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307A -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307A
KR20020072307A KR1020027010102A KR20027010102A KR20020072307A KR 20020072307 A KR20020072307 A KR 20020072307A KR 1020027010102 A KR1020027010102 A KR 1020027010102A KR 20027010102 A KR20027010102 A KR 20027010102A KR 20020072307 A KR20020072307 A KR 20020072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knitting
loop
course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539B1 (ko
Inventor
오카모토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7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하방으로 적층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코스 편성을 교대로 순환하도록 편성하여 편성폭의 측단부에서 앞측 편성포3과 뒤측 편성포5가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1에 소정의 코스 편성마다 적어도 제1과 제2의 다른 편사11, 13을 적당하게 절환하여 제1편성포 부분7과 제2편성포 부분9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편성포 부분7과 제2편성포 부분9의 경계의 편사절환장소에서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 부분의 루프를 미스하여 상기 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억제한다.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METHOD OF KNITTING STRIPE PATTERN OF TUBULAR KNITTING FABRIC AND THE KNITTING FABRIC}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needle bed)의 하방(下方)으로 적층(積層)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루프 코스(loop course)의 편성을 앞측 편성포, 뒤측 편성포, 앞측 편성포 … 로 교대로 편사를 공급하여 순환하는 편성을 함으로써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편성폭(編成幅)의 양단(兩端)에서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도5는 횡편기에 의한 통 모양 편성포의 일반적인 편성방법을 나타내는도면으로서, 평조직 편성(平組織 編成 : a plain knitted structure)에 의하여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F는 앞측 니들베드, B는 뒤측 니들베드를, A∼O는 앞측 니들베드의 편침(編針), a∼o는 뒤측 니들베드의 편침을 각각 나타낸다. 도6은 편사절환장소(yarn switching point) 부근의 편성포 부분을 전개(展開)하여 나타내는 루프도(loop diagram)로, 파선X-X는 앞측 편성포103과 뒤측 편성포105의 경계(境界) 부분 즉 니들베드 상에서는 편성폭의 좌측단(左側端) 부분을 나타내고, 통 모양 편성포의 1회의 순환 편성(knitting cycle)에 의하여 형성되는 앞측 편성포103과 뒤측 편성포105의 루프 코스가 동일한 라인 상에 나타나 있는 도면이다.
우선 스텝1에서 급사구(給絲口)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a∼o에 급사(給絲)하여 뒤측 편성포105의 코스 편성을 한다. 다음에 스텝2에서는 상기 급사구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O∼A에 급사하여 같은 코스의 앞측 편성포103의 코스 편성을 한다. 이후에 상기 스텝1, 2의 코스 편성을 적당한 횟수 반복하여 제1편성포 부분107의 루프 코스를 편성한 후, 색(色)이 다른 타(他) 편사로 절환하여 상기와 동일한 편성을 함으로써 제2편성포 부분109를 편성한다. 이와 같이 필요한 수의 순환코스(cycle of course)가 편성될 때마다 편사를 절환함으로써 제1색, 제2색이 교대로 들어가는 스트라이프 통 모양 편성포(stripe patterned tubular fabric)101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은 편사의 절환이 1회밖에 이루어지지 않는 투-톤 칼라(two-tone color)와 같은 편성포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횡편기에서는, 급사구의 초기 위치는 보통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의 좌우 중 어느 하나가 일단측(一端側)으로 된다. 이 예에서는 좌측을 초기 위치로 하고, 뒤측 편성포105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웨일(wale,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a)을 순환편성의 기점(起點)으로 하여 편사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 모양 편성포101의 1순환 루프 코스가 형성된 후, 이어지는 코스의 루프가 형성될 때에 1순환의 루프 코스의 마지막에 형성되는 루프가 다음 코스의 1순환 루프 코스의 처음에 형성되는 루프로 당겨지기 때문에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제의 편성포에서는 편사절환장소102에서 색이 변하여 루프에 단차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순환편성의 기점이 되는 편사의 절환장소에서는, 교차사(cross-over yarn)120, 121이 발생하기 때문에 편성한 후에 교차사120, 121을 절단하고, 그 끝실(unused yarn edge)을 통 모양 편성포101의 내측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또한 삽입한 끝실에서 루프가 풀리지 않도록 봉합(縫合) 등의 후처리(後處理)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스트라이프가 들어가는 통 모양 편성포101을 편성하는 경우에서는 앞측 편성포103과 뒤측 편성포105의 경계부(境界部)에 편사 절환에 의한 단차(段差)가 발생하여 편성포의 외관을손상시킨다.
또한 편사를 절환하여 편성함으로써 편사절환장소에 교차사가 발생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후처리가 번거롭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60758호 공보에 개시방법을 이미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편사의 절환장소를 편성폭의 측단부(側端部)가 아닌 편성제품의 눈에 띠지 않는 곳에 설정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넥타이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는 편사의 절환장소를 넥타이의 뒷편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 설정하기 때문에 단차 자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스웨터(sweater)나 스커트(skirt) 등의 니트 웨어(knit wear)를 통 모양으로 접합 부분이 없도록 편성하는 경우에는 넥타이의 경우와 같이 뒷편에 보이지 않는 부분은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편사절환장소에 있어서의 편사 교환에 의한 색의 단차 발생을 억제하여 편성포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스트라이프 패턴이 들어가는 통 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편사 절환에 의하여 발생하는 교차사를 포함하는 끝실 부분의 후처리를 줄이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들어가는 통 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tubular fabric)에 그 편성의 도중에 편사(編絲)를 절환(切換)하여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을 넣는 경우에 편사의 절환점에 발생하는 단차(段差)의 발생을 억제하여 편성제품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트라이프 패턴(striped pattern)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a tubular fabric)의 편성 스텝(knitting step)1-1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그 편성 스텝15-28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그 편성 스텝29-4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1에 의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사절환(編絲切換) 부근의 루프도(loop diagram)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횡편기에 의한 통 모양 편성포의 일반적인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사절환 부근의 루프도로서, 각 코스를 동일한 라인에 그린 그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편성한 후의 자연스러운 상태에 있는 도6에 대응하는 루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하방(下方)으로 적층(積層)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루프 코스(loop course)의 편성을 교대로 순환하게 편성하여 편성폭(編成幅)의 측단부(側端部)에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tubular fabric)에 소정의 코스 편성마다 편사(編絲)를 적당하게 절환(切煥)하여 적어도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경계(境界)의 편사절환장소(yarn switching point)에서 적어도 일방(一方)의 편성포 부분의 루프를 미스(miss) 또는/및 턱(tuck)시켜서 상기 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段差)를 억제한다.
바람직하게는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적어도 각 1루프를 미스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2루프를 미스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편성포 부분의 최종 코스의 1코스 이전의 코스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一方)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최종 코스에서 타방(他方)을 미스하고,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의 최초 코스의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코스 편성에서 타방을 미스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편성포 부분 및 제2편성포 부분의 편성 시작 및 편성 종료 근방에서 빈 바늘(empty needle)을 사용하여 끝실(unused yarn edge) 처리용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루프를 통 모양 편성포 내의 소정의 루프에 포개는 끝실 처리를 하기 위한 편성을 삽입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편성포 부분의 편성 종료측에 형성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서 아래쪽의 루프에 포개고, 편성 시작측에 형성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서 위쪽의 루프에 포갠다.
또한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하방으로 적층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루프 코스의 편성을 교대로 순환하게 편성하여 편성폭의 양(兩) 측단부에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소정의 코스 편성마다 편사를 적당하게 절환하여 적어도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편성포 부분의 다음에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에 인접하는 편성 종료 부분의 루프를 미스 또는/및 턱하는 스텝
b) 상기 스텝에 연속하여 제2편성포 부분의 상기 제1편성포 부분에 인접하는 편성 시작 부분의 루프를 미스 또는/및 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포함되는 통 모양 편성포는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편성폭의 양 측단부에서 연결되도록 순환하게 편성되고 적어도 제1과 제2의 다른 편사가 소정의 코스마다 절환되는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경계부(境界部)의 편사절환장소에서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 부분이 미스 또는/및 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적어도 각 1루프가 미스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2루프가 미스되고, 제1편성포 부분의 최종 코스의 1코스 이전의 코스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이 미스되고, 최종 코스에서 타방이 미스되고,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의 최초 코스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이 미스되고, 다음 코스의 루프 코스에서 타방이 미스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제1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사에 의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성이 제1편성포 부분에서 제2편성포 부분으로 또는 제2편성포 부분에서 제1편성포 부분으로 절환할 때에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 부분의 편성 시작측 또는 편성 종료측의 편사절환장소에 접하는 편침에 급사하지 않고 미스하거나 턱 또는 이들을 조합시켜서 한다. 이에 따라 편사절환장소에 접하는 웨일(wale)의 코스(스티치 루프(stitch loop))수가 다른 웨일보다 적어지게 되고, 미스나 턱 전후의 코스 편성에서 형성되는 루프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루프가 신장(伸張)되어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색(色)의 단차를 눈에 띠지 않도록 한다.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1루프를 각각 미스하는 경우에서는, 색의 단차가 미스하는 2개의 웨일 사이에서 흡수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일방의 편성포 부분만을 미스하는 경우나 턱의 경우에 비하여 단차를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편사절환장소에 있어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2루프를 미스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제1편성포 부분의 최종 코스의 1코스 이전의 코스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최종 코스에서 타방을 미스하고,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의 최초 코스의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코스 편성에서 타방을 미스시키는 경우에서는, 색의 단차가 미스하는 4개의 웨일 사이에서 서서히 흡수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1루프의 경우보다 더 단차를 눈에 띠지 않게 할 수 있다.
편사를 절환할 때에 상기 장소 근방에 있는 빈 바늘을 사용하여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한 루프를 통 모양 편성포 내의 소정의 루프에 포갬으로써 이렇게 형성된 끝실 처리용의 루프는 이에 이어지는 코스 편성에서 편성포 내에 편성되어 상기 장소에서 풀어짐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편성포 부분의 편성 종료측에 형성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의 루프에 포개고, 편성 시작측에 형성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 있어서 위쪽의 루프에 포갬으로써 이 끝실 처리용의 루프에 의하여 편성 종료 장소나 편성 시작 장소에 형성되는 루프가 코스 방향의 일방(一方) 뿐만 아니라 좌우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장소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로서 통 모양(tubular form)으로 편성되는 제1,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2색 스트라이프 패턴(two-tone striped pattern)을 예로 하여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트라이프가 들어가는 평편성(平編成 : plain-knitted)에 의한 통 모양 편성포(tubular fabric)의 편성 스텝(knitting ste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좌우 방향의 화살표는 급사구(給絲口 : yarn feeder)의 이동 방향, 상하 방향의 화살표는 코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F는 앞측 니들베드(front needle bed), B는 뒤측 니들베드(back needle bed)를, A∼Q는 앞측 니들베드의 편침(編針), a∼q는 뒤측 니들베드의 편침을 각각 나타낸다. 통 모양 편성포1을 구성하는 앞측 편성포(front fabric)3은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에 의하여, 뒤측 편성포(back fabric)5는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에 의하여 각각 편성된다. 도4는 통 모양 편성포1의 편사절환장소(the yarn switching point) 부근의 루프(loop)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텝S는통 모양 편성포1을 구성하는 각 스티치(stitch)의 니들베드 상에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C∼Q에 앞측 편성포3,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q에 뒤측 편성포5가 결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의 수는 실제 바늘의 수보다 적게 하였다.
스트라이프의 제1편성포 부분7은 편사11에 의하여 이하의 스텝1∼6에서 이루어진다. 스텝1에서는 편사11의 급사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우측으로 이동하여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q에 급사(給絲)하여 뒤측 편성포5의 루프 코스(loop course)31b를 편성한다. 스텝2에서는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Q∼C에 급사하여 뒤측 편성포5에 이어지는 동일한 코스의 앞측 편성포3의 루프 코스31f를 편성한다. 이 스텝1, 2의 편성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제1편성포 부분7을 원하는 코스로 편성한다.
이어지는 스텝3∼6은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段差)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편성의 종료측이 되는 앞측 편성포3의 최종 두 코스32f, 33f의 편성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스텝3에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q에 급사하여 뒤측 편성포5의 루프 코스32b를 편성한 후, 다음 스텝4에서는 앞측 니들베드의 측단(側端)의 바늘C를 제외한 바늘Q∼D에 급사하여 앞측 편성포3의 루프 코스32f를 편성한다. 스텝5에서는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q에 급사하여 뒤측 편성포5의 최종 루프 코스33b를 편성하고, 이어지는 스텝6에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D를 제외한 바늘Q∼E 및 바늘C에 급사하여 앞측 편성포3의 최종 루프 코스33f를편성한다.
스텝7∼24는 교차사 부분(cross-yarn part)72를 포함하는 끝실 처리(unused yarn edge disposal)를 하기 위한 편성을 나타낸다. 제1편성포 부분7의 편성을 종료한 후에 실 빼기(yarn-out)되는 편사11의 처리가 최초로 이루어지고, 이어서 제2편성포 부분9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사13의 실 넣기(yarn-in)의 편성이 이루어져 풀림 방지를 위한 편성이 끝실 처리의 편성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스텝7∼14는 편사11의 끝실 처리의 편성을 나타낸다. 우선 스텝7에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편사11을 훅(hook)시킨 후, 다음 스텝8에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A에 훅시켜 턱 루프(tuck loop)41, 42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스텝9에서 코이동을 하여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결합되는 턱 루프41을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B로 이동한다. 다음 스텝10은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편사11을 공급하여 턱 루프41에 이어지는 루프43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B로부터 루프43을 거쳐 녹 오버(knock over)하는 턱 루프41이 루프43의 기부(基部)를 연결하여 루프43의 고리(ring)를 고정한다. 스텝11에서는 이 루프43을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로 이동하여 뒤측 편성포5의 코스33b의 루프50에 포갠다. 끝실 처리용으로 형성하는 루프를 편성포 내의 루프에 포개고, 이에 이어지는 코스 편성에서 편성포 내에 편성하여 상기 장소에서 편성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88942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주목하여야 할 것은 앞측 편성포3의 최종 부분을 편성이 끝날 때에 끝실 처리용으로 형성하는 루프43은 루프5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루프, 여기에서는 뒤측 편성포5의 루프50에 포개어 루프51과 루프52의 사이가 벌어져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12에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A를 진퇴(進退)시켜 스텝8에서 훅한 턱 루프42를 바늘A에서 분리시킨다.
스텝13에서는 앞측 니들베드의 편침C, D, E에 결합되는 루프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로 이동하여 결합시킨다. 대향하는 뒤측 니들베드의 편침c, d, e에는 뒤측 편성포5의 루프가 이미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front and back needle bed) 위에 또 한 쌍의 니들베드를 설치하는 타입의 소위 4-베드 타입(four-bed type)의 횡편기 경우의 편성을 나타내고, 앞측 니들베드의 편침C, D, E에 결합되는 루프를 대향하는 상부 뒤측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BU의 편침c, d, e로 이동하여 결합시킨다. 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株式會社 島精機製作所)에서 제작한 컴퓨터 제어 횡편기(computer-controlled flat knitting machine)(제품명 : SWG-X)를 사용하여 이러한 편성을 할 수 있다. 상부 니들베드(upper needle bed)를 구비하지 않는 범용(汎用)의 2-베드 타입(two-bed type)의 횡편기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앞측 편성포의 편성을 홀수 번째의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뒤측 편성포의 편성을 짝수 번째의 편침을 사용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여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코이동용의 빈 바늘(empty needle)을 확보하여 이 빈 바늘에 편침C, D, E에 결합되는 루프를 이동시키면 좋다. 또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에서 제작한 컴퓨터 제어 횡편기(제품명 : FIRST)와 같이 슬라이더(slider)가 2장의 얇은 판(板)을 포개는 구성의 슬라이드 니들(slide needle)을 구비하는 횡편기의 경우에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438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일시적으로 루프를 홀딩(holding)하는 방법, 소위 홀딩 기술(holding technique)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뒤측 니들베드의 편침은 훅으로 뒤측 편성포의 루프를 결합하고, 슬라이더 상에서 편침C, D, E에 결합되어 있는 루프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텝13의 편성은 횡편기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그리고 스텝14에서 급사구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편사11을 빼낸다.
다음 스텝15∼24는 제2편성포 부분9를 편성하기 위하여 실 넣기가 이루어지는 편사13의 편성 시작단측(始作端側)의 끝실 처리를 하기 위한 편성을 나타낸다. 스텝15에서 급사구를 적어도 편침F보다 우측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편사13을 편성폭(編成幅)의 내부에 넣는다. 그리고 스텝16에서는 상기 스텝13에서 뒤측 니들베드로 이동되어 있는 앞측 편성포3의 루프를 원래의 편침C, D, E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실 빼기된 편사11은 통 모양 편성포의 내측을 가로로 지나쳐 루프 코스34f의 편침E, F에서 형성되는 루프 사이에서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편성포의 좌측 외부에 정지하고 있는 급사구로 연장된다. 한편 실 넣기된 편사13은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편침E, F에서 형성된 루프 사이를 통과하여 통 모양 편성포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편성포 부분7과 제2편성포 부분9 사이에 연장되는 편사11, 13의 교차사 부분71, 72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사절환장소에서 가로 방향으로 시프트(shift)되어 편침E, F에서 형성되는 각 루프 사이에서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으로 나와서 교대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텝17에서 편사13을 좌측으로 이동한 후, 스텝18에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편사13을 훅시키고, 다음 스텝19에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a에 훅시켜 턱 루프45, 46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스텝20에서 코이동을 하여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결합되는 턱 루프45를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b로 이동한다. 다음 스텝21은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b에 편사13을 공급하여 턱 루프45에 이어지는 루프47을 형성한다. 스텝22에서는 이 루프47을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C로 이동하여 앞측 편성포3의 코스33f의 루프51에 포갠다. 이렇게 하여 뒤측 편성포5의 편성을 시작할 때에 끝실 처리용으로 형성한 루프47을 루프54의 편성 방향에 있어서 위쪽의 루프, 여기에서는 앞측 편성포3의 루프51에 포갬으로써 루프51과 다음 코스에서 형성되는 루프58의 사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스텝23에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a를 진퇴시켜 스텝19에서 형성한 턱 루프46을 바늘a에서 분리시킨 후, 스텝24에서 급사구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편사13을 편성포1의 외부로 빼낸다.
이어지는 스텝25∼28은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성을 나타낸다. 우선 스텝25에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를 제외한 바늘d∼q에 편사13을 공급하여 뒤측 편성포5의 루프 코스34b를 편성한 후, 다음 스텝26에서는 앞측 니들베드 측단(側端)의 바늘Q∼C에 급사하여 앞측 편성포3의 동일한 코스의 루프 코스34f를 편성한다. 바늘C에 루프57을 형성함으로써 바늘C에 결합되어 있는 편사13의 시작단(始作端) 부분에 형성되는 루프47이 루프51과 동시에 편성포 내에 편성되기 때문에 풀어지는 경우는 없다. 스텝27에서는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d를 제외한 바늘c 및 바늘e∼q에 편사13을 공급하여 뒤측 편성포5의 루프 코스35b를 편성하고, 이어지는 스텝28에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Q∼C에 급사하여 앞측 편성포5의 동일한 코스의 루프 코스35f를 편성한다. 바늘c에 루프55를 형성함으로써 바늘c에 결합되어 있는 편사11의 종단부(終端部)에 형성되는 루프43이 루프50과 함께 편성포 내에 편성되기 때문에 풀어지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29, 30의 편성을 소정의 횟수 반복하여 제2편성포 부분9를 원하는 코스 편성을 한다. 이어지는 스텝31∼34는 제2편성포 부분9의 편성 종단측(終端側)에 발생하는 단차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사13에 의한 편성을 나타낸다. 이는 이전의 편사11에 의한 스텝3∼6과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스텝35∼42는 편사13의 끝실 처리의 편성을 나타내고, 이전의 편사11에 의한 스텝7∼14와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 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편성포 부분7과 제2편성포 부분9가 반복하여 편성되고,그들 편사절환장소에서 상기한 단차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편성과 끝실 처리를 위한 편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눈에 띠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 빼기를 할 때에 뒤측 편성포5와의 경계부(境界部)에 있는 앞측 편성포3의 측단의 2루프(바늘C, D)를 코스를 변경하여 각각 1회 미스(miss)하여 편성을 종료하였다. 그리고 실 넣기를 할 때에 앞측 편성포3과의 경계부에 있는 뒤측 편성포5의 측단의 2루프(바늘c, d)를 코스를 변경하여 각각 1회 미스하여 편성을 시작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측 편성포3의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C, D나 뒤측 편성포5의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c, d에서 형성되는 루프 코스의 수는 다른 편침에서 형성되는 코스의 수보다 적어지게 되어 미스 전후에 형성되는 루프가 서로 당겨져 최종적으로는 편성포 자체의 장력(tensile force)에 의하여 경계 부분에서 루프가 변형되어 단차를 눈에 띠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실 넣기, 실 빼기되는 각 편사11, 13의 편성 종단측(終端側), 편성 시작단측(始作端側)은 풀림이 방지되어 있고 또한 각 교차사 부분71, 72가 대략 "ㄷ"자 모양을 그리도록 편사절환장소로부터 통 모양 편성포의 내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다음에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으로 나와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후에 통 모양 편성포의 내측으로 다시 들어 와서 다음 편사절환장소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때문에 끝실 처리를 하기 위하여 이 통 모양 편성포의 외측으로 나온 교차사 부분을 절단한 후, 편성포를 당기면 이 외측으로 나온 교차사 부분이 용이하게 편성포 내에 삽입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끝실의 뒷처리를 매우 간단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편성 종료측이 되는 앞측 편성포3에서는 최종 두 코스32f, 33f의 편성에서 편침C, D를 교대로 미스(miss)시키고, 편성 시작측이 되는 뒤측 편성포5에서는 처음 두 코스34b, 35b의 편성에서 편침c, d를 교대로 미스시키도록 하였지만 최종 코스33f에서 편침C, D를 미스시키고, 편성 시작측의 코스34b에서 편침c, d를 미스시켜도 좋고, 편침C, D, c, d의 미스시키는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 이와 같이 편침C, D, c, d를 미스시키는 경우에는 편사가 편성포에 편성되지 않기 때문에 턱(tuck)에 비하여 눈에 띠기 어렵게 할 수 있지만 편침C, D, c, d를 턱 편성으로 하거나 미스와 턱을 조합시켜도 좋다.
그러나 이에 대신하여 편성 종료측의 루프 코스33f의 편침C와 편성 시작측의 루프 코스34b의 편침c의 각각 1루프를 미스시켜도 좋다. 또는 경계부의 미스시키는 편침을 3개, 4개, … 로 증가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 미스시키는 편침의 수가 증가한 만큼 그 범위 내에서 단차가 서서히 줄어들기 때문에 단차가 눈에 띠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편성 종료측 또는 편성 시작측의 어느 일방(一方)의 경계부의 편침만을 미스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 모양 편성포를 구성하는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 니들베드 상에서 말하면 편성폭의 측단부에 편사절환장소를 배치시키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편사절환장소는 반드시 편성폭의 측단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앞측 편성포의 중앙 부분에 배치시켜서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실시하는 것도 당연히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끝실 처리의 편성은 상기 스텝13의 경우와 같이 사용하는 편성기의 타입 등에 따라 그 편성을 위한 빈 바늘을 확보하면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편성이 종료할 때에 형성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43을 루프51의 아래쪽 루프50에 포개었지만 편성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루프라면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루프53이나 다음 코스의 루프55로 하더라도 관계없다. 마찬가지로 편성이 시작될 때에 형성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47을 루프54의 편성 방향에 있어서 위쪽의 루프51에 포개었지만 위쪽에 위치하는 루프라면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바로 옆에 위치하는 루프50이나 다음 코스에서 형성되는 루프55로 하더라도 관계없다. 동일한 편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루프에 포개는 방법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요점은 편성이 종료하거나 편성이 시작되는 장소에서 코스 방향의 루프 사이의 연결이 없어지게 되어 그곳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편성이 종료하는 장소에서는 아래쪽, 편성이 시작되는 장소에서는 위쪽의 루프에 끝실 처리용으로 형성하는 루프를 포개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 내에 스트라이프가 빈번하게 반복되는 경우에는, 그 때마다 편사절환장소의 위치를 시프트(shift)시켜 동일한 편침에서 단차를 눈에 띠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스나 턱 편성이 반복되지 않게 하여 그 부분의 루프 코스의 수가 다른 웨일(wale)보다 극단적으로 적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편사절환장소에 접촉하는 웨일의 코스수가 다른 웨일보다 적어지게 되고, 미스나 턱 전후의 코스 편성에서 형성되는 루프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루프가 신장(伸張)되어 편사절환장소에서 발생하는 색의 단차를 눈에 띠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편성 제품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는 없다.

Claims (10)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하방(下方)으로 적층(積層)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루프 코스(loop course)의 편성을 교대로 순환하게 편성하여 편성폭(編成幅)의 측단부(側端部)에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tubular fabric)에 소정의 코스 편성마다 편사(編絲)를 적당하게 절환(切煥)하여 적어도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stripe pattern)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경계(境界)의 편사절환장소(yarn switching point)에서 적어도 일방(一方)의 편성포 부분의 루프를 미스(miss) 또는/및 턱(tuck)시켜서 상기 장소에서 발생하는 단차(段差)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적어도 각 1루프를 미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2루프를 미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의 최종 코스의 1코스 이전의 코스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一方)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최종 코스에서 타방(他方)을 미스하고,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의 최초 코스의 편성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을 미스하고, 이어지는 코스 편성에서 타방을 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편성포 부분 및 제2편성포 부분의 편성 시작 및 편성 종료 근방에서 빈 바늘(empty needle)을 사용하여 끝실(unused yarn edge) 처리용의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루프를 통 모양 편성포 내의 소정의 루프에 포개는 끝실 처리를 하기 위한 편성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편성포 부분의 편성 종료측에 형성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서 아래쪽의 루프에 포개고, 편성 시작측에 형성되는 끝실 처리용의 루프를 편성 방향에서 위쪽의 루프에 포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7.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하방으로 적층하여 늘어 뜨리고, 각 편성포의 루프 코스의 편성을 교대로 순환하게 편성하여 편성폭의 양(兩) 측단부에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소정의 코스 편성마다 편사를 적당하게 절환하여 적어도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 패턴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편성포 부분의 다음에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에 인접하는 편성 종료 부분의 루프를 미스 또는/및 턱하는 스텝
    b) 상기 스텝에 연속하여 제2편성포 부분의 상기 제1편성포 부분에 인접하는 편성 시작 부분의 루프를 미스 또는/및 턱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8.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편성폭의 양 측단부에서 연결되도록 순환하게 편성되고 적어도 제1과 제2의 다른 편사가 소정의 코스마다 절환되는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경계부(境界部)의 편사절환장소에서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 부분이 미스 또는/및 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포함되는 통 모양 편성포.
  9. 제8항에 있어서,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적어도 각 1루프가 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포함되는 통 모양 편성포.
  10. 제9항에 있어서,
    편사절환장소에서 제1편성포 부분과 제2편성포 부분의 인접하는 각 2루프가 미스되고, 제1편성포 부분의 최종 코스의 1코스 이전의 코스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이 미스되고, 최종 코스에서 타방이 미스되고,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제2편성포 부분의 최초 코스에서 상기 2루프 중 일방이 미스되고, 다음 코스의 루프 코스에서 타방이 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이 포함되는 통 모양 편성포.
KR1020027010102A 2000-02-17 2001-02-13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KR100643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9698 2000-02-17
JPJP-P-2000-00039698 2000-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307A true KR20020072307A (ko) 2002-09-14
KR100643539B1 KR100643539B1 (ko) 2006-11-10

Family

ID=1856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02A KR100643539B1 (ko) 2000-02-17 2001-02-13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15324B2 (ko)
EP (1) EP1266989B1 (ko)
JP (1) JP4252751B2 (ko)
KR (1) KR100643539B1 (ko)
CN (1) CN1277966C (ko)
AU (1) AU2001230616A1 (ko)
DE (1) DE60141894D1 (ko)
TW (1) TW479084B (ko)
WO (1) WO2001061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870B2 (ja) * 2003-08-08 2007-1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JP4503352B2 (ja) 2004-05-25 2010-07-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並びに編成プログラム
US7028509B2 (en) 2004-07-30 2006-04-18 Sara Lee Corporation Two-ply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ircularly knitted two-ply blank
JP2007044170A (ja) * 2005-08-08 2007-02-22 Okawa Nitto:Kk マットレス用カバー
CN101263252B (zh) * 2005-09-09 2010-11-10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针织物及其编织方法
CN101313096B (zh) * 2005-11-17 2010-12-2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边纹花纹的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KR100799308B1 (ko) 2006-12-11 2008-01-29 정승연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케이블 패턴 편직방법
KR100799311B1 (ko) 2006-12-11 2008-01-30 정승연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JP5306998B2 (ja) * 2007-05-01 2013-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と筒状編地
JP5702576B2 (ja) * 2010-10-28 2015-04-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618809B2 (ja) * 2010-12-16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US8522577B2 (en) 2011-03-15 2013-09-03 Nike, Inc.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US8839532B2 (en)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060570B2 (en) *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JP5955197B2 (ja) * 2012-10-31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6134158B2 (ja) * 2013-03-01 2017-05-24 グンゼ株式会社 ヨコ編地、ヨコ編地の編成方法及び衣料
JP6320133B2 (ja) * 2014-04-07 2018-05-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トライプ柄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CN106801289B (zh) * 2017-01-20 2018-06-15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鱼鳞花的编织方法
CN108532105B (zh) * 2018-04-16 2019-08-16 惠州学院 一种在针织物上编织动态图案的方法
CN110644121B (zh) * 2019-09-18 2020-10-02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条纹花样错位的编织方法
CN112831901B (zh) * 2020-07-28 2024-05-17 惠州学院 一种双针床横机编织筒状三层结构两色袋提花的方法
CN114836884A (zh) * 2022-05-21 2022-08-0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条纹组织的编织方法及针织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5474A (en) * 1943-01-04 1945-05-08 Wildt & Co Ltd Knitted fabric
GB1528161A (en) * 1975-01-07 1978-10-11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DE2531734C2 (de) * 1975-07-16 1983-12-22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Fadenführung an maschenbildenden Maschinen mit umlaufenden Fadenführern
GB1549777A (en) * 1975-08-12 1979-08-08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and knitted article
GB1553825A (en) * 1975-08-12 1979-10-10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and knitted article
US5628209A (en) * 1994-09-01 1997-05-13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of forming a knot on a flat knitting machine
JP3099304B2 (ja) * 1994-09-01 2000-10-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解れ止め方法
JPH1060758A (ja) * 1996-08-13 1998-03-03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DE19701425B4 (de) * 1997-01-17 2005-01-05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m Einbinden von Fadenanfängen bzw. Fadenenden in ein Gestrick
TW470795B (en) * 1999-08-31 2002-01-01 Shima Seiki Mfg Knitting method for waste yarn dispos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7966C (zh) 2006-10-04
EP1266989A4 (en) 2003-05-21
AU2001230616A1 (en) 2001-08-27
EP1266989B1 (en) 2010-04-21
US6715324B2 (en) 2004-04-06
EP1266989A1 (en) 2002-12-18
US20030010069A1 (en) 2003-01-16
JP4252751B2 (ja) 2009-04-08
KR100643539B1 (ko) 2006-11-10
DE60141894D1 (de) 2010-06-02
WO2001061092A1 (en) 2001-08-23
TW479084B (en) 2002-03-11
CN1404538A (zh)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539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KR101059853B1 (ko) 플레이팅에 의한 와이드 리브 조직의 편성방법
US6766667B2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JP4848374B2 (ja) 衿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EP2157219B1 (en) Knitting method for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022353B1 (ko)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KR100768346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웨어의 칼라 부분의 편성방법 및 그니트웨어
KR100706658B1 (ko) 코빼기 처리된 편성포 및 코빼기 처리방법
KR100585271B1 (ko) 분기부를 구비하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EP1408145B1 (en) Knitting fabric having novel set up structure and method of knitting it
KR100634388B1 (ko) 끝실을 처리하기 위한 편성방법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KR10101335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3968100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EP1605083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JP2006225776A (ja) 横編機によるミス柄の編成方法及びその編地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EP263677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JP7341960B2 (ja) 編地の編成方法
KR20180028031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WO2022191048A1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JP2021028424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