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952A - 보온성 섬유구조체 - Google Patents

보온성 섬유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952A
KR20020062952A KR1020027006876A KR20027006876A KR20020062952A KR 20020062952 A KR20020062952 A KR 20020062952A KR 1020027006876 A KR1020027006876 A KR 1020027006876A KR 20027006876 A KR20027006876 A KR 20027006876A KR 20020062952 A KR20020062952 A KR 20020062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abric
knitted fabric
structure according
fibrous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281B1 (ko
Inventor
이시이마사키
하루타마사루
요코이히로에
사이토코이치
카지슈이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of alkylpolyalkylene glycol est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 D06M15/356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484Coating or impregnation is water absorbency-increasing or hydrophilicity-increasing or hydrophilicity-impar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9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층에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이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온성 구조체, 즉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층의 투습도가 3000∼12000g/㎡·24hr의 범위에 있고,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의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이며, 또한 접촉온냉감(qmax)이 0.1W/㎠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에 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분자 흡착성능을 이용한 보온효과가 높은 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온성 섬유구조체{WARMTH RETAINING FIBER STRUCTURE}
종래의 보온의료 등은, 함기율을 높인 소재를 사용하고, 부동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또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복사열을 반사시킴으로써 단열성을 향상시켜 보온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왔다.
또, 근래에 들어 일본 특허공고 평7-59762에 있는 바와 같이 흡방습 흡수발열섬유를 사용한 것에 의해 보온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추동시기에서의 스포츠 용도를 중심으로 한 의료로서, 여러 가지의 보온성을 목적으로 한 운동복이나 속옷, 안감 등이 제안되어 왔다. 합성섬유를 주체로 하거나 또는, 면이나 울이라는 천연섬유를 혼용한 운동복 등은, 정지시의 보온성은 우수하지만 조금 움직이면 너무 더워지게 되어 과도한 발한을 초래하고, 운동후는 식은 땀으로 불쾌하게 되며, 또한 운동복으로서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 편성포의 이면(피부측면) 또는 양면을 기모하는 방법도 많이 보여지지만, 땀을 흘렸을 때의 끈적거림감에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61-27900호 공보는, 표면 및 이면(피부측면)이 소수성 합성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표면과 이면의 단섬유 섬도의 차를 1.5배 이상으로 한 직편물을 제공함으로써 땀흡수성을 개선하고 있다.
또,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61-45180호 공보는, 표면 및 이면(피부측면)이 소수성 합성섬유층, 중간층이 친수성 섬유함유층의 요철형상의 브레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환편지를 제공하여 보온성이나 땀흡수성 등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의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61-27900공보에 의한 운동복은, 땀처리성에는 우수하지만, 보온성에 관하여 어떠한 고려도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이고, 또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61-45180호 공보에 의한 운동복은, 피부측면이 요철형상의 브레이트편이기 때문에 피부촉감이 좋지 않고 보온성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또 부피가 크기 때문에 움직이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소재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색이 베어, 색전개에 제한이 있고, 아직 충분히 만족할만한 운동복이나 속옷 등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이들을 개선시킨 것으로서 일본 특허공고 평7-59762에 흡방습 흡수발열섬유를 사용한 의료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 기재하고 있는 보온품은 단지 흡방습 흡수발열성 섬유를 사용한 것이나, 안솜, 안감에 사용한 의료의 개시가 있을 뿐이다. 흡방습 흡수발열성 섬유는 흡습율이 높기 때문에 손이나 신체에 접촉되었을 때에 차갑게 느껴진다.
또, 흡방습 흡수발열성 섬유는, 착용시에 흡방습 흡수하여 발열됨과 동시에,공기중에 수증기를 방산하고 있기 때문에 기화열을 빼앗긴다. 따라서, 보온성에 기여하는 것은 흡방습 흡수발열에서 기화열을 뺀 열량만이다. 흡방습 흡수발열이 큰 것일수록 빼앗기는 기화열이 크기 때문에, 흡방습 흡수발열을 아무리 크게 하여도 보온성의 향상효과는 작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물분자 흡착발열에 의한 보온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리고, 또한 손이나 신체에 접촉되었을 때에 차갑게 느끼는 것이 없는 의료, 이부자리 등의 보온성 섬유구조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포츠용 의류 및 방한복, 보온성 이부자리, 방한신발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쾌적한 보온성을 갖는 의료, 이부자리, 신발 및 그것을 형성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4의 가로 2중조직 직물의 조직도를 나타낸다. 색칠된 부분은 종사의 뜨임부를 나타낸다. 또, 횡사의 A는 83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가연(false twist)가공사이고, B는 165dtex-96F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
도 2는 실시예 6의 편성포의 편방도,
(부호의 설명)
F1∼F8 : 편기의 급사구 NO
D1∼D5 : 다이얼측 편침
C1∼C6 : 실린더측 편침
가 : 편성포 이면측 구성사
나 : 편성포 표면측 구성사
도 3은 실시예 7의 편성포의 편방도,
(부호의 설명)
가 : 프론트면측 구성사
나 : 백면측 구성사
도 4는 하중-신장회복곡선의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8의 편성포의 편방도이다.
(부호의 설명)
L1 : 편성포의 신장
L2 : 편성포의 변형신장
L3 : 편성포의 회복신장
F1∼F8 : 편기의 급사구 NO
D1∼D5 : 다이얼측 편침
C1∼C6 : 실린더측 편침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의 위에, 기화열을 제어하는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을 적층함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효율적으로 발휘되는 것과 동시에, 피부면에 접한 경우에 차갑게 느끼는 일이 없는 직물 구조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투습도가 3000∼12000g/㎡·24hr의 범위에 있는 겉감과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이고, 표면의 접촉온냉감(qmax)이 0.1W/㎠이하인 안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구조체.
본 발명의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층 및 물분자 흡착성능을 갖는 직물층에 유용한 직물로서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한 것을 사용하지만, 예를 들면 나일론섬유나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아미드섬유와 같이 합성섬유, 아세테이트섬유와 같이 반합성섬유, 면이나 마나 양모와 같이 천연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직물이나 편물, 부직포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이란, 기화열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은, 신체로부터 무의식중의 발한 등에 의해 방출된 수분을 흡착하여 발열하지만, 동시에 직물로부터 계 외로 수분을 증발하여 기화열을 빼앗기 위하여 실제로 착용한 경우의 발열효과는 작게 된다. 이 기화열을 제어하여 작게 함으로써 비로소, 착용시에 실감할 수 있는 발열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기화열을 제어하여 너무 작게하면, 방습성이 낮아져서 착용시의 무더위감이 커지게 되어 불쾌한 것으로 된다. 기화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용시의 무더위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층의, 투습도는 JIS L-1099(A-1법)의 측정법으로 3000∼12000g/㎡·24hr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보다 낮으면 무더위감이 커지게 되고, 높으면 기화열이 커지게 되어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이 작아져서 발열성능을 실감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은, 예를 들면 섬유편람-원료편-(발행: 마루센(주))의 245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습성을 갖는 섬유에는 물분자를 흡착하여 발열하는 것은 옛부터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은 이들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합성섬유에 흡습폴리머 등을 분산하여 이겨넣음으로써 흡습성을 향상시킨 섬유, 예를 들면 나일론에 폴리비닐피로리돈을 이겨넣어 방사하여 얻어진 흡습성향상 나일론사 등이나 후가공 등에 의해 흡습성이 있는 폴리머 및, 또는 흡습성이 있는 미립자를 섬유표면에 고착시킴으로써 흡습성을 증가시켜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향상시킨 직물이 실용상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을 향상시킨 합성섬유에, 후가공 등에 의해 흡습성이 있는 폴리머 및, 또는 흡습성이 있는 미립자를 섬유 표면에 고착시킴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더욱 증가시킨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성을 증가시키면, 손이나 신체에 접촉된 때에 차갑게 느껴 보온의료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의 피부와 접하는 면의 접촉온냉감(qmax)을 0.1W/㎠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접촉온냉감(qmax)을 0.1W/㎠이하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접촉면적을 작게 한 직물구조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접촉면에만 흡습성이 낮은 섬유를 사용한 2중조직에서도 얻어진다. 예를 들면 기모가공, 2중조직으로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접촉온냉감(qmax)을 0.1W/㎠이하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도 접촉온냉감(qmax)을 0.1W/㎠이하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발열에너지 지수란, 폴리에스테르 100% 소재와 비교한 물분자 흡착발열에너지이고, 폴리에스테르 100% 소재를 1로 한 경우의 비교값이다. 구체적인 측정법은 실시예에서 상세히 나타내지만, 알콜 온도계에 3g의 시료를 감고, 30℃, 30%RH의 환경에서 조음, 조실시킨 후, 30℃, 90%RH의 환경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흡습시의 온도상승을 경시적으로 관잘하여, 횡축에 시간, 종축에 온도로 한 그래프에 30℃부터 상승하여 다시 30℃로 복원되기까지 구분하여 그 면적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은, 상술의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 필요하다. 발열에너지 지수는 바람직하게는 8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다. 5미만에서는 발열효과를 실감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막층을 적층한 투습방수가공품이란, 폴리우레탄의 습식 응고법에 의한 미다공막이나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무공막 및 미다공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을 사용한 투습방수가공품 등을 사용한다. 이들 가공품의 막면에 상술한 발열에너지가 5이상이고 또한 접촉온냉감(qmax)이 0.1W/㎠이하인 직물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적층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투습방수의료가 얻어진다.
2중조직 직물은, 물분자 흡착발열직물층과 방습방열 컨트롤 직물층을 1장의 2중조직 직물에 의해서 동시에 실현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2중조직 직물이란, 2장의 직물을 겹쳐서 1장의 직물로서 직조한 2중직물이다. 2중직물에는 종사를 사용하여 2중으로 한 것, 횡사를 사용하여 2중으로 한 것, 종사, 횡사의 양쪽으로 2중으로 한 것이 있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 2중직물은 어느 방법이어도 관계없지만, 표면이 치밀하고 이면이 거친 것이 필요하다. 표면이 치밀, 이면이 거칠다는 것은이면조직에 비하여 표면의 커버팩터(cover factor)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면을 치밀하게 함으로써 투습도를 3000∼12000g/㎡·24hr의 범위로 하여 방습방열 컨트롤층으로 할 수 있다. 또, 거친 이면에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면에 사용하는 실에 흡습성이 높은 섬유, 예를 들면 상기한 나일론에 폴리비닐피로리든을 이겨넣어 방사하여 얻어진 흡습성 향상 나일론사 등을 짜넣어도 좋고, 또 이면만 키스롤방식이나 기포가공 등의 후가공으로 흡습성 폴리머나 흡습성 미립자를 고착시켜도 좋지만, 간단히 가공하는 방법으로서는 패딩법으로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제 용액에 상술의 2중조직 직물을 침적하여 가공하면, 치밀한 표면보다도 거친 이면에 약제가 부착되기 쉽기 때문에 표면조직을 형성하는 직사(weaving yarn)보다도 이면조직을 형성하는 직사에 약제가 보다 많이 부착하여 목적으로 하는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이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접촉온냉감(qmax)을 0.1W/㎠이하로 할 수 있다.
상술의 2중조직 직물을 사용하여 봉제함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보온성 섬유구조체가 얻어진다.
운동복, 속옷, 안감, 서포터 등의 편성포의 경우, 흡습성을 증가시키면 물분자 흡착발열성은 높아지지만, 단지 높게 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접촉되었을 때에 차갑게 느켜져 보온성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편성포의 피부와 접하는 면의 접촉온냉감(qmax)을 0.12W/㎠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접촉온냉감(qmax)이 0.12W/㎠이하의 편성포는, 예를 들면 편성포의 피부와 접하는 접촉면에 피부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요철을 부여하여, 접촉면적을 작게 한 편성포 구조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접촉온냉감(qmax)이 0.12W/㎠이하의 편성포는, 접촉만에만 흡습성이 낮은 섬유를 사용한 2중편조직 등의 다중조직 편성포로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성포 한쪽면을 기모가공하는 방법이나 다중편조직으로 접촉면적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 접촉온냉감(qmax)을 0.12W/㎠이하로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도 접촉온냉감(qmax)을 0.12W/㎠이하로 하면 된다.
접촉온냉감(qmax)은 바람직하게는 0.1W/㎠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W/㎠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운동복은, 편성포의 피부와 접하는 면의 적하흡수시간이 5초 이하일 필요가 있다. 이 적하흡수시간은 먼저 서술한 편성포를 구성하는 섬유표면에 흡습성 폴리머 및/또는 흡습성 미립자를 고착시킴으로써, 편성포의 흡수성이 증가하여 편성포의 피부와 접하는 면의 적하흡수시간을 5초 이하로 할 수 있다. 적하흡수시간이 5초보다 길면 운동시의 땀 처리성이 떨어지고, 끈적임을 발생하여 운동복으로서의 착용쾌적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적하흡수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초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복은 사용하는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9㎫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9㎫ 미만에서는 착용중에 찢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에 견딜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운동복용 편성포는, 밀도가 22∼82웨일(wale)/2.54㎝ 및 24∼130코스(course)/2.54㎝이고, 또한 단위중량 80∼3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를 22웨일/2.54㎝ 이상 및 24코스/2.54㎝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여 코꼬임의 발생 등도 방지하고, 제편성도 향상한다. 또, 밀도를 82웨일/2.54㎝ 이하 및 130코스/2.54㎝ 이하로 함으로써 편성포의 촉감을 좋게 하고, 경량감을 유지하며, 또한 제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편성포의 단위중량을 80g/㎡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당김을 주어 신체에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한편 330g/㎡ 이하로 함으로써 촉감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량감을 유지할 수 있다.
편성포의 제편은, 경편지인 트리콧지, 러셀지 및 환편지인 싱글환편지, 더블환편지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편조직은 경편지의 하프조직, 백하프조직, 퀸즈코드(Queen's cord) 조직, 새틴조직, 메시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또는 환편지의 생지시이팅조직, 플라이스조직, 인터록조직, 리버서벌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통상 운동복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편조직이면 된다.
특히,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의 형상을 피부촉감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요철형상으로 함으로써, 피부와 속옷 이면측의 접촉면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부동공기층이 형성되어, 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을 낮출수 있고, 또한 나아가서는 흘렸을 때의 끈적임을 경감할 수 있어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이 요철형상의 형성법으로서는, 변화편조직에 의한 것, 태사와 세사의 조합에 의한 것, 또는 자카드무늬조직에 의한 것, 그리고 기모가공에 의한 것, 엠보스가공에 의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운동복용 편성포는, 앞에서 기술한 편조직이 단층으로서 구성된 것이어도 좋지만,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로 한 것이어도 좋다. 다층구조체의 편성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방적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단섬유 섬도의 가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단섬유 섬도의 두꺼운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의 단섬유 섬도와 이면측을 구성하는 실의 단섬유 섬도의 차를 1.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조의 단섬유 길이방향 표면에 복수의 홈을 갖는 H, I, W, X, Y, +형 등의 단면을 갖는 고이형단면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이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환형, 삼각형 등의 통상단면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층구조체로 한 편성포는, 기체상의 땀뿐만 아니라, 액체상의 땀은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에서 표면측으로 빠르고, 또한 효율적으로 흡수, 투수,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한 운동 등에서의 액체상 발한에 대하여 최적인 운동복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운동복용 편성포에는, 폴리우레탄사 탄성사 등으로 대표되는 고무형상 탄성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보다 큰 스트레치성을 필요로 하는 운동선수용 언더하프패츠, 사이클팬츠, 레오타드, 스피드스케이트웨어, 경기용 스키웨어 등의운동복에서는, 이와 같은 고무형상 탄성사를 함유시킴으로써, 그 스트레치파워로 신체에 보다 밀착되어 운동편리성을 높이거나, 체형을 보정함으로써 신체를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탄성사 이외에는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를 사이드바이사이드로 당겨맞춘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함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복은, 소재나 편성포의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폭넓게 전개가능하다. 예를 들면, 러닝셔츠·팬츠, 경기셔츠·팬츠, 골프셔츠, 테니스셔츠, 사이클셔츠·팬츠, 외출용 셔츠, 폴로셔츠, T셔츠, 야구용 언더셔츠, 트레이닝웨어, 야구유니폼의 셔츠·팬츠, 스키웨어, 레오타드, 경기용 언더하프팬츠, 스피드스케이트웨어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옷은, 편성포의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5∼30㎜인 것이 필요하다. 강연도가 30㎜보다 크면 편성포의 촉감이 딱딱하게 되어 속옷으로서는 사용곤란하게 된다. 또, 5㎜ 미만에서는 편성포의 촉감이 지나치게 부드러워 신체에 감겨서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속옷은, 사용하는 편성포의 파일강력이 0.25㎫ 이상일 필요가 있다.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5㎫ 미만에서는 착용중에 찢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에 견딜수 없게 된다.
앞에서 기술한 강연도만이라면, 사용하는 실의 굵기나 편성포의 단위중량을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달성할 수 있지만, 이 파열강력을 유지하면서 소정 강연도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속옷용 편성포는, 밀도가 22∼85웨일/2.54㎝ 및 24∼138코스/2.54㎝이고, 또한 단위중량 80∼3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를 22웨일/2.54㎝ 이상 및 24코스/2.54㎝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여 코꼬임의 발생 등도 방지하고, 제편성도 향상한다. 또, 밀도를 85웨일/2.54㎝ 이하 및 138코스/2.54㎝ 이하로 함으로써 편성포의 촉감을 좋게 하고, 경량감을 유지하여 더욱 제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편성포의 단위중량을 80g/㎡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긴장감을 주어 신체에 감김이 없다. 한편 300g/㎡ 이하로 함으로써 촉감이 딱딱해 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량감을 유지할 수 있다.
편성포의 제편은, 경편지인 트리콧지, 러셀지 및, 환편지인 싱글환편지, 더블환편지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편조직은 경편지의 하프조직, 백하프조직, 퀸즈코드조직, 새틴조직, 메시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또는 환편지의 생지시이팅조직, 프라이스조직, 인터록조직, 모쿠로디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통상 속옷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편조직이면 된다.
특히,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의 형상을 피부촉감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요철형상으로 함으로써, 피부와 속옷 이면측의 접촉면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부동공기층이 형성되어 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을 낮출 수 있어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이 요철형상의 형성법으로서는, 변화편조직에 의한 것, 태사와 세사의 조합에 의한 것, 혹은 자카드무늬조직에 의한 것, 또는 기모가공에 의한 것, 엠보스가공에 의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속옷용 편성포는, 앞에서 기술한 편조직이 단층으로서 구성된 것이어도 좋지만,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로 한 것이어도 좋다. 다층구조체의 편성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방적사를, 이면측(피부측면)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거나, 혹은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단섬유 섬도의 가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단섬유 섬도의 두꺼운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속옷은, 소재나 편성포의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폭넓게 전개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반부인용 속옷인 슬립, 캐미솔, 페티코트, 쇼츠, 언더팬츠, 타이츠, T셔츠, 라운드셔츠, U자목 셔츠, 보디슈츠, 거들 등. 일반 신사용 속옷인 T셔츠, 라운드셔츠, U자목 셔츠, 러닝셔츠, 언더팬츠, 타이츠, 브리프, 트렁크스 등. 또 이들 속옷의 전용을 포함한 경기용, 외출용, 스키 등의 스포츠용 속옷, 옥외작업, 보냉고 작업 등의 작업용 속옷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감은, 사용하는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 미만에서는 착용중에 찢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에 견딜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안감에 사용하는 편성포는, 20℃×30%RH의 환경하에 있어서의 마찰대전압이 5㎸ 이하인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안감이 겉감이나 피부측과 접촉하는 마찰정전기는, 감겨붙음 등의 착탈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상기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겨울철의 건조환경하에 있어서의 정전기의 발생에 의한 의복의 감겨붙음이나 먼지부착 및 착탈시의 불꽃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감용 편성포는, 밀도가 24∼85웨일/2.54㎝ 및 28∼130코스/2.54㎝이고, 또한 단위중량 60∼19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를 24웨일/2.54㎝ 이상 및 28코스/2.54㎝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고, 코꼬임의 발생 등도 방지하여 제편성도 향상한다. 또, 밀도를 85웨일/2.54㎝ 이하 및 130코스/2.54㎝ 이하로 함으로써 편성포의 촉감을 좋게 하고, 경량감을 주며 또한 제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편성포의 단위중량을 60g/㎡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긴장감을 주어 신체에 휘감겨붙지 않는다. 한편, 역으로 190g/㎡ 이하로 함으로써 촉감이 딱딱해 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량감을 유지할 수 있다.
편성포의 제편은, 경편지인 트리콧지, 러셀지, 및 환편지인 싱글환편지, 더블환편지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편조직은 경편지의 하프조직, 백하프조직, 퀸즈코드조직, 새틴조직, 메시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또는 환편지의 생지시이팅조직, 프라이스조직, 인터록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통상 안감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편조직이면 된다.
특히,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의 형상을, 피부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요철형상으로 함으로써, 피부와 안감면의 접촉면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부동공기층이 형성되어, 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을 낮춤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이 요철형상의 형성법으로서는, 변화편조직에 의한 것, 태사와 세사의 조합에 의한 것, 혹은 자카드무늬 조직에 의한 것, 또한 기모가공에 의한 것, 엠보스가공에 의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안감용 편성포는, 앞에서 기술한 편조직이 단층으로서 구성된 것이어도 좋지만,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로 한 것이어도 좋다. 다층구조체의 편성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단섬유 섬도의 가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단섬유 섬도의 굵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층구조체로 한 편성포는, 기체상의 땀뿐만 아니라 액체상의 땀은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에서 표면측으로 빠르고 또한 효율적으로 흡수·투수·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심한 운동 등에서의 액체상 발한에 대하여 바람직한 안감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감은, 소재나 편성포의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폭넓게 전개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포츠웨어, 부인복, 신사복, 아동복, 예복, 교복, 작업복용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포터는, 편성포의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어느 하나의 신장율이 50% 이상이고, 또한 신장회복율이 6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신장율이란 편성포의 신장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수치가 클수록 서포터로 하여 장착하였을 때,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운동에 의한심한 움직임에도 편성포가 추종하여 움직이기 쉬워 피곤하지 않다. 또, 신장회복율이란 신체의 움직임으로 신장된 편성포가 빠르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회복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이 수치가 클수록 서포터로서 장착하였을 때, 보다 밀착성이 풍부하여 움직이기 쉽다.
이 신장율과 신장회복율은 편성포의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어느 하나의 수치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무릎용 서포터 혹은 팔꿈치용 서포터로 하여 실제 장착하여 움직이는 경우, 편성포의 신장율과 신장회복율이 큰 방향을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함으로써 관절의 움직임에 추종하고, 역으로 신장율과 신장회복율이 작은 방향을 서포터의 횡방향으로 함으로써 근육힘줄을 적당한 압박감으로 보호하게 된다. 또, 복부용 서포터는 이 반대의 방향을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신장율 및 신장회복율은,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편성포 신장율은 JIS L 1018 "메리야스생지 시험방법"의 정속신장법의 그래프법에 기초하여 측정된 것이다. 즉, 10㎝×약15㎝의 시험편을 세로, 가로방향으로 각각 3장씩 채취한다. 자기기록장치부착 정속신장형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상하 클램프 모두 표측은 2.54㎝×2.54㎝, 이측은 2.54㎝×5.08㎝의 것을 부착하고, 클램프 간격을 7.6㎝로 하여 시험편의 느슨함이나 장력을 제거하여 클램프에 고정한다. 이것을 인장속도 10㎝/min으로 17.7N(1.8㎏) 하중까지 늘리고, 그때의 클램프 간격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즉시, 하중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처음의 클램프 간격인 7.6㎝까지 되돌렸다. 이 하중-제중에 의한 거동을 자기기록계로 하중-신장-회복 곡선으로서 묘사하였다(도 4 참조).
이것을 근거로, 다음의 식에 의해 신장율 LA(%)을 구하고, 편성포의 세로방향, 가로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3매의 편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신장율 LA(%)=[L1-L)/L]×100
단, L : 클램프 간격(㎜)
L1 : 17.7N까지 늘렸을 때의 클램프 간격(㎜)이다.
또, 편성포 신장회복율 LB(%)는, 상기 자기기록계로 묘사한 하중-신장-회복곡선을 기초로, 회복곡선이 제로하중으로 된 시점에서 잔류변형율 L2(%)를 구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신장회복율 LB(%)를 산출하여, 편성포의 세로방향, 가로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3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신장율회복율 LB(%)=(L3/L1)×100
또, 파열강력은 JIS L 1018[메리야스생지 시험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것이고, 즉, 15㎝×15㎝의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 이 시험편의 겉을 위로 하여 장력을 가하지 않고 보통의 상태에서 뮬렌형 파열시험기에 부착하여 파열강력을 측정하고, 5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세로 또는 가로방향의 어느 하나의 신장율은, 50% 이상인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이러한 신장율 50% 미만이면, 서포터로서 장착하기 어렵고, 신체의 움직임에 서포터가 추종하기 어려우며, 또 피곤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신장회복율이 60% 미만이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신장된 편성포가 신장된 상태로 되고, 신체로의 밀착감이 떨어지므로 신체의 움직임에 추중하기 어렵게 된다. 또,서포터로서의 미관에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편성포 신장율과 신장회복율의 수치대소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 반대의 경우는, 신장율의 크기방향을 우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포터로 사용하는 편성포의 파열강력은 0.29㎫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9㎫미만에서는 장착중에 찢어지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에 견딜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서포터로 사용하는 편성포의 제편은, 경편지인 트리콧지, 러셀지, 및 환편지인 싱글환편지, 더블환편지, 횡편지, 또는 성형용 작은 치수의 환편기에 의한 싱글환편지, 더블환편지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 편조직은 경편지의 하프조직, 백하프조직, 퀸즈코드조직, 새틴조직, 메시조직, 파일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또는 환편지의 생지시이팅조직, 프라이스조직, 인터록조직, 모쿠로디조직, 파일조직, 기타 변화조직 등, 통상 서포터로서 사용되고 있는 편조직이면 된다.
특히,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의 형상을 피부촉감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요철형상으로 함으로써, 피부와 서포터 이면측의 접촉면적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부동공기층이 형성되어, 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를 낮출수 있어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이 요철형상의 형성법으로서는, 변화편조직에 의한 것, 태사와 세사의 조합에 의한 것, 혹은 자카드무늬 조직에 의한 것, 파일조직에 의한 것, 그리고 기모가공에 의한 것, 엠보스가공에 의한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서포터용 편성포는, 앞에서 기술한 편조직이 단층으로서구성된 것이어도 좋지만,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로 한 것이어도 좋다. 다층구조체의 편성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성포 이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방적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편성포 표면측을 구성하는 실에 단섬유 섬도의 가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이면측(피부면측)에 단섬유 섬도의 굵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층구조체로 한 편성포는, 기체상의 땀뿐만 아니라, 액체상의 땀은 이층, 삼층 등의 다층구조체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에서 표면측으로 빠르고 또한 효율적으로 흡수·투수·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한 운동 등에서의 액체상의 발한에 대하여 바람직한 서포터로 할 수 있다.
또, 이 서포터용 편성포에는, 일반적인 고무, 혹은 폴리우레탄사 탄성사 등으로 대표되는 고무형상 탄성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보다 큰 스트레치성을 필요로 하는 서포터에서는, 이와 같은 고무 혹은 고무형상 탄성사를 함유시킴으로써 그 스트레치파워에 의해 신체에 보다 밀착되어 운동편리성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포터는, 소재나 편성포의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폭넓게 전개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포츠 보호용으로서의 팔꿈치, 무릎, 정강이, 대퇴, 어깨용 서포터 등, 의료치료용으로서의 팔꿈치, 무릎, 정강이, 대퇴, 어깨, 배, 쇄골, 경추용 서포터 등. 또 일반적인 냉기방지용 서포터로서의 팔꿈치, 무릎, 정강이, 대퇴, 어깨, 복부용 서포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보온성 섬유구조체는 이부자리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이부자리에 사용되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 및 안솜을 구성하는 섬유는, 흡습성을 갖는 섬유이고, 흡습성을 증가시키면 손 또는 신체에 접촉되었을 때에 차갑게 느껴 보온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의 피부와 접하는 면(접촉면 또는 외면측의 면)의 접촉온냉감(qmax)을 0.10W/㎠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이부자리의 구성으로서, 겉감은 폴리에스테르 장섬유나 면의 고밀도 직물을 사용하고, 흡습성이 높은 실리카 미립자를 바인더로 고착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한 안솜을 사용하며, 흡습성 폴리머를 고착한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기모니트 안감을 사용하여 봉제함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본 발명의 이불이 얻어진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요, 각로 이불, 침낭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부자리는, 침구 및 각로틀용 이불이나 침낭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보온신발, 보온장갑의 겉감에 있어서의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이란, 기화열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능이다. 한편,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에 있어서는, 신체로부터 무의식중의 발한 등에 의해 방출된 수분을 흡착하여 발열하지만, 동시에 직물로부터 계외로 수분을 증발하여 기화열을 빼앗기 때문에 실제로 착용한 경우의 발열효과는 작게 된다. 이 기화열을 제어하여 작게 함으로써 비로소 착용시에 실감할 수 있는 발열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발열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겉감의, 투습도는 JIS L-1099(A-1법)의 측정법으로 12,000g/㎡·24hr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화열을 제어하여 너무 작게 하면, 방습성이 작아져서 착용시의 무더위감이 커지고 불쾌한 것으로 된다. 기화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용시의 무더위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겉감의, 투습도는 3,000∼12,000g/㎡·24hr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이 범위보다 낮으면 무더위감이 커지고, 또 이 범위보다 크면 기화열이 커져서 발열성능을 실감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4,000∼11,000g/㎡·24hr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11,000g/㎡·24hr의 범위이다. 투습도를 상술의 범위로 컨트롤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서 투습방수가공이 있다. 투습방수가공이란, 습식응고법에 의한 폴리우레탄 미다공막이나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무공막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미다공막을 코팅 또는 라미네이트방법에 의해 기포(foundation cloth)에 적층하는 가공의 것이고, 방수성과 투습성이 동시에 얻어진다. 또, 직물의 밀도를 증감하여 투습성을 컨트롤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용도에 있어서 기화열 제어와 무더위감을 기안하여 투습성의 레벨을 설정하면 된다. 즉, 사용되는 환경온도가 높고, 또한 운동강도가 큰 용도라면 투습성을 높게 설정하고, 또 환경온도가 낮고 또한 운동강도가 낮은 용도에서는 투습성을 낮게 설정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직물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흡습성을 갖는 섬유이다. 합성섬유에 흡습폴리머 등을 분산하여 이겨넣음으로써 흡습성을 향상시킨 섬유, 예를 들면 나일론에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흡습폴리머를 이겨넣어 방사하여 얻어진 흡습성 향상 나일론사 등이나 후가공 등에 의해 흡습성이 있는 폴리머 및/또는 흡습성이 있는 미립자를 섬유표면에 바인더로 고착시킴으로써 흡습성을 증가시켜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향상한 직물이 실용상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합성섬유에 흡습폴리머를 분산하여 이겨넣음으로써 흡습성을 향상시킨 합성섬유에, 후가공 등에 의해 흡습성이 있는 폴리머 및/또는 흡습성이 있는 미립자를 섬유표면에 바인더로 고착시킴으로써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더욱 증가시킨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직물의 한쪽면에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피막층을 적층한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로서는, 직물의 한쪽면에 폴리우레탄의 흡습응고법에 의한 미다공막이나 친수성 폴리우레탄의 무공막 및 미다공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을 코팅법이나 라미네이트법으로 직물에 적층한 투습방수가공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온신발, 보온장갑은 이들의 투습방수가공품을 겉감으로 하고, 속감으로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인 속스폰지층 및/또는 직물층을 사용하고, 또한 안감에도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이고 또한 외측면의 접촉온냉감이 0.1W/㎠ 이하인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투습방수 보온신발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술의 구성에서 속감을 생략하고 투습방수가공품을 겉감으로 하고, 안감에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이고, 또한 외측면의 접촉온냉감이 0.1W/㎠ 이하인 직물을 사용한 얇고 경량인 신발로 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다.
물분자 흡착성능만을 갖는 직물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충분한 보온성능이 얻어지지만, 축열재를 더 부여함으로써 발열된 열을 유효하게 직물 내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축열재로서는,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등의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방사세라믹이나, 상변화에 따르는 잠열(潛熱)을 이용할 수 있는 파라핀왁스나 카본블랙 등이 있다. 또 축열재는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에 대해서도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그 보온효과는 높아진다.
직물에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부여하는 후가공으로서는, 비닐술폰산과 일반식 [Ⅰ], [Ⅱ],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종 또는 혼합한 용액에 중합개시제를 혼합하고, 패딩법, 스프레이법, 키스롤코터, 슬릿코터 등의 처리방법에 의해서 처리액을 부여한 후, 건열처리, 습열처리, 마이크로파처리, 자외선처리 등에 의해 폴리머화하여 섬유 표면에 고착하는 방법이 있다. 비닐술폰산은 PH가 낮아, 그대로 사용하면 면이나 나일론은 취화되기 때문에, 미리 중화한 비닐술폰산나트륨을 사용한다. 또, 비닐술폰산아연을 사용하면 소취성능도 부여할 수 있다. 비닐술폰산의 구체예로서는,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이하, "AMPS"라고 한다),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나트륨(이하, "AMPS-Na"라고 한다), 2-알릴옥시-2-히드록시프로판술폰산, 스티렌술폰산나트륨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모노머 2종류 이상 사용하는 것도 하등 관계없다. 특히, 중합효율과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의 면에서 AMPS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는,
(식중, X=H 또는 CH3, n=5∼40의 정수)
로 표시되고, 여기서 n은 5∼40, 바람직하게는 9∼23의 정수이다. n이 5보다 작아도 40보다 커도 충분한 내구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제전성의 면에서 모노머 B는 n=14∼3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 [Ⅱ]의 화합물로서는,
(식중, X=H 또는 CH3, m+n=5∼40의 정수)로 표시되고, 여기서 m+n은 바람직하게는 10∼30의 정수이다. M+n이 5보다 작아도 40보다 커도 충분한 내구성, 제전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 일반식 [Ⅲ]의 화합물로서는,
(R=H 또는 CH3, R1=Cl, Br, I, OCH3, OC2H5, SCH3, l+m=5∼40의 정수)
로 표시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m은 0∼9의 정수이고, l은 10이상의 정수이다. l+m은 내구성의 점에서 20∼30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Ⅰ]과 [Ⅱ]와 [Ⅲ]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병용하여도 좋으며,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하등 관계없다.
또, 상기 일반식 [Ⅰ]과 [Ⅱ]와 [Ⅲ]에 있어서, X는 H 또는 CH3이지만, 안전의 면에서 X=CH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술폰산과, 일반식 [Ⅰ]과 [Ⅱ]와 [Ⅲ]로 표시되는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2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다. 이 중량비가 1: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이 낮은 레벨에 머무르는 경향을 나타내고, 한편 1:1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의 그물코 구조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내구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제전성의 면에서는 중량비로 비닐술폰산보다도 일반식 [Ⅰ]과 [Ⅱ]와 [Ⅲ]의 사용량이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중합반응시에, 중합개시제가 사용된다. 중합개시제로서는, 통상의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칼륨, 과산화수소 등 무기계 중합개시제나,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라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카르바모이라조)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유기계 중합개시제가 있다. 또, 과산화 벤조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물불용성 중합개시제를 음이온, 비이온 등의계면활성제로 유화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비용, 취급에 용이함의 점에서는, 과황산 암모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중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합개시제로서의 과산화물과 환원성 물질을 병용하는 이른바 레독스 개시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황산암모늄이나 과황산칼륨, 환원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술폭실산나르륨과 포르말린의 반응물이나 하이드로설파이드 등이 있다. 중합개시제의 사용농도는 사용하는 모노머 농도나 처리조건에도 의하지만, 0.1∼3%가 바람직하다.
또, 섬유와의 친화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침투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이나,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등이 있고, 비이온계로서는 옥틸페놀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처리액은, 기본적으로는 비닐술폰산과, 일반식 [Ⅰ]과 [Ⅱ]와 [Ⅲ]로 표시되는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그것에 중합개시제로 구성되지만, 또한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가공제, 예를 들면 발수제, 유연제, 난연제, 항균방취가공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또, 가교촉진을 위하여 촉감을 너무 거칠게 하지 않을 정도로, 메티롤기를 갖는 비닐모노머, 예를 들면 N-메티롤아크릴아미드나 N-메티롤메타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천연물 부여도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식물로부터 추출된 면, 마, 차 또는, 동물로부터 추출된 울, 실크, 키틴, 키토산, 스쿠와란, 또는 광석으로부터 추출된 스멕타이트 등이 있고, 이들을 처리액 속에 혼합시켜 동시에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처리후 천연물만의 처리액을 작성하여 섬유에 함침시켜 건열처리에 의해서 부여시킨다. 이들 천연물이 갖는 흡습성에 의해서 보온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처리액을 섬유재료에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진공탈수기로 처리하는 등 하여 부여량을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의 합성섬유에 대해서는 제사, 제방의 단계에서의 부여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경우, 용융방사법으로 POY(반연신사)를 방사할 때, 상기 화합물의 일종과 탄소수 25∼33의 고급탄화수소와, 탄소수가 3∼6의 다가알콜과 탄소수가 14∼18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 탄소수가 12∼17의 지방산과 아미노알콜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지방족 아미드, 수용성 실리콘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과 폴리에폭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의 혼합조성물을 방사유제와 함께 부여하고, 뒤의 연신공정에 있어서 건열처리됨으로써 화합물이 섬유에 강고하게 부착하여 내세탁성이 있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이 얻어진다. 아크릴의 경우는 습식방사법으로 방사, 연신, 물세탁된 후, 일반식 [Ⅰ], [Ⅱ],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일종 혹은 혼합된 용액을, 0.05∼5중량% 부착시키고, 건조치밀화처리, 스팀처리, 건조공정을 거쳐 섬유에 대하여 강고하게 부착시킴으로써 폴리에스테르와 마찬가지로 내세탁성이 있는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이 얻어진다.
또, 흡습율이 높은 실리카 미립자를 바인더로 섬유표면에 고착하는 것으로도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보온성 섬유구조체의 염색단계에서의 부대가공으로서는, 오염방지가공, 항균가공, 탈취가공, 방취가공, 흡한가공, 발수가공, 자외선흡수가공 등, 또한 물리적 후가공으로서 캘린더가공, 엠보스가공, 주름가공, 기모가공, 오팔가공 등, 최종 목적으로 하는 용도의 요구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방법)
(1) 투습도
투습도의 측정은 JIS규격 L-1099(A-1)에 의한다.
(2) 발열에너지 지수
폭 약 3.5㎝의 시료 3g을 알콜온도계 혹은 열전대의 측정부에 감고, 섭씨 30℃×습도 30%RH의 환경하에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음에, 섭씨 30℃×습도 90%RH의 환경까지 습도를 약 3%/분의 속도로 변화시키고, 이 동안 1분마다 4시간후까지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후, 상승온도를 적분한 것을 발열에너지량으로서 구하고, 다음 식에 의해서 나타낸다.
발열에너지 지수 = 시료의 발열에너지량/폴리에스테르태피터(JIS 염색 견고도 시험용 첨부천)의 발열에너지량
(3) 접촉온냉감(qmax)
카트텍(주) 제품의 서모라보 2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실온 20℃, 습도 65%RH의 방에서 BT-Box를 30℃로 조절하고, 충분히 조습한 샘플의 위에 BT-Box(압력 10g/㎠)를 놓고, 10℃의 온도차에서의 단위면적당 열유속을 측정한다.
(4) 발열효과(보온성 향상효과)
봉제품을 실온 5℃, 습도 65%RH의 방에서 착용하고, 에르고미터(ergometer)로 75W의 운동을 15분 실시한 후, 봉제품을 벗고 뒤집어서 안쪽면의 온도를 열적외선 화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착용감각을 확인하였다.
(5) 적하흡수시간
JIS L 1096「일반직물 시험방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약 15㎝×15㎝의 시험편을 3매 채취하고, 시험편을 직경 10㎝이상의 사각틀 혹은 비이커에 여분의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겉을 밑으로 하여 고정하였다. 거기에 5㎝ 윗쪽에서 증류수를 1방울씩 적하하고, 물방울을 적하한 때부터 시험편상의 물방울이 특별한 반사를 하지 않게 된 때까지의 흡수시간을 임의의 3곳에서 측정하여 3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6) 파열강력
JIS L 1018「메리야스 생지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15㎝×15㎝의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 시험편의 표면을 위로 하여 장력을 가하지 않고 보통의 상태에서 뮬렌형 파열시험기기에 부착하여 파열강력을 측정하고, 5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7)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
JIS L 1018「메리야스 생지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2㎝×15㎝의 시험편을 세로, 가로방향으로 각각 5매 채취하였다. 일단이 45도인 경사면을 가진 캔틸레버형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일단의 짧은 변을, 시험기 경사면측의 스케일 기준에 맞추고, 시험편을 경사면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시험편의 일단이 경사면과 접하였을 때의 타단의 위치를 판독하였다. 이 시험편이 미끄러진 길이를 강연도(㎜)로 하고, 세로, 가로 각각 5매의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이 값이 작을수록 유연한 것을 의미한다.
(8) 편성포 신장율
우선, 신장율의 시험법은 JIS L 1018「메리야스 생지의 시험방법」의 정속신장법 그래프법에 준하여 행하였다. 즉, 10㎝×약15㎝의 시험편을 세로, 가로방향으로 각각 3매씩 채취하였다. 자기기록장치부착 정속신장형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상하클램프 모두 표측은 2.54㎝×2.54㎝, 이측은 2.54㎝×5.08㎝의 것을 부착하여, 클램프간격을 7.6㎝로 하여 시험편의 느슨함이나 장력을 제거하여 클램프에 고정하였다.
이것을 인장속도 10㎝/min으로 17.7N(1.8㎏) 하중까지 늘리고, 그때의 클램프간격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즉시, 하중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처음의 클램프간격인 7.6㎝까지 되돌렸다. 이 하중-제전에 의한 거동을 자기기록계로 하중-신장-회복곡선으로서 묘사하였다(도 1을 참조). 이것를 기본으로, 다음의 식에 의해 신장율 LA(%)를 구하고, 편성포의 세로방향, 가로방향 각각에 대하여 3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신장율 LA(%)=[(L1-L)/L]×100
L : 클램프간격(㎜)
L1 : 17.7N까지 늘렸을 때의 클램프간격(㎜)
(9) 편성포 신장회복율
또, 신장회복율 LB(%)는, 상기 자기기록계에서 묘사한 하중-신장-회복 곡선을 기초로, 회복곡선이 제로하중으로 된 시점에서 잔류변형율 L2(%)를 구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신장회복율 LB(%)을 산출하여 편성포의 세로방향, 가로방향 각각에 대하여 3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신장회복율 LB(%)=(L3/L1)×100
실시예 1
77dtex의 나일론필라멘트얀으로 구성된 나일론태피터에, 불소계 발수제로 발수처리를 행하였다. 즉, 발수제 아사히가드 AG710(메이세이카가쿠(주) 제품)을 3중량% 함유한 수분산액에 상기 태피터를 침적하고, 조임율 40%로 픽업하여 히트섹터(Heat Setter)로 130℃×30초의 건조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다음에, 하기 처방 1로 나타내는 조성으로 폴리우레탄용액을 나이프오버롤코터를 사용하여 클리어런스 200μ로 도공하고, 이어서 80℃로 열풍건조하여 투습도가 4800g/㎡·24hr인 무공질막 투습성 방수가공 겉감을 얻었다.
<처방 1>
하임렌 Y-265(다이니치세이카 제품,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두께 12㎛의투습도 6,300g/㎡·24hr)) 100부
레자민 X-100 가교제(다이니치세이카 제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부
MEK 25부
톨루엔 25부
다음에, 섬유구조물로서 단사 섬유섬도 7.2dtex, 섬유길이 64㎜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지는 단위중량 80g/㎡의 웨브에 하기 조성의 처방 2의 처리액을 스프레이로 부착율 100중량%로 되도록 내뿜은 후, 120℃에서 2분간 예비건조하였다. 그 후, 180℃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섬유 표면에 실리카입자를 고착시킨 발열에너지 지수 22의 안솜을 얻었다.
<처방 2>
실리카입자
사이리시아 550(후지실리시아카가쿠(주) 제품) 60g/l
여기서 사용한 실리카입자는 평균입자지름이 2.7㎛, 평균비표면적이 500㎡/g인 것이다.
바인더
실리콘계 수지 KT7014(고형분 40%)(타카마츠유시(주) 제품) 25g/l
또한, 폴리에스테르 83dtex-24F를 사용한 새틴트리콧의 컷기모품에 대하여, 하기 조성의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mangle)로 짜서 건조기로 120℃, 2분 건조시켰다.
<처방 3>
AMPS(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0g/l
PEG#1000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글라세트 T303 교에이사)
40g/l
과황산 암모늄 2g/l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여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5의 안감을 얻었다.
상기의 겉감, 안솜, 안감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안솜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겉감, 안감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겉감의 막면에 하기 조성의 처방 4에 나타내는 접착제를 30메시의 그라비어롤로 도공하고, 100℃에서 열풍건조한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안감을 붙여서 압착한 채로 24시간, 40℃로 숙성하여 3층구조의 투습방수가공포를 얻었다.
<처방 4>
하임렌 Y-199(다이니치세이카고교(주) 제품, 2액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100부
코로넷 HL(니폰폴리우레탄고교(주) 제품, 이소시아네이트)
8부
액셀 T(다이닛폰잉크카가쿠고교(주) 제품, 가교촉진제)
2부
상기의 투습방수가공포를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종사에 83dtex-72F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 횡사에 겉용으로서 83dtex-72F와 속용으로서 165dtex-96F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 2픽의 도비직기(dobby loom)를 사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겉조직은 평직, 안조직은 1/3 능직의 가로 2중직물을, 마무리밀도로 세로밀도 170개/in, 가로밀도 (겉) 90개/in, (안)45개/in으로 되도록 제직, 염색가공하였다. 그 후, 실시예 1의 트리콧 기모안감의 가공과 동시에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에서 120℃, 2분간 건조시켰다.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온냉수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에서 170℃, 1분간 세트하여 표면이 치밀, 이면이 거친 2중조직 직물을 얻었다.
상기의 2중직물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표면조직만의 평직물을 제직, 염색가공하여 투습도를 확인한 결과, 11000g/㎡·24hr이었다.
실시예 5
도 2의 편방도에 나타내는 계 8급사구로 이루어지는 편조직의 4급사구 F2, F4, F6, F8의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 구성사(가)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84데시텍스 24필라멘트 울리가공사를, 다른 4급사구 F1, F3, F5, F7의 편성포 표면측 구성사(나)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110데시텍스 72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22G의 양면 환편기로, 이면측 허니컴리버시블 편조직으로 되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의 환편지를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를 행하였다. 또한, 이 염색·건조후의 생지를, 하기 조성의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 건조시켰다.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1,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 0.055, 또 파열강력은 0.58㎫, 적하흡수시간은 1초 이하, 밀도가 38웨일/2.54㎝, 53코스/2.54㎝, 단위중량이 201g/㎡인 편성포를 얻었다.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운동복으로서 긴소매 T셔츠를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또한 피부촉감, 운동시의 드라이감에도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6
도 2의 편방도에 나타내는 계 8급사구로 이루어지는 편조직의 4급사구 F2, F4, F6, F8의 편성포에 있어서 표면측 구성사(나)에 아크릴방적사 1/52를, 다른 4급사구 F1, F3, F5, F7의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 구성사(가)에 나일론필라멘트 가공사 78데시텍스 24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22G의 양면 환편기로, 이면측 허니컴리버시블 편조직으로 되는 환편지를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를 행하였다. 또한, 이 염색·건조후의 생지를,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 건조시켰다.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9,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 0.076, 또 파열강력은 0.52㎫,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는 13㎜, 밀도가 36웨일/2.54㎝, 48코스/2.54㎝, 단위중량이 190g/㎡인 편성포를 얻었다.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속옷을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움직이기 쉬운 속옷으로서 우수한 것이라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3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7
도 3의 편방도로 나타내는 프론트사(가)와 백사(나)에 나일론에 흡습폴리머인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혼련한 56데시텍스 24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1/3의 새틴편조직으로 되는 경편지를, 28G의 싱글트리콧기로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경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한 후, 하기 조성의 처방 5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간 건조시켰다.
<처방 5>
AMPS(아크릴아미드메틸프로판술폰산) 20g/l
일반식 [Ⅱ]에 있어서 X: -CH3, m+n=30의 모노머 50g/l
과황산 암모늄 2g/l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마무리세트를 행하였다. 또한, 이 마무리 후의 생지를 피부면으로 되는 프론트면에 기모가공을 행하였다.
얻어진 편성포는, 발열에너지 지수가 13,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가 0.055, 또 파열강력이 0.53㎫, 마찰대전압이 2.1㎸, 밀도가 35웨일/2.54㎝, 44코스/2.54㎝, 단위중량이 80g/㎡이었다.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부인용 재킷의 안감에 봉제하여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또 움직이기 쉬운 안감으로서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도 2의 편방도에 나타내는 계 8급사구로 이루어지는 편조직의 4급사구 F2,F4, F6, F8의 편성포 표면측 구성사(나)에 아크릴방적사 1/52를, 다른 4급사구 F1, F3, F5, F7의 편성포 이면측(피부면측) 구성사(가)에 나일론 필라멘트 가공사 155데시텍스 48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22G의 양면 환편기로, 이면측 허니컴리버시블 편조직으로 되는 환편지를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를 행하였다. 또한, 이 염색·건조후의 생지를,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 건조시켰다.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0,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 0.078, 또 세로방향의 신장율이 48%, 신장회복율이 72%, 가로방향의 신장율이 65%, 신장회복율이 82%, 파열강력이 0.54㎫이었다.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가로방향이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되도록 본 발명의 무릎용 서포터를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또 움직이기 쉬운 서포터로서 우수한 것이라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5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9
종사 및 횡사 모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하고, 세로밀도 110개/in, 가로밀도를 80개/in으로 마무리한 평직물을 겉감으로 하고, 다음에 섬유구조물로서 단사 섬유섬도 7.2dtex, 섬유길이 64㎜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지는 단위중량 200g/㎡의 웨브에, 처방 2의 처리액을 스프레이로 부착율 100중량%로 되도록 내뿜은 후, 120℃에서 2분간 예비건조하였다. 그 후,180℃에서 1분간 열처리하여 섬유 표면에 실리카입자를 고착시킨 발열에너지 지수 22의 안솜을 얻었다.
여기에 사용한 실리카입자는 평군입자지름이 2.7㎛, 평균비표면적이 500㎡/g인 것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한 새틴트리콧의 컷기모품에 대하여 처방 3의 조성의 처리액으로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간 건조시켰다.(처방 3)
건조 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5의 안감을 얻었다. 상기 겉감, 안솜, 안감을 사용하여 이불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77dtex의 나일론필라멘트얀으로 구성된 나일론태피터에, 불소계 발수제로 발수처리를 행하였다. 즉, 발수제 아사히가드 AG710(메이세이카가쿠(주) 제품)을 3중량% 함유한 수분산액에 상기 태피터를 침적하고, 조임율 40%로 픽업하여 히트섹터로 130℃×30초의 건조열처리를 실시한 후 170℃에서 1분간 건조처리하였다. 다음에, 처방 1로 나타내는 조성의 폴리우레탄용액을 나이프오버롤코터를 사용하여 클리어런스 200μ로 도공하고, 이어서 80℃로 열풍건조하여 투습도가 4800g/㎡·24hr의 무공질막 투습성 방수가공 겉감을 얻었다.
다음에, 두께 10㎜의 라텍스스폰지에 처방 2의 처리액을 스프레이로 부착율 100중량%로 되도록 내뿜은 후, 120℃에서 2분간 예비건조하였다. 그 후, 160℃에서1분간 열처리하고, 섬유 표면에 실리카입자를 고착시킨 발열에너지 지수 20의 속 스폰지를 얻었다.
여기에 사용한 실리카입자는 평균입자지름이 2.7㎛, 평균비표면적이 500㎡/g의 입자이다. 또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한 새틴트리콧의 컷기모품에 대하여 처방 3의 처리액으로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5의 안감을 얻었다. 상기 겉감, 속스폰지, 안감과 따로 준비한 부다디엔고무로 이루어지는 밑창을 사용하여 신발을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77dtex의 나일론필라멘트얀으로 구성된 나일론태피터에, 불소계 발수제로 발수처리를 행하였다. 즉, 발수제 아사히가드 AG710(메이세이카가쿠(주) 제품)을 3중량% 함유한 수분산액에 상기 태피터를 침적하고, 조임율 40%로 픽업하여 히트섹터로 130℃×30초의 건조열처리를 실시한 후 170℃에서 1분간 건조처리하였다. 다음에, 처방 1로 나타내는 조성의 폴리우레탄용액을 나이프오버롤코터를 사용하여 클리어런스 200μ로 도공하고, 이어서 80℃로 열풍건조하여 투습도가 4800g/㎡·24hr의 무공질막 투습성 방수가공 겉감을 얻었다.
다음에, 섬유구조물로서, 단사 섬유섬도 7.2dtex, 섬유길이 64㎜인 폴리우레탄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지는 단위중량 80g/㎡의 웨브에 처방 2의 처리액을스프레이로 부착율 100중량%로 되도록 내뿜은 후, 120℃에서 2분간 예비건조하였다. 그 후, 180℃에서 1분간 열처리하고, 섬유 표면에 실리카입자를 고착시킨 발열에너지 지수 22의 안솜을 얻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한 새틴트리콧의 컷기모품에 대하여, 처방 3의 처리액에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20℃, 2분 건조시켰다.
건조후 즉시, 105℃의 가열스티머로 5분간 처리하고, 냉온수로 세정, 건조하였다. 이어서, 건조기에서 170℃, 1분으로 세트하여 발열에너지 지수 15의 안감을 얻었다. 상기 겉감, 안솜, 안감을 사용하여 장갑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직물에 대하여, 실시예 5기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한 후, 처방 6의 처리액에 더 침적한 후, 픽업율 80%로 설정한 맹글로 짜고 건조기로 150℃, 2분 건조시켰다.
<처방 6>
적외선 방사세라믹(지르코니아) 미립자 30g/l
바인더(실리콘계 수지)
KT7014(고형분 40%)(타카마츠유시(주)제품) 60g/l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운동복으로서 긴소매 T셔츠를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또 피부촉감, 운동시의 드라이감에도 우수한 것이라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실시예 13
습식 방사법에 의해서 방사, 연신, 물세정된 아크릴섬유에 대하여 일반식 Ⅲ(R=CH3, R1=OCH3, l=23, m=0)의 화합물을, 0.2중량% 섬유에 부착시키고, 건조치밀화처리, 스팀처리, 건조공정을 거쳐, 섬유에 대하여 강고하게 부착시켜, 2.2dtex의 아크릴 스테이플로 하고,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을 갖는 1/60의 아크릴방적사를 얻었다. 이 방적사를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표면측 구성사(나)를 사용하여, 동일한 염색가공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일한 무릎용 서포터를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따뜻하고, 또 움직이기 쉬운 서포터로서 우수한 것이라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5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겉감과, 실시예 1의 안솜의 가공시에 실리카입자를 제거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공한 안솜과, 종사 83dtex, 횡사 116dtex의 쿠프라 사용 태피터 안감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겉감과, 비교예 1에서 사용한 쿠프라 사용 태피터 안감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겉감을 사용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의 가공을 하지 않는 기모트리콧 안감을 접착한 3층의 투습방수가공품을 얻었다.
상기 투습방수가공품을 사용한 블루종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 처방 3의 가공이 없는 가로 2중조직 직물을 사용하여 블루종을 봉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에 5에서 얻은 것과 마찬가지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100%로 이루어지는 환편지를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 염색, 건조, 마무리세트를 행하였다. 이 편성포는 실시예 5와 같은 처방 5에 의한 가공이나, 기모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얻어진 편성포는, 발열에너지 지수가 1,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가 0.134, 또 적하흡수시간이 6.1초, 파열강력이 0.51㎫, 밀도가 38웨일/2.54㎝, 50코스/2.54㎝, 단위중량이 195g/㎡이었다.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긴소매 T셔츠를 봉제하고, 평가한 결과, 착용시의 따뜻함과 운동시의 드라이감이 떨어지고, 어느쪽이냐 하면 차가운 것이고 운동복으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6
인터록편조직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사 83데시텍스 36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22G의 양면 환편기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사 100%로 이루어지는 표리 플랫형상의 환편지를 편성하였다.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 마무리세트를 행하였다. 이 편성포는 실시예 6과 같은 처방 3에 의한 가공이나 기모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얻어진 편성포는 발열에너지 지수가 1,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이 0.141, 또 파열강력이 0.23㎫,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4㎜, 밀도가 38웨일/2.54㎝, 50코스/2.54㎝, 단위중량이 118g/㎡이었다.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속옷을 봉제하여 평가한 결과, 신체에 휘감겨 활동하기 어렵고, 따뜻함이 느껴지지 않으며, 어느쪽이냐 하면 차가운 것으로 속옷으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것이었다. 또, 찢어지기 쉬우며 기계강도에 약한 것이었다. 결과를 표 3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7
하프편조직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56데시텍스 36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사 100%로 이루어지는 표리 플랫형상의 경편지를 28G의 싱글트리콧기로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경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 마무리세트를 행하였다. 이 편성포는 실시예 7과 같은 처방 5에 의한 가공이나 기모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얻어진 편성포는 발열에너지 지수가 1, 이면측(피부면측)의 접촉온냉감(qmax)이 0.148, 또 파열강력이 0.55㎫, 마찰대전압이 9.4㎸, 밀도가 35웨일/2.54㎝, 45코스/2.54㎝, 단위중량이 76g/㎡이었다.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이 편성포를 사용하여 안감을 봉제하여 평가한 결과, 따뜻함이 느껴지지 않으며, 어느쪽이냐 하면 차가운 것이었다. 또, 신체에 휘감기는 느낌으로 움직이기 어렵고, 안감으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4에 아울러 나타낸다.
비교예 8
인터록 편조직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사 83데시텍스 36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20G의 양면 환편기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사 100%로 이루어지는 표리 플랫형상의 환편지를 편성하였다.
이 편성포를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법에 준하여, 릴렉스·정련과 염색 및 건조, 마무리세트를 행하였다. 이 편성포는 실시예 8과 같은 처방 3에 의한 가공이나 기모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비교예 9
실시예 9에서 사용한 겉감을 겉감과 안감에 사용하고, 실시예 10의 안솜의 가공시에 실리카입자를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가공한 안솜을 사용하여 이불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겉감과,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두께 10㎜의 라텍스스폰지를 실시예 10의 처리없이 속감으로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한 새틴트리콧(기모없음)을 안감으로 하여 실시예 11과 같이 신발을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겉감과, 실시예 11의 안솜의 가공시에 실리카입자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공한 안솜을, 종사·횡사에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83dtex-24F를 사용하고, 세로밀도 110개/in, 가로밀도 80개/in으로 마무리한 평직물을 안감으로 하여 장갑을 봉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방습방열 컨트롤성능을 갖는 직물층에 물분자 흡착성능을 갖는 직물을 적층함으로써, 또 피부와의 접촉면의 접촉온냉감을 저하시킨 본 발명의 보온성 구조체에 의해 물분자 흡착성능을 발휘하는 보온효과가 높은 보온성 섬유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이고, 접촉온냉감(qmax)이 0.1W/㎠ 이하인 물분자 흡착발열 직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투습도가 3000∼12000g/㎡·24hr의 범위에 있는 방습방열 컨트롤 직물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방습방열 컨트롤 직물층이 겉감이고 물분자 흡착방열 직물층이 안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발열에너지 지수가 5이상인 속감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방습방열 컨트롤 직물층을 치밀하게, 물분자 흡착발열 직물층을 거칠게 한 2중조직 직물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물분자 흡착발열 직물층이 편성포로 이루어지고, 편성포의 파열강력이 0.2㎫이상, 또한 마찰대전압이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밀도가 24∼85웨일/2.54㎝ 및 28∼130코스/2.54㎝이고, 또한 단위중량 60∼19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물분자 흡착발열 직물층은 표면에 흡습성 폴리머 및/또는 흡습성 미립자를 고착시킨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물분자 흡착발열 직물층이 축열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흡습성 폴리머로서 비닐술폰산 및 하기 일반식 [Ⅰ]
    (식중, X=H 또는 CH3, n=5∼40의 정수)
    및/또는 하기 일반식 [Ⅱ]
    (식중, X=H 또는 CH3, m+n은 10∼30의 정수)
    및/또는 하기 일반식 [Ⅲ]
    (R=H 또는 CH3, R1=Cl, Br, I, OCH3, OC2H5, SCH3, m=0∼9의 정수, l=10이상의 정수)
    로 표시되는 비닐모노머의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폴리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11. 제8항에 있어서, 흡습성 미립자가 실리카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섬유구조체.
  12. 편성포를 사용하고 있고, 적하흡수시간이 5초이하, 또한 파열강력이 0.29㎫이상인 제1항에 기재된 보온성 섬유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복.
  13. 제12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밀도가 22∼82웨일/2.54㎝ 및 24∼130코스/2.54㎝, 단위중량이 80∼33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복.
  14. 편성포를 사용하고 있고, 캔틸레버법에 의한 강연도가 5∼30㎜이고, 또한 파열강력이 0.25㎫이상인 제1항에 기재된 보온성 구조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
  15. 제9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밀도가 22∼85웨일/2.54㎝ 및 24∼138코스/2.54㎝이고, 단위중량이 80∼33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
  16. 제1항에 기재된 보온성 섬유구조체이고, 또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중 한쪽의 신장율이 50%이상, 신장회복율이 60%이상, 파열강력이 0.29㎫이상인 편성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17. 제3항에 기재된 보온성 구조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부자리.
  18. 제4항에 기재된 보온성 구조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부자리.
  19. 제18항에 있어서, 물분자 흡착발열성능층 및 안솜이, 표면에 흡습성 폴리머 및/또는 흡습성 미립자를 고착시킨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부자리.
  20. 제1항에 기재된 보온성 섬유구조체와, 투습도가 12000g/㎡·24hr 이하인 방습방열 컨트롤층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신발.
  21. 제3항에 기재된 보온성 구조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장갑.
KR1020027006876A 2000-09-29 2001-09-26 보온성 섬유구조체 KR100821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8989 2000-09-29
JPJP-P-2000-00298989 2000-09-29
JPJP-P-2000-00342821 2000-11-10
JP2000342821 2000-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952A true KR20020062952A (ko) 2002-07-31
KR100821281B1 KR100821281B1 (ko) 2008-04-10

Family

ID=2660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76A KR100821281B1 (ko) 2000-09-29 2001-09-26 보온성 섬유구조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068949A1 (ko)
EP (1) EP1260355A4 (ko)
KR (1) KR100821281B1 (ko)
CN (1) CN1207141C (ko)
CA (1) CA2392718A1 (ko)
HK (1) HK1051984A1 (ko)
NO (1) NO20022524L (ko)
TW (1) TWI229037B (ko)
WO (1) WO2002028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4507D0 (en) * 2001-10-12 2001-12-05 Viktor Achter Ltd Composite foam backed fabric
US20100167617A1 (en) * 2006-08-09 2010-07-01 Toray Industries, Inc., a corporation of Japan, Water-permeability stretch knitted fabric
US20080120761A1 (en) * 2006-08-31 2008-05-29 Kaiyuan Yang Thermal Moderating Donnable Elastic Articles
US20110061269A1 (en) * 2009-09-11 2011-03-17 Wolverine World Wide, Inc. Water barrier for footwear
KR101603126B1 (ko) * 2011-11-01 2016-03-14 니뽄 고아 가부시끼가이샤 적층체 포백
CN102631034B (zh) * 2012-04-23 2014-06-25 杭州笑雪服饰有限公司 一种羊绒、羊毛衫保暖内衣制作方法
CN103371544A (zh) * 2012-04-23 2013-10-30 王伟光 吸湿排汗干爽服
CN102963041A (zh) * 2012-12-19 2013-03-13 泉州维林森体育用品有限公司 高密细针功能布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US20200196700A1 (en) * 2013-04-19 2020-06-25 Adidas Ag Sho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CN105019102B (zh) * 2014-04-25 2017-08-25 福懋兴业股份有限公司 温度调节布料
CN104188218B (zh) * 2014-09-23 2016-01-27 常州普嘉贝尔服饰有限公司 自适应服装面料及服装制作方法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GR1009117B (el) * 2015-04-06 2017-09-18 Γεωργιος Εμμανουηλ Ψιψικας Ενδυματα εφαπτομενα στο δερμα παραγομενα απο υφασμα επικαλυμμενο απο συνθετο υλικο που βασιζεται σε οξειδια μεταλλων και ανοργανο υλικο
WO2016191203A1 (en) 2015-05-22 2016-12-01 Primaloft, Inc. Self-warming insulation
US10799390B2 (en) * 2015-08-03 2020-10-13 New York Knitworks, Llc Energy harvesting, heat managing, multi-effect therapeutic garment
US11141008B2 (en) * 2016-02-24 2021-10-12 SmartSnugg IP Pty Ltd Sleeping bag for infants and children
USD886928S1 (en) 2016-08-19 2020-06-09 James C. Van Loon, III Lacrosse mesh
US20180317594A1 (en) * 2017-05-05 2018-11-08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a surface area formed with high-tenacity yarn
US11458711B2 (en) 2017-11-22 2022-10-04 Teijin Frontier Co., Ltd. Fabric having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iber product
EP3717684A4 (en) * 2017-11-28 2021-08-11 New York Knitworks, LLC MULTI-EFFECT WOVEN FABRIC FOR ENERGY COLLECTION AND HEAT MANAGEMENT
CN111778616A (zh) * 2020-06-24 2020-10-16 安徽丽达制衣有限公司 一种校服用聚酰亚胺阻燃抗菌面料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7525A3 (en) * 1981-10-15 1984-08-22 Sakashita Co., Ltd. Sweat-absorbent textile fabric
US4510194A (en) * 1982-04-28 1985-04-09 Asahi Kasei Textiles Ltd. Heat-retaining moisture-transmissible water-resistant fabric
JPH0397970A (ja) * 1989-09-07 1991-04-23 Teijin Ltd 吸放湿性防水コーティング布帛
JPH0759762B2 (ja) * 1993-04-05 1995-06-28 美津濃株式会社 吸放湿吸水発熱性保温品
JPH0931796A (ja) * 1995-07-18 1997-02-04 Toyobo Co Ltd 編織物
JP3691116B2 (ja) * 1995-07-27 2005-08-31 ユニチカ株式会社 保温性水着用編地
JP3518148B2 (ja) * 1996-03-21 2004-04-12 東レ株式会社 吸湿性繊維構造物
JP3341985B2 (ja) * 1998-01-28 2002-11-05 東洋紡績株式会社 保温性透湿防水布帛
US6046119A (en) * 1998-01-28 2000-04-04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retaining,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s
EP0933467B1 (en) * 1998-01-28 2004-08-2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Heat-retaining,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s
JP3264366B2 (ja) * 1998-03-18 2002-03-11 グンゼ株式会社 保温衣料およびその加工法
DE69839247D1 (de) * 1998-06-24 2008-04-24 Nihon Deshikanto K K Feuchtigkeit absorbierendes und abgebendes, wärmeerzeugendes innentuch herstellungsverfahren und artikel
JP3055821U (ja) * 1998-07-13 1999-01-29 有限会社藤原興産 保温性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281B1 (ko) 2008-04-10
TWI229037B (en) 2005-03-11
US20030068949A1 (en) 2003-04-10
CN1207141C (zh) 2005-06-22
NO20022524D0 (no) 2002-05-28
HK1051984A1 (en) 2003-08-29
NO20022524L (no) 2002-05-28
CA2392718A1 (en) 2002-04-11
WO2002028633A1 (fr) 2002-04-11
CN1392833A (zh) 2003-01-22
EP1260355A4 (en) 2007-07-11
EP1260355A1 (en)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81B1 (ko) 보온성 섬유구조체
KR102009493B1 (ko)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
KR102059734B1 (ko) 정합성 저밀도 플루오로중합체 섬유 혼방을 함유하는 직물
JP3772423B2 (ja) 編地および運動用衣服
JP4390514B2 (ja) 多層構造編地
JP4023170B2 (ja) 運動着
JP2005105442A (ja) 多層構造編地
JP2002180308A (ja) 保温衣料
JP3426486B2 (ja) ポリエステル清涼織物および衣服
JP3900894B2 (ja) 高吸湿保温性繊維構造物
JPS6229500Y2 (ko)
US6524349B2 (en) Maintaining the hydrophobicity of a polyolefin textile
JPS5921744A (ja) 二重編織物
JP4529291B2 (ja) 肌着
JPS6229499Y2 (ko)
JPH0418103A (ja) 防寒被服セット
JP2003096603A (ja) ホームウエア
JPS6328984A (ja) 透湿防水性立毛布帛
JPH03152235A (ja) 防寒用布帛
JPH04272257A (ja) 清涼性に優れた布帛
JPS6229498Y2 (ko)
CN115584593A (zh) 一种多功能面料及其生产工艺与应用
JPH03206104A (ja) 防寒用下着
JPH01207407A (ja) 速乾性衣服
JPH035859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