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971A - 데이터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971A
KR20020064971A KR1020027008425A KR20027008425A KR20020064971A KR 20020064971 A KR20020064971 A KR 20020064971A KR 1020027008425 A KR1020027008425 A KR 1020027008425A KR 20027008425 A KR20027008425 A KR 20027008425A KR 20020064971 A KR20020064971 A KR 2002006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mount
communication
received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209B1 (ko
Inventor
시게노리 모리카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04L12/1414Indication of costs in real-time
    • H04L12/1417Advice of charge with threshold, e.g. user indicating maximum co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의 이용에 의한 데이터 통신의 수행에서,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 및 종료를 인식하고, 송수신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상기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송수신된 패킷의 양이 측정되고, 따라서 통신 요금이 산출되며,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경고 금액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경고 금액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단말기{DATA COMMUNICATION TERMINAL}
종래에는 데이터 통신에서 통신요금의 과금 방식에는 접속 시간에 따른 과금 방식 및 송수신된 데이터 량에 따른 과금방법이 있었고, 상기 방법들에 의해 누계된 통신요금은 예를 들면 월별 등과 같이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청구된다.
그리고, 매월 청구에서 이용자의 예측을 초월한 고액의 이용요금이 청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 시간 또는 송수신된 데이터 량이 각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서 계산되고, 상기 누계된 요금이 상기 과금 방식에 따라 계산되고, 각 사용자가 눈으로 요금을 볼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그 시점에서의 이용요금이 표시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요금 한계가 초과되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고를 받은 사용자는 접속을 자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측을 벗어난 고액의 요금청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 량에 따른 과금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연속하여 송수신될 데이터의 양이 텍스트 데이터와 같이 소량인 경우에는 상기 요금은 접속 시간에 따른 과금 방식보다 더 적게 되고 편리한 반면, 연속하여 송수신될 데이터의 양이 이미지 데이터의 다운로딩과 같이 대량인 경우에는 요금은 더 많게 될 것이다. 특히 초고속의 통신라인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통신 요금은 단시간에 엄청나게 된다. 만일 송수신된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정말 필요한 경우에는 괜찮겠지만 반대로 데이터가 불필요하거나 가치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낭비적이라고 느끼게 되고 전체적인 통신의 비용 효율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현 제한량이 초과되었을 때 더 이상의 접속을 자제하게 되고 따라서 예측하지 못한 고액의 요금이 사용자에게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불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감소시켜 통신 비용 효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데이터 량에 의해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의 이용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단말기, 그 방법 및 컴퓨터로 하여금 그러한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내의 RAM의 파라미터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접속 요구 처리의 흐름도,
도 3a는 과금 경고의 표시 및 설정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5에서 경고 표시 및 명령 대기 처리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흐름도,
도 4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에서 과금 경고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2b의 통신 처리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내의 RAM의 파라미터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가용 통신망 제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통신 접속 요구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도의 전반부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통신 접속 요구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흐름도의 후반부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내의 RAM의 파라미터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통신 처리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수행하기 위한 최상 모드가 도 1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를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시작과 종료가 인식되고, 인식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송수신 데이터의 양이 측정되고, 상기 측정된 송수신 데이터가 소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송수신 데이터가 소정 데이터 량에 도달한 경우 그 결과에 대한 경고가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 및 접속 시간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 중의 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에 요구되는 통신 요금이 선택된 통신망에 따라 실시간 방식으로 계산되고, 계산된 통신 요금이 미리 설정된 통신 요금의 제한량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도달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결과에 대한 경고가 사용자에게 주어진다.
[제 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은 통신 인프라구조로서 패킷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서버가 배치된 특정 기업내의 LAN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는 후술할 내장형 통신 모듈을 갖고 따라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기지국(13), 회로 스위칭 제어 장비(14) 및 라우터(15)를 구비한 상기 패킷 통신망(11)이 제공된다. 반면에 특정 기업내의 상기 LAN(12)은 라우터(16) 및 서버(17)를 구비한다. 상기 패킷 통신망(11)의 상기 라우터(15) 및 특정 기업내의 2)의 상기 LAN의 라우터(16)는 전용선(18)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패킷 통신망(11)은 무선 통신 인프라구조일 필요는 없고, 아날로그 공중회선등을 채용한 것일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즉, 이 데이터 통신 단말기(10)는 CPU(20), ROM(21), RAM(22), LCD 장치(23), LCD 구동부 회로(24), 키 매트릭스(25), 키 I/F 회로(26), 통신 모듈(27) 및 전원회로(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PU(20)는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내의 각 부분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ROM(21)은 프로그램등을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이고, 상기 RAM(22)은 작업용의 임시 메모리이다. 상기 LCD 장치(23)는 인간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필요한 출력장치이고, 상기 LCD 구동부(24)는 상기 LCD 장치(23)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 매트릭스(25)는 LCD 장치(23)의 표시 스크린상에 배열된 터치 키 매트릭스이고, 상기 키 I/F 회로(26)는 상기 키 매트릭스(25)에서 탭 위치 검출을 위한 것이다. 상기 통신 모듈(27)은 상기 패킷 통신망(11)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원회로(28)는 각 부분에 필요한 주 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RAM(22)의 각종 파라미터를 유지하기위해 상기 RAM(22)에 백업 전원을 공급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AM(22)에서 유지된 경고 표시의 각종 파라미터로서, 패킷(22A)당 요금 정보, 경고 표시 플래그(22B), 표시된 플래그(22C), 특정된 경고 금액 정보(22D), 현재 요금(22E), 전회 요금(22F), 시작일 정보(22G), 말일 정보(22H), 전송된 패킷 카운터(22I) 및 수신 패킷 카운터(22J)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 배치된다.
이들 각종의 파라미터들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금 경고 표시 및 설정 스크린에서 설정된다. 그런데, 이 요금 경고 표시 및 설정 스크린은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을 초과한 통신요금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패킷당 요금"란은 패킷당 요금을 설정하기 위한 업다운 커서(30)를 갖고, 양은 0.01엔의 단위로 상하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업 커서를 클릭하여 상기 양을 0.01엔만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다운 커서를 클릭하여 상기 양을 0.01엔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양은 상기 RAM(22)에 패킷당 요금 정보로 저장된다.
확인 상자(31)는 과금 경고 표시를 수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확인 상자이다. 과금 경고 표시가 의도되면 상기 확인 상자(31)가 체크된다. 과금 경고 표시가 의도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 상자(31)는 체크되지 않는다. 이 체크의 유무가 상기 RAM(22)의 상기 경고 표시 플래그(22B)를 설정 또는 재설정한다.
"특정 경고 금액"란은 데이터 통신중 상기 설정된 금액이 초과되었을 때 경고 표시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고 금액을 설정하기 위한 업다운 커서(32)가 있고, 상기 금액은 1엔 단위로 상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업 커서를 클릭하면 금액이 1엔 만큼 증가되고, 상기 다운 커서를 클릭하면 금액이 1엔 만큼 감소한다. 상기 업다운 커서(30)에서 설정된 패킷당 요금에 대응해서 이 설정된 경고 금액이 상기 데이터 량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서 표시된다. 여기서 도시된 이러한 예에서 상기 경고 금액은 9999엔이고, 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량은 124,987.5KB이다. 이 경고 금액(및/또는 상기 대응 데이터 량)은 상기 RAM(22)의 특정 경고 금액 정보(22D)로 저장된다.
"현재 이용요금" 란은 전회 재설정시로부터 현재까지의 통신 요금의 누계 표시이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없다. 후술될 데이터 통신동안 송수신될 데이터 량에 따라 계산될 상기 누계 금액은 상기 RAM(22)의 현재 요금(22E)에 저장되고, 이 란에 표시된다. 이 란도 상기 "특정 경고 금액"란과 같이 상기 금액에 대응하는 데이터 량을 표시한다. 본예의 경우에 상기 금액은 4,300엔이고 데이터 량은 53,750.0KB이다.
"재설정"란(34)은 현재 데이터 통신 누계요금 및 누계 데이터 량을 전회 데이터 통신 누계 요금 및 누계 데이터 량으로 변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재설정(34)란을 클릭하면 현재 데이터 통신 누계 요금 및 누계 데이터 량이 소거된다. 이 때, 전회 요금 기간이 하기와 같이 재기록된다. 즉, 상기 전회 말일이 시작일로 재기록되고, 오늘이 상기 기간 종료일로 재기록된다. 이 시작일 및 기간 말일은 상기 시작일 정보(22G) 및 말일 정보(22H)에 년/월/일의 형식으로 저장된다.
상기 "전회의 이용요금"란은 전전회의 재설정시부터 전회의 재설정시까지의 누계 통신 요금을 엔 단위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그리고 상기 누계 통신 요금은 상기 RAM(22)의 상기 전회 요금(22F)에 저장된다). 이 란도 "특정 경고 금액"란과 같이 상기 금액에 대응하는 누계 데이터 량(35)을 표시한다. 본 예에서, 상기 금액은 999,999엔이고, 상기 데이터 량은 12,499,998.0KB이다. 또한, 전회의 재설정이 눌러질 때까지의 기간(36)이 표시된다.
그런데, 상기 과금 경고의 표시 및 설정이 종료된 경우 우측 상단의 "OK"(38) 을 클릭하면 이 표시를 종료한다. 이 요금 경고 표시 및 설정 스크린에서 영문 및 숫자 입력의 경우를 위한 소프트 키보드 표시(37)가 하단에 위치된다.
다른 파라미터들은 하기에 도시된다. 즉, 상기 표시 플래그(22C)는 경고 표시가 이미 행해졌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상기 송신 패킷 카운터(22I)는 송신 데이터의 패킷 수를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이고, 반면에 상기 수신 패킷 카운터(22J)는 수신 데이터의 패킷 수를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에서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에서의 과금 경고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 나열된 각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CPU(20)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식으로 상기 ROM(21)에 저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로부터 판독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모듈(27)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RAM(2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요금 경고 표시 및 설정 스크린을 열었을 때, 상기 흐름도의 상기 동작이 개시되고, 일단 상기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 탭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단계). 만일 스크린 탭 입력이 없으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25단계로 넘어간다.
반대로, 스크린 탭 입력이 있으면 태핑 장소가 판단된다(S12단계).
여기서, 패킷당 요금상의 상기 업 커서가 태핑 장소인 경우 상기 패킷당 요금 정보(22A)가 0.01엔만큼 증가되고(S13단계), 패킷당 요금상의 상기 다운 커서가 태핑 장소인 경우 상기 패킷당 요금 정보(22A)가 0.01엔만큼 감소된다(S14단계).
한편, 통신중의 상기 요금 경고 확인상자(31)가 상기 태핑 장소로 판단된 경우 상기 경고 표시 플래그(22B)가 반전된다(S15단계).
또는,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의 업 커서가 상기 태핑 장소로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경고 금액 정보(22D)가 1엔만큼 증가되고(S16단계), 반면에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의 다운 커서가 상기 태핑 장소로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경고 금액 정보(22D)가 1엔만큼 감소한다(S17단계).
상기 재설정이 상기 태핑 장소로 판단된 경우 특정 재설정 확인 표시(미도시)가 수행되고(S18단계), 사용자 확인이 수행된다(S19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 확인이 "아니오" 이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24단계로 넘어가고, 반대로 상기 사용자 확인이 "예" 이면, 상기 전회 기간 말일(말일 정보(22H))이 상기 기간 시작일(시작일 정보(22G)로 복사되고(S20단계), 오늘의 날짜가 상기 기간 말일(말일 정보(22H))로 재기록된다(S21단계). 상기 현재 요금(22E)은 상기 전회 이용요금(22F)으로 재기록되고(S22단계), 상기 현재 요금(22E)은 소거된다(S23단계).
상술한 각 태핑 장소에 따른 처리 후, 재기록 처리의 표시(S24단계)를 행하고, 이에 따라 갱신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표시를 행한다. 그 다음, 상기 요금 설정 동작의 종료 여부 즉, 상기 "OK" (38)가 탭핑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S25단계), 상기 판단이 "NO" 이면 상기 처리는 상기 S11단계로 돌아간다. 반면에, 상기 판단이 "YES" 이면 상기 요금 경고 설정 동작이 완료된다.
도 2b는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10)에서 통신 접속 요청 처리의 흐름도이다.
즉, 사용자로부터 통신 접속 요청시에 상기 흐름도에 도시된 상기 동작이 개시되고, 우선, 상기 통신 모듈(27)에 의해 상기 패킷 통신망(11)으로의 통신 접속이 개시된다(S31단계).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할 통신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실제 송수신된다(S32단계). 그 다음, 상기 현재 이용 요금이 상기 현재 이용 요금(22E)에 부가 및 저장되고(S33단계), 상기 패킷 통신망(11)으로의 접속이 완료되며(S34단계), 상기 통신 접속 요청 처리가 종료된다.
도 5는 S32단계에서의 통신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우선, 초기 처리화가 수행되고(S32A), 그에 따라서 상기 송신 패킷 카운터(22I) 및 수신 패킷 카운터(22J)가 소거되며, 상기 표시 플래그(22C)가 소거된다.
그 다음, 송수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B단계), 없으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32K단계의 통신 완료 판단으로 넘어간다.
반대로, 송수신 데이터가 있으면, 상기 통신 모듈(27)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처리가 수행된다(S32C단계). 이 때 송신된 패킷의 수가 상기 송신 패킷 카운터(22I)에 부가된다(S32D단계). 같은 방식으로, 이 때 수신된 패킷의 수가 상기 수신 패킷 카운터(22J)에 부가된다(S32E단계). 상기 송신 패킷 카운터(22I)의 값 및 상기 수신 패킷 카운터(22J)의 값이 가산되고, 총 수치가 상기 패킷당 요금 정보(22A)에 표시된 상기 패킷당 금액과 승산되고, 따라서 상기 현재 통신 요금이 산출된다(S32F단계).
그 다음, 상기 표시 플래그(22C)가 "0" 인지 여부 및 상기 경고 표시 플래그(22B)가 "1"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그렇지 않으면, 즉 경고 표시가 이미 행해졌으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32K단계의 통신 완료 판단으로 넘어간다.
반면에, 만일 상기 표시 플래그(22C)가 "0" 이고 상기 경고 표시 플래그(22B)가 "1" 이면, 즉 경고 표시가 아직 행해지지 않았고 사용자가 경고를 표시하도록 설정하였으면, 상기 현재 통신 요금이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을 초과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2H단계). 만일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32K단계로 넘어간다.
반대로, 만일 상기 현재 통신 비용이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을 초과하면 경고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지시 대기 처리가 수행되고(S32I단계), 상기 표시 플래그(22C)가 "1" 로 설정된다(S32J). 그 다음,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K단계), "NO" 의 경우에, 상기 통신 처리는 종료되고, 상기 처리는 상기 상부 루틴으로 돌아간다.
도 3b는 상기 S32I단계의 경고 표시 및 지시 대기 처리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즉, 통신 비용이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을 초과했다는 경고가 행해지고, 동시에 송수신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보류되고, 사용자에게 통신 처리를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고 표시 처리가 행해진다(S32I1). 상기 경고 표시와 함께 부저음 등의 경고음이 발생된다. 상기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신 처리를 계속할 지 여부를 선택하면 상기 처리는 상기 상부 루틴의 복귀 지점, 즉 상기 메인 루틴의 S33단계로 넘어간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경고 금액을 설정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예를 들면, 한 번의 접속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금액이 설정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 단말기가 패킷 통신망에 접속될 때마다 통신 접속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의 송수신 데이터 량이 계산되고, 상기 통신 요금이 상기 설정된 금액을 초과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가 주어지고,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임시적으로 보류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송수신 처리가 재개되거나 종료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월별 통신요금을 알고 조절가능하게 되고, 매달 말에 통신 요금의 지불에 대한 매일의 통신 시간의 배분을 최적화 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송수신 데이터 량에 따른 과금 방식에 부가하여, 접속 시간에 따른 과금 방식이 선택될 수 있고, 나아가 통신 요금이 매 통신 접속 시간 마다가 아닌 특정 데이터 당별로 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예에서, 통신 회수에 따른 상기 과금 방식과 호환을 위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파라미터에 부가하여 상기 RAM(22)내에 단위 시간당 요금의 파라미터(22M)가 배치된다.
가용 통신망 제어 테이블(22a)이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다. 이것은 각 접속 지점에 대한 가용 통신망 및 과금 방식을 저장하는 테이블이다.
이 제 2 실시예에서, 통신 접속 요청 처리는 도 7a 및 도 7b에 설명된 일련의 흐름과 같이 도시된다.
즉, 사용자로부터의 통신 접속 요청시에, 상기 흐름도에 도시된 동작이 개시되고, 우선, 사용자에 의한 통신 지점의 입력이 접수된다(S41단계).
그 다음, 상기 접속 지점으로의 접근을 위한 가용 통신망이 상기 가용 통신망 제어 테이블(22a)로부터 선택되고, 통신 접속이 상기 통신 모듈(27)로부터 개시된다(S42단계).
그 다음, 상기 처리는 입력을 위해 대기하고(S43단계), 입력이 있으면 그 입력 정보가 해석된다(S44단계). 상기 해석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웹 페이지 데이터 판독 지시등의 송수신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5단계), 만일 그렇지 않으면 나아가 통신 접속 완료 지시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6단계). 상기 통신 접속 완료 지시가 행해지지 않았으면 각종데이터 처리가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고(S47단계), 상기 처리는 상기 S43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통신 접속 완료 지시가 행해졌으면 통신망으로의 통신 접속이 완료되고(S48단계), 상기 통신 접속 요청 처리는 종료된다.
반면, 상기 S45단계에서, 송수신 데이터 요청 동작이 행해졌으면,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가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다(S49단계). 예를 들면, 웹 페이지 데이터 판독이 지시되면, 판독할 URL 웹 페이지 데이터가 인식된다. 상기 가용 통신망 제어 테이블(22a)에 의해, 현재 통신 지점 및 통신망에서의 상기 과금 방식이 데이터 량 과금 방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단계). 여기서, 만일 데이터 량 과금 방식이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통신 처리가 수행되고(S51단계), 예를 들면,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의 예에서 특정 URL에서의 하나의 웹 페이지의 화면 데이터가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로서 판독된다. 그 다음, 상기 S51단계에서 수신한 일련의 대상 데이터에서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8단계),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있으면, 송수신될 또 다른 일련의 대상 데이터가 상기 태그 정보에 따라 다시 한번 인식된다(S5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의 예에서, 만일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있으면, 다운로드될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되는 파일이 인식된다.
그 다음, 상기 처리는 상기 S50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특정 과금 방식은 다시 한번 판단되고, 상기 일련의 종속 데이터는 상기 과금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처리에 따라 송수신된다.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의 예에서, 상기 인식된 이미지데이터 파일이 송수신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 파일이 현재 송수신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웹 페이지 표시 화면의 상기 태그 정보가 설정된 위치에 특정 아이콘이 표시된다. 상기 일련의 종속 데이터의 송수신은 다른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에서 사라질 때까지 계속된다. 만일 S58단계에서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없으면 상기 처리는 상기 S43단계로 가고, 입력 대기 상태가 다시 한번 있게 된다.
상기 S50단계에서, 만일 상기 과금 방식이 상기 데이터 량 과금 방식이 아니라 상기 통신 회수 과금 방식이면 송수신될 데이터의 일부가 송수신된다(S52단계). 그 다음, 상기 단위 시간 요금(22M)에 저장된 상기 통신 접속 시간 및 단위 시간당 요금에 기초하여 통신 요금이 산출된다(S53단계).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특정 경고 금액 정보(22D)에 저장된 상기 접속 시간 과금 방식에 대응하는 두번째 특정 경고 금액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4단계), 초과하지 않았으면 나아가 남은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55단계). 여기서, 데이터가 남아있으면 상기 처리는 S52단계로 가고, 남은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처리는 S58단계로 간다.
상기 S54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특정 경고 금액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면, 경고가 표시된 후(S56단계),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송수신 데이터가 보류된다(S57단계). 상기 처리는 S48로 가고, 상기 통신망으로의 통신 접속이 종료되고, 상기 통신 접속 요청 처리가 완료된다. 그런데,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상기 경고 표시는 특정 데이터 송수신의 개시부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개시로부터 통신 요금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의 장소에서 통신 요금을 통지하는 메시지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지시 또는 데이터에 포함된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되고, 송수신된 데이터 량은 송수신되고 인식될 데이터 당으로 계산된다. 상기 통신 비용이 미리설정된 경고 금액을 초과하면, 경고가 상기 사용자에게 주어지고 동시에 송수신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보류되고,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송수신 처리가 재개 또는 종료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각 송수신 대상 데이터마다의 통신 요금을 인지하고 제어할 수 있게된다. 통신 속고가 매우 빠른 경우에도 조차 상기 사용자는 현재 송수신중인 데이터의 중요성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고, 대량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전에 송수신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불필요한 통신 요금을 방지할 수 있고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예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경고 금액 정보(22K) 및 경고 금액 증가폭(22L)의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들이 상기 RAM(22)에서 제공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단계 S51에서 수행되는 상기 통신 처리는 도 8b와 같이 수행된다.
즉, 우선 상기 송수신 패킷 카운터(22I 및 22J)가 초기화되고(S32a단계), 상기 현재 경고 금액 정보(22K)가 상기 특정 경고 금액 정보(22D)에 저장된 특정 경고 금액에 의해 초기화된다(S32b단계).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상기 S49단계 또는 S59단계에서 인식된 상기 송수신 대상 데이터가 한 패킷씩 송수신되고(S32c), 상기 송수신 패킷 카운터(22I 및 22J)는 그에 따라 갱신된다(S32d단계).
그 다음, 상기 송수신 패킷 카운터(22I 및 22J)의 값은 상기 패킷당 요금 정보(22A)에 저장된 패킷당 요금에 승산되고, 따라서 현재까지의 송수신될 상기 데이터에 요구되는 통신 요금이 산출된다(S32e단계).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현재 경고 금액 정보(22K)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현재 경고 금액을 초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2f단계). 여기서 만일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처리는 후술할 S32k단계로 넘어간다.
반대로, 만일 통신 요금이 상기 현재 경고 금액을 초과하였으면, 경고가 표시되고(S32g단계), 그에 따른 사용자로부터의 송수신 계속 또는 종료의 지시 입력이 수신되며(S32h단계), 종료가 지시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2i단계). 여기서, 만일 종료가 지시되었으면, 상기 통신 처리는 종료되고, 상기 처리는 상기 상부 루틴으로 돌아간다.
수신 계속이 지시된 경우, 상기 현재 경고 금액 정보(22K)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경고 금액이 증가된다(S32j단계). 즉, 상기 현재 경고 금액이 상기 경고 금액 증가폭(22L)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증가폭에 의해 승산되고, 그 얻어진 결과가 상기 현재 경고 금액 정보(22K)에 덮어씌워진다. 그 다음, 남은 송수신될 데이터에관한 패킷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k단계), 만일 남은 패킷이 있으면, 상기 처리는 상기 S32c단계로 간다. 그리고, 남은 패킷이 없으면, 상기 통신 처리는 종료되고, 상기 처리는 상기 상부 루틴으로 돌아간다. 남은 송수신될 데이터에 관한 패킷의 유무 판단에 관하여, 예를 들면, 복수개의 패킷을 포함하는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각 패킷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조사되고, 따라서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가진 패킷 데이터가 계속될 때, 남은 패킷이 있는지가 판단된다.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실시예에 부가하여, 통신 요금의 경고 후, 만일 사용자가 데이터 송수신 계속을 지시하면 상기 경고 금액은 자동적으로 증가되고,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계속된다. 따라서, 송수신될 상기 데상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량 및 중요도가 명확하지 않더라도 어쨋든 데이터는 계속해서 송수신되고, 상기 송수신될 데이터 량이 더 증가하면, 사용자는 통신을 종료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졌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상기 실시에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데이터 량 과금 방식에서 패킷으로서 상기 데이터 량에 관해 설명되었으나, 과금 단위에 따라서 바이트에 의해서 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킷당 상기 요금 정보(22A), 송신 패킷 카운터(22I) 및수신 패킷 카운터(22J)가 도 1b의 괄호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정보당 요금, 전송 바이트 카운터 및 수신 바이트 카운터로서 설정될 수도 있고, 각 흐름도네서의 상기 패킷이 바이트로서 판독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서의 상기 통신 처리 흐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상기 통신 접속 요청 처리 흐름에서 수행될 실제 통신 처리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종속 데이터를 나타내는 태그 정보가 송수신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의 처리에 관한 고려가 있었고, 반면에 종속 데이터가 없음이 미리 알려졌을 경우 상기 S58단계 및 S59단계에서의 상기 처리는 건너뛰게 되고, 상기 처리는 상기 S43단계로 바로 돌아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57단계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중지된 후 즉시 통신 접속을 종료하는 대신, 상기 처리는 상기 S43단계로 돌아가서 다음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지시를 대기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본 실시예에서, 대기 상태는 특정 경고 금액이 초과하였을 때 행해지도록 설정되었으나, 상기 단위 시간당 송수신 데이터 량이 특정량을 초과하였을 때 경고가 행해지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의 이용에 의한 데이터 통신의 수행에서,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 및 종료를 인식하고, 송수신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상기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송수신된 패킷의 양이 측정되고, 따라서 통신 요금이 산출되며,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경고 금액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경고 금액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한다.

Claims (13)

  1.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수단;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와 종료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
    송수신되고 인식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로부터 종료시까지의 데이터 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측정된 송수신 데이터 량이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 및
    송수신 데이터 량이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임시적으로 상기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보류,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재개 또는 종료에 대한 지시를 수신 및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재개 또는 종료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연속해서 송수신될 복수개의 패킷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상기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로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련의 종속 데이터가 다른 일련의 대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로서 인식되고, 상기 태그 정보는 상기 일련의 종속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송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 량의 상한치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한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송수신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후에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보류되지 않고 계속된 경우,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가 연속해서 송수신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 량의 상기 상한치가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에 따른 통신 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수단; 및
    상기 통신 요금의 상한치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한 설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판단은 상기 수신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는지 여부 및 측정될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에 관하여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상기 통신 요금이 상기 통신 요금의 상한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데이터 량당 통신 요금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단위 요금 설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산출은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에 따른 통신 요금이 상기 설정된 단위 데이터 량당 상기 통신 요금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9. 데이터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데이터 량에 따른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 및 종료를 인식하는 단계;
    송수신되고 인식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상기 개시로부터 상기 종료까지 송수신된 데이터 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송수신 데이터 량이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량에 따라 요금이 과금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처리;
    송수신될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 및 종료를 인식하는 처리;
    송수신되고 인식될 상기 일련의 대상 데이터의 송수신의 상기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송수신될 데이터 량을 측정하는 처리;
    측정될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이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및
    상기 송수신 데이터 량이 상기 특정 데이터 량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하는 처리를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11.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 및 접속 시간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통신망 중에서 선택된 통신망의 이용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통신 요금의 한계량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선택된 통신망에 따라 실시간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요구되는 통신 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산출수단;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통신 요금의 제한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제한량에 도달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그 효과를 경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량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산출된 통신 요금이 상기 제한량에 도달한 경우 일시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보류하고, 사용자로부터 접속의 재개 또는 종료의 지시를 기다리며, 상기 접속 시간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송수신될 데이터의 송수신을 종료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시간에 따라 과금이 행해지는 상기 통신망에접속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송수신될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종료하는 경우에 즉시 통신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단말기.
KR10-2002-7008425A 2000-11-07 2001-11-02 데이터 통신 단말기 KR100444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9491A JP3885484B2 (ja) 2000-11-07 2000-11-07 データ通信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JP-P-2000-00339491 2000-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971A true KR20020064971A (ko) 2002-08-10
KR100444209B1 KR100444209B1 (ko) 2004-08-16

Family

ID=1881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425A KR100444209B1 (ko) 2000-11-07 2001-11-02 데이터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03480B2 (ko)
EP (1) EP1287643B1 (ko)
JP (1) JP3885484B2 (ko)
KR (1) KR100444209B1 (ko)
CN (1) CN1220352C (ko)
DE (1) DE60113529T2 (ko)
NO (1) NO334340B1 (ko)
TW (1) TWI237471B (ko)
WO (1) WO200203967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565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데이터통신에서의 패킷량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48B1 (ko) * 2002-07-18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접속네트워킹의 송수신 패킷확인방법
EP1396263A1 (en) * 2002-08-09 2004-03-10 Warner-Lambert Company Film coating for tablets and caplets
US7373561B2 (en) * 2002-10-29 2008-05-13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packet bit error rate tester for 10G SERDES
US8385188B2 (en) 2002-10-29 2013-02-26 Broadcom Corporation Multi-port, gigabit serdes transceiver capable of automatic fail switchover
WO2004088507A2 (en) * 2003-04-03 200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tered capacity of computer resources
US7395334B2 (en) 2003-04-25 2008-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determining unreturned standby resource usage
KR100608719B1 (ko) * 2003-10-23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사용요금 표시방법
US7430240B2 (en) * 2003-10-29 2008-09-30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olarity swap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608594B1 (ko) * 2004-07-0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에서 지불 정보 통지 방법 및 그 방송 수신기
JP4309829B2 (ja) * 2004-10-28 2009-08-0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WO2007027843A2 (en) 2005-08-31 2007-03-08 T2 Biosystems, Inc. Nmr device for detection of analytes involving magnetic particles
GB0525244D0 (en) * 2005-12-12 2006-01-18 Nokia Corp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sessions
US8699514B2 (en) 2007-01-12 2014-04-15 Broadcom Corporation Multi-rate MAC to PHY interface
GB2463000B (en) 2008-07-25 2012-11-07 Vodafone Pl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9380167B2 (en) * 2008-12-10 2016-06-28 Blackberry Limited Limiting data transmission to and/or from a communication device as a data transmission cap is approache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same
EP2197178B1 (en) * 2008-12-10 2011-06-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Limiting data transmission to and/or from a communication device as a data transmission cap is approache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the same
EP2403226A1 (en) 2010-06-30 2012-01-04 Runs NV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cket-based telecom services, and corresponding server and client device
US8620265B1 (en) * 2011-05-06 2013-12-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Handset awareness and tracking of subscription pla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9153A (en) 1981-03-25 1982-10-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Line-packet selection communicating system
JPH0766820A (ja) * 1993-08-24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ー制御方式
JPH07162459A (ja) 1993-12-09 1995-06-23 Fujitsu Ltd データ伝送制御装置
US5577100A (en) * 1995-01-30 1996-11-19 Telemac Cellular Corporation Mobile phone with internal accounting
US5677945A (en) * 1995-06-06 1997-10-14 Mci Corporation Account balancing and monitoring 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567257B2 (ja) 1995-10-17 2004-09-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
US6119109A (en) * 1996-09-30 2000-09-12 Digital Vision Laboratories Corpor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billing system used for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H1117693A (ja) 1997-06-26 1999-01-22 Fujitsu Ltd 料金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料金情報通知制御方法
US6115613A (en) * 1997-07-02 2000-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service to each member of a group of radio telephone subscribers
JPH1127261A (ja) 1997-07-08 1999-01-29 Hitachi Ltd 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処理装置
US6023499A (en) 1997-11-26 2000-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 time billing via the internet for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DE19755870A1 (de) * 1997-12-16 1999-04-08 Siemens Nixdorf Inf Syst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Nutzung von Rechnernetzen durch Rechner
US6453029B1 (en) * 1998-05-18 2002-09-17 Intervoice Limited Partnership Debit card system without centralized server
US6137872A (en) * 1998-05-18 2000-10-24 At&T Combination pre-paid and calling card
DE69933130T2 (de) * 1998-06-05 2007-03-0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L.C. Abrechn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
JP3599311B2 (ja) 1998-07-17 2004-12-0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US6393269B1 (en) * 1998-10-14 2002-05-21 Openwave Systems Inc. Signaling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pre-paid wireless telephone service
US6658485B1 (en) * 1998-10-19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priority-based scheduling in a message queuing system
US6208977B1 (en) * 1998-12-04 2001-03-27 Apogee Networks, Inc. Accounting and billing based on network use
JP3230671B2 (ja) * 1999-01-14 2001-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課金装置
US6700961B1 (en) * 2000-08-03 2004-03-02 Lucent Technologies Inc. Prepaid calling with warning announcement
US6999449B2 (en) * 2000-08-18 2006-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d reporting accounting data based on volu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565A (ko) * 2002-06-03 200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데이터통신에서의 패킷량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13529D1 (de) 2006-02-02
CN1475062A (zh) 2004-02-11
NO334340B1 (no) 2014-02-10
US20020054569A1 (en) 2002-05-09
KR100444209B1 (ko) 2004-08-16
NO20023273L (no) 2002-08-28
NO20023273D0 (no) 2002-07-05
CN1220352C (zh) 2005-09-21
DE60113529T2 (de) 2006-04-27
JP3885484B2 (ja) 2007-02-21
US7403480B2 (en) 2008-07-22
TWI237471B (en) 2005-08-01
JP2002152251A (ja) 2002-05-24
WO2002039671A3 (en) 2002-11-28
EP1287643B1 (en) 2005-09-21
WO2002039671A2 (en) 2002-05-16
EP1287643A2 (en)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209B1 (ko) 데이터 통신 단말기
US7379914B2 (en) Data output control apparatus
US8855831B2 (en) Energ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0601523A1 (en) Billing system for radio communications
JP2011164771A (ja) 充電スタンドの運用管理サーバおよび充電スタンドの運用管理システム
CN103959753B (zh) 基于订户的针对使用的促销建议
KR20150022259A (ko) 결제카드 사용 위치 및 과거 결제 내역에 기반한 모바일 결제카드 추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관리 서버
US20070086040A1 (en) Printing system
JP2000013371A (ja) コンテンツ利用料金の課金方法
JPH11259422A (ja) インターネット端末装置及び課金管理方法
CN110646905B (zh) 一种计算odf架间走纤距离的方法和系统
JP6817476B1 (ja) 価値交換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制御方法
JPH08315009A (ja) 情報サービス料金表示装置と方法
JP3111679B2 (ja) 通信端末装置
JP7323232B1 (ja) プログラム、通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0242421Y1 (ko) 카드판독 시스템을 내장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
JPH071556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回線使用料表示方法
JP2001319153A (ja) 操作単位課金システム
KR200205012Y1 (ko) 휴대형 고지서 발행 단말장치
KR101376377B1 (ko) 프로그래스바에 대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2032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사용 내역 확인 장치
KR20000058676A (ko) 휴대형 고지서 발행 단말장치와 고지서 발행방법
KR1008602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ic 칩 기반 서비스 사용에 대한 특정요금제 가입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04524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비용 지불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2001202426A (ja) 証券・金融情報の課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