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363A -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363A
KR20020071363A KR1020010011491A KR20010011491A KR20020071363A KR 20020071363 A KR20020071363 A KR 20020071363A KR 1020010011491 A KR1020010011491 A KR 1020010011491A KR 20010011491 A KR20010011491 A KR 20010011491A KR 20020071363 A KR20020071363 A KR 2002007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tea
weight
leaves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139B1 (ko
Inventor
홍거표
홍정기
공영준
권혜정
Original Assignee
강릉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시 filed Critical 강릉시
Priority to KR10-2001-001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1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오죽잎을 세척하여 스팀 또는 열풍으로 30∼90초동안 증숙 또는 건조시킨후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건조 및 분쇄한 오죽잎 55∼75중량%,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키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죽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이용한 기호식품인 오죽엽차를 제공함으로써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노출된 현대인이 생체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음용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Tea containing phllostachys nigra MUNRO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환경의 변화와 오염 등으로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검은 대나무(오죽)을 이용한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는 차잎을 증기로 증숙하고,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제조하거나 차잎을 증기로 증숙하고, 냉각한 다음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한다. 이때 대상 차의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을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 공정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최근 맛과 향이 우수한 차는 일반 수요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녹차 및 엽차에 대해 생리활성 작용과 같은 기능적인 요구가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치커리 볶음차의 제조방법(한국 특허출원 제98-21488호), 치커리 과립차의 제조방법(한국 특허출원 제94-23071호), 당귀 과립차의 제조방법(한국 특허출원 제94-23072호), 인삼엽차의 제조방법(한국 특허출원 제89-7516호) 및 천연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된 생열귀 엽차의 제조방법(한국 특허출원 제98-21487호) 등이 특허출원되어 대상 차종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편, 오죽(烏竹,phllostachys nigraMUNRO)은 속명으로 자죽(紫竹), 수죽자(水竹子), 약죽(若竹)이라 불리우고 화본과의 상록 목본성 식물로서 높이 10m 내외이고, 지름 5∼8㎝이며, 처음에는 백분(白粉)으로 덮여 있지만 줄기가 흑색으로 된다. 잎은 1∼5(대개2∼3)개씩 달리며, 피침형이고, 길이 6∼10㎝, 너비 10∼15㎜로서 점첨두(漸尖頭)이며 원저(圓低), 또는 넓은 예저(銳底)이고, 잔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중늑(中肋)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肩毛)는 5개 내외로 점차 떨어진다. 6∼7월에 꽃이 피고 꽃은 연한 황색이며, 화서(花序)를 둘러싼 포(苞)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2∼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죽순은 4∼5월에 나오고 연한 적갈색이다.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영과(穎果)이다. 용도는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이고, 어린순을 식용하며 관상수 및 세공용재, 건축용, 죽기용재로 줄기를 쓰고 한방과 민간에서 전주(全株) 및 잎죽순을 구토, 소염, 경간, 주독, 유산, 익기, 객토혈 급창, 보약, 파상풍, 발한, 진통, 중풍 등에 약재로 쓴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고죽엽(오죽 잎)은 성질이 서늘하며(冷) 맛이 쓰고(苦) 독이 없다. 잠 못자는 것을 낫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술독을 풀며 번열을 없애고 땀을 낸다.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것도 낫게 한다고 되어 있다. 또한 담죽엽은성질이 차며(寒) 맛은 달고(甘) 독이 없으며 담을 삭이고 열을 내리게 하고 중풍으로 목이 쉬어 말 못하는 것, 열이 세게나고 머리가 아픈 것(壯熱頭痛) 등을 낫게 한다. 경계증, 온역(瘟疫)으로 발광하며 안타까워 하는 것(狂悶),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 임신부가 어지럼증이 나서 넘어지는 것, 어린이의 경간(驚癎) 천조풍(天弔風) 등을 낫게 한다고 되어 있다.
대나무 수액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성분이 고로쇠 수액에 비해 훨씬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5∼10배), 필수 아미노산이 9종이나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는 대나무가 이뇨작용, 신경통, 고혈압, 중풍, 관절염 예방과 심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탁월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나무 수액은 민간요법에서 기미, 주근깨, 검버섯 제거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현대인들의 식생활은 예전과는 현저하게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또한 그로 인해 야기되는 환경의 변화와 오염 등으로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의 증가를 낳게 되었다. 이러한 성인병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항생제나 치료약은 생체내 부작용이나 독성을 나타낼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약용 식물로 일컬어지는 여러 천연 식품으로부터 활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최근에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오죽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이나 일반 성분의 분석은 물론 가공제품의 개발은 미미하여, 현재는 대나무 수액, 죽순, 숯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갖는 오죽의 기능성을 살릴 수 있는 식품을 연구한 결과 오죽엽차를 개발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의 변화와 오염 등으로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검은 대나무(오죽)을 이용한 오죽엽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죽엽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죽엽차의 제조방법은 오죽잎을 세척하여 스팀으로 30∼90초동안 증숙시킨후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건조 및 분쇄한 오죽잎 55∼75중량%,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죽엽차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오죽잎을 세척하여 100℃의 온도에서 30∼90초 동안 가열한 후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건조 및 분쇄한 오죽잎 55∼75중량%,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죽엽차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오죽엽차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오죽잎을 채취,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그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냉장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세척된 오죽잎은 증숙 또는 열탕가열한다. 증숙은 스팀으로 30∼90초동안 수행하며, 열탕가열은 100℃의 온도에서 30∼90초 동안 가열한다. 이때, 증숙 및 가열시간이 30초 미만이면 침출시간에 관여하는 차로서의 색, 풍미 등을 생성시키는 열처리시간이 부족하고, 90초를 초과하면 너무 증숙되어 잎의 물성이 약하여 차로서의 가치가 없어져 30∼90초동안 증숙 또는 가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숙 및 가열 단계후 오죽잎은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다. 이렇게 냉각시키는 이유는 뜨거워진 잎을 바로 건조시키면 잎이 탈색되고 고미가 생성되므로 낮은 온도에서 냉각한후 건조시켜 은은한 향과 맛을 가지는 오죽엽차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냉각후, 열풍 또는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데, 상기 건조는 50∼6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건조 온도가 50℃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오래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고, 60℃를 초과하면 차잎이 변색되어 향이 손실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건조된 오죽잎은 90∼110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데, 이는 이 크기의 메쉬가 엽차로서의 침출속도및 시간에서 가장 양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분쇄된 오죽잎 55∼75중량%에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켜 본 발명의 오죽엽차를 얻는다.이때, 상기 오죽잎 분말의 사용량이 55중량% 미만이면 오죽엽차로서의 고유의 풍미와 맛을 얻기가 어려우며, 75중량%를 초과하면 오죽의 쓴맛이 진하여 엽차로서의 음용이 어렵다. 또한, 부형제인 현미의 첨가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오죽과 가장 잘맞는 구수한 맛이 적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오죽엽차의 맛에 비해 현미의 맛이 강한 점이 있고, 옥수수의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이면 옥수수의 맛과 향이 전혀 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옥수수의 맛이 현미와 오죽의 맛을 압도하여 옥수수의 맛이 주가되는 오죽엽차로서의 맛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조된 오즉엽차는 오죽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노출된 현대인에게 생체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음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호식품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죽잎을 이용한 오죽엽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오죽엽차의 주원료인 오죽잎의 처리방법에 따른 수율 및 품질특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즉, 증숙 및 열탕가열에 따른 가열 후 오죽잎의 수율, 열풍 및 원적외선 건조 전 수율, 열풍 및 원적외선 건조 후 수율 및 오죽잎의 색도,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오죽잎 처리방법에 따른 수율 및 품질특성
구 분 처리시간(초) 가열후수 율(%) 건조전(60℃) 건조후(60℃) 품질특성(원적외선/열풍)
열풍건조 원적외선 열풍건조 원적외선 브릭스(Brix) 색도 관능검사*
증 숙 30 102 50.7 48.3 38.3 38.1 0/0 -7.95/-8.80 ++/+++
60 106 53.0 53.0 41.3 36.2 0 -7.90/-6.05 ++/++
90 124 61.7 62.3 37.1 34.2 0 -6.71/-8.15 ++/++
열 탕 30 245 122 122 40.0 39.7 0 -8.03/-4.17 ++/-
60 228 114 114 40.8 38.2 0 -5.05/-7.61 ++/++
90 231 115 114 35.8 39.3 0 -11.20/-8.02 +++/++
* + : 나쁨++ : 보통+++ : 양호
오죽엽차 제조를 위한 오죽잎의 처리방법에 따른 색도 및 관능검사 결과 색도의 경우 오죽잎을 증숙으로 30초 처리한 것이 색이 파란색 계열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증숙으로 30초 처리한 것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오죽잎을 채취하고 이를 물로 세척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고 오죽잎을 스팀으로 약 30초 동안 증숙한 후 약 4℃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급냉하였다. 급냉단계 후 오죽잎을 약 60℃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후 오죽잎을 100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였다. 100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오죽잎과 부재료로 현미, 옥수수를 혼합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티백(Tea bag) 포장하여 오죽엽차를 제조하였다.
오죽잎 및 부재료 혼합비율(단위: 중량%)
항 목 시료 1 시료 2 시료 3
오죽잎 75 65 55
현미 20 30 40
옥수수 5 5 5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오죽엽차의 색도 및 50명(남여 각각 25명)의 관능검사 요원에 의하여 5점 평점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하기 표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오죽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린(green) 계열로 색도가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오죽잎 65중량%, 현미 30중량%, 옥수수 5중량%를 첨가한 시료 2의 처리군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죽잎 및 부재료의 혼합비율에 따른 품질특성
구 분 색도 관능검사(5점 평점법)
L a b 향기 기호도
시료 1 90.18 -11.05 27.36 3.1 3.1 3.2 3.1
시료 2 91.16 -10.63 26.71 3.3 3.4 3.2 3.3
시료 3 92.96 -7.43 16.85 3.2 3.2 3.1 3.2
앞에서 소개한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종래 오죽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이용한 기호식품인 오죽엽차를 제공함으로써 심장 순환계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치매), B형 간염, 당뇨병, 백혈병, 고혈압, 암, 뇌졸중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에 노출된 현대인이 생체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음용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오죽잎을 세척하여 스팀으로 30∼90초동안 증숙시킨후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건조 및 분쇄한 오죽잎 55∼75중량%,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
  2. 오죽잎을 세척하여 100℃의 온도에서 30∼90초 동안 가열한 후 0∼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냉각시킨 다음, 건조 및 분쇄한 오죽잎 55∼75중량%, 현미 20∼40중량% 및 옥수수 1∼10중량%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 또는 원적외선 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건조 또는 원적외선 건조는 50∼6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죽잎은 90∼110메쉬의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죽엽차.
KR10-2001-0011491A 2001-03-06 2001-03-06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9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91A KR100397139B1 (ko) 2001-03-06 2001-03-06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491A KR100397139B1 (ko) 2001-03-06 2001-03-06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363A true KR20020071363A (ko) 2002-09-12
KR100397139B1 KR100397139B1 (ko) 2003-09-06

Family

ID=2769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491A KR100397139B1 (ko) 2001-03-06 2001-03-06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100847806B1 (ko) * 2007-03-23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고압(High hydrostaticpressure)을 이용하여 오죽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425661B1 (ko) * 2012-11-30 2014-08-05 영농조합법인 비비코 단일오죽잎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241B1 (ko) 2020-05-22 2023-04-03 담양죽순 영농조합법인 죽순 껍질을 이용한 죽순 껍질차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93B1 (ko) * 2003-10-21 2006-02-14 (주)명설차 죽엽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100847806B1 (ko) * 2007-03-23 2008-07-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고압(High hydrostaticpressure)을 이용하여 오죽잎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KR101425661B1 (ko) * 2012-11-30 2014-08-05 영농조합법인 비비코 단일오죽잎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139B1 (ko) 200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538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CN105602715A (zh) 一种油茶籽冷榨制油工艺
CN105942409A (zh) 一种蘸饺子用红油及其制备方法
CN103535473A (zh) 一种苦荞麦菊花茶的配方及制作方法
KR20020030456A (ko) 한방영양떡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7139B1 (ko) 오죽엽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37724B1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CN107712624A (zh) 一种山药绿茶糍粑及其制作方法
KR101148121B1 (ko)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KR101976835B1 (ko)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CN104770528B (zh) 百合润神茶
KR20060093456A (ko) 더덕강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7551B1 (ko) 천연식용색소를 함유하는 엿 및 그 제조방법
KR102122283B1 (ko) 양파와 속쓰림 중화 성분 함유의 작물 추출물 포함 음료
CN106417528A (zh) 茉莉花糕及其生产方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101886851B1 (ko) 방풍 피고막 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방풍 피고막 죽
KR20220006740A (ko) 웰빙쑥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웰빙쑥떡
KR20000018127A (ko) 꾸지뽕나무차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60137261A (ko) 녹두 삼계탕 제조방법
KR20040012409A (ko) 인삼과 한약재료가 가미된 인삼정과 및 인삼절편의 제조방법
CN106689301A (zh) 一种千日红风味方便面绿豆糕
CN106858320A (zh) 一种蕨菜挂面及其制备方法
KR20090037155A (ko) 기호성이 우수한 열대과일향 혼합차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