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359B1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359B1
KR101013359B1 KR1020057012489A KR20057012489A KR101013359B1 KR 101013359 B1 KR101013359 B1 KR 101013359B1 KR 1020057012489 A KR1020057012489 A KR 1020057012489A KR 20057012489 A KR20057012489 A KR 20057012489A KR 101013359 B1 KR101013359 B1 KR 10101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wale
loop
knitting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481A (ko
Inventor
마나부 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1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루프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스티치의 균형이 잡힌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은, 1개씩 거른 바늘로 니트 루프 및 턱 루프가 형성되는 제1웨일과, 니트 루프만이 형성되는 제2웨일이 교대로 형성된다.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에 부속시키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에 부속시킨다.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한다. 뒤쪽 니들베드(BB)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과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하고, 이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고, 이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고,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로,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FOR KNITTING FABRIC}
본 발명은, 게이지(gauge)를 느슨하게 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half cardigan knitting structure)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5의 편성포는, 하프 카디건(half cardigan)의 편성조직을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도5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표면(表面)을 나타내고 있고, 백 스티치(back stitch)의 턱 루프(tuck loop)와 니트 루프(knitted loop)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웨일(wale)a와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의 니트 루프로 형성되는 제2웨일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 있어서는, 제1웨일a의 니트 루프는 제2웨일b의 니트 루프의 2코스(course)만큼의 높이를 구비하고 있다. 제1웨일a에서는, 니트 루프와 턱 루프가 포개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에 스티치를 크게 하는 편성방법으로서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함으로써 거친 게이지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게이지의 편성기에서는 5-게이지의 텍스처(texture)의 편성포가 얻어지지만, 1개씩 거른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함으로써 텍스처가 거친 편성포가 얻어진다. 또한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하여 편성포의 게이지를 느슨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8995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에 의하여 편성포의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면 동일한 편성기로 편성하더라도 굵은 실로 편성이 가능하게 되어 동일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이더라도 다른 텍스처의 편성포를 제공할 수 있다.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인접하는 스티치 상호간의 사이에서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 빈 바늘(empty needle)을 사용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빈 바늘에도 일시적으로 편사(knitting yarn)를 건 후에 바늘로부터 이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뺌으로써 코스를 편성할 때에 형성된 스티치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편성방법은, 속칭 드롭 편성(drop knitting)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1개씩 거른 바늘과 이 드롭 편성을 병용하면 스티치를 더 크게 편성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1개씩 거른 바늘에 의한 편성과 드롭 편성을 병용하였을 때의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이 편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표면의 편성포는, 도5의 이면측(裏面側)의 편성포로 표현된다.
도6 및 도7은, 전후(前後)의 니들베드FB, BB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서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으로서,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에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앞쪽 편성포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BB에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뒤쪽 편성포가 형성되는 경우의 편성 공정도이다.
먼저 도6(1)은, 앞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編針)에, 뒤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먼저 앞쪽 편성포를 1코스 편성한다. 도6(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에 걸려 있는 루프 중에 도5의 제2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니트 루프에 대해서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로 코이동을 한다. 이 때에 도5의 제1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니트 루프는 앞쪽 니들베드FB에 남아 있다.
그리고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B로 제1웨일의 턱 루프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B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A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고, 뒤쪽 니들베드BB로 코이동한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C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한다(도6(3)). 도6(3)의 상태에서 바늘B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A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도6(4))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C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로 되돌려 도6(5)의 상태로 한다.
그리고 다음에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1코스 편성한다. 도6(6)에 나타 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려 있는 루프 중에 도5의 제2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니트 루프에 대해서 앞쪽 니들베드FB의 빈 바늘로 코이동을 한다. 이 때에 도5의 제1웨일을 형성하기 위한 니트 루프는 뒤쪽 니들베드BB에 남아 있다.
그리고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E로 제1웨일의 턱 루프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E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C, D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고, 앞쪽 니들베드FB로 코이동한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A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한다(도6(7)). 도6(7)의 상태에서 바늘E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C, D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도6(8))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A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로 되돌려 도6(9)의 상태로 한다.
다음에 앞쪽 편성포의 편성을 진행하고, 도7(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C로 코이동한 후에 이 바늘C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바늘B로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바늘B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A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
그리고 도7(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빈 바늘A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C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으로 코이동하여 도7(12)의 상태로 한다.
다음에 뒤쪽 편성포의 편성을 진행하고, 도7(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빈 바늘A로 코이동한 후에 이 바늘A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바늘E로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바늘E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C, D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
그리고 도7(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빈 바늘C, D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A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으로 코이동하여 도7(15)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도6(1)∼도7(15)에 나타내는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5에 나타내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여 편성할 수 있다. 즉 도6(3)(7), 도7(10)(13)에 있어서의 빈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가 드롭 부분, 즉 니트 루프 및 턱 루프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한 길이 조정 부분이 된다. 이 빈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에 의하여, 편성된 턱 루프 및 니트 루프의 루프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종래의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편성에서는, 턱 루프를 형성할 때에 턱 루프는 그 전에 바늘B로 형성된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포개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제2웨일의 니트 루프에 연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턱 루프를 형성할 때의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는,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뺄 때에 턱 루프가 이 니트 루프에 접촉하 고 있기 때문에 실이 원활하게 미끄러지지 않아 이 드롭 부분의 실이 주위의 루프에 흡수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제1웨일과 제2웨일과의 사이의 싱커 루프(sinker loop)의 길이가 부분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각 스티치의 균형이 무너져 아름다운 편성포를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다음의 코이동이나 편성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1개의 바늘에만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는 경우에는,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대하여 일방(一方)의 빈 바늘에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고, 반대측의 바늘에는 걸어 놓지 않기 때문에 특히 편성포의 균형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이며 하프 게이지 편성 또한 바늘에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으면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으로서, 루프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스티치의 균형이 잡힌 편성포를 제공할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은, 좌우(左右)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前後) 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고, 1개씩 거른 바늘로 니트 루프(knitted loop) 및 턱 루프(tuck loop)가 형성되는 제1웨일(wale)과, 니트 루프만이 형성되는 제2웨일이 교대로 형성되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half cardigan knitting structure)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방법으로서, 이하의 스텝(step)을 포함한다.
1)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에 부속시키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부속시켜 상기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의 대향하는 빈 바늘(empty needle)로 코이동하는 스텝1.
2) 타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knitting yarn)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2.
3)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3.
4)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는 스텝4.
5)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고,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5.
6)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6.
또한 상기 스텝6을 한 후에 상기 스텝1에서 스텝6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코스로 편성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편성할 수 있다.
상기한 스텝1에서 스텝6의 편성은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편성하는 경우의 기본이 되는 편성방법이고, 이 편성방법에 의하여 평면 모양의 편성포나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지만, 통 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를 연속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편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를 구비하고, 전후 편성포의 적어도 일방에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상기한 편성방법의 스텝으로 편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텝1은 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의 적어도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빈 바늘로 코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텝5는, 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의 적어도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부분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스텝을 포함하도록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앞쪽 편성포의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에 부속시키고, 뒤쪽 편성포의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상기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타방의 니들베드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
2)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2.
3)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3.
4)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4.
5)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일방의 니들베드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5.
6)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6.
7)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7.
8)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턱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8.
9)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9.
10)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10.
11)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1.
12)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일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12.
13)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13.
14)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4.
그리고 상기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스텝14를 한 후에 스텝1에서 스텝14를 반복함으로써 전후의 편성포에 복수의 코스로 편성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코이동하여 두고, 일방의 니들베드의 빈 바늘에 턱 루프 및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형성하고, 이 빈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빼 드롭 편성(drop knitting)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인접하는 스티치 상호간의 사이에서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 빈 바늘을 사용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빈 바늘에도 일시적으로 편사를 건 후에 바늘로부터 이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뺌으로써 코스를 편성할 때에 형성된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는 편성방법을 드롭 편성이라고 부른다.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는다는 것은, 예를 들면 동일한 니들베드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바늘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올드 루프(old loop))와 포개지지 않도록 제1웨일의 턱 루프 및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웨일에 니트 루프를 형성한 후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더라도 턱 루프와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는, 턱 루프의 형성 전에 편성되어 있는 올드 루프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뺐을 때에 턱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은 빈 바늘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바늘의 훅(hook) 내로 실이 미끄러지기 쉬워 편성포의 드롭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턱 루프를 바늘로 지지하면서 바늘로부터 뺀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의 부분은 턱 루프나 제2웨일의 니트 루프와 균형이 맞게 흡수된다. 그 결과로 턱 루프는, 턱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로부터 제2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까지의 좌우 실의 길이의 균형이 맞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턱 루프의 길이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로부터 일방의 턱 루프가 걸려 있는 바늘로 되돌림으로써 제1웨일은, 턱 루프와 니트 루프가 포개진 상태가 된다.
제1웨일에 있어서 이와 같이 턱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이 턱 루프를 항상 균형이 잡히고 루프 길이가 긴 턱 루프로 형성할 수 있고, 주변의 니트 루프의 균형도 맞게 된다.
빈 바늘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것은, 드롭시키는 양(니트 루프나 턱 루프의 크기)에 따라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의 좌우 양방(兩方)에서 하여도 좋고, 어느 일방에서 하여도 좋다. 드롭량의 조정으로 루프의 루프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
도2는 도1에 이어지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
도3은 도2에 이어지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
도4는 도3에 이어지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
도5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부분 평면도,
도6은 종래의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
도7은 도6에 이어지는 종래의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B :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
BB :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
A, B, C, D, E :바늘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좌우(左右)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前後) 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뒤쪽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또한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이 가능한 소위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무봉제(無縫製)의 통 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를 편성한다.
2-베드 횡편기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전후의 각 니들 베드(베드)에 있어서 각각 바늘을 1개씩 걸러 편성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니트웨어(knitwear)를 편성하는 경우에, 앞쪽 니들베드의 홀수 번째의 바늘을 주(主)로 하여 앞쪽 편성포의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뒤쪽 니들베드의 짝수 번째의 바늘을 주로 하여 뒤쪽 편성포의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전후의 니들베드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편성용에 사용되는 바늘에 대향하는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바늘을 빈 바늘(empty needle)로 하고 있고, 이 빈 바늘을 코이동이나 리브 편성(rib knitting) 등을 하기 위해 사용함으로써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half cardigan knitting structure) 등의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후 니들베드의 일방 또는 양방(兩方)의 상위(上位)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을 나란하게 설치한 트랜스퍼 잭 베드(transfer jack bed)를 설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부 앞쪽 니들베드(upper front needle bed), 하부 앞쪽 니들베드(lower front needle bed), 상부 뒤쪽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 그리고 하부 뒤쪽 니들베드(lower back needle bed)로 이루어지는 4-베드 횡편기(four-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하부 앞쪽 니들베드에 앞쪽 편성포를 부속시키고, 하부 뒤쪽 니들베드에 뒤쪽 편성포를 부속시킴과 아울러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앞쪽 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빈 바늘로서 앞쪽 부분 편성포의 코이동 등에 이용하고, 상부 앞쪽 니들베드를 뒤쪽 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빈 바늘로서 뒤쪽 부분 편성포의 코이동 등에 이용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에 게이지(gauge)가 느슨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시임리스(seamless)로 편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1에서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 도4는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를 나타낸다. 이 편성 공정도는 전후의 니들베드FB, BB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1개씩 거른 바늘로 니트 루프(knitted loop) 및 턱 루프(tuck loop)가 형성되는 제1웨일(wale)과, 니트 루프만이 형성되는 제2웨일이 교대로 형성되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편성되는 편성포의 표면은, 도5의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뒤쪽의 면이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1(1)은, 앞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編針)에, 뒤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에 걸려 있는 모든 니트 루프에 대해서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로 코이동을 하여 도1(3)의 상태로 한다(스텝1).
그리고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로 코이동된 니트 루프 중에 제2웨일의 니트 루프(바늘C에 걸린 니트 루프)에 계속하여 이 뒤쪽 니들베드BB에 있어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D에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B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바늘B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바늘A에 있어서 편사(knitting yarn)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스텝2).
다음에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늘B에 턱 루프를 건 채 바늘A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다(스텝3). 이들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A로부터 뺌으로써 바늘B에 걸리는 턱 루프는, 바늘B에서 바늘C까지의 길이가 양측(兩側)에서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빈 바늘A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가 드롭(drop) 부분, 즉 턱 루프 및 주변의 니트 루프의 길이 조정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빈 바늘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고 그것을 뺌으로써 스티치의 루프 길이가 길고 또 균형이 잡힌 루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에 걸려 있는 앞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모두 앞쪽 니들베드FB로 코이동한다. 이 코이동에 의하여 앞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 전체가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에 걸리고, 뒤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 전체가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린 도2(7)의 상태가 된다. 이 공정에 의하여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B로,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D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가 코이동되어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턱 루프가 포개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1코스(course) 편성한다. 도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려 있는 모든 니트 루프에 대해서 앞쪽 니들베드FB의 빈 바늘로 코이동을 하여 도2(9)의 상태로 한다(스텝5).
그리고 도2(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빈 바늘로 코이동된 니트 루프 중에 제2웨일의 니트 루프(바늘A에 걸린 니트 루프)에 계속하여 이 앞쪽 니들베드FB에 있어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A에 대향하는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E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바늘E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바늘C, D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스텝6).
다음에 도2(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늘E에 턱 루프를 건 채 바늘C, D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다(스텝7). 이들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C, D로부터 뺌으로써 바늘E에 걸리는 턱 루프는, 바늘E에서 바늘A까지의 길이가 양측에서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빈 바늘C, D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가 드롭 부분, 즉 턱 루프 및 주변의 니트 루프의 길이 조정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빈 바늘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고 그것을 뺌으로써 스티치의 루프 길이가 길고 또 균형이 잡힌 루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2(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에 걸려 있는 뒤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를 모두 뒤쪽 니들베드BB로 코이동한다. 이 코이동에 의하여 뒤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 전체가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리고, 앞쪽 편성포의 니트 루프 전체가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에 걸린 도3(13)의 상태가 된다. 이 공정에 의하여 턱 루프가 걸려 있는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E로,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A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가 코이동되어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턱 루프가 포개진 상태가 된다(스텝8).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1코스 편성을 종료한 후에는,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편성을 한다. 이 편성은, 도3(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C로 코이동한 후에 이 바늘C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바늘B로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바늘B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A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스텝9).
그리고 도3(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빈 바늘A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스텝10) 도3(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바늘C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으로 코이동하여 도3(17)의 상태로 한다(스텝11).
다음에 뒤쪽 편성포의 편성을 진행하고, 도4(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앞쪽 니들베드FB의 빈 바늘A로 코이동한 후에 이 바늘A로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그와 동시에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바늘E로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바늘E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빈 바늘C, D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다(스텝12).
그리고 도4(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빈 바늘C, D로부터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뺀 후에(스텝13) 도4(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의 바늘A에 걸려 있는 니트 루프를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으로 코이동하여 도4(21)의 상태로 한다(스텝14).
이와 같이 도1(1)∼도4(21)에 나타내는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5에 나타내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이며 스티치를 느슨하게 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중에 빈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가 드롭 부분, 즉 니트 루프 및 턱 루프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한 길이 조정 부분이 된다.
본 실시예의 편성방법에서는, 무봉제로 통 모양의 니트웨어를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이면측(裏面側)을 니트웨어의 표면으로 하여도 좋고, 편성포를 뒤집어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표면측(表面側)을 니트웨어의 표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개씩 거른 바늘을 사용하여 제1웨일 및 제2웨일을 형성하면서 빈 바늘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기 때문에 스티치가 큰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티치를 거칠게 할 수 있을 정도의 더 굵은 실을 사용할 수 있어 텍스처(texture)가 다른 편성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바늘로 코이동해 둠으로써 빈 바늘이 되어 있는 바늘B로 턱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한 종래의 제1웨일과 같이 턱 루프가 니트 루프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드롭을 위해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뺐을 때에 턱 루프가 바늘B에 있어서 원활하게 미끄러지므로 드롭 부분이 주위의 루프와 균형이 맞게 흡수된다.
이렇게 제1웨일에 있어서, 실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 턱 루프를 형성한 후에 턱 루프와 니트 루프를 포개기 때문에 편성포 전체로서의 제1웨일과 제2웨일의 각각의 스티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롭 부분의 길이를 충분하게 니트 루프 및 턱 루프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큰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의 양쪽으로 이웃하는 바늘에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았지만, 드롭시키는 양(니트 루프나 턱 루프의 루프 길이)에 따라 어느 일방의 빈 바늘에만 일시적으로 편사를 걸어 놓도록 하여도 좋다. 드롭량의 조정으로 루프의 루프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 모양 편성포를 구성하는 전후의 각 편성포가 각각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으로 편성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편성포의 일부(一部)에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이 편성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가 아닌 편성포(1층)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전후 니들베드 중 어느 하나의 빈 바늘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늘을 1개씩 걸러 제1웨일 및 제2웨일을 구비하도록 빈 바늘에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으면서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도 니트 루프 및 턱 루프의 형상을 균형이 맞게 형성할 수 있어 편성포 전체로서 아름다운 편성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코이동이나 편성도 용이하게 되어 턱 루프(tuck loop)의 스티치 밀도(density)를 높이고자 할 때에도 스티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좌우(左右)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前後) 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FB, BB)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고, 1개씩 거른 바늘로 니트 루프(knitted loop) 및 턱 루프(tuck loop)가 형성되는 제1웨일(wale)과, 니트 루프만이 형성되는 제2웨일이 교대로 형성되는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half cardigan knitting structure)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으로서,
    1)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FB)에 부속시키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他方)의 니들베드(BB)에 부속시켜 상기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대향하는 빈 바늘(empty needle)로 코이동하는 스텝1,
    2) 타방의 니들베드(BB)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knitting yarn)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2,
    3)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3,
    4)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로, 타방의 니 들베드(B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는 스텝4,
    5)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고,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5,
    6)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의 스텝6을 한 후에 제1항의 스텝1에서 스텝6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앞쪽 편성포와 뒤쪽 편성포를 구비하고, 전후 편성포의 적어도 일방에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 편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텝1은 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의 적어도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빈 바늘로 코이동하고,
    상기 스텝5는, 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의 적어도 하프 카디건 편성 조직을 구비하는 부분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니들베드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1) 앞쪽 편성포의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FB)에 부속시키고, 뒤쪽 편성포의 제1웨일의 니트 루프와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BB)에 부속시킨 상태에서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상기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
    2)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BB)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 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2,
    3)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3,
    4)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턱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로,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4,
    5)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1웨일과 제2웨일의 니트 루프 전체를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5,
    6)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FB)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제1웨일의 니트 루프가 걸려 있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있어서 턱 루프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 루프를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6,
    7)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7,
    8)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턱 루프가 걸려 있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로,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니트 루프를 코이동하고,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8,
    9)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9,
    10)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10,
    11) 앞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1,
    12)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대향하는 빈 바늘로 코이동하여 이 일방의 니들베드(FB)의 바늘에 있어서 제2웨일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걸려 있는 제1웨일의 턱 루프와 니트 루프에 연속하여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웨일을 형성하는 바늘에 인접하는 바늘 중 적어도 1개의 바늘에 있어서 편사를 일시적으로 걸어 놓는 스텝12,
    13)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에 일시적으로 걸어 놓은 편사를 바늘로부터 빼는 스텝13,
    14) 뒤쪽 편성포에 대해서 제2웨일의 니트 루프를 대향하는 타방의 니들베드(BB)의 바늘로 코이동하는 스텝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4항의 스텝14를 한 후에 제4항의 스텝1에서 스텝14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057012489A 2003-03-07 2004-03-02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013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2432 2003-03-07
JPJP-P-2003-00062432 2003-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481A KR20060013481A (ko) 2006-02-10
KR101013359B1 true KR101013359B1 (ko) 2011-02-14

Family

ID=3295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489A KR101013359B1 (ko) 2003-03-07 2004-03-02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6693B2 (ko)
EP (1) EP1605082B1 (ko)
JP (1) JP4203504B2 (ko)
KR (1) KR101013359B1 (ko)
CN (1) CN100449046C (ko)
WO (1) WO2004079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08B1 (ko) * 2006-12-11 2008-01-29 정승연 부분편직을 이용한 니트원단의 케이블 패턴 편직방법
EP2228473A4 (en) * 2007-12-06 2014-06-25 Shima Seiki Mfg CYLINDER KNITTED KNITTED OR CURED PROVINCES, AND METAL FORMING METHOD THEREFOR
DE102007063148A1 (de) * 2007-12-29 2009-07-02 Medi Gmbh & Co. Kg Nahtloses Kompressionsgestric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5766452B2 (ja) * 2011-01-28 2015-08-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6109105B2 (ja) * 2014-03-18 2017-04-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システムとニットデザイン方法
CN108442032B (zh) * 2018-04-24 2019-08-13 山东舒朗服装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服装门襟装饰性组织的编织方法
US11760054B2 (en) 2018-05-09 2023-09-19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thermal properties
CN109082761B (zh) * 2018-09-20 2020-06-23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编织双鱼鳞织物的方法
CN110592791A (zh) * 2019-09-18 2019-12-20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全成型上装防止起吊编织方法
CN111020827B (zh) * 2019-11-04 2021-07-13 惠州学院 一种线圈纵行左右倾斜与衬纬针织物的编织方法
CN111254560B (zh) * 2020-03-06 2021-12-14 福建泉州凹凸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针织圆机网孔编织工艺
IT202000020926A1 (it) 2020-09-03 2022-03-03 A Celli Paper Spa Pressa a scarpa per carta e relativo metodo
CN112553758B (zh) * 2020-12-01 2022-06-14 桐乡嘉裕时装有限公司 一种针织衫编织移针补洞方法
CN113699678B (zh) * 2021-07-12 2023-04-28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前后针织物旋转编织方法
CN115449961B (zh) * 2022-08-19 2023-10-27 闽南理工学院 一种方格花色效应的多行挂针织物及其编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656A (ja) * 1989-08-17 1991-03-29 Mita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EP0905297B2 (de) 1997-09-09 2004-07-28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insbesondere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21B2 (ja) * 1990-12-13 1996-09-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ツト製品に於ける衿首用編地の編成方法
US5263342A (en) * 1992-09-24 1993-11-23 Mundstock Ricki L Method of forming a mock cable pattern in knitted fabric
JP3075656B2 (ja) * 1993-09-07 2000-08-14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
TW480299B (en) * 2000-01-26 2002-03-2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6658899B2 (en) * 2000-02-29 2003-12-09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TW490521B (en) * 2000-06-02 2002-06-1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EP1403409B1 (en) * 2001-05-25 2009-07-15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656A (ja) * 1989-08-17 1991-03-29 Mita Ind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EP0905297B2 (de) 1997-09-09 2004-07-28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insbesondere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9070A1 (ja) 2004-09-16
JP4203504B2 (ja) 2009-01-07
JPWO2004079070A1 (ja) 2006-06-08
EP1605082A4 (en) 2006-09-06
KR20060013481A (ko) 2006-02-10
EP1605082A1 (en) 2005-12-14
CN1751150A (zh) 2006-03-22
EP1605082B1 (en) 2011-06-08
CN100449046C (zh) 2009-01-07
US20060137405A1 (en) 2006-06-29
US7096693B2 (en)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35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2157219B1 (en) Knitting method for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5032872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された編地
JP3126315B2 (ja) 2×1ゴム編み組織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4252751B2 (ja) 筒状編地のストライプ柄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GB2228750A (en) Knitting tubular fabric with fashion lines on a flat machine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JP2014047446A (ja) パイル編成方法、パイル編地部を有する編地
EP1835058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
JP5603779B2 (ja) 内増やし方法、および編地
EP2180093B1 (en) Cylindrical fabric knitting method
JP2006225776A (ja) 横編機によるミス柄の編成方法及びその編地
CN102619008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JP2008303489A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0133055A (ja) 編地の編成方法
US20170283996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4814078B2 (ja) 編地の端部を伏せ目処理する方法および伏せ目処理された編地
JP2012001860A (ja) 色柄として表現される編地が重ねられ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6738791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JP7357506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H031641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