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11B1 -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11B1
KR100799311B1 KR1020060125413A KR20060125413A KR100799311B1 KR 100799311 B1 KR100799311 B1 KR 100799311B1 KR 1020060125413 A KR1020060125413 A KR 1020060125413A KR 20060125413 A KR20060125413 A KR 20060125413A KR 100799311 B1 KR100799311 B1 KR 10079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
ripple
knitte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연
Original Assignee
정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연 filed Critical 정승연
Priority to KR102006012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니트원단의 획일적인 디자인 패턴을 부분편직 방법을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비획일적이면서 독창적인 패턴의 고급 니트원단의 편직이 가능하게 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디자이너의 창작의도와 부합하여 개성 있는 의류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니트원단을 펠트공정을 이용해 후 가공 처리함으로써, 소재를 수축시키는 효과 및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뭉치게 하여 니트원단의 고급화는 물론 의류 디자인 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횡편기, 니트, 리플 패턴

Description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Partial Knit Method of Knit fabrics}
도 1은 본 발명의 니트 편직을 위한 횡편기의 개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니트 편직을 위한 니들세팅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요부 사시도.
도 3a 내지 3h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 편직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편직방법을 이용해 편직된 편직물의 실물사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횡편기
110: 캐리지
120: 침상
130: 니들
200: 원단
230: 지그재그리플 패턴
본 발명은 니트원단의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니트원단의 획일적인 패턴에 부분편직 방법을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비획일적이면서 독창적인 패턴의 고급 니트원단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디자이너의 창작의도와 부합하여 개성 있는 의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물 또는 편성물이라 함은 실로 고리를 만들어서 고리에 실을 걸어 새로운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고리들이 서로 얽힘으로서 만들어지는 원단 조직을 말한다. 이중 털실로 편직되는 니트웨어 제품으로. 각종 스웨터(sweater), 카디건(cardigan), 셔츠(shirt), 조끼(waistcoat) 등의 의류 제품과 숄(shawl), 모자, 장갑 등의 신변장식품들이 있다.
상기 니트 원단을 편직하는 장치로는 니트 직물을 판상으로 편직하는 횡편기와 원통형으로 편직하는 환편기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횡편기와 환편기를 사용하여 니트로된 셔츠 등의 의류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 횡편기에서 판상 원단을 편직하여 의류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편직하여 서로 포개지도록 접합시켜 몸통부위를 만들고, 환편기에서 원통형으로 편직 하는 팔 부위를 별도로 만든 다음 겨드랑이 부위에서 몸통과 팔을 서로 접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횡편기에 의한 판상의 편직물이나 환편기에 의해 편직되는 원통형 편직물에서 나타나는 니트 패턴을 보면 대개 아래의 2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양편직물(double-bed knit)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패턴)중 대표적인 두 조직은 세로줄 무늬가 생기는 고무편의 리브(rib)조직과, 가로줄 무늬가 생기는 양두조직인 펄 앤 플레인(purl & plain)조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니트웨어는 대부분 신축성만을 고려하여 1*1, 2*1, 2*2 의 리브조직이나 펄 앤 플레인 조직으로 편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편직 패턴을 갖는 종래의 니트 편직물을 새로운 미감과 창의적 디자인을 요구하는 의류 디자인을 위한 원단으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는 것으로서, 니트원단의 고급화는 물론 디자이너의 창의적 작업 및 표현이 자유로운 다양한 편직패턴이 가능한 니트원단의 편직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 종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니트원단의 획일적인 패턴을 부분편직 방법을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비획일적이면서 독창적인 패턴의 고급 니트원단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디자이너의 창작의도와 부합하여 개성 있는 의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 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트원단을 펠트공정을 이용해 후 가공 처리함으로써, 소재를 수축시키거나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뭉치게 하여 니트원단의 고급화는 물론 의류 디자인 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은 (a)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A와, 상기 편직부A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a와, 상기 공백부a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B와, 상기 편직부B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b와, 상기 공백부b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C를 순서대로 세팅하는 단계; (b)상기 세팅된 모든 니들을 코스트 온 한 다음, 편직부A ~ C를 워킹포지션으로 하고 8~12회 편직하여 베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편직부A의 12개 스티치만을 오른쪽방향으로 1회 편직하는 단계; (d)상기 편직부A의 12번째 니들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하는 단계; (e)상기 편직부A1→B1, B1→A2, A2→B2, B2→A3, A3→B3까지 각 1회 편직 후, B3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B3→A4, A4→B4, B4→A5, A5→B5, B5→A6, A6→B6까지 각 1회 편직 후, B6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6→A7, A7→B7, B7→A8, A8→B8, B8→A9, A9→B9까지 각 1회 편직 후, B9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9→A10, A10→B10, B10→A11, A11→B11, B11→A12, A12→B12까지 각 1회 편직 후, B12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B12→B1까지 1회 편직하는 단계; (f)상기 편직부B1→C1, C1→B2, B2→C2, C2→B3, B3→C3까지 각 1회 편직 후, C3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C3→B4, B4→C4, C4→B5, B5→C5, C5→B6, B6→C6까지 각 1회 편직 후, C6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6→B7, B7→C7, C7→B8, B8→C8, C8→B9, B9→C9까지 각 1회 편직 후, C9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9→B10, B10→C10, C10→B11, B11→C11, C11→B12, B12→C12까지 각 1회 편직 후, C12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C12→C1까지 1회 편직하는 단계; (g)상기 편직부C의 1번째 니들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2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하는 단계; 및 (h)상기 (c)~(f)단계의 공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a)단계의 편직부A~C 및 공백부a~b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폭을 조절하고, 상기 (c)~(h)단계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의 니들세팅단계는 각각의 편직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로 형성하고, 각각의 공백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자리로 형성시켜 규칙적인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 및 (f)단계의 리플을 적어도 10회 이상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f)단계는 편직부B의 9, 6, 3 번째 스티치에 각각 리플을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h)단계로 편직된 원단을 40℃의 물에서 세탁한 후 3분 이내로 탈수시키는 펠트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니트 편직을 위한 횡편기의 개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횡편기(100)는 복수 개의 니들(130)이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침상(120)을 구비하고, 상기 침상(120) 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캐리지(11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니트 편직을 위한 니들세팅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니들세팅 방법을 이용해 창작자의 의도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편직할 수 있게 된다.
우선, 도면에서의 공백부를 보면, 니들(130)이 모두 침상(110)의 안쪽으로 물려져 있는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캐리지(110)의 횡방향 이동시 편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편직부를 형성하는 니들(130)의 세팅 형태를 보면, 워킹 포지션 상태 와 홀딩 포지션 상태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둘은 모두 편직을 위한 원사를 니들(130)에 고리형태로 걸어 편직이 가능한 상태의 스티치(stitch)를 형성한다. 이때 실제의 편직은 워킹 포지션 상태의 스티치(stitch)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니들(130)은 워킹포지션 및 홀딩포지션을 교대 반복함으로써, 특정 디자인의 패턴이 편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횡편기는 편직구조에 대한 개념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수동식 횡편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편직구조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자동식 횡편기에서 보다 복잡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h는 본 발명에 따른 니트 편직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을 공정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 각 편직부의 니들을 표기함에 있어, 편직부A의 1번째 니들은 A1, 편직부B의 2번째 니들은 B2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게 됨을 일러둔다.
우선,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편기(100)의 니들(130)을 세팅하게 되는데, 편직부와 공백부를 교대로 형성함에 있어, 편직부와 공백부를 형성하는 니들(130)의 개수를 조절시켜 다양한 형태의 편직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게 된다. 도 3a의 세팅패턴은 일실시 예를 표현한 것에 불과하고, 니들의 개수 및 세팅패턴은 디자이너의 창작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세팅될 수 있음을 미리 밝 혀두고자 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니들세팅 패턴을 보면,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A와, 상기 편직부A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a와, 상기 공백부a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B와, 상기 편직부B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b와, 상기 공백부b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C를 순서대로 세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직부A에서 편직부C까지와 같은 세팅패턴을 반복 형성함으로써, 편직하고자 하는 원단의 폭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도 3a에서와 같은 니들세팅 실시 예에 따른 편직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세팅된 모든 니들(130)을 코스트 온 한 다음, 도 3b에서와 같이 편직부A ~ C부를 8~12회 편직시켜 상부 베이스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코스트 온(Cast on) 공정은 편직부(A~C)를 형성하는 모든 니들(130)에 원사를 고리형상으로 걸어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원사로는 다양한 종류의 실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쉬링크(Shrink) 효과을 얻을 수 있는 램스 울(Lambs Wo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 패턴은 니트원단의 마감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 로서, 특정한 기교를 가하지 않은 상태로 8~12회를 편직하게 되는데, 스웨터의 소매 끝단이나 목둘레, 몸통 끝단 등이 이에 해당된다. 물론 편직회수는 8~12회 보다 많거나 적은 회수로 편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3c와 같이 편직부A의 12개 스티치만을 오른쪽방향으로 1회 편직한다.
다음, 도 3d와 같이 편직부A의 12번째 니들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한다.
다음, 도 3e와 같이 편직부A1→B1, B1→A2, A2→B2, B2→A3, A3→B3까지 각 1회 편직 후, B3 스티치에서 리플(230)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B3→A4, A4→B4, B4→A5, A5→B5, B5→A6, A6→B6까지 각 1회 편직 후, B6 스티치에서 리플(230)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6→A7, A7→B7, B7→A8, A8→B8, B8→A9, A9→B9까지 각 1회 편직 후, B9 스티치에서 리플(230)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9→A10, A10→B10, B10→A11, A11→B11, B11→A12, A12→B12까지 각 1회 편직 후, B12 스티치에서 리플(230)을 편직하며, B12→B1까지 1회 편직한다.
이때, 상기 리플(230)을 편직하는 동안에는 주변의 모든 니들(130)을 반드시 홀딩포지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리플(230)은 각각 10회 이상을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3f에서와 같이 편직부B1→C1, C1→B2, B2→C2, C2→B3, B3→C3까지 각 1회 편직 후, C3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C3→B4, B4→C4, C4→B5, B5→C5, C5→B6, B6→C6까지 각 1회 편직 후, C6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6→B7, B7→C7, C7→B8, B8→C8, C8→B9, B9→C9까지 각 1회 편직 후, C9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9→B10, B10→C10, C10→B11, B11→C11, C11→B12, B12→C12까지 각 1회 편직 후, C12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C12→C1까지 1회 편직되도록 한다.
이때에도, 리플(230)을 편직하는 동안에는 주변의 모든 니들(130)을 반드시 홀딩포지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리플(230)은 각각 10회 이상을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f와 같이 상기 편직부B의 9, 6, 3 번째 스티치에서도 각각 리플(230)이 편직되도록 한다.
다음, 도 3g에서와 같이 편직부C의 1번째 니들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2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하는 한다.
다음, 도 3h와 같이 상기 도 3c ~ 도 3f의 작업공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편직방법을 이용해 편직된 편직물의 실물사진으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편직물은 리플의 형성방향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속반복되는 지그재그리플패턴(230)을 형성하게 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지그재그리플패턴(210)은 원단 표면에 기하학적 입체형상을 표현하게 됨으로써, 원단의 고급화는 물론 소비자의 욕구(개성 표현)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편직물은 사용되는 원사의 색상을 달리하여 보다 다양한 디자인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도 3a단계의 편직부A~C 및 공백부a~b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폭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도 3c ~ 도 3h단계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길이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규칙적인 지그재그 리플패턴(230)을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3a의 니들세팅단계에서 각각의 편직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로 형성하고, 각각의 공백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자리로 형성시켜 규칙적인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편직된 편직원단을 30~50℃(바람직하게는 40℃)의 물에서 세탁한 후 3분 이내로 탈수시키는 펠트(Felt)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소재를 수축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뭉치게 하는 등 원단의 재질감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처럼 펠트 공정을 수행한 니트원단은 고급화가 가능한 것은 물론 의류 디자인 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훌륭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통해 편직부 및 공백부의 세팅형태를 변경하거나 니들의 개수를 변경하는 등의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니트원단의 획일적인 디자인 패턴을 부분편직 방법을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비획일적이면서 독창적인 패턴의 고급 니트원단의 편직이 가능하게 되고, 디자인적 측면에서 디자이너의 창작의도와 부합하여 개성 있는 의류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니트원단을 펠트공정을 이용해 후 가공 처리함으로써, 소재를 수축시키는 효과 및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뭉치게 하여 니트원단의 고급화는 물론 의류 디자인 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a)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A와, 상기 편직부A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a와, 상기 공백부a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B와, 상기 편직부B의 일측으로 4개의 빈 니들 자리를 형성하는 공백부b와, 상기 공백부b의 일측으로 12개의 니들을 1군으로 형성하는 편직부C를 순서대로 세팅하는 단계;
    (b)상기 세팅된 모든 니들을 코스트 온 한 다음, 편직부A ~ C를 워킹포지션으로 하고 8~12회 편직하여 베이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편직부A의 12개 스티치만을 오른쪽방향으로 1회 편직하는 단계;
    (d)상기 편직부A의 12번째 니들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하는 단계;
    (e)상기 편직부A1→B1, B1→A2, A2→B2, B2→A3, A3→B3까지 각 1회 편직 후, B3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B3→A4, A4→B4, B4→A5, A5→B5, B5→A6, A6→B6까지 각 1회 편직 후, B6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6→A7, A7→B7, B7→A8, A8→B8, B8→A9, A9→B9까지 각 1회 편직 후, B9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B9→A10, A10→B10, B10→A11, A11→B11, B11→A12, A12→B12까지 각 1회 편직 후, B12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B12→B1까지 1회 편직하는 단계;
    (f)상기 편직부B1→C1, C1→B2, B2→C2, C2→B3, B3→C3까지 각 1회 편직 후, C3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고, 상기 편직부C3→B4, B4→C4, C4→B5, B5→C5, C5→B6, B6→C6까지 각 1회 편직 후, C6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6→B7, B7→C7, C7→B8, B8→C8, C8→B9, B9→C9까지 각 1회 편직 후, C9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상기 편직부C9→B10, B10→C10, C10→B11, B11→C11, C11→B12, B12→C12까지 각 1회 편직 후, C12 스티치에서 리플을 편직하며, C12→C1까지 1회 편직하는 단계;
    (g)상기 편직부C의 1번째 니들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개씩을 니들아웃 시키면서 12번째 니들에 이르기까지 각각 2열씩 편직되도록 하는 단계; 및
    (h)상기 (c)~(f)단계의 공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편직부A~C 및 공백부a~b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폭을 조절하고, 상기 (c)~(h)단계를 연속 반복시켜 니트원단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니들세팅단계는 각각의 편직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로 형성하 고, 각각의 공백부를 동일한 개수의 니들자리로 형성시켜 규칙적인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및 (f)단계의 리플을 적어도 10회 이상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편직부B의 9, 6, 3 번째 스티치에 각각 리플을 편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h)단계로 편직된 원단을 40℃의 물에서 세탁한 후 3분 이내로 탈수시키는 펠트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 리플패턴 편직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해서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KR1020060125413A 2006-12-11 2006-12-11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KR10079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413A KR100799311B1 (ko) 2006-12-11 2006-12-11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413A KR100799311B1 (ko) 2006-12-11 2006-12-11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11B1 true KR100799311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413A KR100799311B1 (ko) 2006-12-11 2006-12-11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33B1 (ko) 2014-02-04 2015-09-21 이양종 탄성밴드 제작방법
KR20200140727A (ko) * 2019-06-07 2020-12-16 부낸시 고장력을 가지는 니트 원단, 니트 웨어 및 이의 편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342A (en) 1992-09-24 1993-11-23 Mundstock Ricki L Method of forming a mock cable pattern in knitted fabric
KR20000067697A (ko) * 1999-04-30 2000-11-25 원희덕 엠보싱 구조의 편직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1348A (ko) * 2003-08-08 2006-06-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KR100643539B1 (ko) 2000-02-17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342A (en) 1992-09-24 1993-11-23 Mundstock Ricki L Method of forming a mock cable pattern in knitted fabric
KR20000067697A (ko) * 1999-04-30 2000-11-25 원희덕 엠보싱 구조의 편직물과 그 제조방법
KR100643539B1 (ko) 2000-02-17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KR20060061348A (ko) * 2003-08-08 2006-06-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733B1 (ko) 2014-02-04 2015-09-21 이양종 탄성밴드 제작방법
KR20200140727A (ko) * 2019-06-07 2020-12-16 부낸시 고장력을 가지는 니트 원단, 니트 웨어 및 이의 편직 방법
KR102344043B1 (ko) 2019-06-07 2021-12-28 부낸시 고장력을 가지는 니트 원단, 니트 웨어 및 이의 편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i et al. Three dimensional seamless garment knitting on V-bed flat knitting machines
CN100554551C (zh) 针织物的编织方法
CN101263251B (zh) 具有衣领的针织品的编织方法
EP1947224B1 (en) Rib fabric and its knitting method
CN101184879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产品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KR10064353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칼라의 편성방법 및 칼라의편성방법을 형성시키기 위한 니트 디자인 장치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JPH1053943A (ja) 筒状編地にダブルジャージー組織からなる編込みジャカードを編成する方法
CN104164737A (zh) 罗纹风格针织物的编织方法及罗纹风格针织物
KR100768346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웨어의 칼라 부분의 편성방법 및 그니트웨어
GB2228750A (en) Knitting tubular fabric with fashion lines on a flat machine
KR100799308B1 (ko)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케이블 패턴 편직방법
CN100537869C (zh) 具有插肩袖的针织品的编织方法和具有插肩袖的针织品
KR10101335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5444995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mplete garment on a two needle bed flat knitting machine
KR100799311B1 (ko)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지그재그리플패턴 편직방법
JP2006111996A (ja) 横編機で編まれたvネック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10592787B (zh) 一种扩大孔眼的编织方法
KR100799310B1 (ko)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불규칙 리플패턴 편직방법
EP265359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CN110592788B (zh) 一种仿席编针织物的编织方法
US20180317575A1 (en) Multipurpos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45250B1 (ko) 니트 패션의 창의적 디자인 차별화를 위한 니트의 편직방법
KR100203591B1 (ko) 횡편기로 편직한 칼러의 좌, 우 변부부분과 각도조절부분 편성조직과 그 편침의 편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