120267D0 (en) * 1991-09-23 1991-11-06 Memco Med Ltd Lift door apparatus
JP2609020B2 (ja) 1991-10-16 1997-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GB9415772D0 (en) * 1994-08-04 1994-09-28 Memco Ltd Lift installation
JPH08259158A (ja) * 1995-03-17 1996-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開閉安全装置
JPH0971377A (ja) * 1995-09-06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安全装置
JPH10152277A (ja) * 1996-11-21 1998-06-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扉の開閉装置
JPH10265157A (ja) * 1997-03-19 1998-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安全装置
US5886307A (en) * 1997-06-23 1999-03-23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detection system for sliding doors
JPH11278776A (ja) * 1998-03-30 1999-10-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769119B2 (ja) 1998-04-04 2006-04-19 株式会社 堀場アドバンスドテクノ 体積抵抗率計とこれを含んだ液体純度監視装置並びに液体の抵抗率の測定方法とこれを用いた液体の純度監視方法
JPH11310375A (ja) * 1998-04-27 1999-1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扉安全装置
US6167991B1 (en) * 2000-02-28 2001-01-02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an elevator door
JP3958940B2 (ja) * 2001-03-12 2007-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扉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17A1 (ko) * 2017-08-30 2019-03-07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US20210323792A1 (en) * 2020-04-20 2021-10-21 Fujitec Co., Ltd. Elevator Safety Device
US12060248B2 (en) * 2020-04-20 2024-08-13 Fujitec Co., Ltd. Elevator safe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58940B2 (ja) 2007-08-15
EP1243544B1 (en) 2007-05-23
EP1243544B2 (en) 2020-11-18
EP1243544A2 (en) 2002-09-25
DE60220205T2 (de) 2008-01-17
EP1762531B1 (en) 2010-06-09
CN1276867C (zh) 2006-09-27
KR100449794B1 (ko) 2004-09-22
EP1762531A2 (en) 2007-03-14
US20020125077A1 (en) 2002-09-12
DE60220205T3 (de) 2021-04-01
DE60236694D1 (de) 2010-07-22
JP2002265175A (ja) 2002-09-18
EP1243544A3 (en) 2004-05-19
EP1762531B8 (en) 2019-10-23
US6631788B2 (en) 2003-10-14
EP1762531A3 (en) 2008-07-30
CN1375444A (zh) 2002-10-23
EP1762531B2 (en) 2019-12-04
DE60220205D1 (de)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79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JP2002265175A5 (ko)
JP399552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85975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022745B1 (en) Sliding door apparatus and elevator
JP4641306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継ぎ目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06057898A2 (en) Door safety device
JP2012153450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2457865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2011162333A (ja) 戸開走行時のエレベータ係合部材衝突回避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703261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ドア位置検出装置
JP201319386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102530062B1 (ko)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WO2024218821A1 (ja) 異常検知システム
JP5055969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869618B1 (ko) 엘리베이터의 레일 조인트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H04345490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運転装置
JPH07252065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WO2007142074A1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19990038687A (ko) 주차설비의 팔렛트 감지장치
JP2010269928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