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835B1 -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 Google Patents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835B1
KR101976835B1 KR1020180074230A KR20180074230A KR101976835B1 KR 101976835 B1 KR101976835 B1 KR 101976835B1 KR 1020180074230 A KR1020180074230 A KR 1020180074230A KR 20180074230 A KR20180074230 A KR 20180074230A KR 101976835 B1 KR101976835 B1 KR 101976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weight
heating
yokan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득
Original Assignee
이동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득 filed Critical 이동득
Priority to KR102018007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의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와,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떫은맛이 없고, 색상이 우수하며, 식감이 우수한 감 양갱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PREPARATION METHOD OF YANGGENG WITH PERSIMMON AND YANGGENG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의 과육을 이용하여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감 양갱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양갱에 관한 것이다.
양갱은 팥을 삶아 체에 거르고 설탕, 밀가루, 갈분 등을 섞어 틀에 넣고 쪄서 만든 음식이다. 양갱의 종류로는 연양갱, 수양갱, 증양갱 등이 있으며 재료에 따라 팥 양갱, 밤 양갱, 녹두 양갱, 완두 양갱, 고구마 양갱 등이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달콤한 맛을 내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다양한 식품이 함유된 기능성 양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0510호에는 스피룰리나의 효능을 나타내도록 스피룰리나가 함유된 양갱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126호에는 대추의 효능을 나타내도록 대추가 함유된 양갱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6477호에는 오디의 효능을 나타내도록 오디가 함유된 오디 양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감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6695호에는 곶감을 이용하여 양갱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감 자체를 그대로 양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안된 바 없다. 이는 감이 갖는 떫은맛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감은 수분이 83% 정도로 다른 과일에 비해 적은 편이며, 당분이 14% 이상으로 대단히 많고, 당분의 대부분이 포도당과 과당이어서 소화 흡수가 잘 된다. 또한, 감에는 비타민 A 효과를 나타내는 베타카로틴이 많은데, 비타민 A는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피부를 탄력 있고 강하게 하는 특성이 있는 영양소이다.
감에서 가장 중요한 영양소는 비타민 C로서, 비타민 C가 100g 중에 30~50㎎ 가량 함유되어 사과보다 6배나 더 많고, 신맛은 적다. 감에는 다른 과일에 없는 떫은맛이 있는데, 이 성분을 타닌이라고 한다. 타닌은 물에 잘 녹는 수용성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떫게 느껴진다.
또한, 상기 감은 다른 과일에 비해 가공시 갈변에 의해 그 색상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KR 10-1380510 B1 KR 10-1017126 B1 KR 10-1226477 B1 KR 10-2011-0116695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떫은맛이 없고, 갈변현상이 없어 색상이 우수하며,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식감을 가져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감 양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은, 단감, 홍시, 연시 및 대봉시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감의 과육을 분리하되, 감을 세척한 후 껍질, 꼭지, 씨를 제거하여 과육만을 분리하는 단계;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되, 세척한 늙은 호박을 5cm×5cm의 크기로 절단하고 씨를 제거한 후 절단된 늙은 호박 400g에 물 100g을 가하고 70~90℃에서 30분간 익혀 착즙기로 착즙하여 제조된 호박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한천 1~5중량부를 넣어 실온에서 20~60분 동안 불린 후 90~100℃에서 5~10분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되, 탈지분유는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하여 ~100℃에서 5~1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20~100중량부와, 설탕, 물엿 및 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당류를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하여 40~70℃에서 10~30분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1~10℃에서 4~5시간 방치하여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백앙금 10~50중량부를 선택적으로 추가 혼합하며,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에서, 자몽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더 혼합하되, 상기 자몽 추출물은 자몽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하거나, 또는 분쇄하여 마련하며,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의 꽃을 건조하여 100~200mesh로 분쇄한 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하거나, 또는 분쇄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호박즙은, 늙은 호박을 절단하는 과정;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 50~80중량%에 단감 10~20중량%, 감국 1~2중량% 및 물 9~28중량%를 가하고, 70~90℃로 20~60분간 가열하여 익히는 과정; 및 익힌 혼합물을 압착하여 착즙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된 양갱의 표면에 자몽 추출물과 물을 1:1~2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냉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떫은맛이 없고, 색상이 우수하며, 식감이 우수한 감 양갱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은, 감의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와,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감의 과육을 분리하는 단계.
먼저, 감을 깨끗이 세척하고, 감의 껍질, 꼭지, 씨 등을 제거하여 과육만을 분리한다.
상기 감으로는 단감은 물론, 홍시, 연시, 대봉시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바, 단감, 홍시, 연시 및 대봉시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정도면 족하다. 다만, 양갱의 당도 및 제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홍시, 연시 및 대봉시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으로 단감을 사용할 시에는 상기 단감을 믹서기로 분쇄하여 단감 분쇄물을 제조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감의 분쇄 입도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믹서기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믹서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을 대신하여 호박즙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바, 당의 사용량을 줄이더라도 양갱의 당도를 높여주며, 풍미 및 색감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기 전, 상기 호박즙에 한천을 넣고 실온에서 20~60분 동안 불린 후 가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가열온도 및 시간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90~100℃ 정도에서 5~10분 정도 가열하는 정도면 족하다. 즉, 종래 한천액의 제조방법에서 게시된 바와 같이, 한천이 추출되어 투명하게 될 때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천과 호박즙은 상기 호박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한천 1~5중량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중량부'는 상기 호박즙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한다.
상기 탈지분유는 감의 떫은맛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양갱에 응집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고, 그 풍미를 개선해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지분유는 시판되는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가열은 90~100℃ 정도에서 5~10분간 가열하는 정도면 족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탈지분유는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탈지분유가 5중량부 미만이면 응집성 및 탄력성을 제공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풍미가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 통상의 양갱 제조시 사용되는 백앙금 10~50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도 있는바, 백앙금의 혼합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분리된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가열 및 교반은 40~70℃ 정도에서 10~30분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정도면 족하다.
이때, 상기 감 과육의 사용량은 20~100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한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감 특유의 풍미를 나타낼 수 없는 것은 물론, 양갱으로의 성형이 어렵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응집성 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당류로는 설탕, 물엿 및 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당류는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당류가 5중량부 미만일 경우 단맛이 덜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단맛이 너무 강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기나 성형틀로 성형한다.
이 단계는 통상 양갱의 제조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그 제조를 완료한다. 여기서, 냉각은 1~10℃ 정도에서 4~5시간 방치하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갱은 그 맛과 식감이 우수한 것은 물론, 색상 역시 우수하여 관능적 기호도가 현저히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에서, 자몽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자몽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양갱의 색상이 더욱 개선되고, 청량감이 부여되며 풍미가 개선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좋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자몽 추출물은 상기 감 과육의 갈변을 방지하여 양갱의 색상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청량감을 부여하여 관능적 기호도를 현저히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몽 추출물은 상기 호박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의 범위로 혼합 가능한바, 상기 자몽 추출물이 1중량부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풍미가 훼손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자몽 추출물은 자몽의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는바, 보다 상세하게 자몽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자몽으로는 과육은 물론, 껍질 또한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건조,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의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감국 추출물 역시 감 과육의 갈변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양갱의 색상을 개선하고, 양갱의 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국 추출물은 1~2중량부의 범위로 혼합 가능한바, 상기 감국 추출물이 1중량부 미만이면 그 역할이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풍미가 훼손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감국 추출물 역시 감국의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는바, 보다 상세하게는 감국의 꽃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감국의 꽃을 건조,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의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호박즙은 통상 늙은 호박에 물을 가하여 가열하고, 착즙하여 제조될 수도 있지만, 늙은 호박을 절단하는 과정과,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 50~80중량%에 단감 10~20중량%, 감국 1~2중량% 및 물 9~28중량%를 가하고, 70~90℃로 20~60분간 가열하여 익히는 과정과, 상기 익힌 혼합물을 압착하여 착즙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그 풍미 및 색감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시판되는 늙은 호박을 깨끗이 씻어 절단하고, 씨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늙은 호박의 절단 크기는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에 단감, 감국 및 물을 가한다. 여기서, 상기 단감은 껍질, 씨 및 꼭지를 제거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감국은 건조된 감국의 꽃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감 및 감국을 더 추가함으로써, 색감 및 풍미를 현저히 개선하는 것이다.
이때, 그 혼합비는 늙은 호박 50~80중량%, 단감 10~20중량%, 감국 1~2중량% 및 물 9~28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를 70~90℃로 20~60분간 가열하여 익힌다. 상기 가열은 필요에 따라 압력을 낮춰 진행할 수 있으며, 그 온도 및 시간 역시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익힌 혼합물을 착즙기로 압착하여 착즙함으로써, 호박즙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 착즙은 통상 공지된 호박즙의 제조공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성형된 양갱의 표면에 자몽 추출물과 물을 1:1~2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는 양갱의 보존기간을 높이고, 풍미를 더욱 개선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자몽 추출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 양갱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식감, 맛, 향, 외관 등 그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감 양갱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홍시를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홍시로부터 과육만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호박즙 1kg에 한천 20g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불린 후, 90~100℃ 정도에서 5분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 100g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90~100℃ 정도에서 5분간 가열한 후, 이에 다시 상기 분리된 홍시 과육 1kg 및 설탕 150g을 혼합하고, 50℃ 정도에서 20분간 가열 및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성형틀에 투입하여 성형하고, 5℃에 4시간 정도 방치하여 냉각하였다.
이때, 상기 호박즙은 늙은 호박을 깨끗이 씻어 5cm×5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고, 씨를 제거한 후,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 400g에 물 100g을 가하고, 70~90℃에서 30분간 익히고 착즙기로 착즙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홍시를 대신하여 단감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된 단감의 과육은 가정용 믹서기로 5분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호박즙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늙은 호박을 깨끗이 씻어 5cm×5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고, 씨를 제거한 후,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 340g, 껍질, 씨 및 꼭지가 제거된 단감 50g, 건조된 감국 꽃 5g, 5g에 물 100g을 가하고, 70~90℃에서 30분간 익힌 후 착즙기로 착즙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분리된 홍시 과육을 혼합할 시, 자몽 추출물 15g 및 감국 추출물 15g을 함께 혼합하였다.
여기서, 상기 자몽 추출물은 자몽을 깨끗이 세척하고, 1cm 두께로 껍질과 함께 절단하여 건조한 후, 이를 100~200mesh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시료 30g을 70% 에탄올 100ml에 넣고, 40℃의 온도에서 5시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의 꽃을 건조하여 100~200mesh로 분쇄한 후, 상기 건조된 시료 30g을 70% 에탄올 100ml에 넣고, 40℃의 온도에서 5시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통상 백앙금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판 양갱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통상 적앙금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판 양갱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양갱의 관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색, 맛, 식감,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였다.
관능평가에 사용한 모든 시료의 온도는 상온이 되도록 준비하였고, 시료 20g을 입안에 넣고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며,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관능평가요원은 기본 맛과 향미 평가에 대해 훈련된 패널 2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색, 맛, 식감,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한 경우를 9점, 좋지 못한 경우를 1점으로 하고, 우수한 정도에서 좋지 못한 정도 순으로 점수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결과
구분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7.1 7.4 7.2 6.9 7.2
실시예 2 6.5 7.1 6.9 6.6 6.9
실시예 3 8.0 8.1 7.3 7.4 7.8
실시예 4 8.0 8.0 7.4 7.5 7.9
비교예 1 4.2 4.6 5.0 4.5 5.4
비교예 2 4.5 4.4 5.1 4.6 5.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양갱은 색, 맛, 식감 및 맛이 비교예 1, 2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 전체적인 기호도 역시 비교예 1, 2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단감, 홍시, 연시 및 대봉시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감의 과육을 분리하되, 감을 세척한 후 껍질, 꼭지, 씨를 제거하여 과육만을 분리하는 단계;
    한천과 호박즙을 가열하여 한천액을 제조하되, 세척한 늙은 호박을 5cm×5cm의 크기로 절단하고 씨를 제거한 후 절단된 늙은 호박 400g에 물 100g을 가하고 70~90℃에서 20~60분간 익혀 착즙기로 착즙하여 제조된 호박즙 100중량부에 대하여 한천 1~5중량부를 넣어 실온에서 20~60분 동안 불린 후 90~100℃에서 5~10분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되, 탈지분유는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하여 90~100℃에서 5~10분간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20~100중량부와, 설탕, 물엿 및 올리고당 중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당류를 5~2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하여 40~70℃에서 10~30분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교반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1~10℃에서 4~5시간 방치하여 냉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한천액에 탈지분유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에서 백앙금 10~50중량부를 추가 혼합하며,
    상기 가열된 가열물에 상기 분리된 감 과육 및 당류를 혼합하고, 가열 및 교반하는 단계에서, 자몽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더 혼합하되,
    상기 자몽 추출물은 자몽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하거나, 또는 분쇄하여 마련하며,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의 꽃을 건조하여 100~200mesh로 분쇄한 후, 1~5중량배의 50~80% 에탄올에 20~60℃의 온도에서 5~20시간 침지한 후,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하거나, 또는 분쇄하여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박즙은,
    늙은 호박을 5cm×5cm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
    상기 절단된 늙은 호박 50~80중량%에 단감 10~20중량%, 감국 1~2중량% 및 물 9~28중량%를 가하고, 70~90℃로 20~60분간 가열하여 익히는 과정; 및
    익힌 혼합물을 압착하여 착즙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양갱의 표면에 자몽 추출물과 물을 1:1~2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KR1020180074230A 2018-06-27 2018-06-27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KR10197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0A KR101976835B1 (ko) 2018-06-27 2018-06-27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0A KR101976835B1 (ko) 2018-06-27 2018-06-27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835B1 true KR101976835B1 (ko) 2019-08-28

Family

ID=6777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30A KR101976835B1 (ko) 2018-06-27 2018-06-27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60B1 (ko) 2023-07-24 2024-04-15 (주)양와당에프앤씨 카카오 수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카카오 수양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639A (ja) * 1999-04-06 2000-10-17 Eguchi Koichiro 甘柿加工食品の製造方法及び甘柿加工食品
KR101017126B1 (ko)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20110116695A (ko) 2010-04-20 2011-10-26 신윤호 곶감을 함유하는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6477B1 (ko) 2011-04-18 2013-0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디가 함유된 양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오디가 함유된 양갱
KR101380510B1 (ko) 2013-02-19 2014-04-01 김만석 스피룰리나 양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93958A (ko) * 2014-02-10 2015-08-1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갈변 현상이 방지된 떫은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7639A (ja) * 1999-04-06 2000-10-17 Eguchi Koichiro 甘柿加工食品の製造方法及び甘柿加工食品
KR101017126B1 (ko) 2010-04-08 2011-03-02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양갱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대추 양갱
KR20110116695A (ko) 2010-04-20 2011-10-26 신윤호 곶감을 함유하는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6477B1 (ko) 2011-04-18 2013-01-2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디가 함유된 양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오디가 함유된 양갱
KR101380510B1 (ko) 2013-02-19 2014-04-01 김만석 스피룰리나 양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93958A (ko) * 2014-02-10 2015-08-19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갈변 현상이 방지된 떫은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단감양갱 탱글탱글달지않게 만들기. 다음 블로그. [online], 2013.12.10., [2018.10.05.] http://blog.daum.net/kimsunb0606/5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60B1 (ko) 2023-07-24 2024-04-15 (주)양와당에프앤씨 카카오 수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카카오 수양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797B1 (ko) 치킨의 염지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비큐 치킨의 제조방법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102261865B1 (ko) 메밀싹을 이용한 기능성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KR101976835B1 (ko) 감을 이용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그 양갱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2375920B1 (ko) 갈대 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101802789B1 (ko) 꾸지뽕 부위별 산물을 이용한 꾸지뽕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102025268B1 (ko) 초콜렛 코팅된 밤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949975B1 (ko) 인삼 편강의 제조방법
KR102537246B1 (ko) 부티아 시럽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4268A (ko) 땅콩 국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037B1 (ko)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KR102146253B1 (ko) 석류가 첨가된 냉면 면발의 제조방법
CN108567042A (zh) 一种香气浓郁的无花果干茶片的制备方法
KR102275347B1 (ko) 연자육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2033B1 (ko) 맑은 팥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10880B (zh) 一种百香果玫瑰沙棘糕点及其制备方法
KR102029404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스테이크용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스테이크 소스
KR102038035B1 (ko) 한약재 이용한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두부
KR102278173B1 (ko) 팔미라팜 및 아티초크의 생리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인삼 정과 및 이의 제조 방법
RU222634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менителя коф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