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646A -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 - Google Patents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646A
KR20020059646A KR1020027005321A KR20027005321A KR20020059646A KR 20020059646 A KR20020059646 A KR 20020059646A KR 1020027005321 A KR1020027005321 A KR 1020027005321A KR 20027005321 A KR20027005321 A KR 20027005321A KR 20020059646 A KR20020059646 A KR 2002005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waiting
waiting area
vehicl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디에 망다르
Original Assignee
로르 로베르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로베르,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로베르
Publication of KR2002005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6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00Static structures, e.g. buildings
    • Y10S52/17Static structures, e.g. buildings with transparent walls or roof, e.g. sun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로 바로 옆에 위치하는 인도(2)에 설치하고자 하는 대기실(1)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측면에 보호벽(29)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기실로의 접근은 측면에 의해 또는 후면에 의해 이루어진다. 내부 공간은 단시간 대기 구역(14)에 이어서 장시간 대기 구역(13)으로 나뉘어 있다. 이러한 대기실은 교통 수단의 정차시 차량의 접근 입구 위치를 형성하는 문턱(22)상에서 도로쪽으로 통하는 승하차용 통로를 포함한다. 문턱(22)에는 대기실의 지붕(9)을 연장시키고 출입구 정도에서 자동차의 위로 돌출된 차양(25)이 장착되어 있고, 운송 수단으로의 보호된 접근 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시계획자 및 도심 철도차량 및 대중 교통 수단의 제조업자와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WAITING AND BOARDING-DISEMBARKING STATION FOR URBAN PUBLIC TRANSPORT}
도심 대중 교통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불특정의 여정의 여러 정류장에서 대기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몇몇의 승하차장이 미래의 승객의 안락감을 도모코저 대기실에 배치된다.
사람의 도심 수송 일주에 예정된 도심 대기실에는 여러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대기실내의 여행객에게 악천후에 대비한 보호책을 제공하는 전면이 개방된 평행육면체 형태의 휴게소 형태를 띤다. 이러한 휴게소는 특히 프랑스 특허 제2,720,431호, 동제2,720,432호, 동제2,727,444호 및 동제2,727,445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대피소는 대기중인 여행객에게 더욱 제한된 보호를 제공하는 프랑스 특허 제2,642,87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측면 중 하나 그리고 후면만이 폐쇄되어 있다.
어떤 대기실은 그 의자 이외에도 장시간 대기자를 위하여 또는 여독에 지친 여행자 또는 장애인을 위한 의자 또는 벤치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면 프랑스 특허 제2,727,945호에 기재 및 예시되어 있는 대기실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기실은 장시간의 대기자에게는 적합하지가 않다. 대기실 내부의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여행자들은 불편한 혼잡 및 거추장스러움을 겪어야만 한다. 사실상,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 또는 하차하고자 하는 여행자 및 대기석에 앉아 있는 사람은 서로 불편함을 감내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공간이 1 이상의 장시간 대기 영역 및, 대중 교통 수단으로의 신속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통행 영역으로 분할되고 최적화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래서, 안락감 및 쾌적함이 상당히 증가되었으며, 여행자들은 서로 불편함을 감내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류장 내에서 대기 중에 그리고 대중 교통 수단으로 승차때까지 여행자에게 혼잡으로부터의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는 대기실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실상, 종래의 대기실로는 여행자가 서두르는 것을 방해하는 것과 환기가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승객은 승하차시 대중 교통 수단 및 휴게실 사이의 공간에 완전 노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 및 승하차 정류장은 혼잡으로부터 차단된 오로지 승하차 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입구 정도의 높이에서 대중 교통 수단의 위로 돌출되고 정류장 지붕으로부터 연장된 차양 구조체를 포함한다.
게다가, 장시간 대기 영역내에 있는 대기 중인 승객은 더 잘 보호되며, 이는 종래의 휴게실보다 더 잘 분리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정류장은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이는 정류장내의 대기중인승객과 차도 사이의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도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된다.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정류장의 후면과 가옥 또는 건물의 입구 사이의 개방 공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종래의 장류장 및 휴게실이 보행자의 경로에서 장애물이 되어 정류장의 후면에 있는 제한된 공간에서 통행의 길을 터주는 것이 곤란한 좁은 도로에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보행자를 위한 좁은 통행로에서의 장애 또는 높은 밀도의 경우 정류장의 앞에서 우회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무모하거나 또는 무의식중의 보행자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사망에 이르고 그리고 대기중인 이용자를 거북스럽게 할 수도 있다.
종래의 정류장 및 휴게실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은 대중 교통 수단에 의해 차지하는 도로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뒤쪽에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최대의 공간을 남긴다. 정류장에서의 대기중인 여행자는 차도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정류장의 전면을 폐쇄하는 보호벽으로 인해서 통행으로부터의 위험을 완전히 차단한다. 이러한 보호벽은 또한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해 마련된 도로로 접근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류장의 내부에서 대기중인 여행자는 교통 수단에 접근하기 위해 차도상에서 더이상 걷지 못하게 된다. 여행자들은 승하차 입구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따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즉시 인도에 승차하기 위해 인도에 도착한 사람과 교통 수단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들은 정류장의 진입을 위한 입구와 승하차 입구를 연결하는 경로를 이용하여 정류장을 가로지르는 것을 강하게 부추기며, 차도를 가로지르는데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여행자의 안전이 강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심 교통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의 제1의 실시태양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의 제1의 실시태양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대기실의 승하차의 덮인 입구 높이에서의 대중 교통 수단의 정차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제1의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좁은 인도 또는 통행이 많은 인도에 설치하고자 하는 특수한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제2의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2 개의 장시간 대기 영역 및 차량으로의 3 개의 접근 입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제3의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2 개의 장시간 대기 영역 및, 상이한 대중 교통 수단 2 개에 접근할 수 있는 정류장의 양쪽에 위치하는 승하차용 입구 4 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제4의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대중 교통 수단과 정류장 사이 그리고, 대중 교통 수단과 정류장 횡단 경로 사이에서 여행자의 안전 궤도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제1의 실시태양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은 다소 대규모의 대중에 둘러싸인 사람의 대중 교통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각종의 실시태양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러 도면에 도시된 등가의 부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기하였다. 이러한 변형예는 각종의 변형예, 수정예 또는 부가예로부터 크기의 변형에 의해 서로 연관되어 있다.그렇지만, 일반적이고 필수적인 기능은 동일하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기본 변형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기본 변형예에 의하면, 대기실(1)은 대중 교통 수단(4)을 통행시킬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로(3)에 인접한 인도(2)에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교통 수단(4)은 어떠한 것이나 가능하다. 이는 승객 수송을 위한 버스, 관광 버스, 자동 유도되는 도로용 자동차 또는 기타의 도심 교통 수단 등이 있다. 차도(3)는 자동차 순환을 위한 통상의 차도가 될 수 있다. 차도는 대중 교통 수단(4)의 통행에 필요한 시설, 예컨대 순환 또는 안내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비는 본 발명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여러 도면에도 도시하지 않았다. 차도(3)는 대중 교통 차도와 인접한 승강장을 구성하는 인도(2) 및 도심 교통 수단의 순환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제1의 구체예에서 대기실(1)은 대개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띤다.
이러한 대기실은 정류장의 외부면의 높이에 배치된 거의 수직의 골조 또는 버팀목의 다수의 기둥 또는 말뚝(6)을 포함하는 금속 철골(5)을 지녀 정류장의 내부 공간(7)을 구획한다. 이러한 기둥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가 6이 된다. 이러한 기둥(6)의 사이에 대기중인 여행자를 위해 폐쇄된 휴게실을 구성하기 위하여 정류장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수직벽(8)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벽(8)은 외부에 가시도를 제공하며 광이 입사되도록 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 판으로 이루어진다. 판(8)은 예를 들면 대중 교통 수단의 시간, 운임표 또는 노정에 관하여 승객에게 제공하는 정보 문서 또는 광고 게시판을 위한 지지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정류장의 내부는 버팀목(6)의 기둥 사이에서 정류장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 금속 버팀목(10)상에서 지지되며, 거의 수평면에 위치하고 대들보(10)에 수직인 금속 횡방향 조립체(11)를 포함하는 지붕 구조체(9)에 의해 보호된다. 정류장의 지붕 구조체(9)는 또한 투명 플라스틱 소재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변형예에 의한 정류장의 내부 공간(7)은 장시간 대기 영역(13) 및 단시간 대기 영역(14)으로 분할되어 있다.
장시간 대기 영역(13)은 이의 3 개의 면에서 벽(8)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대기실의 내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영역은 특히 대기실내의 여행자를 혼잡, 추위, 바람, 도심 소음으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하여 보호된다. 이러한 영역은 승객의 대기 상태를 개선시키도록 설비되어 있다. 또한, 이는 예를 들면 승객들이 개인적인 업무를 볼 수 있는 테두리 또는 작업대(18), 개별 의자(15), 벤치(16), 좌골 지지 보호대(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역에는 정보 게시판, 승차권의 구입 및 교부 및/또는 스탬프, 음료, 음식물, 지폐 또는 동전 분배기 또는, 승객에게 유용한 상호작용 또는 단순한 모든 장치 또는 승객의 대기를 보다 쾌적하게 하는 모든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영역은 대중 교통 수단에서의 승차를 위하여 인내를 강요받았던 승객에게 보다 안락하고 유용한 대기실이 되도록 한다. 또한, 이는 피로에 지친 관광객 그리고 산책자에게 수분간 휴식을 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안히 앉도록 할 수 있는, 도심 경관에서 완전 통합되고 보호된 휴식 장소 또는 만남의 장소를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 및 승하차의 정류장(1)은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할 채비가 된 승객을 맞아들이기 위해 설치된 단시간 대기 영역(14)을 포함한다. 사실상, 이러한 단시간 대기 영역은 장시간 대기 영역(13)보다 거추장스러운 설치가 훨씬 적다. 이러한 영역은 의자는 포함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수직 기둥(6), 수평 바아(21) 또는 벽(8)에 배치된 핸드레일형의 손잡이 및 줄의 구조체(20), 좌골 지지 보호대(17)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여행자는 장시간 대기 영역(13)내의 여행자에 의해 거추장스럽게 되지 않고 그리고 이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대중 교통 수단(4)으로 승차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회전 팔걸이 의자, 유모차, 기타의 어린이용 운송 수단, 여행용 가방 또는 기타의 모든 목적 또는 혼잡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단시간 대기 영역(14)은 장애물이 없으며, 번잡스러운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영역은 지면의 표시에 의해 구체화된 횡방향 통로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는 정류장의 동체와 차량 또는 승하차 문턱(22) 사이의 중간 공간(22)에 의해 도로쪽으로 연속되어 있는데, 이는 도로(3)의 모서리에 정류장의 지면(24)의 횡방향 돌출부(23)를 이루며 인도(2)의 연장, 지붕 및, 나가고 들어오는 승객의 흐름의 측면 보호 및 안내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 입구로의 접근은 동일한 높이에서 이루어져서, 모든 승객의 승차 및 하차를 도우며, 특히 노인, 장애인, 어린이 동반자 또는 무겁거나 또는 부피가 큰 짐을 진 수송자에게 특히 이롭다.
이러한 돌출부(23)는 정류장에 대중 교통 수단이 정차하는 동안 입구 및 출구의 위치를 구체화한다.
중간 공간(22)은 입구의 양쪽에서 보호 및 안내의 구조체 또는 수단의 경계를 이룬다.
승하차의 입구 또는 중간 공간(22)은 상부에서 닫히고, 안쪽으로 구부러진 형태에 의한 정류장의 지붕(9)에서 국부적으로 상승, 연장된 차양 구조체(25)에 의해 교통 수단까지 보호된다. 대중 교통 수단(4)이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의 높이에서 정지하는 경우, 차양(25)의 외측 단부(26)는, 승객이 교통 수단에 들어가고 그리고 승객이 빠져나올 때까지 혼잡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입구의 높이에서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이와 같은 이로운 특징은 특히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은 도로에 접근하는 종방향 분리에 의해 승하차의 중간 공간(22)까지 도로 또는 차도(3)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전면에서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대기실의 전면 종방향 측벽을 형성하는 분리는 도로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정류장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이는 예를 들면 장시간 대기 영역 및 단시간 대기 영역에서 대기중인 승객을 흙탕물 및 통행의 위험성으로부터보호하고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도로를 분리하는 종방향 보호 측벽(29)으로 이루어진 수직판(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벽(29)에 의하여, 정류장의 내부에서 대기중인 승객은 도로의 외부면에서 더이상 기다리지 않아도 되며, 안전성을 보강하면서 차량으로의 접근을 위한 승차 문턱(22)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벽은 또한 도로에 더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가장자리를 제한하게 되는 도로 전면상에서 매우 좁은 영역을 남기게 되어 정류장의 후면에 보충의 공간을 끌어낼 수가 있게 된다.
대기실은 단시간 대기 영역(14)을 통과하는 인도(2)에서 승객이 보행할 수 있는 주출입구(27)를 이의 후면에 포함한다. 이러한 주출입구(27)는 승하차 보호 문턱(22)면에 위치하여 예를 들면 바닥에서의 표시에 의하여 구체화될 수 있는, 안전하고 편리한 횡단 내부 접근로(28)에 의해 인도(2)와 직접 소통된다. 승차시에 도착한 사람은 우회하지 않고서도 횡방향 정류장을 가로지르는 내부 접근로(28) 및 승차 문턱(22)을 이용하여 인도(2)에서 대중 교통 수단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대중 교통 수단에서 하차하여 떠나려는 승객은 출구(22)로부터 하차하고, 대기중인 승객, 시설물 또는 정류장 벽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내부 접근로(28)에 의하여 인도로 쉽게 돌아갈 수가 있다. 하차한 승객이 휴게실을 우회하여야만 하고, 때때로 길에서 무모하게 도보하도록 하는 종래의 버스 휴게소에서 자주 발생하는 불편이 배제된다.
정류장, 인도 또는 차량의 내부로 들어오는 승객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직접 내부 접근로(28)를 이용하여 이들 내부로 유도된다. 입구를 통과하는 승객을 억제하고 그리고 도울 수 있는 거추장스러운 장애물을 구성하기 위하여 긴 승차 문턱(22)을 부가할 수 있는, 지지 및 안내 구조체 (20), 장애물, 난간과 같은 설치물 그리고, 정류장과 도로 사이에 존재하는 매우 좁은 가장자리의 전방부에 의하여 승객이 정류장을 우회하는 것을 포기하게 된다.
정류장의 내부와 대중 교통 수단 사이 그리고, 인도와 대중 교통 수단 사이의 승객의 안전한 동선은 도 8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의 제2의 구체예를 도시하는데, 특히 이는 보행자에 의해 자주 영역 내에서 또는 약간 큰 인도에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2의 구체예에 의한 대기실은 전술한 것과 유사한 대개 평행육면체인 구조를 지닌다. 또한, 이의 내부 공간(7)은 장시간 대기 영역(13)과 단시간 대기 영역(14)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단시간 대기 영역(14)은, 정류장을 가로지르는 내부 접근로(28)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대중 교통 수단(4)에 인도(2)를 직접 연결한, 차양(25)에 의해 덮히는 승하차 중간 공간 또는 문턱(22)의 전면에 그리고 입구(27)의 후면에 있다.
인도를 통행하고자 하는 보행자를 위한 장애물을 구성하지 않기 위하여, 이러한 유형의 구체예에 의한 정류장의 양측면 각각은 대기실의 내부에 보행자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구(30)를 포함한다. 보행자는 우회하지 않고, 그리고 대기중인 승객을 방해하거나 또는 승객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도 대기실을 통과하고,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다른쪽으로 다시 나갈 수 있다. 또한, 보행자는 순환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서도 대기실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정류장을 가로지르는 보행자의진행은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장시간 대기 영역의 측면은 측면 출구(30)에도 불구하고, 벽의 부분(31)에 의하여 가장자리 중 하나에서 부분적으로 닫혀 있다. 이러한 벽 부분은 장시간 대기 영역의 의자(15), 벤치 및 기타의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벽에 대하여 정류장의 종방향면 중 하나를 덮고 있다.
그와 반대로, 측면의 개방된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종방향면은 의자 등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대기실을 가로지르는 보행자의 통행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또는 혼잡시 서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유형의 정류장의 개선된 구조 및 설비로 인하여, 대기중인 승객은 측면 입구(30)에도 불구하고 혼잡으로부터 비교적 보호되며, 정류장을 자유롭게 가로지를 수 있는 보행자의 통과에 의하여 방해받지도 않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구체예는, 정류장을 차도에 가능한한 가깝게 함에도 불구하고, 빌딩과 정류장 사이의 인도에서의 자유로운 통과가 여전히 좁을 경우, 또는 이러한 통과시 운집한 보행자가 염려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보행자의 대기실 횡단 가능으로 인하여 도로에 의한 정류장의 위험한 우회가 배제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에 의하여 전술한 것의 또다른 2 종의 구체예 유형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필수 특징부는 동일하다. 이러한 또다른 2 개의 변형예는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변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체예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하면, 다수의 다른 대기 영역 및 승하차 입구를 종방향또는 횡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전술한 기본 정류장에 부가하였다.
특히 승객이 많이 운집한 영역을 위한 도 6에 도시한 변형예는 예를 들면 다수의 여러가지 대중 교통 수단에 또는 동일한 교통 수단의 다수의 출입구에 승객이 동시에 접근하도록 대중 교통 수단이 정차시 이의 출구의 위치를 구체화하는 차양을 갖는 3 개의 승하차 문턱(22)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동일한 도심형 교통 수단의 연속적인 3 개의 차량에 해당하는 3 개의 입구에 동시에 접근이 가능하다.
전술한 것보다 더 긴 이와 같은 정류장은 전술한 것과 같은 다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제1의 승차 문턱(22), 장시간 대기의 횡단 영역(13), 단시간 대기의 소영역(14), 제2의 승차 문턱(22), 제2의 단시간 대기의 소영역(14), 장시간 대기의 폐쇄 영역(13) 및 제3의 승차 문턱(22)을 연속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대기실은 3 개의 내부 접근로(28)에 의해 대중 교통 수단으로 인도에 직접 접근이 가능한 각각의 승차 문턱(22)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3 개의 입구(27)를 이의 후면에 포함한다.
도 7의 구체예는 도 6과 동일하나, 장시간 대기 횡단 영역(13) 및 승하차 문턱(2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정류장은 4 개의 입구/출구에 2 개의 혼합형 통과를 포함하는 혼합형 정류장을 부가하며, 이들 중 2 개는 정류장을 따라 뻗어 있는 철로에 위치하는 단순 정류장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변형예의 제2의 장시간 대기 영역(13) 및 제3의 승차 문턱(22)에 연결된 2 개의 보충 부재에 의한 이와 같은 부가는 용량이 큰 정류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횡방향의 정류장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구체예는 방향 변경 또는 회로 연결점, 환승 영역 내에서 대중 교통수단에 의해 이용되는 2 개의 철로 사이의 중앙 인도에 특수하게 설치되는 정류장에 특히 적합하다. 사실상, 마지막 2 개의 승차 문턱(22)은 연장부에서 서로 서로 통하며, 중앙 인도의 양쪽으로 연장된 2 개의 철로에 동시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승객은 예를 들면 환승 범위내에서 다수의 대중 교통 수단에 승차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구체예는 각각의 대중 교통 수단의 라인의 정차를 위한 단일의 대기실 및 이러한 라인상에서 대중 교통 수단의 통행의 2 가지의 방향에 해당하는 2 개의 휴게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확장형 대기실은 다수의 도심 대중 교통 라인을 위한 정차 지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류장은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으며, 정류장을 가로지르는 보행자의 진행 경로는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보행자는 우회하지 않아도 되며, 정류장을 횡단하는데 조금도 위험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필요 또는 희망에 부응하도록 원하는 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1 이상의 장시간 대기 영역, 또는 단시간 대기 영역 그리고 1 이상의 차량 접근 입구를 종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부가할 수 있다. 비품 및 실내 장치도 마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변형예, 부가예 또는 감축예로부터 생성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정류장의 필수 특징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좁은 인도에 또는 보행자 통행량이 높은 인도에 설치하기에 특히 적절한 실시양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정류장은, 보행자가 정류장내에서 통과하고 통행으로부터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횡단할 수 있는 후면상에 및/또는 1 이상의 측면상에 입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류장의 개선된 정돈 및 구조로 인해서, 이와 같은 유형의 정류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여행자는 입구에도 불구하고 혼란으로부터 보호되며, 보행자의 통행에 의해서도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대기 및 승하차 정류장은 차도의 바로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정류장은 여행자를 보호하고 차도상에서의 보행자의 통행에 대향되도록 하기 위해 전면에 보호벽을 포함한다. 정류장 입구의 개방은 정류장의 내부로는 뚫려 있으나 길쪽으로 뚫려 있지 않은, 내부 공간의 3 개의 면이 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장시간 대기 영역 및, 도심 교통 수단에 보호된 접근이 가능한 승하차용 입구와 정류장 내의 입구를 포함하는 단시간 대기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시간 대기 영역은 특히 추위, 바람 및 혼란으로부터 대기중인 여행자를 격리시키기 위해 보호될 뿐 아니라, 도심의 소음도 차단한다. 이 영역은 또한 흙탕물 그리고 통행으로부터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대기가 여행자에게 보다 상쾌한 것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영역은 예를 들면 개별 의자, 벤치, 좌골지지 보호대, 테이블, 정보 게시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차 채비가 완료된 여행자를 수용하기 위한 단시간 대기 영역에는 통행의 장애물이 없다. 이는 의자가 없으나, 예를 들면 좌골 지지대 또는 지지용 손잡이 구조체 그리고 예를 들면 핸드레일형 줄(retenue)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장시간 대기 영역내의 여행자에 의해 거추장스럽게 되지 않고 그리고 이들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대중 교통 수단의 안팎에서 승차 및 하차를 위해 장애인을 위한 회전 팔걸이 의자, 유모차 및 기타의 어린이용 운송 수단 또는 기타의 모든 혼잡한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단시간 대기 영역은 여행자가 교통 수단내로 들어갈 때까지 그리고 반대로 정류장의 내부에서 나간 후까지 보호하기 위하여 정류장의 지붕으로부터 연장된 차양 구조체에 의하여 보호된 대중 교통 수단의 접근 입구 또는 중간 공간에 의해 지속된다.
본 발명에 의한 대기실은 변형가능하다. 이는 차량에 1 이상의 접근 입구를 포함하는, 1 이상의 기타의 장시간 또는 단시간의 대기 영역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은 예를 들면 차량문 각각을 위한 입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정류장은 횡방향으로 변형될 수도 있으며, 해당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라인상에서 또는 대향 방향으로 순환하는 다수의 대중 교통 수단에서 여행자가 원하는대로 승차할 수 있는 정류장의 각면에 접근 입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잇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교시 내용, 도면을 참고로 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도심 교통 수단에 승차하기 위하여 대기중인 사람에게 휴게실로 사용되는 내부 공간(7)을 구획하고 1 이상의 측벽판(8) 및 1 이상의 지붕 구조체판(9)을 지지하는 금속 철골(5)을 포함하는, 도심 교통 차량(4)의 통행로 또는 차도의 가장자리의 인도(2) 또는 승강장에 설치하고자 하는 승하차 및 대기용 정류장으로서,
    - 대기실내의 승객을 위한 다수의 대기 영역으로 분리된 내부 공간(7);
    - 대기 영역(들)의 경계를 이루며 도로(3)에 접근하는 종방향 측면 분리(29);
    - 차량의 정지시 차량 입구의 위치를 구체화하는 문턱(22)을 포함하는 안전 및 안내의 중간 공간내에서 입구에 의해 도로로 뚫려 있는 도로(3)에서 통행하는 도심 교통 수단과의 사이의 접근 통로로서, 이 접근 통로는 내부 접근로(28)가 정류장에 이르는 것인 접근 통로;
    - 정류장의 주출입구(27)를 구성하기 위하여, 정류장으로의 접근의 외부를 행한 입구 및 이의 출구는 1 또는 2 개의 측면상에 또는 후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2.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 측면 분리는 도로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정류장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는 보호벽(2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3. 제1항에 있어서, 중간 공간은 도심 교통 수단(4)에서의 입구까지 또는 이의 출구부터 승객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하여 차량까지 상부가 폐쇄되어 있는 것인 정류장.
  4. 제3항에 있어서, 중간 공간은 대기실의 지붕 구조체(9)의 연장을 구성하는 차양(25)에 의하여 상부가 폐쇄되어 있는 것인 정류장.
  5. 제4항에 있어서, 차양(25)의 외부 단부(26)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도록 정류장의 높이에서 차량 정차동안 적어도 1 이상의 문 높이에서 도심 교통 수단(4)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정류장.
  6. 제1항에 있어서, 중간 공간은 도로(3)상에서 정류장 바닥(24)의 돌출부(23) 형태를 띠는 승객의 접근 또는 배출을 위한 평평한 하부의 출구를 위해 정류장의 바닥과 같은 높이의 문턱(22)을 하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접근 통로 및 중간 공간은 차량에 승객을 보내도록 위치 포착 또는 안내 수단 및/또는 시그날에 의해 구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중간 공간은 문턱(22)의 양쪽에 보호 및 안내구조체 또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9. 제1항에 있어서, 정류장의 내부 공간(7)은 장시간 대기 영역(13) 및 단시간 대기 영역(14)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0. 제9항에 있어서, 장시간 대기 영역(13)은 3면에서 측벽(8)이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장시간 대기 영역(13)의 입구의 개방은 대기실의 내부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장시간 대기 영역(13)은 1 이상의 개별 의자(15) 및/또는 1 이상의 벤치(16)와 같은 비품에 의하여 승객의 대기가 더욱 쾌적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3. 제9항에 있어서, 단시간 대기 영역(14)은 거추장스러운 비품이 없으며, 번잡스러운 비품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4. 제1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내부 접근로(28)는 단시간 대기 영역(14)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5. 제1항에 있어서, 주출입구(27) 및 중간 공간은 단시간 대기 영역(14)의 2 개의 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정류장의 각각의 2 개의 측면은 보행자가 대기실의 종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는 측면 입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7. 제16항에 있어서, 장시간 대기 영역(13)의 측면은, 측면 입구(30)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대기 영역(13)의 종방향면 중 하나를 덮는 벽의 부분(31)에 의하여 가장자리 중 하나에서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8. 제1항에 있어서, 차량으로의 승객의 접근을 위한 입구로 기능하는 다수의 중간 공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19. 제18항에 있어서, 입구로 기능하는 중간 공간(22)은 이들 면중 2 개 이상에서 분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20. 제1항에 있어서, 정류장의 내부 공간(7)은 1 이상의 장시간 대기 영역(13) 및 1 이상의 단시간 대기 영역(14)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장.
KR1020027005321A 1999-10-25 2000-10-25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 KR20020059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13477A FR2800114B1 (fr) 1999-10-25 1999-10-25 Station d'attente et d'embarquement-debarquement pour transport en commun urbain
FR99/13477 1999-10-25
PCT/FR2000/002960 WO2001031143A1 (fr) 1999-10-25 2000-10-25 Station d'attente et d'embarquement-debarquement pour transport en commun urb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646A true KR20020059646A (ko) 2002-07-13

Family

ID=955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321A KR20020059646A (ko) 1999-10-25 2000-10-25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48703B1 (ko)
EP (1) EP1224367B1 (ko)
JP (1) JP2003517119A (ko)
KR (1) KR20020059646A (ko)
CN (1) CN1122132C (ko)
AT (1) ATE313674T1 (ko)
AU (1) AU1034101A (ko)
CA (1) CA2386680A1 (ko)
DE (1) DE60025020T2 (ko)
ES (1) ES2256051T3 (ko)
FR (1) FR2800114B1 (ko)
MX (1) MXPA02004120A (ko)
RU (1) RU2250332C2 (ko)
TR (1) TR200201127T2 (ko)
WO (1) WO20010311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9B1 (ko) * 2008-02-20 2010-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151B1 (fr) * 2002-08-01 2005-03-11 Jcdecaux Sa Mobilier urbain formant abri
FR2878513B1 (fr) * 2004-12-01 2007-01-26 Record Portes Automatiques Sa Installation permettant un tranfert d'objets ou de passagers entre un batiment et un vehicule automobile de maniere securisee
CN100398749C (zh) * 2005-08-11 2008-07-02 杜力 一种水平式进出车的设置方法
IL181178A0 (en) * 2007-02-05 2007-07-04 Oded Yerushalmi Apparatus for roofing a pedestrian crossing area
US8776457B2 (en) 2009-01-28 2014-07-15 Bryn Gough Magee Enhanced entranceway
JP4662389B1 (ja) * 2010-09-08 2011-03-30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ES1074348Y (es) * 2010-09-21 2011-07-14 Huerta Geraldo Rojo Marquesina de parada de autobus con medios de recarga de vehiculos electricos, servicios de internet y publicidad dinamica
ES2425641B1 (es) * 2012-01-12 2014-06-11 Isabel De Los Angeles SANCHEZ HERNANDEZ Marquesinas del transporte publico y diverso mobiliario urbano inteligentes
WO2014030033A1 (en) * 2012-08-21 2014-02-27 Afa Jcdecaux A/S Bus stop shelter
CN104163174A (zh) * 2014-08-06 2014-11-26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站台全封闭轨道外露式高架车站
CN104157163A (zh) * 2014-09-04 2014-11-19 攀枝花学院 公交站系统
RU2614159C1 (ru) * 2015-11-19 2017-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гту)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бусная остановка
CN107524317A (zh) * 2017-09-26 2017-12-29 商丘师范学院 一种城市化节能公交站台
CN108104511A (zh) * 2017-12-13 2018-06-01 安徽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公交站台的翻转式遮阳挡雨装置
CN108119027A (zh) * 2018-02-01 2018-06-05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二次绝缘功能的轨道交通站台门结构
CN108360847B (zh) * 2018-02-02 2020-01-21 武汉名骥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便于通行的便捷性高的智能公交站台
CN108286262A (zh) * 2018-03-08 2018-07-1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智轨列车地面车站基础结构、车站及施工方法
RU193471U1 (ru) * 2019-08-26 2019-10-3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ТР" Остановочный павильон
CN110528914B (zh) * 2019-08-30 2021-02-12 西安理工大学 可作为避难所的园林构造
USD1004134S1 (en) * 2020-01-28 2023-11-07 Gold Coast Bench, Inc. Shade structure
USD1010859S1 (en) * 2020-01-28 2024-01-09 Gold Coast Bench, Inc. Shade structure
CN111946108A (zh) * 2020-07-16 2020-11-17 中铁武汉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装配式的移动换乘岛结构
CN112227768A (zh) * 2020-10-13 2021-01-15 安徽引航人广告标识有限公司 一种用于公交站台的安装架及其使用方法
CN112593731A (zh) * 2020-10-29 2021-04-02 安徽天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防尘功能的智慧交通站台
DE102021110320B3 (de) * 2021-04-22 2022-07-07 Cambaum Gmbh Nachrüstbare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Leit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1566A (en) * 1947-11-15 1949-11-04 George Walter Young Swanson Improvements in street shelters
US3735536A (en) * 1971-05-07 1973-05-29 Plastetics Inc Bus stop shelter
US3762109A (en) * 1972-01-20 1973-10-02 A Cohen Bus shelters
US4167838A (en) * 1975-09-08 1979-09-18 Metheny Darrell H Portable buildings
US4018016A (en) * 1976-02-06 1977-04-19 Zale Theodore R Waiting station for buses
USD252215S (en) * 1977-10-11 1979-06-26 Benco Industries, Inc. Bus stop shelter
US4300299A (en) * 1980-05-01 1981-11-17 Almac Plastics Display unit
USD294300S (en) * 1985-04-15 1988-02-16 Hoelterhoff Robert E Bus stop shelter
JPH0343312Y2 (ko) * 1987-02-23 1991-09-11
JPH02225754A (ja) * 1988-11-29 1990-09-07 Denkoo Kk 屋根用プレート材の連接構造及びその工法
FR2642879B1 (fr) 1989-02-06 1993-01-22 Nice Transports Urbains Dispositif pour informer et guider les usagers de transports en commun d'un changement provisoire de trajet et du deplacement d'un arret
JP2546465Y2 (ja) * 1991-08-09 1997-09-03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バス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パネルの取付け構造
FR2720432B3 (fr) 1993-04-28 1996-04-05 Jpm Abri modulaire, notamment pour l'équipement d'arrêts de transport en commun.
FR2720431A3 (fr) 1993-04-28 1995-12-01 Jpm Abri modulaire, notamment pour l'équipement d'arrêts de transport en commun.
US5363608A (en) * 1993-06-28 1994-11-15 Conlan Michael D See-through bus stop shelter
FR2727445A1 (fr) 1994-11-28 1996-05-31 Via Transetude Point d'arret d'autobus
FR2727444A1 (fr) 1994-11-28 1996-05-31 Via Transetude Point d'arret d'autobus
FR2727945A1 (fr) 1994-12-08 1996-06-14 Decaux Jean Claude Dispositif comprenant un conteneur pour la collecte selective de rebuts predetermines
US5669307A (en) * 1996-02-01 1997-09-23 Cichy; Gerald R. Transportation vehicle having doors with doorsills at different levels
JPH10102799A (ja) * 1996-10-02 1998-04-21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バス停留所
US5986786A (en) * 1996-11-20 1999-11-16 Talking Signs, Inc. Passenger conveyance vehicles and systems utilizing the same
USD406352S (en) * 1997-04-21 1999-03-02 Wall Verkehrsanlagen Gmbh Bus stop she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09B1 (ko) * 2008-02-20 2010-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201127T2 (tr) 2003-01-21
CA2386680A1 (fr) 2001-05-03
MXPA02004120A (es) 2002-10-17
EP1224367B1 (fr) 2005-12-21
FR2800114B1 (fr) 2001-12-07
CN1379839A (zh) 2002-11-13
DE60025020T2 (de) 2006-11-09
WO2001031143A1 (fr) 2001-05-03
CN1122132C (zh) 2003-09-24
RU2250332C2 (ru) 2005-04-20
ES2256051T3 (es) 2006-07-16
ATE313674T1 (de) 2006-01-15
DE60025020D1 (de) 2006-01-26
JP2003517119A (ja) 2003-05-20
EP1224367A1 (fr) 2002-07-24
AU1034101A (en) 2001-05-08
FR2800114A1 (fr) 2001-04-27
US6748703B1 (en) 200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9646A (ko) 도심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대기 및 승하차용 정류장
US8915669B1 (en) Cross street transit and multimodal multi-level station and pedestrian-oriented interchange
US6209270B1 (en) Multilevel building with ramp
RU2002113664A (ru) Павильон для ожидания и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ов городского обществ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CN1342811A (zh) 带停车场分行式立体公路
EP1191186B1 (en) Tunnel for road transport
Steinfeld Universal design in mass transportation
KR20100021686A (ko) 자전거 고속도로
JP4541154B2 (ja) 多目的歩行者本位立体駐車場
US1694383A (en) Highway buildings
CN215244825U (zh) 微型单元列车客运系统
KR930007544B1 (ko) 다층도로 시스템
JP3418658B2 (ja) 乗客輸送設備
Muller Open-guideway personal rapid transit station options
Steinfeld The Built Environment
RU60470U1 (ru) Автобус i класса
JP2006214172A (ja) 屋根付き屋外駐車場
CN117266665A (zh) 一种大型航站楼无障碍停车系统
DE4230905C1 (ko)
Kumar et al. Accessibility to transit station in multi modal transport framework for Delhi
JPH10297852A (ja) 乗客輸送設備
CN117266666A (zh) 一种大型航站楼无障碍系统
RU35810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обще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ШЕРЕМЕТЬЕВО-2"
Stops et al. PART 7 STOP, STATION, AND TERMINAL CAPACITY
App et al. Functional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