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301A -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301A
KR20020070301A KR1020027006976A KR20027006976A KR20020070301A KR 20020070301 A KR20020070301 A KR 20020070301A KR 1020027006976 A KR1020027006976 A KR 1020027006976A KR 20027006976 A KR20027006976 A KR 20027006976A KR 20020070301 A KR20020070301 A KR 2002007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ble
full
drive mechanism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나하시노부히로
우지타이와오
Original Assignee
니폰케이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케이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케이블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3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2Spindles; W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20Adjustable with specific transmissio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한쌍의 레일(17)과, 레일을 따라서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리드(13)와, 리드(13)에 걸어맞춤되고, 레일(17)을 따라서 배삭되는 좌우의 케이블(26)과, 케이블을 왕복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36)를 구비한 개폐장치(10). 상기 케이블(26)은, 자동차의 지붕의 개구부를 우회하는 폐회로 배삭을 구성하고 있다. 구동기구(36)로부터 나오는 1개의 케이블(26)은, 우측의 레일(17b)에 배삭되고, 좌측의 레일(17a)에 넘겨져, 좌측의 레일(17a)의 단부에서 반전되어, 같은 경로로 구동기구까지 되돌아온다.

Description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ULL-CABLE TYPE SUNROOF}
자동차의 선루프 등의 천정부의 개폐장치는, 이른바 기어드 케이블식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M)의 구동력을 기어(101)를 개재하여 좌우 한쌍의 기어드 케이블(102)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고, 그들의 기어드 케이블(102)의 선단에 고정된 루프리드(103)를 루프레일(104)상에서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구동시켜서, 루프(105)의 개구부(106)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좌우의 기어드 케이블(102)은 각각 가이드 파이프(107)에 의해서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고 있다.
한편, 일본 특개평 3-11924호 공보에는, 풀케이블식의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M)에 의해서 좌우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한쌍의 드럼(110, 110)과, 각각의 드럼에 권취되고, 또한 송출됨으로써 왕복 순환구동되는 폐회로 형상의 좌우 한쌍의 풀케이블(와이어)(111)과, 그들의 풀케이블의 도중에 연결되는 리드 브래킷(112, 112)과, 그들의 리드 브래킷을 전후로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레일(113, 113)을 구비하고 있다. 리드 브래킷(112, 112)에는 개구부(114)를 개폐하는 리드(115)가 부착된다. 또 각 레일(113)의 선단에는 풀케이블(111)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풀리(116)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드럼(110)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드럼에 풀케이블(111)의 일단측이 권취되고, 타단측이 송출된다. 그리고 좌우의 풀케이블(111, 111)의 동조한 순환구동에 의해, 좌우의 리드 브래킷(112)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115)를 후퇴시켜서 개구부(114)를 연다. 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마찬가지로 하여 개구부(114)를 닫는다.
상기 기어드 케이블식의 개폐장치는, 기어드 케이블(10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파이프(107)가 강성을 가지고, 좌우의 기어드 케이블(102)을 균등하게 구동하는 모터(M)나 기어(101)를 레일(104)의 중간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낮다. 또 기어드 케이블(102)의 반력이 모터(M)에 들어가, 기어(101)를 중심으로 모터(M)를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그것에 견디는 튼튼한 모터 브래킷이 필요하게 되어, 중량이 무겁고,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가이드 파이프(107)내를 기어드 케이블(102)이 미끄럼이동하는 미끄럼이동음, 반전시에 기어드 케이블(102)이 가이드 파이프(107)의 내면을 두드리는 타격음, 기어드 케이블(102)과 기어(101)의 결합부의 삐걱거리는 소리 등의 작동시의 소음이 크다.
한편, 상술한 풀케이블식의 개폐장치에 관해서도, 모터(M)나 드럼(110)을좌우의 레일(113)의 중간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낮고, 또한 좌우의 풀케이블(111)을 각각, 권취구동하는 2개의 드럼(110)이 필요하며, 그 때문에 구동부가 대형이 되어, 중량이 무겁고, 제조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 등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고, 중량이 가벼우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케이블 구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Ⅱa-Ⅱa선 단면도 및 Ⅱb-Ⅱb선 단면도이고, 도 3c는, 도 3b의 틸트업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 a, 도 6 b 및 도 6 c는 각각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배삭경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배삭경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배삭경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케이블 구동기구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개폐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레일과, 그 레일을 따라서 천정 등의 개구부를 개폐하기위해 왕복 이동하는 리드(lid)와, 그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레일을 따라서 배삭(配索:케이블 배열)되는 좌우의 풀케이블(pull-cable)과, 그들의 풀케이블을 왕복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구비한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구동기구에서 나오는 풀케이블이, 제1레일의 기단측에서 선단측까지 레일을 따라서 배삭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제1레일의 타단측에서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 개구부를 우회하는 경로로 배삭되고, 그 제2레일의 기단측에서 선단측까지 레일을 따라서 배삭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제2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개구부를 우회하는 경로로 구동기구로 되돌아가는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폐장치에서는, 제1레일의 선단측에서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는, 개구부를 우회하도록 배삭하면 어느 배삭경로를 채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풀케이블을, 제1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선단측까지 배삭하고, 이어서 제2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배삭하고, 그 기단측에서 반전시킨 후, 상술과 같이 선단측까지 배삭하여도 좋다. 또, 제2레일의 선단측에서 구동기구까지 되돌아가는 경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풀케이블을, 제2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1레일의 선단측까지 되돌리고, 다시 제1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되돌린 다음, 구동기구로 되돌아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그들의 우회경로를 조합시켜서, 제1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 사이의 2개의 풀케이블을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우회경로로서, 상기 풀케이블을, 제1레일의 선단부에서 반전시키고, 그 제1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배삭하고, 다시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 배삭할 수도 있고, 풀케이블을, 제2레일의 선단측에서 반전하고, 그 제2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되돌린 다음, 구동기구측까지 복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그들의 우회경로를 조합시켜서, 각 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 사이의 풀케이블을 각각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안내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중, 1개의 레일에 2개의 케이블이 왕복하도록 배삭하는 경우는, 그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에, 리드와 걸어맞춤하는 풀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개단면부(開斷面部)와, 리드와 걸어맞춤하지 않은 풀케이블을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폐단면부(閉斷面部)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을 레일의 단부에서 반전시키는 장치에서는,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단부에, 풀케이블을 반전시키는 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풀리의 근방에, 풀리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풀케이블간의 간격을 풀리 직경보다 작게 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단부에, 풀케이블을 반전시키는 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레일방향으로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개단면부를 가지는 레일에서는, 풀케이블의 현(弦)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엘라스토머제의 립을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 구동기구는, 피구동부재에 연결된 당기는 힘을 전달하는 풀케이블과 압축력에 견디는 도관으로 이루어지는 풀컨트롤 케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풀케이블을 권취·송출 구동하는 케이블 구동장치로서, 풀케이블을 권취 구동하는 드럼을 수용한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풀케이블의 출입구에, 풀케이블의 배삭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도관의 단부가 걸어맞춤된, 걸림부와 스프링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아우터엔드와, 그 아우터엔드의 하우징측으로의 이동단을 정하기위해, 하우징과 아우터엔드의 걸림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와 아우터엔드의 스프링 걸어맞춤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구동기구에서는, 상기 아우터엔드가, 하우징에 풀케이블의 배삭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구멍내에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단차부를 통하여 연속하는, 슬라이드부 보다도 직경이 큰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스프링 걸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원주상의 부재로, 상기 스페이서가, 아우터엔드의 걸림 단차부와 걸어맞춤하는 단차부를 가지는 통형상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스페이서의 중심맞춤을 하도록, 스페이서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단차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에서는, 풀케이블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소음이 적다. 또, 제1레일을 통과하는 풀케이블과 제2레일을 통과하는 풀케이블이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1개의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케이블의 폐회로를 순환구동하는 구동기구, 예를 들면 모터구동의 권취드럼은 1개로 좋다. 따라서 부착 스페이스가 작아도 되어, 중량이 가볍고, 제조비용이 적다. 또 케이블의 이완이나 장력의 조절도, 기본적으로는 1개소에서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기구가 작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다.
풀케이블을, 제1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선단측까지 배삭하고, 이어서 제2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배삭한 개폐장치는, 제2 레일을 따른 배삭부분에서 풀케이블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유닛으로서의 일체성이 높고, 취급하기 쉽다. 또, 제2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1레일의 선단측까지 되돌리고, 제1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되돌린 다음 구동기구로 복귀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복귀측의 케이블이 제1레일을 따르고 있으므로, 유닛으로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제1레일의 기단측과 구동장치의 사이가 가고 돌아오는 2개의 케이블로 연결되므로, 구동장치의 배삭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의 우회경로를 조합시켜서, 제1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 사이의 2개의 풀케이블을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안내하는 경우는,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상단끼리를 2개의 도관이 연결하는 것이 되고, 제1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를2개의 도관으로 연결하므로,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한층 높아진다. 또 케이블은 제2레일의 기단측의 1개소에서 반전시킬 뿐이므로, 케이블의 전달효율이 높다.
상기 풀케이블을, 제1레일의 선단부에서 반전시키고, 그 제1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배삭하고, 다시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 배삭하는 경우는, 왕복 2개의 케이블을 제1레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풀케이블을, 제2레일의 선단측에서 반전하고, 그 제2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되돌린 다음, 구동기구측까지 복귀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왕복 2개의 케이블을 제2레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들의 우회경로를 조합시켜서, 각 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 사이의 풀케이블을 각각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안내하는 경우는, 풀케이블이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기단측으로만 건너게 되어, 레일과 구동기구의 사이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지고,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다.
1개의 레일에 2개의 케이블이 왕복하도록 배삭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에, 리드와 걸어맞춤하는 풀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개단면부와, 리드와 걸어맞춤하지 않은 풀케이블을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폐단면부를 설치하는 경우는, 폐단면부에서 풀케이블을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할 수 있으므로, 풀케이블의 반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리드와의 간섭방지 또는 방수 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레일의 단부에서 반전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레일의 단부에 풀케이블을 반전시키는 풀리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그 풀리의 근방에, 풀리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풀케이블간의 간격을 풀리 직경보다 작게 하기 위한 가이드를 설치하는 경우는, 풀리직경을 크게 하여 풀케이블의 곡률반경을 크게 유지하면서, 케이블간의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것에 의해 케이블의 설정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풀리를 레일방향으로 위치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경우는, 케이블의 이완의 조절이나 장력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 상기 개단면부를 가지는 레일에 있어서, 풀케이블의 현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엘라스토머제의 립을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경우는, 풀케이블의 진동이 억제되므로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구동기구에서는, 풀케이블에 이완이 생겼을 때,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아우터엔드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풀 케이블의 실질적인 배삭길이가 길어지고, 이완이 흡수되어, 풀케이블의 장력이 회복된다. 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스프링의 부착길이를 변경하지않고, 아우터엔드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와 같이, 풀케이블의 배삭길이가 긴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가 있다. 즉 통상의 케이블 구동기구에 대하여 스페이서와 아우터엔드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의 케이블 구동기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아우터엔드를, 하우징에 풀케이블의 배삭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구멍내에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단차부를 통하여 연속하는, 슬라이드부 보다도 직경이 큰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스프링 걸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원주상의 부재로 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아우터엔드의 걸림 단차부와 걸어맞춤하는 단차부를 가지는 통형상의 부재로 하는 경우는, 스프링의 유지형태가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는 케이블 구동부와 동일하게 되므로, 스프링을 공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하우징에, 스페이서의 중심맞춤을 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단차부를 설치하는 경우는, 스페이서의 중심맞춤 및 부착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풀케이블타입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의 선루프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개폐장치(10)는 루프 플레이트(11)와, 그 루프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12)를 닫기 위한 리드(루프리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리드(13)는 직사각형상의 예를 들면 유리와, 그 주위를 둘러싸는 새시(14)와, 새시(14)에 링크(16)를 개재하여 부착된 캐리어(15)를 가진다. 또한 루프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캐리어(15)를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좌우 한쌍의 레일(17a, 17b)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15)에, 롤러 등의 레일(17a, 17b)내를 전동하는 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각 레일(17a, 17b)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플레이트(11)에 부착되는 베이스부(20)와, 그 베이스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내측벽(21) 및 외측벽(22)으로, 채널형상으로 형성된 긴 부재이다. 그 채널내는캐리어(15)가 통과하는 스페이스이다. 외측벽(22)에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단면 ㄷ자형의 삽입통과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13)의 하면에는 브래킷(24)이 고정되고, 그 브래킷(24)에 링크(16)의 일단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16)의 타단은 상기 캐리어(15)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15)는 삽입통과홈(23)내를 통과하는 케이블(26)에 연결되는 아암(25)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25)은 채널내의 캐리어(15)와 삽입통과홈(23)내의 케이블(26)을 연결하는 것이다. 링크(16)는, 리드(13)의 전폐시에 도 3c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리드(13)를 위로 밀어올리는 틸트업 기구를 구성한다. 새시(14)의 상면에는 고무라이닝(27)이 설치되어, 리드(13)가 전폐시에 틸트업기구로 밀어올려졌을 때, 개구부(12)와 오버랩하여 루프 플레이트(11)와의 간극을 시일하는 작용을 이룬다.
도 2의 좌측하방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레일(17a)의 일단 근방에는 케이블(26)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풀리(28)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는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풀리(28)의 축은 경사하고 있고, 풀리(28)를 지지하는 브래킷(29)은 레일(17a) 및 리드(13)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스페이스의 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브래킷(29)에는 케이블(26)을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제1의 도관(30a)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 2, 제 3의 도관을 포함하여, 도관은 이른바 풀 컨트롤 케이블용의 도관으로, 예를 들면 금속선을 나선상으로 감아서 나선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합성 수지제의 튜브형상의 라이너를 설치하고, 외측에 합성수지 피복을 설치한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케이블(26)은 그 도관과 함께 풀 컨트롤 케이블을 구성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내부로프를 이용할 수가 있다. 케이블(26)은 금속 세선을 꼬아합친 것으로, 당기는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 있지만, 미는 방향의 힘을 전달할 수가 없다. 그러한 케이블(26)은 나선 기어이를 구비한 기어드 케이블 보다도 훨씬 유연하다.
도 2의 부호 32는, 리드(13)의 개방측의 슬라이드단을 규제하는 스토퍼로, 고무제의 쿠션(33)을 구비하고 있다. 또 부호 34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측의 슬라이드단을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그 스토퍼(34)의 근방에는, 제2의 도관(30b)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개폐장치(10)의 우측의 레일(17b)은 기본적으로 도 2의 좌측의 레일(17a)과 동일하다. 단 풀리(28)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개방측의 스토퍼(32)의 근방에, 제3의 도관(30c)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또 2개의 도관(30b, 30c)이 연장되어 있는 끝에는, 케이블 구동기구(이하, 간단히 구동기구라고 한다)(36)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구(36)는 감속기(G)를 내장하는 모터(M)와, 2개의 케이블의 단부를 교대로 권취·송출하기 위한 드럼(37)을 구비하고 있는 종래 공지의 것이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구동기구(36)로부터 나가서, 되돌아오는 케이블(26)의 배삭경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동기구(36)로부터 나가는 케이블(26)은 제3의 도관(30c)에 의해서 안내되어 우측의 레일(17b)의 개방측의 단부(이하, 기단측이라고 한다)까지 안내된다. 이어서 레일(17b)의 삽입통과홈(도 3a의 부호 23 참조)내에 들어가서, 타단측으로부터 나간다. 삽입통과홈(23)내에서는 케이블(26)은 공간내에 팽팽히 설치되어 있고, 그 도중에, 우측의 캐리어(1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통과홈(23)을 나온 케이블(26)은, 제1의 도관(30a)에 의해서 안내되어, 개구부(12)를 우회하고, 그 상측을 통과하여, 좌측의 레일(17a)을 따라서, 도면상에서 상측(이하, 선단측이라고 한다)으로부터 기단측까지 온다. 그리고 제1의 도관(30a)으로부터 나와서, 풀리(28)에 의해서 상향으로 반전되고, 좌측의 레일(17a)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통과홈(23)을 통과하여, 상향으로 배삭되고, 선단측으로부터 나온다. 그 도중에는 좌측의 캐리어(15)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선단측에서 나온 케이블(26)은, 제2의 도관(30b)에 의해서 안내되어 개구부(12)의 상측을 통과하여, 우측의 레일(17b)을 따라서, 그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까지 배삭되고, 다시 그대로 제2의 도관(30b)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술한 구동 기구(36)내로 되돌아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레일(17a, 17b)을 따르고 있는 도관(30a, 30b)이 청구항 4의 폐단면부이고, 삽입통과홈(23)이 개단면부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26)은, 구동기구(36)로부터 나가서, 각 레일(17a, 17b)을 따라서 한바퀴돌고, 구동기구(36)로 되돌아가는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구동기구(36)의 모터(M)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한쪽의 케이블(26)의 단부를 드럼 위에 권취하고, 다른쪽의 케이블(26)의 단부를 송출하면, 그 경로를 따라서 폐회로가 순환한다. 그것에 의해, 좌우 한쌍의 캐리어(15, 15)가 예를 들면 리드(13)를 개구부(12)를 개방하는 방향(도 1에서는 하향)으로 레일(17a, 17b)을따라서 이동한다. 모터(M)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블(26)의 폐회로는 역방향으로 순환하고, 리드(13)가 개구부(12)를 폐쇄하는 방향(도 1에서는 상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폐시에는 상술과 같이 틸트업기구에 의해, 루프 플레이트(11)의 개구부(12)의 하면부와 밀접하여, 시일한다.
상기의 작동 중, 케이블(26)에는 장력만이 가해지고, 압축력은 가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블(26)의 장력은 도관(30a∼c)의 내압축력에 의해 지지된다. 또 만곡부에서는 케이블(26)의 장력에 기초한 내측으로 가고자 하는 힘은, 도관(30a∼c)에 의해 지지되고, 최종적으로는 도관의 단부의 지지력으로 지지된다. 풀리(28)에 의해 반전되는 부위에서는, 케이블(26)의 장력은 풀리(28)를 지지하는 축을 통하여 브래킷(29)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간단하게 하기위해 케이블(26) 전체를 1개의 케이블로서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캐리어(15)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좋다. 그 경우는 구동기구(36)로부터 나오는 케이블(26)의 단부는 우측의 레일(17b)의 캐리어(15)에 연결되는 구동용의 케이블과, 그 캐리어(15)에 일단이 연결되고, 좌측의 레일(17a)의 캐리어(15)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용의 케이블과, 그 캐리어(15)로부터 구동기구(36)로 되돌아가는 복귀 케이블의 3개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방향이 반대인 경우는, 복귀 케이블이 구동 케이블로 되고, 구동 케이블이 복귀 케이블로 된다.
상기의 개폐장치(10)에서는, 구동기구(36)로부터 우측의 레일(17b)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배삭되는 2개의 도관(30b, 30c)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기구(36)의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크다. 그 때문에, 자동차의 경우는, 루프 뒷부분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트렁크 안이나 좌석의 하측 등, 방해가 되지 않는 부위에 구동기구(36)를 옮기는 것이 용이하다. 또 좌우의 레일(17a, 17b) 사이를 건너는 배삭도, 2개의 도관(30a, 30b)을 병렬적으로 배삭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부착작업이 용이하다. 또 좌우의 레일(17a, 17b)과 도관(30a∼c), 케이블(26) 및 구동기구(36)의 전체를 유닛으로서 취급하는 경우도, 전체가 1개의 좁다란 유닛으로 되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레일(17a, 17b)끼리를 겹침으로써, 한층 컴팩트하게 보관하거나, 반송하거나 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4의 개폐장치(40)는, 좌우의 레일(17a, 17b)을 따르고 있는 부분에서는, 도관을 이용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7a, 17b)에 형성한 관통구멍(41) 및 그 내부에 수용한 라이너(42)를 채용하고 있고, 그 라이너(42) 내에 연결 케이블 또는 복귀 케이블이 수용되어 있다. 라이너(42)는 합성 수지제의 튜브로, 풀 컨트롤 케이블의 도관내에 수용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 또 캐리어(15)에 연결되는 케이블(26)에 관해서는, 레일(17a, 17b)의 삽입통과홈 내에 수용하지 않고, 캐리어(15)가 미끄럼이동하는 공간내에 단지 팽팽히 설치되어 있을 뿐이다. 또 도 1의 풀리(28) 대신에, 케이블(26)과 미끄럼 접합하는 원호형상의 가이드(43)로 케이블(26)의 방향을 반전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일(17a, 17b)의 내부공간이 청구항 4의 개단면부이고, 관통구멍(41)이 폐단면부이다.
이것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레일(17a, 17b)의 상단끼리를 2개의 도관(30a, 30b)으로 연결하고, 우측의 레일(17b)의 하단과 구동기구(36)의 사이를 다른 2개의 도관(30c, 30d)으로 연결하고 있을 뿐이다. 그 때문에, 도 1의 개폐장치(10) 보다도 도관의 길이가 짧아,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레일(17a, 17b)의 부분에서는 레일이 케이블(26)의 장력에 대한 반력을 지지하므로, 강성이 높은 케이블의 지지를 행할 수가 있다.
상기의 어느 개폐장치(10, 40)에 있어서도, 케이블(26)의 초기의 이완이나, 장기간 사용후의 신장이 생기기 때문에, 케이블의 장력조절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구동기구(36)에 대하여 배삭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아우터캡과, 그 아우터캡을 도관의 배삭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종래 공지의 장력조절기구(도 4의 부호 44)를 채용할 수가 있다. 단 이 개폐장치(10, 40)에서는 케이블의 배삭길이가 매우 길다. 그 때문에, 케이블(26)의 단부끼리를 레일(17a, 17b)에 부착하는 부위에 도관(30c, 30d)의 배삭길이를 연장시키도록 가압하는 장력조절기구를 설치하거나, 또한 케이블(26)의 단부를 연결하는 각 캐리어(15)나, 그 외의 케이블(26)의 도중에, 케이블의 배삭길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장력조절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a는 레일(17)과 캐리어(15)의 조립상태의 다른 실시형태 및 레일을 따른 복귀 케이블 등의 배삭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서는, 레일(17)에 T홈(46)을 형성하고, 캐리어(15)는 그 T홈내를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더의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용의 케이블(26)은 캐리어(15)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그 도중이 캐리어(15)에 걸려져 있다. 또한 2개의 케이블의 단부를 각각 캐리어(15)에 걸어도 좋다. 또한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레일(17)의 우측의 돌기(47)에 관통구멍(41)을 형성하고, 그 관통구멍(41)내에 라이너(42)를 통과시켜 도관의 작용을 시키고 있다. 이것도 도 4, 도 5의 개폐장치(4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룬다.
도 6b는 도 6a의 개폐장치와 같이, 케이블(26)이 캐리어(15)의 이동 스페이스내에 팽팽히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설치하는 현진동 방지부재(48)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현진동 방지부재(48)는, ㄷ자형의 긴 형상의 틀부(49)와, 그 틀부(49)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연장되는 탄성 변형가능한 편평한 판형상의 립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현진동 방지부재(48)는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 등의 엘라스토머로 압출성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현진동 방지부재(48)는 레일(17)의 내부에 배치하고, 립부(50)의 선단끼리의 사이에 케이블(26)을 끼워넣는다. 따라서 케이블(26)이 진동하여도 곧 립부(50)에 의해서 진동이 억제되어,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캐리어(15)는 립부(50)를 밀어 열면서 진행하므로, 진행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6c는 레일(17)에 형성한 관통구멍(41)에 채널내부와 연통하는 연통홈(51)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연통홈(51)의 폭은, 케이블(26)을 라이너(42)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정도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통홈(51)을 형성하면, 관통구멍(41)내에의 라이너(42) 및 케이블(26)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 부착현장에서의 공사가 용이하기 때문에, 레일(17)과 케이블(26)을 별개로 보관하거나, 반송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7은 도 1의 개폐장치(10)의 풀리(28)둘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레일(17)에 부착되는 브래킷(29)에, 케이블의 방향을 다소 변경시키기 위한 가이드(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가이드(52)는,  틀체(53)로부터 풀리(28)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고, 그 선단부(54)는 케이블(26)과 원활하게 미끄럼접합하도록 원호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가이드(52)는 예를 들면 틀체(53)와 함께 합성수지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52)를 이용하면, 풀리(28)와 걸어맞춤하여 반전하는 케이블(26)을, 풀리(28)와 걸어맞춤하기 전의 케이블(26)의 근처로 안내하여, 양쪽의 케이블(26)의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레일(17)의 폭을 그다지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케이블(26)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풀리(28)를 경사한 축으로 지지할 필요는 없고, 동일 평면에 배삭할 수가 있다. 단 도 1과 같이 경사진 축으로 지지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는, 풀리(28)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을 유지하는 브래킷(29)을, 레일(17)에 대하여 케이블의 배삭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고정나사(56)에 의해, 브래킷(29)을 레일(17)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26)의 배삭길이를 길게 하는 방향으로 브래킷(29)을 이동시키는 누름나사(58)를 레일(17)에 돌출시킨 지지부재(60)에 나사 맞춤시키고 있다. 부호 61은 브래킷(29)의 이동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이다.
이것은 케이블(26)에 초기 이완이나 장기간 사용후의 이완이 생겼을 때에,고정나사(56)를 느슨히 풀고, 누름나사(58)를 나사진행시켜서 케이블(26)의 배삭 길이를 연장시키고, 그것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을 회복시킬 수가 있다. 즉 풀리(28) 및 브래킷(29) 등은, 케이블의 장력조절기구로 되어 있다. 또한 누름나사(58) 대신에, 반대측으로 당김나사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1 및 도 4의 개폐장치(10, 40)에서는, 풀리(28)나 가이드(43)로 반전되는 2개의 케이블(26)을 병렬적으로 배삭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케이블(26)이 리드를 실질적으로 왕복구동하는 작용을 이루는 것은, 레일(17a, 17b)을 따라서 배삭되는 2개의 케이블 중, 캐리어(15)와 연결하고 있는 측의 케이블뿐이다. 레일을 따라서 배삭되는 다른쪽의 케이블이나, 레일(17)끼리의 사이를 건너고 있는 케이블 등은, 단지 그들의 작동부분과 구동기구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분이다. 따라서 리드가 개폐하는 개구부를 회피하면, 본래는 임의의 배삭경로를 채용할 수가 있다.
도 9∼11은, 그러한 단지 동력전달을 담당하는 부분에 관하여 다른 배삭경로를 채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개폐장치(64)는 우측의 레일(17b)의 선단측으로부터 좌측의 레일(17a)의 기단측까지의 배삭경로(a) 및 좌측의 레일(17a)의 선단측으로부터 구동기구(36)까지의 배삭경로(b)를 개구부의 하측(도면상, 이하 동일)으로 우회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개폐장치(64)에서는 좌우의 레일(17a, 17b)의 선단측에 각각 케이블(26)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풀리(28)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기구(36)로부터 나온 케이블(26)은, 우측의 도관(30d)으로 안내되어 우측의 레일(17b)의 기단측으로 안내되고, 그 레일(17b)을 따라서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그 도중에는 캐리어(1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측에서 풀리(28)에 의해서 반전된 후, 그 레일(17b)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걸치는 도관(30e)에 의해서 안내되어 좌측의 레일(17a)의 기단측까지 배삭된다. 이어서 좌측의 레일(17a)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도중에서 캐리어(1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레일(17a)의 선단측에서 재차 풀리(28)로 반전된 후, 그 레일(17a)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안내되고, 다시 복귀용의 도관(30f)으로 구동기구(36)까지 되돌아오고 있다.
또한 이 배삭경로는, 도 1의 개폐장치(10)의 배삭경로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2개의 걸치는 도관 중의 1개에 구동기구(36)를 개재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단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레일(17b)의 기단측에 2개의 도관(30b, 30c)을 통하여 연결된 구동기구(36)는 없어지기 때문에, 그 부분에 반전용의 풀리(28)를 설치하게 된다. 이것은 구동기구(36)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는 도 1의 경우 보다도 제한되는데, 그래도 기어드 케이블의 경우 보다도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고, 또 구동기구(36)의 기구부분이 부착 브래킷이 간이해지는 작용효과는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9의 개폐장치(64)에서는, 틸트업기구는 생략하고 있다.
도 10의 개폐장치(65)에서는, 우측의 레일(17b)의 선단측으로부터 좌측의 레일(17a)의 기단측까지의 배삭경로(a)를 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좌측의 레일(17a)의 선단측으로부터 구동기구(36)까지의 복귀의 배삭경로(b)를 도 9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장치(66)에서는, 우측의 레일(17b)의 선단측으로부터 좌측의 레일(17a)의 기단측까지의 배삭경로(a)를 도 9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좌측의 레일(17a)의 선단측으로부터 구동기구(36)까지의 복귀의 배삭경로(b)를 도 1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들의 개폐장치(65, 66)에 관해서는, 레일(17)의 선단측끼리도 기단측끼리도 도관(30)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이나 도 9의 개폐장치(10, 64) 보다도 취급이 불편한데, 기어드 케이블의 경우 보다도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고, 또 구동기구(36)의 기구 부분이나 부착 브래킷이 간이해지는 작용효과는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폐회로형상으로 배삭한 케이블 중, 단지 캐리어와 연결한 작동부분끼리, 또는 작동부분과 구동기구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분에 관해서는, 개구부를 회피하는 한 임의의 배삭경로를 채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레일(17a, 17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배삭하는 범위에서는, 레일(17a, 17b)을 따라서 배삭하면 취급이 편리이다. 특히 레일(17a, 17b)의 내부나 레일에 설치한 관통구멍을 통과시키면 도관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 때문에 그들의 부분에서는 레일을 따라서 배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나타내는 케이블의 장력조절기구는, 케이블(26)을 반전시키는 풀리(28)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구동기구로 케이블의 장력을 자동적으로 조절시킬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케이블 구동기구(36)는, 하우징(70)과, 그 하우징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드럼(37)과, 하우징의 단부에 설치되는 홀더(71)와, 그 홀더(71)의 단부에 설치한 2개의 스페이서(72)와, 홀더(71) 및 스페이서(72)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아우터엔드(73)와, 아우터엔드(73)와 스페이서(72)의 사이에 개재되는스프링(74)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37)에는, 선루프의 리드 등을 개폐하는 2개의 케이블(26)의 단부가 걸려서, 서로 역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드럼(37)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감속기를 내장하는 모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하우징(70)은 종래의 풀케이블용의 구동기구에 이용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드럼(37)을 수용하는 공동부(空洞部;76)와, 드럼(37)에 감겨져 있는 케이블(26)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2개의 홈(77)을 가진다. 하우징(70)의 일단에는 상기 홀더(71)가 설치되어 있고, 그 홀더(71)에는 홈(77)과 연통하는 원통형 구멍(78, 7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71)는 하우징(70)에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좋고, 별개로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홀더(71)의 출입구에는, 스페이서(72)를 중심맞춤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걸어맞춤 단차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엔드(73)는, 홀더(71)의 구멍(78, 79) 내에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82)와, 걸림 단차부(83)를 통하여 연속하는, 슬라이드부 보다도 직경이 큰 스프링 유지부(84)와, 선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85)를 가지는 원주상의 부재이다. 또한 아우터엔드(73)의 중심에는, 케이블(26)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86)은, 선단측에서는 도관의 단부와 끼워맞춤하도록, 내경을 크게 한 도관 끼워맞춤부(87)로 되어 있고, 기단측에서는 완만한 커브로 내경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것은 드럼(37)에 감아가는 케이블(26)의 횡방향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스페이서(72)는 원주부재로, 일단에는 걸어맞춤 단차부(80)와 걸어맞춤하는끼워맞춤 볼록부(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에는 아우터엔드(73)의 걸림 단차부(83)와 걸어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89)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는 아우터엔드(73)의 슬라이드부(82)가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는 관통구멍(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74)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아우터엔드(73)의 스프링 유지부(84)의 주위에 배치되고 있고, 스페이서(72)의 선단과 아우터엔드(73)의 플랜지부(85)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기구(36)는, 아우터엔드(73)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스프링(74)에 의해 상시 하우징(7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26)에 탄성변형이나 영구변형 등에 의해 신장이나 이완이 생겼을 때에는, 아우터엔드(73)가 스프링(74)의 가압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케이블(26)의 장력을 회복한다.
또한 풀케이블식의 선루프의 개폐장치에 이용하는 케이블 구동기구에서는, 케이블의 신장량이 크므로, 필요한 신장량을 확보하기 위해, 아우터엔드(73)의 스트로크양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아우터엔드(73)와 홀더(71)의 랩 여유분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이 구동기구(36)에서는, 스페이서(72)를 설치하여, 통상 보다 긴 아우터엔드(73)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큰 랩 여유분을 얻을 수가 있고, 아우터의 구동기구(36)에서는, 스페이서(72)를 설치하여, 통상 보다 긴 아우터엔드(73)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큰 랩 여유분을 얻을 수 있고, 아우터엔드(73)의 스트로크양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72)와 아우터엔드(73)의 길이를 선택하면, 더욱 큰 케이블의 신장량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72)와 아우터엔드(73) 이외의 부품, 즉, 하우징(70)이나 홀더(71) 등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윈드 레귤레이터의 케이블 구동기구의 부품과 공용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관(30)으로서 풀 컨트롤 케이블용의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금속 파이프 등의 강성의 도관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리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조작했을 때에, 신체나 물건을 끼워넣은 것을, 예를 들면 케이블(26)에 이상한 장력이 생긴 것에 의해 검출하고, 바로 모터(M)를 정지시키거나, 다소 반전시키고나서 정지시키거나 하는 끼워넣음 방지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선루프의 루프리드를 개폐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슬라이드창이나 슬라이드 도어, 또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창의 개폐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레일과, 그 레일을 따라서 천정 등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왕복 이동하는 리드와, 그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레일을 따라서 배삭되는 좌우의 풀케이블과, 그들의 풀케이블을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구비한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구동기구로부터 나오는 풀케이블이, 제1레일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까지 레일을 따라서 배삭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제1레일의 타단측으로부터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 개구부를 우회하는 경로로 배삭되고, 그 제2레일의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까지 레일을 따라서 배삭됨과 동시에 그 도중에서 리드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제2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개구부를 우회하는 경로로 구동기구로 되돌아가는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케이블이, 제1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선단측까지 배삭되고, 이어서 제2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배삭되고, 그 기단측에서 반전되어 선단측까지 배삭되고, 제2레일의 선단측으로부터 도관에 의해서 제1레일의 선단측까지 되돌아오고, 또한 제1레일을 따라서 그 기단측까지 되돌아오고, 제1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의 사이에서는, 풀케이블이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으로 안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케이블이, 제1레일의 선단부에서 반전되어 그 제1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배삭되고, 또한 도관에 의해서 제2레일의 기단측까지 배삭되어 있고, 또한, 제2레일의 선단측에서 반전되어, 그 제2레일을 따라서 기단측까지 되돌아오고, 각 레일의 기단측과 구동기구의 사이에서는, 풀케이블이 가요성을 가지는 도관에 의해서 안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및(또는) 제2레일이, 리드와 걸어맞춤하는 풀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개단면부와, 리드와 걸어맞춤하지 않은 풀케이블을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폐단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제1레일 및(또는) 제2레일의 단부에, 풀케이블을 반전시키는 풀리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풀리의 근방에, 풀리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풀케이블간의 간격을 풀리 직경보다 작게 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제1레일 및(또는) 제2레일의 단부에, 풀케이블을 반전시키는 풀리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레일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단면부의 풀케이블에, 현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엘라스토머제의 립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8. 피구동부재에 연결된 당기는 힘을 전달하는 풀케이블과 압축력에 견디는 도관으로 이루어지는 풀 컨트롤 케이블에 있어서의, 상기 풀케이블을 권취·송출 구동하는 케이블 구동장치로서,
    풀케이블을 권취 구동하는 드럼을 수용한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풀케이블의 출입구에, 풀케이블의 배삭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도관의 단부가 걸어맞춤된, 걸림부와 스프링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아우터엔드와,
    그 아우터엔드의 하우징측으로의 이동단을 결정하도록, 하우징과 아우터엔드의 걸림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와 아우터엔드의 스프링 걸어맞춤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등의 케이블 구동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엔드가, 하우징에 풀케이블의 배삭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구멍내에 축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걸림부를 형성하는 걸림 단차부를 통하여 연속하는, 슬라이드부 보다도 직경이 큰 스프링 유지부와, 상기 스프링 걸림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원주상의 부재이고,
    상기 스페이서가, 아우터엔드의 걸림 단차부와 걸어맞춤하는 단차부를 가지는 통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동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스페이서의 중심맞춤을 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구동기구.
KR1020027006976A 1999-12-03 2000-12-04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KR20020070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4945 1999-12-03
JP34494599 1999-12-03
JPJP-P-2000-00071606 2000-03-15
JP2000071606A JP2001220946A (ja) 1999-12-03 2000-03-15 プルケーブル式のサンルーフなどの開閉装置
PCT/JP2000/008587 WO2001040006A1 (fr) 1999-12-03 2000-12-04 Dispositif d'ouverture-fermeture pour toit ouvrant avec commande par cab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301A true KR20020070301A (ko) 2002-09-05

Family

ID=2657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976A KR20020070301A (ko) 1999-12-03 2000-12-04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09049B2 (ko)
EP (1) EP1279537A1 (ko)
JP (1) JP2001220946A (ko)
KR (1) KR20020070301A (ko)
BR (1) BR0016743A (ko)
CA (1) CA2393065A1 (ko)
WO (1) WO2001040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4157A1 (de) * 2002-05-31 2003-12-11 Arvinmeritor Gmbh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schiebedachdeckel, sowie Fahrzeugschiebedach
AU2003227770A1 (en) * 2003-05-20 2004-12-13 Grupo Antolin-Ingenieria, S.A. Sunroof support frame for motor vehicle
EP1650069B1 (en) * 2004-10-25 2008-07-30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DE202005012111U1 (de) 2005-08-02 2005-12-15 PARAT Automotive Schönenbach GmbH + Co. KG Blendrahmen
FR2893346B1 (fr) * 2005-11-17 2008-01-25 Webasto Systemes Carosserie So Traverse support pour dispositif d'occultation motorise
DE102006002006B4 (de) * 2006-01-16 2009-09-10 Webasto Ag Antriebsträger für ein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US7770961B2 (en) * 2006-02-20 2010-08-10 Magna Closures Inc. Compact cable drive power sliding door mechanism
DE102007040282C9 (de) 2007-08-24 2016-03-10 Küster Holding GmbH Abdeckeinrichtung für den Fahrzeuginnenraum
EP2098395A1 (de) * 2008-03-04 2009-09-09 ArvinMeritor GmbH Baugruppe für ein Schiebedach
FR2931104A1 (fr) * 2008-05-16 2009-11-20 Wagon Sas Dispositif d'obturation d'une baie menage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pavillon et vehicule correspondants
JP5223776B2 (ja) * 2009-05-26 2013-06-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サンシェードの駆動装置
DE102010054590B3 (de) * 2010-12-15 2012-03-22 Webasto Ag Rahmen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ahmens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EP2674312B1 (en) * 2012-06-12 2017-05-03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able roof system for a vehicle
JP7131025B2 (ja) * 2018-03-30 2022-09-06 株式会社アイシン サンルーフ装置の製造方法
DE102020200648B4 (de) 2020-01-21 2024-05-02 Bos Gmbh & Co. Kg Seilantriebssystem für eine Funktion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30848A1 (de) * 1961-11-30 1969-07-03 Happich Gmbh Gebr Schiebedach mit Zahnstange
DE2618788C3 (de) * 1976-04-29 1978-11-16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1 Stockdorf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dach
JPS5851052Y2 (ja) * 1979-10-15 1983-11-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ル−フ開閉装置
FR2476730A1 (fr) * 1980-02-22 1981-08-28 Talbot Automobiles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panneau mobile
JPS6057988B2 (ja) 1982-09-06 1985-12-18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ルねじの熱膨脹制御装置
JPS60248430A (ja) * 1984-05-23 1985-12-09 Johnan Seisakusho Co Ltd 開閉ル−フ式自動車のル−フリツド駆動制御装置
EP0204044A1 (en) * 1985-06-05 1986-12-10 Jan-Chou Ou An extensible roof structure for automobile
JPH0227488A (ja) 1988-07-16 1990-01-30 Fujitsu Ltd エラー補正方式
JPH0629421Y2 (ja) * 1988-08-12 1994-08-10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インドーレギュレータ
FR2649365B1 (fr) * 1989-07-10 1995-02-03 Jidosha Denki Kogyo Kk Appareil d'entrainement de toit ouvrant
JPH03122917A (ja) 1989-10-04 1991-05-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セラミックス超電導々体の製造方法
JPH03122917U (ko) * 1990-03-29 1991-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0006A1 (fr) 2001-06-07
JP2001220946A (ja) 2001-08-17
US6709049B2 (en) 2004-03-23
EP1279537A4 (en) 2003-01-29
US20030107245A1 (en) 2003-06-12
EP1279537A1 (en) 2003-01-29
BR0016743A (pt) 2002-11-05
CA2393065A1 (en) 200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0301A (ko) 풀케이블식의 선루프 등의 개폐장치
US7328934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930010047B1 (ko) 차량의 창문조절기에 사용되는 운동변환기구
US5749174A (en) Window regulator with spring retainer
JPH11314522A (ja) 特に自動車用のスライドドアの操作装置
US20160333626A1 (en) Vehicle door opening device
ATE504464T1 (de) Öffnungs- und schlies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chiebetüren
US7287804B2 (en) Tension controller and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20060050517A (ko) 윈도우 리프터 레일
JP4545374B2 (ja)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JP2003306089A (ja) 電線余長吸収装置とそれを用いた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US7341304B2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US7556577B2 (en) Wire reciprocating device
JP2007223402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2002309851A (ja) 自動車の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の駆動装置
US20150184443A1 (en) Drive apparatus
US6677524B2 (en) Grommet apparatus
JP2011074657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0037762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CA2480816C (en) Powered sliding device of vehicle sliding door
JP5363163B2 (ja) パワースライド装置
JP5478932B2 (ja) パワースライド装置
JPH10205214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US20030101654A1 (en) Compact cable-type window lifter
JP2010236242A (ja) パワー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