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087A -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087A
KR20020053087A KR1020027006399A KR20027006399A KR20020053087A KR 20020053087 A KR20020053087 A KR 20020053087A KR 1020027006399 A KR1020027006399 A KR 1020027006399A KR 20027006399 A KR20027006399 A KR 20027006399A KR 20020053087 A KR20020053087 A KR 2002005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849B1 (ko
Inventor
노구치에이지
오자와준
마츠우라사토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2005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캐너(1) 및 프린터(2)는 네트워크(7)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21)와, 다른 기기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기정보 해석부(12/22)와, 이 해석에 기초하여 기기정보를 갱신하는 기기정보 갱신부(13/23)와, 자 기기의 기능정보를 미리 축적한 기능정보 축적부(14/24)를 갖는다. 예를 들면, 스캐너(1)가 이미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7)에 프린터(2)가 새롭게 접속되었을 때, 프린터(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에 의해, 기능 축적부(14)에 축적된 자 기기의 기능정보 등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스캐너(1)는 이 정보를 기기정보 해석부(12)가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기기가 접속된 것 및 그 기능을 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CONNECTION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USING THIS}
최근 가정 내의 기기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되어 레시피를 다운로드하여 조작을 행하거나 하는 전자렌지 등이 발매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네트워크 시대를 맞이하여 점점 현저해져, 가정 내의 각종 가전기기가 전화회선 등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되고 있다.
각종 가전기기들의 접속방법의 표준화 등도 각종 표준화 단체에 의해 추진되고 있으며, 각종 가전기기들의 물리적인 접속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이나 가전기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정해져 있지 않고 개개의 기기에 의존한 것이다.
또, 종래의 가정용 조리장치 등의 소위 백색가전이라 불리는 기기 분야에서는, 상품 단체(單體)로 동작 기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네트워크에 의한 접속 서비스는 생각되고 있지 않다.
또, 종래는 네트워크 접속으로의 서비스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서버라 불리는 집중관리를 행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종래의 구성예를 도 45에 나타낸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네트워크(702)에 접속되어 있는 각 기기의 서비스 내용을 등록 관리하는 룩업 서비스 서버(703)가 반드시 존재한다. 룩업 서비스 서버(703)는 각종 서비스를 일원관리하고, 새로운 서비스의 등록·신청 등을 처리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700)는 네트워크(702)에 접속되었을 때, 먼저 네트워크(702)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에 의해, 룩업 서비스 서버(703)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700)의 존재 및 그 서비스 내용을 등록한다.
룩업 서비스 서버(703)는 등록된 서비스 내용에 기초하여, 고객(701)으로부터 서비스의 요구가 있었을 때,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700)를 소개한다. 이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측(고객(701))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서비스 제공자(700))이 서로를 알게 된다. 그 결과, 고객(701)은 소개받은 서비스 제공자(700)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정보의 양은 방대하며, 각각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가치가 있는 정보의 절대량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잘 이용하면, 효율적으로 각종 흥미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불필요한 정보의 양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으므로, 정보 발신측(서비스 제공측)과 수신측(서비스 이용측)을 균형 있게 연결하는 정보 유통 시스템도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정 내에서의 가전제품이나 오디오 기기 등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서는, 서버라 불리는 가정 내 집중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이 서버에 의해 각종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대한 조작, 협조, 센싱, 데이터 수집 등이 일거에 행해지고 있었다.
이렇게 종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서버를 필요로 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복수의 문제를 갖는다.
첫째로, 서버라 불리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므로, 사전에 컴퓨터 자체의 설정이 필요하며, 또한 새로운 기기가 늘어날 때마다 설정을 해야만 한다. 둘째로, 서버가 고장난 경우에는 각 기기는 고장나지 않았어도 전체 동작이 불가능해져, 네트워크 기기 전체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셋째로, 가정 내 기기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어, 서버의 전원이 떨어지면 네트워크 기기 전체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서버라 불리는 집중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는 것만으로,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상기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프린터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스캐너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연계 서비스인 "카피"의 서비스 관계 기술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프린터가 접속된 것에 의한 스캐너의 액정 패널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2에 나타낸 구성에 하드디스크가 추가 접속되었을 때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하드디스크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연계 서비스인 "저장"의 서비스 관계 기술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하드디스크가 추가 접속된 것에 의한 스캐너의 액정 패널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상기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게이트웨이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연계 서비스인 "오늘의 레시피"의 서비스 관계 기술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오늘의 레시피" 서비스를 제공할 때의 전자렌지의 액정 패널에서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17은 레시피 서버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8은 레시피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레시피 콘텐츠의 기술 내용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0은 도 12에 나타낸 구성에 프린터가 추가 접속되었을 때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연계 서비스인 "레시피 인쇄" 서비스 관계 기술을 나타낸 설명도,
도 22는 프린터가 접속되었을 때의 전자렌지의 액정 패널에서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23은 레시피의 프린트 이미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5는 상기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26은 게이트웨이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27은 연계 서비스인 "팩스" 서비스 관계 기술을 나타낸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9는 상기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0은 DVD 플레이어의 기능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31은 DVD 플레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상태의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서 사용되는 인덱스정보 기술의 설명도,
도 38은 제5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9는 제5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0은 제6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1은 제7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2는 제8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3은 제9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4는 제9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5는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선을 통해 접속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자 기기(自機器)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기정보 기억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한 다른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기정보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상기 기기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자 기기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기기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자 기기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대해 통지한다. 한편,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수신하여 기기정보 해석부에서 이것을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네트워크에 추가 접속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통신선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의 상호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통지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하는 식별자 해석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기기정보 해석부의 식별자 해석부에서 이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를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자 기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 식별자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송신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 모두가 해당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자 기기의 기기 식별자로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새롭게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사용하고 있지 않은 기기 식별자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자 기기의 기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를 해석하는 기능 해석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기기정보 해석부의 기능 해석부에서 이 기능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어떠한 기능을 갖는지를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하다고 판단한 서비스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제시부에 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판단하고, 그 서비스의 정보를 정보 제시부에 의해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새롭게 제공 가능해진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능정보가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가 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됨으로써,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로부터 무엇을 입력하고, 네트워크로 무엇을 출력하는지의 관점만으로 인식하게 된다. 네트워크 접속기기간의 호환성을 취하는 데는, 이 입력/출력 관계만을 인식하면 충분하며, 각 기기의 상세한 속성 등까지 인식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호환성 및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서비스를 입력/출력 관계로 정의한 서비스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비스 정의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능 해석부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입력/출력관계의 조합이 상기 서비스 정의 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콘텐츠(c1)를 입력하여 콘텐츠(c3)를 출력하는 서비스를 이 c1과 c3의 입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해 두면, 입력 콘텐츠가 c1이고 출력 콘텐츠가 c2인 1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입력 콘텐츠가 c2이며 출력 콘텐츠가 c3인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의 연계에 의해, 이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율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의 연계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 기기정보 기억부, 및 기기정보 해석부가, 하나의 반도체 칩에 하드웨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의 칩으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상호 접속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선으로 수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자 기기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기정보 기억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한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기정보 해석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었을 때,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상기 기기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자 기기의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정보의 통지를 해석하여,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새롭게 접속된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새롭게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 기기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대해 통지하는 한편,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네트워크에 추가 접속된 것을 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통신선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상호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통지하는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가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기기정보 해석부의 식별자 해석부에서 이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를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를 네트워크 상의 모든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자 기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 식별자를 적절히 선택하여 송신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었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 어디로부터도 상기 통지를 받지 않았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로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새롭게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에,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사용하고 있지 않은 기기 식별자를 자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통지하는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기기의 기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가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기기정보 해석부의 기능 해석부에서 이 기능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새롭게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어떠한 기능을 갖는지를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필요로 하지 않고,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하다고 판단한 서비스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제시부에 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판단하고, 그 서비스 정보를 정보 제시부에 의해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새롭게 제공 가능해진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정보 제시부를 갖는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일 형식을 기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통지된 상기 정보의 내용을 상기 통일 형식에 적합하게 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접속된 경우라도,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통일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가,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가, 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됨으로써,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로부터 무엇을 입력하고, 네트워크로 무엇을 출력하는지의 관점만으로 인식하게 된다. 네트워크 접속기기간의 호환성을 취하는 데는, 이 입력/출력 관계만을 인식하면 충분하며, 각 기기의 상세한 속성 등까지 인식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서비스를 입력/출력 관계로 정의한 서비스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비스 정의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입력/출력 관계의 조합이, 상기 서비스 정의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콘텐츠(c1)를 입력하여 콘텐츠(c3)를 출력하는 서비스를 이 c1과 c3의 입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해 두면, 입력 콘텐츠가 c1이고 출력 콘텐츠가 c2인 1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입력 콘텐츠가 c2이고 출력 콘텐츠가 c3인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연계에 의해, 이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의한 연계 서비스를 실현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외부네트워크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중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기기가 필요한 서비스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탐색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1 ∼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예로서 스캐너, 프린터, 및 하드디스크의 3종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들어, 이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에는 2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스캐너(1) 및 프린터(2))가 이더넷(Ethernet) 접속용 허브(3)를 통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네트워크의 도시를 생략했다. 또, 이 도면에서는 동일한 허브(3)에 2개의 네트워크 기기가 접속되는 예를 나타냈으나, 각 네트워크 기기가 다른 허브에 접속되어도 된다.
스캐너(1)는 종이 등으로부터 화상을 읽어내는 것이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로서의 액정 패널(1a)과, 허브(3)로 접속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1a)은 터치 패널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입력을 접수한다.
프린터(2)도 허브(3)로 접속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2)는 스캐너(1)의 액정 패널(1a)과 같은 정보 제시부를 갖지 않는다.
도 1은 도 2에 나타낸 하드웨어 내부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기기정보 해석부(12), 기기정보 갱신부(13), 기능 축적부(14), 및 화상 취입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기기정보 해석부, 기기정보 갱신부, 및 기능 축적부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그 종류를 불문하고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는 자 기기와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실현한다. 기기정보 해석부(1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에서 수신한 정보를 해석한다. 기기정보 갱신부(13)는 기기정보 해석부(12)에서 해석된 정보를 기초로 기능 축적부(14)에 축적되어 있는 기기정보 등을 갱신한다.
기능 축적부(14)는 자 기기의 기능정보(기능정의 기술)를 축적하는 기능정의축적부(14a)와, 타 기기와 연계함으로써 제공 가능해지는 연계 서비스에 대한 정보(서비스 관계 기술)를 축적하는 서비스 관계 축적부(14b)를 갖는다. 또한, 기능정의 축적부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기기 모두에 공통인 블록이나, 서비스 관계 축적부는 적어도 정보 제시부(액정 패널 등)를 갖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화상 취입부(15)는 스캐너(1) 특유의 블록이며, 종이 등으로부터 화상을 읽어내는 기능을 실현한다.
프린터(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 기기정보 해석부(22), 기기정보 갱신부(23), 기능 축적부(24), 및 화상 인쇄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1), 기기정보 해석부(22), 기기정보 갱신부(23), 및 기능 축적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 공통의 구성이며, 스캐너(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기기정보 해석부(12), 기기정보 갱신부(13), 및 기능 축적부(1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대해, 화상 인쇄부(25)는 프린터(2) 특유의 블록이며, 화상을 인쇄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하, 이들 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1)만이 허브(3)를 통해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기기 고유 ID(기기 식별자)가 "192.168.0.1"인 것으로 한다. 이 상황에서 허브(3)로 프린터(2)가 새롭게 접속된 것으로 한다. 접속된 시점에서는 프린터(2)의 기기 고유 ID는 부정(不定)이다.
(단계 1-1)
프린터(2)는 허브(3)를 통해 네트워크(7)에 접속되면, 자 기기용 기기 고유 ID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프린터(2)는 랜덤하게 선택한 기기 고유 ID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트된 기기 고유 ID가 이미 타 기기에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ID를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이미 그 ID가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 경우, 프린터(2)는 다른 기기 고유 ID를 선택하고, 다시 브로드캐스트한다. 한편,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타 기기로부터 회답이 없는 경우에는 그 ID는 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프린터(2)는 그 ID를 자신의 기기 고유 ID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2)가 스캐너(1)의 기기 고유 ID인 "192.168.0.1"을 브로드캐스트하면, 스캐너(1)가 이 ID를 이미 이용하고 있는 것을 프린터(2)에게 알린다. 이어서, 프린터(2)가 "192.168.0.2"를 브로드캐스트하면, 이 ID는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다른 기기로부터 회답은 없어, 이 ID가 프린터(2)의 기기 고유 ID로서 확정된다.
(단계 1-2)
프린터(2)는 기기 고유 ID를 취득한 후, 자 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타 기기에 알리기 위해, 미리 프린터(2)의 기능이 기술된 파일(기능 축적부(24)의 기능정의 축적부(24a))의 어드레스를, 예를 들면
"join 192.168.0.2 printer printer.sdl"
과 같이 브로드캐스트한다. 이것은 프린터(2)의 기능이 기술되어 있는 기능정의축적부(24a)의 어드레스가 "http://192.168.0.2/printer.sdl"인 것을 나타낸다. 그 내용예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예를 나타내는 기능정의 기술은 해당 기기의 기능명을 기술한 부분과, 그 기능의 내용을 해당 기기의 네트워크(7)에 대한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기술한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프린터(2)의 기능정의 기술에서는,
item class="print"
라는 기술에 의해, 프린터(2)가 "print"라는 기능을 갖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이 기능은 전자정보를 실세계의 정보(종이 등)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또한, 실세계 정보란 사람이 시각, 청각 등에 의해 지각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또한, 도 3에서 이 "print"라는 기능의 내용이 〈input〉태그부터 〈/input〉태그까지의 기술(입력 콘텐츠 포맷)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즉, 프린터(2)가 네트워크(7)로부터 입력하여 처리할 수 있는 콘텐츠가 "bmp"형식이며, 그 사이즈는 "640*480"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기능정의 기술에 기술되는 입력/출력 관계란, 네트워크(7)에 대한 입력 콘텐츠/출력 콘텐츠이다. 즉, 프린터(2)의 출력 콘텐츠는 종이 매체이며, 네트워크(7)로의 출력은 아니므로, 프린터(2)의 기능정의 기술에는 출력 콘텐츠 포맷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프린터(2)가 640*480의 bmp 파일을 입력하여 "print"라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만을 알게되고,그 출력처가 종이 매체인 것은 모른다.
또한, 기능정의 기술을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형식으로 기술하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정의 기술을 XML로 기술한 예를 나타냈으나, 다른 포맷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기능정의 기술을 축적한 파일의 어드레스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기능정의 기술 자체(도 3에 나타낸 내용)를 브로드캐스트해도 된다. 단, 어드레스의 브로드캐스트 쪽이 네트워크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단계 1-3)
네트워크(7)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타 기기(여기서는 스캐너(1))는 단계 1-2에서 이루어진 프린터(2)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면, 새롭게 접속된 기기(프린터(2))와의 연계로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이하, 그 처리절차의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 스캐너(1)의 기능정의 기술의 내용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한다. 도 4의 기능정의 기술은 스캐너(1)가 "scan"이라는 기능을 갖는 것과, 네트워크(7)에 대해 640*480 사이즈의 bmp 형식 파일을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can" 기능은 실세계 정보(종이, 실세계 화상, 실세계 소리)를 bmp 형식의 전자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또한, bmp 이외에 gif 형식, jpeg 형식 등의 임의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경우도 도 4와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제시부를 갖는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그 기능 축적부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에, 타 기기와의 연계에 의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연계 서비스의 정의(서비스 관계 기술)를 미리 축적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제시부로서 액정 패널(1a)을 갖는 스캐너(1)는 기능 축적부(14)에서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14b)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비스 관계 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관계 기술은 복수의 기기의 기능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연계 서비스의 내용을 네트워크(7)에 대한 입출력 관계에 의해 미리 정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서비스 관계 기술은 "카피"라는 연계 서비스의 내용을 정의한 것이다. 이 연계 서비스는 〈item class="scan"〉태그부터 첫 번째의 〈/item〉태그까지의 출력 콘텐츠 포맷으로 기술된 "scan" 기능과, 〈item class="print"〉 태그부터 다음 〈/item〉태그까지의 입력 콘텐츠 포맷으로 기술된 "print" 기능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즉, "카피"라는 연계 서비스는 네트워크(7)에 대해 "image"를 출력하여 "scan" 기능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기기와, 네트워크(7)로부터 "image"를 출력하여 "print" 기능을 실행하는 네트워크 기기가 연계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네트워크 기기가 취급하는 "image" 포맷($form)과, 그 사이즈($width와 $height)가 일치하는 것이 조건이다.
스캐너(1)의 기기정보 해석부(12)는 프린터(2)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하면, 이 서비스 관계 기술에 기초하여, 자 기기와 프린터(2)가 연계함으로써, "카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캐너(1)의 기기정보 해석부(12)는 프린터(12)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내용(도 3 참조)과, 자 기기의 기능정의 기술(도 4 참조)과, 도 5의 서비스 관계 기술에 기초하여, 스캐너(1)와 프린터(2)가 연계함으로써, "카피"라는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도 5의 서비스 관계 기술에서의 출력 콘텐츠에, 스캐너(1)의 기능정의 기술의 출력 콘텐츠(도 4 참조)가 합치하고, 입력 콘텐츠에 프린터(2)의 기능정의 기술의 입력 콘텐츠(도 3 참조)가 합치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스캐너(1)가 접속되어 있었던 네트워크(7)에 프린터(2)가 추가 접속됨으로써, 스캐너(1)가 종이 정보로부터 변환하여 네트워크(7)로 출력하는 전자정보("bmp" 형식, 사이즈는 "640*480")를 프린터(2)가 네트워크(7)로부터 입력하여 종이 정보로 변환하는 "카피"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캐너(1)의 기기정보 갱신부(13)는 기능 축적부(14)의 기기정보를 갱신한다. 이에 의해, 스캐너(1)의 액정 패널(1a)은 갱신된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피"라는 서비스명을 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카피가 가능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 이외에 프린터(2)의 기능을 사용해도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기기가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었던 경우, 그 기기는 프린터(2)가 브로드캐스트한 내용을 인식해도 아무런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다.
(단계 1-4)
다음으로, 스캐너(1)와 프린터(2)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4)가 또한 접속된 것으로 한다.
이 때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 기기정보 해석부(42), 기기정보 갱신부(43), 기능 축적부(44), 및 데이터 축적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 기기정보 해석부(42), 기기정보 갱신부(43), 및 기능 축적부(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 공통의 구성이며, 스캐너(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기기정보 해석부(12), 기기정보 갱신부(13), 및 기능 축적부(1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대해, 데이터 축적부(45)는 하드디스크(4) 특유의 블록이며, 데이터를 축적 기억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하드디스크(4)의 기능 축적부(44)에 있어서, 기능정의 축적부(44a)에는 도 9에 나타낸 기능정의 기술이 축적되어 있다. 이 기능정의 기술은 하드디스크(4)가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store" 라는 기능을 갖고, 네트워크(7)로부터의 입력 콘텐츠로서 화상을 접수하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하드디스크(4)는 네트워크(7)에 접속되면, 단계 1-2에서 프린터(2)가 추가 접속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join 192.168.03 hdd hdd.sdl"
이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이것은 단계 1-2와 마찬가지로, 하드디스크(4)의 기능이 "http://192.168.0.3/hdd.sdl"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있다.
(단계 1-5)
단계 1-3과 마찬가지로 브로드캐스트된 내용에 대해, 새로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이미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스캐너(1)나 프린터(2)가 판단한다.
또한, 스캐너(1)는 미리 기능 축적부(14)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14b)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에 저장"이라는 연계 서비스의 내용을 기술한 서비스 관계 기술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캐너(1)의 기능정의 기술이 도 10에 나타낸 서비스 관계 기술의 출력 콘텐츠에 합치한다. 또, 도 9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드디스크(4)의 기능정의 기술이 도 10에 나타낸 서비스 관계 기술의 입력 콘텐츠에 합치한다. 따라서, 스캐너(1)의 기기정보 해석부(12)는 스캐너(1)와, 새롭게 네트워크에 접속된 하드디스크(4)의 연계에 의해, "디스크에 저장"이라는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 가능해졌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스캐너(1)의 기기정보 갱신부(13)가 기능 축적부(14)의 기기정보를 갱신하고, 액정 패널(1a)은 갱신된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에 저장"의 버튼 메뉴를 추가 표시한다.
(단계 1-6)
여기서, 스캐너(1), 프린터(2) 및 하드디스크(4)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3)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 11에 나타낸액정 패널(1a)에서 "카피"를 선택하고, 또한 스캐너(1)에 카피하고자 하는 화상이 인쇄된 종이를 삽입하여 동작시킨 것으로 한다.
이 때, 스캐너(1)는 종이로부터 화상을 읽어내어, 도 4의 기능정의 기술과 같이 640*480의 bmp 형식 파일을 작성한다. 그리고, 스캐너(1)는 단계 1-2에서 "192.168.0.2"의 어드레스에 "print" 기능을 갖는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192.168.0.2"에 대해 bmp 파일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다른 기기의 기능을 입출력 관계만으로 인식하고 있으면 되고, 다른 기기의 구체적인 속성까지 알 필요는 없다.
또, 사용자가 도 11의 액정 패널(1a)에서 "디스크에 저장"을 선택하고, 또한 전자적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인쇄된 종이를 스캐너(1)에 삽입하여 동작시키면, 상술한 "프린트" 서비스 때와 마찬가지로, 이 종이 상의 실세계 정보(화상 등)가 스캐너(1)에 의해 읽혀져 전자적인 정보로 변환되어, 하드디스크(4)로 보내어져 파일에 저장된다.
이 경우도 스캐너(1)는 "192.168.0.3"에 정보를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만을 알고 있으면 되며, 그 기기의 구체적 속성까지 알 필요는 없다. 즉,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가 하드디스크인지, 테이프 매체인지 등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종래 새로운 기억 미디어가 출현한 경우에도, 기능이 동일하면 호환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을 취입하는 기기로서 스캐너를 예시하여 설명했으나, 전자 스틸카메라 등의 현실물의 화상정보를 전자적인 데이터로 변환할 수있는 것이면, 스캐너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적인 데이터를 프린트하는 것으로서 프린터를 예시하여 설명했으나, 팩시밀리 장치 등의 기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기기로서 하드디스크를 예시했으나, DVD-RAM, 반도체 메모리카드 등,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기이면, 임의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12 ∼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예로서 조리용 전자렌지 및 게이트웨이의 2종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들어, 이들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서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조리용 전자렌지(5)가 이더넷의 접속이 가능한 허브(3)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전자렌지(5)는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터치 패널로서 기능하는 액정 패널(5a)을 구비하고 있다. 또, 허브(3)에는 인터넷 등의 외부의 네트워크(10)와, 가정 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6)도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하드웨어 내부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렌지(5)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1), 기기정보 해석부(52), 기기정보 갱신부(53), 기능 축적부(54), 및 전자렌지 제어부(55)를 갖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1), 기기정보 해석부(52), 기기정보 갱신부(53), 및 기능 축적부(5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캐너(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기기정보 해석부(12), 기기정보 갱신부(13), 및 기능 축적부(1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대해, 전자렌지 제어부(55)는 전자렌지(5) 특유의 블록이며, 전자파를 사용한 가열 등에 의한 조리 기능을 실현한다.
또, 게이트웨이(6)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 기기정보 해석부(62), 기기정보 갱신부(63), 및 기능 축적부(64)를 구비함과 동시에, 게이트웨이(6) 특유의 블록으로서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를 갖는다.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는 가정 내 네트워크인 네트워크(7)를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10)와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외부 네트워크(10) 상에는 전자렌지용 레시피를 축적하고 있는 레시피 서버(10a)가 존재한다. 외부 네트워크(10)가 인터넷인 경우, http에 의해 레시피 서버(10a)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하에, 전자렌지(5)만이 미리 접속된 네트워크(7)에 게이트웨이(6)가 추가 접속된 것으로 하여, 그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2-1)
가정 내 네트워크인 네트워크(7)에 새롭게 접속된 게이트웨이(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단계 1-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7)에서의 새로운 기기 고유 ID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전자렌지(5)의 기기 고유 ID가 "192.168.1.1"이며, 새롭게 접속된 게이트웨이(6)가 기기 고유 ID로서 "192.168.1.2"를 취득한 것으로 한다.
(단계 2-2)
게이트웨이(6)는 접속됨과 동시에, 제1 실시형태의 단계 1-2와 동일하게, 자 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7) 상의 타 기기로 알리기 위해,
"join 192.168.1.2 gateway gateway.sdl"
이라는 내용을 네트워크(7)에 대해 브로드캐스트한다. 이것은 게이트웨이(6)의 기능이 "http://192.168.1.2/gateway.sdl"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gateway.sdl"의 기술 내용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기능정의 기술에 의해, 게이트웨이(6)는 전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send"라는 기능을 갖고, SMTP의 프로토콜로 통신 가능한 것이 정의되어 있다.
(단계 2-3)
전자렌지(5)는 기기정보 해석부(52)가 게이트웨이(6)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를 해석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낸 "send" 기능을 갖는 기기가 네트워크(7)에 접속된 것을 안다.
또한, 전자렌지(5)에서의 기능 축적부(54)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54b)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TP의 프로토콜에 의한 "send"라는 기능을 갖는 기기가 새롭게 네트워크 접속되면, 이 기기와의 연계에 의해 "오늘의 레시피"라는 서비스가 새롭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서비스 관계 기술로서 미리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렌지(5)의 기기정보 해석부(52)는 도 15의 서비스 관계 기술의 입력 콘텐츠에, 도 14에 나타낸 게이트웨이(6)의 기능정의 기술이 합치하므로, 게이트웨이(6)와 연계함으로써, "오늘의 레시피"라는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기기정보 갱신부(53)가 기능 축적부(54)의 기기정보를 갱신하고, 액정 패널(5a)이 갱신된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늘의 레시피"라는 버튼 메뉴를 표시시킨다.
전자렌지(5)에서 "오늘의 레시피"가 표시됨과 동시에, 전자렌지(5)가 게이트웨이(6)를 통해 소정의 어드레스 "menu@pana.co.jp"(레시피 서버)에 대해 레시피 서버의 기능정의 기술을 요구하는 메일을 송신한다. 이 메일 어드레스는 레시피 서버(10a)의 어드레스로서 전자렌지(5)가 미리 알고 있다. 게이트웨이(6)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가 이것을 수신하면,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를 갖는 레시피 서버(10a)로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레시피 서버(10a)는 이 메일을 수취하면,
"join 152.158.0.1 menuserver menuserver.sdl"
이라는 메시지를 상기 전자메일의 송신원(이 경우는 게이트웨이(6))으로 답신한다. 이것은 레시피 서버(10a)의 기능정의 기술이, 외부의 IP 어드레스 "152.158.0.1" 의 "menuserver.sdl"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것을 알리는 것이다. 단, 레시피 서버의 메일 어드레스의 IP와 기능정의 기술의 어드레스는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게이트웨이(6)는 레시피 서버(10a)로부터 송부된 기능정의 기술의 내용을 가정 내 네크워크(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대해, 레시피 서버(10a) 대신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이에 의해,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가정 내 기기는 게이트웨이(6)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를 인식할 수 있다.
그 이후,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각 가정 내 기기는 게이트웨이(6)를 통해 외부에 있는 레시피 서버(10a)의 기능이 축적되어 있는 "http://152.158.0.1/menuserver.sdl" 에 액세스한다. 즉, 각 가정 내 기기로부터 "http://152.158.0.1"로의 액세스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는, 게이트웨이(6)가 대행하여 레시피 서버(10a)로 액세스한다.
여기서 "menuserver.sdl"의 내용을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서 item class="media"는 레시피 서버(10a)가 콘텐츠(미디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그 콘텐츠의 내용이 HTML의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기술이 "recipe.uiml"에 기술되어 있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단계 2-4)
단계 2-3에 있어서 게이트웨이(6)가 브로드캐스트한 내용을 전자렌지(5)가 수취하고,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이 경우는 전자렌지(5))가 IP 어드레스 "152.158.0.1"에 액세스하여, 레시피 서버(10a)의 서비스 내용을 취득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시피 서버(10a)에는 HTML의 콘텐츠가 축적되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며, 또한 전자렌지(5)에서는 HTML의 일부 기능에 관해서는 표시할 수 있으므로, 외부 서버로부터 레시피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를 취득한다. 또한,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tp://152.158.0.1/recipe.uiml"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의 내용을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낸 내용을 전자렌지(5)의 기기정보 해석부(52)가 해석함으로써, 기기정보 갱신부(53)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늘의 레시피"의 버튼 메뉴 아래에 "레몬을 곁들인 실꼬리돔"의 버튼 메뉴를 표시한다.
(단계 2-5)
또한, 액정 패널(5a)에서 "레몬을 곁들인 실꼬리돔"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전자렌지(5)는 게이트웨이(6)로부터 제공된 레시피의 내용을 액정 패널(5a)에 단계별로 표시한다.
레시피 콘텐츠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HTML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HTML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XML 형식에 의한 기술도 가능하다. 또, "용기에 바지락을 넣고 ......" 등, 사용자에게 제시해야 할 조리절차가,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단, 조리절차의 기술형식은 반드시 텍스트 형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렌지(5)의 액정 패널(5a)의 크기나 해상도 등에 여유가 있으면, 화상 등을 사용한 레시피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9에 나타낸 레시피 콘텐츠는 "레몬을 곁들인 실꼬리돔"의 조리절차의 최초의 1단계만을 기술한 것이며, 사용자가 액정 패널(5a)에서 "다음" 버튼 등을 선택함으로써, 다음 단계가 기술된 HTML 파일을 게이트웨이(6)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단, 레시피 콘텐츠는 반드시 이렇게 단계별로 기술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레시피의 내용 모두가 한 파일에 기술되어 있어도 된다.
또, 조리절차 중에서 전자렌지(5)로 가열 등을 행하는 단계에서는, 전자렌지 제어부(55)가 레시피 콘텐츠에 지정된 바와 같이, 전자렌지(5)의 출력제어나 가열시간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2-6)
여기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2)를 네트워크(7)에 추가 접속하는 것으로 한다. 프린터(2)는 허브(3)에 접속되면, 제1 실시형태의 단계 1-1 및 단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스로 기기고유 ID를 취득하여, 자 기기의 기능을 브로트캐스트한다.
(단계 2-7)
프린터(2)가 브로드캐스트한 내용이 전자렌지(5)와 게이트웨이(6)에 도달하면, 게이트웨이(6)는 프린터(2) 기능과의 연계로 가능해지는 새로운 서비스가 없으므로,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전자렌지(5)는 기능 축적부(54)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54b)에,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시피 인쇄"의 서비스 관계 기술이 존재하고, 프린터(2)의 기능이 네트워크(7)에 추가됨으로써, 레시피를 인쇄하는 서비스를 새롭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렌지(5)의 액정패널(5a)에 "레시피 인쇄"의 버튼 메뉴가 추가 표시된다.
(단계 2-8)
사용자가 액정 패널(5a)에서 "레시피 인쇄"를 선택한 경우에는, 레시피 콘텐츠의 프린트 이미지의 값이 프린터(2)로 보내어진다. 그 결과,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시피 콘텐츠의 상세한 내용이 종이에 인쇄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레시피 콘텐츠의 HTML 기술의 세 번째 줄에, 종이로의 인쇄용 레시피 콘텐츠의 값이 기술되어 있으며, 프린터(2)로는 그 내용이 전송된다. 이에 의해, 전자렌지(5)의 액정 패널(5a)에 표시되는 텍스트 형식의 콘텐츠에 비해, 화상을 포함하는 상세한 콘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구체예로서 전자렌지를 예시했으나,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안내 장치 등의 정보 제시부를 구비한 기기이면 되고, 예를 들면 냉장고, 밥솥, 오븐, 빵 제조기, 또는 세탁기 등의 임의의 전자기기로 실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24 ∼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4에서 허브(3)를 통해 접속된 스캐너(1)를 포함하는 가정 내 네트워크(도 25의 네트워크(7))가 게이트웨이(6)를 통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10)에 접속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하드웨어 내부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스캐너(1) 및 게이트웨이(6)의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네트워크(10) 상에 bmp 형식의 화상 파일을 팩시밀리 장치로 이용 가능한 mh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맷 변환 서버(10b)가 존재한다. 포맷 변환 서버(10b)의 어드레스는 미리 게이트웨이(6)에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스캐너(1)만이 접속된 네트워크(7)에 대해 게이트웨이(6)가 추가 접속된 것으로 하여, 그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 3-1)
네트워크(7)에 새롭게 접속된 게이트웨이(6)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7)에서 새로운 기기 고유 ID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스캐너(1)의 기기 고유 ID가 "192.168.2.1"이며, 새롭게 접속된 게이트웨이(6)의 기기 고유 ID가 "192.168.2.2"가 된 것으로 한다.
(단계 3-2)
게이트웨이(6)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자 기기의 기능을 네트워크(7) 상의 타 기기로 알리기 위해,
"join 192.168.2.2 gateway gateway.sdl"
이라는 내용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것은 게이트웨이(6)의 기능이 "http://192.168.2.2/gateway.sdl"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gateway.sdl"의 내용의 일례를 도 26에 나타낸다. 도 26에 나타낸 예에서는, 게이트웨이(6)는 전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send" 라는 기능을 갖고, SMTP의 프로토콜로 통신 가능한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7)로부터 mh 형식의 파일을 입력하고, 팩시밀리 형식(G3 모드)으로 송신하는 "send" 기능을 갖고 있는 것도 정의되어 있다.
(단계 3-3)
스캐너(1)는 게이트웨이(6)의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도 26과 같이 정의된 기능, 즉 SMTP 프로토콜 또는 G3 형식의 프로토콜에 의한 "send" 기능을 갖는 기기가 네트워크(7)에 새롭게 접속된 것을 안다. 또한, 스캐너(1)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 상의 화상정보를 bmp 형식 파일로 취입하는 것이다.
또, 스캐너(1)에서의 기능 축적부(15)의 서비스 관계 축적부(15b)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팩스"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관계 기술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도 27의 입력 콘텐츠에서는 취급되는 파일 형식은 bmp 형식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편, 도 26에 나타낸 게이트웨이(6)의 기능정의 기술에서는, 취급되는 파일 형식은 mh 형식이다.
(단계 3-4)
그래서, 스캐너(1)는 게이트웨이(6)에 대해 외부 네트워크(1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bmp 형식의 파일을 mh 형식으로 포맷 변환할 수 없는지를 문의한다. 게이트웨이(6)는 포맷 변환 서버(10b)에 대해, bmp 형식에서 mh 형식의 파일로 변환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포맷 변환 서버(10b)로부터, bmp 형식에서 mh 형식으로의 변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회답이 있는 경우에는, 게이트웨이(6)는 그 사실을 스캐너(1)에 알린다.
(단계 3-5)
스캐너(1)는 삽입된 용지 상의 정보를 읽어내어 bmp 형식의 전자 파일로 변환하고, 게이트웨이(6)로 이동시킨다. 게이트웨이(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1)에 의해 네트워크(7)를 통해 스캐너(1)로부터 수취한 상기 bmp 파일을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에 의해 포맷 변환 서버(10b)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게이트웨이(6)는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에 의해 포맷 변환 서버(10b)로부터 mh 형식으로 변환된 파일을 취득한다.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 통신부(65)가 도 26의 기능정의 기술에서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취득한 mh 형식 파일을 G3 모드에 의해 사용자로 지정된 수신인에게로 송신함으로써, 도 27의 서비스 관계 기술에서 정의된 "팩스" 서비스를 실현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웨이(6)가 외부 네트워크(1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탐색하여, bmp 형식을 mh 형식으로 변환하는 외부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7)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는 새로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28 ∼ 도 3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8은 제4 실시형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8에서 대화면 TV 장치 등에 의해 실현되는 디스플레이(8), DVD 플레이어(9), 및 하드디스크(4)가 허브(3)를 통해 접속된 가정 내 네트워크(도 29의 네트워크(7))가 게이트웨이(6)에 의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10)에 접속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하드웨어 내부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이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1), 기기정보 해석부(82), 기기정보 갱신부(83), 기능 축적부(84), 디스플레이 제어부(8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6)를 구비하고 있다. 또, DVD 플레이어(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1), 기기정보 해석부(92), 기기정보 갱신부(93), 기능 축적부(94), DVD 재생부(9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6)를 갖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81·91), 기기정보 해석부(82·92), 기기정보 갱신부(83·93), 및 기능 축적부(84·9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캐너(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 기기정보 해석부(12), 기기정보 갱신부(13), 및 기능 축적부(1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한편, 디스플레이(8)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부(85)는 디스플레이(8) 특유의 블록이며, 디스플레이(8)에서의 화면 표시를 실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6)는 화면 표시의 레이아웃이나 표시형식의 통일 포맷을 미리 기억하고 있으며, 뒤에서 설명하나, 타 기기로부터 송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기초하여 화면 표시를 실현한다.
또, DVD 플레이어(9)에서의 DVD 재생부(95)는 DVD 플레이어(9) 특유의 블록이며, DVD를 재생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6)는 삽입되어 있는 DVD로부터 타이틀 정보 등을 취득하여, 뒤에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도 31 참조)을 작성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8)만이 접속된 네트워크(7)에 대해, DVD 플레이어(9)가추가 접속된 것으로 하고, 그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4-1)
새롭게 접속된 DVD 플레이어(9)는 제1 실시형태의 단계 1-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 네트워크(7)에서 새로운 기기 고유 ID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디스플레이(8)의 기기 고유 ID가 "192.168.3.1"이며, DVD 플레이어(9)가 취득한 기기 고유 ID가 "192.168.3.2"인 것으로 한다.
(단계 4-2)
DVD 플레이어(9)는 제1 실시형태의 단계 1-2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네트워크(7) 상의 타 기기에 대해 자 기기의 기능을 알리기 위해,
"join 192.168.3.2 dvd dvd.sdl"
이라는 내용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것은 DVD 플레이어(9)의 기능이 "http://192.168.3.2/dvd.sdl"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dvd.sdl"의 내용예를 도 30에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낸 기능정의 기술에 의해, DVD 플레이어(9)는 "media"라는 기능을 갖고, 640*480의 MPEG 동화상을 네트워크(7)로 출력하는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 DVD 플레이어(9)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의가 "http://192.168.3.2/dvd.uiml"에 기술되어 있는 것도 이 기능정의 기술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다.
도 3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있어서, 〈icon ‥‥〉부터 〈/icon〉까지의 기술은 DVD 플레이어(9)의 아이콘 화상이 "192.168.3.2/dvd.ico"에 축적되어 있는 것과, 그 아이콘 화상에 장치의 설명으로서 첨부 표시되는 텍스트가 "DVD"인 것을 나타낸다. 또, 〈select〉부터 〈/select〉까지의 기술은 DVD 플레이어(9)가 네트워크(7)에 접속되었을 때, "귀여운 여인" 및 "다이하드"의 2개의 콘텐츠(DVD)가 삽입되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기술은 기기의 아이콘 화상의 값, 콘텐츠의 값, 및 그 타이틀 기술만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DVD 플레이어(9)가 네트워크(7)에 접속되었을 때나, DVD가 탈착되었을 때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6)에 의해 작성된다. 또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콘텐츠의 값과, 그 타이틀 기술만을 포함한다.
(단계 4-3)
디스플레이(8)는 DVD 플레이어(9)의 브로드캐스트 내용으로부터, 도 30의 기술 내용의 기능을 갖는 기기가 네트워크(7)에 접속된 것을 안다. 또한, 디스플레이(8)는 640*480의 MPEG 데이터를 제공받으면, 그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DVD 플레이어(9)가 네트워크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8)는 이 DVD 플레이어(9)와의 연계에 의해, DVD 플레이어(9)로부터 송신되는 MPEG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새롭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디스플레이(8)는 DVD 플레이어(9)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도 31에 기술되어 있는 아이콘 화상의 값("192.168.3.2/dvd.ico")과 그 명칭(DVD)에 기초하여,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8a)의 좌측에 DVD 플레이어(9)의 아이콘 화상과, "DVD"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단계 4-4)
또한, 사용자가 이 표시화면(8a)에서, DVD 플레이어(9)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화면(8a)의 우측에 DVD 플레이어(9)가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의 버튼 메뉴가 표시된다.
이 버튼 메뉴 표시는 디스플레이(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6)가 DVD 플레이어(9)가 브로드캐스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중인 DVD 타이틀을 소정의 레이아웃 및 표시형식에 맞춤으로써 실현된다.
이렇게 디스플레이(8)에서 버튼 메뉴의 레이아웃이나 표시형식을 통일적으로 관리하고, 각 기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콘텐츠의 타이틀 등을 이 레이아웃 및 표시형식에 맞춰,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실현함으로써, 다양한 기기가 디스플레이(8)에 접속되어도,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통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단계 4-5)
또한, 네트워크(7)에 하드디스크(4)가 추가 접속되면, 마찬가지로 하여 도 32의 표시화면(8a)의 좌측에 하드디스크(4)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생성된다. 또한, 하드디스크(4)의 아이콘 화상과 그 설명은 단계 4-3에서 DVD 플레이어(9)의 아이콘을 표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드디스크(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기술 중에, 그 아이콘 화상의 값과 기기의 설명 텍스트("HD")가 기술되어 있다. 또, 사용자가 하드디스크(4)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하드디스크(4)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의 내용이 버튼 메뉴로서 화면 우측에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DVD 플레이어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기는 각기기의 설명이나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만을 기능정의 기술 등에 기술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등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즉 아이콘 등의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가 통일적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기기는 해당 기기가 네트워크(7)에 접속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적절하게 자 기기의 기기 고유 ID 및 기능정보의 브로드캐스트를 행한다. 이에 의해,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다른 기기의 접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다른 한 기기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가 들리지 않게 된 시점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그 기기가 네트워크로부터 제거되었다, 또는 전원이 절단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기기를 사용한 서비스가 불가능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기기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이더넷 상의 HTTP를 예시했으나, SMTP, UDP, 기타 통신 매체에 따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에코넷 프로토콜이나 IEEE1394 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더넷의 유선 물리층을 사용한 구성을 예시했으나, 블루투스(Bluetooth)나 특정 소전력 무선 등의 무선 물리층을 사용해도 된다. 그 때는, 사용자가 각 기기를 허브에 접속하는 조작 대신에, 기기끼리 통신할 수 있는 범위에 가까워진 것을 트리거로 하여, 기기간 통신을 행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등을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등을 하드웨어화한 칩(소위 네트워크 칩)을 가전기기에 탑재함으로써,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통일된 하드웨어의 네트워크 칩으로 각 기기를 접속함으로써, 상호 접속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로서 액정 패널을 예시했으나, 음성 안내에 의해 정보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도 3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100은 예를 들면 전화회선이나 ISDN 등을 이용한 인터넷이나 전용선으로의 인트라넷, 가정 내의 배선 계통에서의 에코넷(Echonet), FTTH와 같은 가정 내의 광섬유 등의 네트워크이다.
101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제어정보, 표시정보, 통신정보 등의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이다. 102는 네트워크 접속장치(10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 중의, 각종 제어정보, 표시정보 등을 스크립트 등으로 기술한 에이전트 데이터를 해석·실행하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이다.
103은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102)에 대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에게로 조작감을 전달하거나 하는 조작 장치이다. 104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10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기기정보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104)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점자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프린터처럼 출력 기능을 주로 하기 때문에, 조작 장치를 구비하나 표시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 간단한 출력 기기인 경우에는, 네트워크 상으로부터 데이터가 왔을 때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순 기능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경우, 표시 장치 및 조작 장치 양쪽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실시예로서, 가정 내 기기인 TV 세트를 예시한다. 이 경우, 표시 장치/터치 패널(800)에 의해 각종 정보를 사람에 대해 표시하는 동시에, 사람으로부터의 조작을 터치 패널로 취입함으로써, 정보의 취사선택을 행한다. 이들 정보(표시정보, 선택정보 등)를 네트워크 케이블(802)을 통해 얻어지는 네트워크 상의 정보와 연계하여,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801)가 해석·실행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9처럼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TV 세트의 전원을 켤 때마다, 네트워크 케이블(902)을 통해 보건소 등의 건강관리업무를 행하는 곳으로부터 에이전트 데이터가 전송되어,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901)에서 표시 장치/터치 패널(900)에 원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답신을 기다려, 입력이 있으면 그 정보를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901)에서 해석한 후, 네트워크 케이블(902)을 통해 정보 전송된다. 이에 의해, 가정 내와 외부의 정보 교환이 행해진다. 그 외에도 기기의 고장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것에 의해, 리모트로부터의 고장 진단, 기기 관리, 버전업 등도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각종 에이전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종래의 가전제품 등에 신규 기능의 추가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등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는 화상, 음성뿐만 아니라, 경고음이나 발광 램프, 눌렀을 때의 감촉 등 오감에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 조작 장치는 버튼이나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손발에 의한 기기 조작이 부자유스러운 경우에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음성 인식, 시선 인식 등의 대체 수단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장치(103) 및 표시 장치(104)를 구비하고 있으나, 표시만의 출력 디바이스 등, 어느 한쪽만 있어도 되며, 또는 조작 장치(103), 표시 장치(104)가 없어도 상관없다.
(제6 실시형태)
도 3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200은 예를 들면 전화회선이나 ISDN 등을 이용한 인터넷이나 전용선으로의 인트라넷, 가정 내의 배선 계통에서의 에코넷, 또는 FTTH와 같은 가정 내의 광섬유 등의 네트워크이다.
20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기기의 제어정보, 표시정보, 통신정보 등의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네트워크 접속장치이다. 202는 네트워크 접속장치(20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 중의, 각종 제어정보, 표시정보 등을 스크립트 등으로 기술한 에이전트 데이터를 해석·실행하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이다.
203은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02)에 대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에게로 조작감을 전달하거나 하는 조작 장치이다. 204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02)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기기정보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이며,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점자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실현된다.
205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201),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02), 조작 장치(203), 표시 장치(204)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A)이다. 211은 네트워크(211)를 통해 기기의 제어정보, 표시정보, 통신정보 등의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이다.
212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21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 중의, 각종 제어정보, 표시정보 등을 스크립트 등으로 기술한 에이전트 데이터를 해석·실행하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이다.
213은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12)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전달하거나,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전달하는 조작 장치이다. 214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12)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기기정보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이며,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점자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실현된다.
215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211),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212), 조작 장치(213), 표시 장치(214)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접속 기기(B)이다.
여기서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정 내에서 문서를 스캔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화할 수 있는 스캐너(1000)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문서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1001)가 네트워크(1002)에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스캐너(1000) 및 프린터(1001)가 도 34에 나타낸 네트워크 접속기기(A 및 B)에 대응한다.
처음에 스캐너(1000)만이 네트워크(1002)에 접속되어 있으며, 나중에 프린터(1001)를 네트워크(1002)에 접속한 경우, 프린터(1001) 내의 에이전트 해석·실행 자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통해 프린터(1001)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 고유 ID를 발신한다.
이에 의해, 스캐너(1000)에서의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알고, 프린터(1001)가 에이전트를 통해 통지한 서비스를 스캐너(1000)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라 불리는 집중관리 시스템은 불필요하며, 대상이 되는 기종만을 네트워크 접속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1002)를 통해 각종 에이전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전제품 등으로의 신규 기능의 추가 등을 서버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등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에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상 데이터를 종이에 인쇄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되고, 플로터나 로봇에 의한 인쇄 작업 등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장치로서 스캐너를 사용했으나, 화상 데이터를 취입하는 기능이 있으면 무엇이든 되고, 필름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캡쳐 카메라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과 출력 관계를 정지화상 문서에 관해 설명했으나, 대상 데이터는 동화상이나 음성 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와 위성방송 수신기와 같이, 동화상 영상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 MD와 FM 방송 수신기의 조합이어도 상관없으며, 하이비젼 TV와 DVD 플레이어 등의 조합이어도 상관없다.
(제7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네트워크 접속기기간에 접속된 정보를 기초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표시화면 상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스캐너인 경우, 단독으로 존재하면 문서를 스캔하는 것만의 단순한 입력 장치로, 출력은 불가능하나, 프린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인쇄라는 서비스가 가능해져, 표시되는 메뉴에 "인쇄"라는 항목이 추가된다.
또, 팩시밀리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스캐너로 읽어들인 화상을 FAX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드디스크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스캐너로 읽어들인 문서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V 등의 표시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스캐너로 읽어들인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5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300은 네트워크 접속기기간에 접속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다. 301은 표시 화면(300)을 갖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이다.
예를 들면, 도 40처럼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처음에 네트워크(1002)에 대해 스캐너(1000)만이 접속된 상태에서는, 단독으로 서비스를제공할 수 없는 스캐너의 표시 장치에는,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는 상태이다. 거기에 프린터(1001)를 네트워크(1002)에 접속했을 때,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이전트 통신이 행해지고, 그 결과 도 35와 같은 메뉴(GUI)가 생성된다. 새로운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네트워크(1002)에 접속될 때마다, 표시 화면(300)에 리스트가 나와 있는 바와 같이, 각 기기가 갖는 각종 기능의 표시가 추가되어 간다.
도 10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프린터(1001)를 추가 접속한 경우, "인쇄"라는 기능이 네트워크 접속기기(301)(즉 스캐너(1000))의 표시 화면(300)에 리스트업된다. 표시 화면(300)을 기초로 사용자가 "인쇄"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스캐너(1000)로 취입된 화상이 프린터(1001)에 의해 인쇄된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0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또한 모뎀(1103)이 접속된 경우는, 스캐너(1101)에 의해 취입된 화상을 모뎀(1103)을 사용하여 전화회선으로부터 외부로 FAX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태가 되었을 때,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화면(300) 내에 "FAX 전송"이 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1002)를 통해 각종 에이전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전제품 등에 신규 기능을 추가하는 것 등을 서버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GUI를 제시하여 선택을 행하게 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 장치는 화상, 음성뿐만 아니라, 경고음이나 발광 램프, 눌렀을 때의 감촉 등 오감에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 조작장치는 버튼이나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손발에 의한 기기 조작이 부자유스러운 경우에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음성 인식, 시선 인식 등의 대체 수단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에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상 데이터를 종이에 인쇄하는 것이면 무엇이라도 되고, 플로터나 로봇에 의한 인쇄 작업 등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 장치로서 스캐너를 사용했으나, 화상 데이터를 취입하는 기능이 있으면 무엇이든 되고, 필름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캡쳐 카메라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FAX 전송 수단으로서 모뎀을 사용했으나, 휴대전화, 붙박이전화, FAX 등 전화회선을 통해 외부에 데이터를 발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그 종류는 불문한다.
(제8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예를 들면 풀(pool)된 ID 번호를 빠른 것 순으로 각자의 ID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각 기종별로 고유 어드레스의 배포를 행하는 어드레스 해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전 기기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브로드캐스트 수단에 의해 각 기종의 고유 어드레스나 고유 서비스 정보 등을 일정 시간별로 네트워크 전체에 통지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종을 알 수 있다. 그 각종 기기의 서비스 내용 및 능력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 등으로 인덱스 정보라는 형태로 기술되어 있으며, 그 인덱스 정보를 발행하는 인덱스 정보 발행 수단으로부터 타 기종으로 정보를 발신한다.
인덱스 정보는 각종 서비스 내용 등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표현으로 나타낸 정보를 갖고 있으며, 예를 들면 터치 패널과 같이 나중에 조작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GUI를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요구하는 데이터 신청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타 기종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36은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400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기에서, 예를 들면 풀된 ID 번호를 빠른 것 순으로 각자의 ID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각 기종별 고유 어드레스의 배포를 행하는 어드레스 해결 수단이다.
401은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전 기기에, 각 기종의 고유 어드레스나 고유 서비스 정보 등을 일정 시간별로 통지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수단이다. 402는 각종 기기의 서비스 내용 및 능력을 예를 들면 스크립트 등으로 기술한 인덱스 정보를 발행하는 인덱스 정보 발행 수단이다.
403은 각종 서비스 내용 등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치 패널과 같이 나중에 조작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GUI를 작성하는 GUI 작성 수단이다. 404는 선택된 서비스를 특정 네트워크 기기에 요구하는 데이터 신청 수단이다.
405는 상기 어드레스 해결 수단(400), 브로드캐스트 수단(401), 인덱스 정보발행 수단(402), GUI 작성 수단(403), 데이터 신청 수단(404)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기기이다.
예를 들면 도 42처럼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기기에서, 처음에 네트워크(1202)에 대해 제1 접속기기(1200)와 제2 접속기기(1201)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기기 ID가 "1"과 "2"인 경우, 새롭게 네트워크(1202)에 제3 접속기기(1203)가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접속기기(1203)는 네트워크(1202)에 접속되기 전에는, 그 기기 ID는 부정(不定)이나, 네트워크(1202)에 접속되었을 때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네트워크 내에 접속되어 있는 전 접속기기에 네트워크 참가 및 어드레스 획득을 발신한다.
그 후, 각 접속기기에 있는 에이전트 해석·실행 장치가 자신의 기기 ID를 발신하면, 제3 접속기기(1203)는 사전의 ID 테이블 중에서 비어있는 ID를 찾아 그것을 제3 접속기기(1203)의 ID로 한다.
제3 접속기기(1203)가 자신의 ID가 결정된 것을 네트워크 전체에 발신함으로써 제3 접속기기(1203)의 ID가 네트워크 상에서 확정된다. 모두 개개의 에이전트간 통신에 의해 처리가 행해지므로, 서버라 불리는 집중관리 시스템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 정보는 사람의 소망 기능 기술인 인간 이해부(501)와, 기계 판독 가능한 기술인 장치 이해부(502)로 구성되는 스크립트 기술이다. 이 인간 이해부(501)를 네트워크 접속기기(405)에 표시함으로써,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기능으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수단을 사용함으로써GUI 작성 수단(403)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람의 이해와 접속기기의 제어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면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신청 수단(404)은 먼저 스캐너(1300)로부터 프린터(1301)에 대해 네트워크(1302)를 통해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알린다. 다음으로, 프린터(1301)가 스캐너(1300)에 대해 네트워크(1302)를 통해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알린다. 그 때, 스캐너(1300)의 출력 기능과 프린터(1301)의 입력 기능이 일치하는 것을 에이전트가 자율 분산적으로 이해하여, 각각의 기종으로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아, 스캐너(1300)가 그 출력 디바이스로서 프린터(1301)를 선택하여 데이터의 신청을 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1202)를 통해 각종 에이전트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전제품 등으로의 신규 서비스의 추가 등을 서버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GUI를 제시하여 선택을 행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표시 장치는 화상, 음성뿐만 아니라, 경고음이나 발광 램프, 눌렀을 때의 감촉 등 오감에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 조작 장치는 버튼이나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손발에 의한 기기 조작이 부자유스러운 경우에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음성 인식, 시선 인식 등의 대체 수단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쇄에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상 데이터를 종이에 인쇄하는 것이면 무엇이라도 되고, 플로터나 로봇에 의한 인쇄 작업 등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 장치로서 스캐너를 사용했으나, 화상 데이터를 취입하는 기능이 있으면 무엇이든 되고, 필름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캡쳐 카메라 등이어도 상관없다.
(제9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는 인덱스 정보 기술을, 전체를 나타내는 기술 내용부와, 사람이 서비스 내용을 알 수 있는 인간 이해부와, 컴퓨터 등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가 이해할 수 있는 서비스의 입출력 기술을 정의한 장치 이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사람에게 제시하는 GUI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장치 이해부는 장치가 무엇을 실행하는지를 기술함으로써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조작 내용을 GUI에서 선택했을 때, 하나의 의미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말과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을 링크할 수 있어, 사전의 API 없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7은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서 사용되는 인덱스 정보 기술의 설명도이다. 500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기기에서,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비스 내용을 기술하는 인덱스 정보 기술 중, 전체를 나타내는 기술 내용부이다. 501은 사람이 서비스 내용을 알 수 있는 인간 이해부이다. 502는 컴퓨터 등 네트워크 접속된 기기가 이해할 수 있는 서비스의 입출력 기술을 정의한 장치 이해부이다.
예를 들면,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술 내용부(500)에 "서비스", 인간 이해부(501)에 "인쇄", 장치 이해부(502)에 "입력(화상), 출력(문서)"이라고 쓰여져 있는 경우, 서비스라는 내용은 사람에게 있어서는 "인쇄"라는 말로 이해할 수 있으나, 기기에게 있어서는 입출력 관계의 규정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종래 서비스 내용의 API를 규정하여 인쇄라는 방법은 누구에 대해 무엇을 하는 것인지를 사전에 모두 정해두어야만 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장치는 "인쇄"라는 방법은 모르고, 단순한 입출력 관계만으로 처리를 행한다. 또, 기기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기술(입출력 관계)에 사람에게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말을 링크시킴으로써, 사람에 대해 그 방법을 이해하기 쉬운 말로 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기기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타났을 때도, 입출력 관계만을 의식하면 되고, 그 방법은 의식할 필요가 없다. 즉, 신규 서비스에 대해 사전에 API를 작성하지 않아도 추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들 서비스를 복수 연결함으로써, 복잡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캐너(1400)에 대한 기술로서, "입력(문서), 출력(비트맵)", 화상 변환기(1401)에 대한 기술로서 "입력(비트맵), 출력(런렝스 부호화)", 모뎀(1402)에 대한 기술로서 "입력(런렝스 부호화), 출력(전화회선)"을 부여하고, 이들 3개의 서비스를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1403)를 통해 취입된 화상(비트맵)을 화상 포맷 변환을 행하여, FAX로 송신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은 모두 자율 분산적으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의해 운영·관리되고 있으므로, 서버와 같이 일원 관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덱스 정보 기술에서 인간 이해부(501)와 장치 이해부(502)를 링크시켜 유지함으로써,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의해 신규 API를 정의하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난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네트워크 접속기기를 이용함으로써 확장성이 뛰어난 네트 워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선을 통해 접속됨으로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자 기기(自機器)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기정보 기억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한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기정보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상기 기기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자 기기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통지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하는 식별자 해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자 기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 식별자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송신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 모두가 해당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자 기기의 기기 식별자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자 기기의 기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를 해석하는 기능 해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하다고 판단한 서비스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제시부에 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정보가,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서비스를 입력/출력 관계로 정의한 서비스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비스 정의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기능 해석부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입력/출력 관계의 조합이 상기서비스 정의 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 기기정보 기억부, 및 기기정보 해석부가, 하나의 반도체 칩에 하드웨어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접속기기.
  9.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선으로 수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통신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자 기기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기정보 기억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수신한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정보를 해석하는 기기정보 해석부를 구비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었을 때,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상기 기기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자 기기의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정보의 통지를 해석하여,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새롭게 접속된 것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통지하는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자 기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 식별자를 적절히 선택하여 송신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었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통지하고,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 어디로부터도 상기 통지를 받지 않았을 때, 해당 기기 식별자를 자 기기가 사용하는 기기 식별자로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통지하는 상기 자 기기의 정보가 해당 기기의 기능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해석부가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기 식별자를 해석함으로써, 상기 하나의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기 식별자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정보를 제시하는 정보 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를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하다고 판단한 서비스의 정보를 상기 정보 제시부에 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시부를 갖는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통일 형식을 기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부터 통지된 상기 정보의 내용을 상기 통일 형식에 적합하게 하여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정보가,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입력/출력 관계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는 서비스를 입력/출력 관계로 정의한 서비스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서비스 정의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기능 해석부가 자 기기의 기능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의 입력/출력 관계의 조합이 상기 서비스 정의 정보의 입력/출력 관계와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다른 네트워크 접속기기로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기기가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해당 네트워크 기기가 필요한 서비스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2-7006399A 1999-11-18 2000-11-17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3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27996 1999-11-18
JP32799699 1999-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87A true KR20020053087A (ko) 2002-07-04
KR100437849B1 KR100437849B1 (ko) 2004-06-30

Family

ID=1820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399A KR100437849B1 (ko) 1999-11-18 2000-11-17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76550B1 (ko)
EP (1) EP1239372B1 (ko)
JP (1) JP4309087B2 (ko)
KR (1) KR100437849B1 (ko)
CN (1) CN1214330C (ko)
DE (1) DE60043744D1 (ko)
WO (1) WO20010371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09B1 (ko) * 2004-07-09 2009-03-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426A (ja) * 2001-06-20 2003-01-10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調理器システム,インタフェース器及び調理器
KR100386599B1 (ko) * 2001-06-26 2003-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홈 네트워크 분리 방법
JP4208640B2 (ja) 2002-06-04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027161B2 (ja) * 2002-06-04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13349A (ja) * 2002-06-04 2004-01-15 Canon Inc 撮像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JP4078950B2 (ja) * 2002-10-29 2008-04-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更新システム及び情報更新システムの情報更新方法
EP1422920B1 (en) * 2002-11-19 2013-01-23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Network scanning system
KR100493895B1 (ko) * 2003-04-17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협업 서비스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4818590B2 (ja) * 2003-05-28 2011-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ビス利用端末、携帯電話端末、テレビジョン受像端末、コネクタ提供サーバ、およびコネクタデータのデータ構造
EP1571556A1 (en) * 2003-07-25 2005-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distributing apparatus
US20070180127A1 (en) * 2003-11-11 2007-08-02 Nokia Corporation Preconfigured syncml profile categories
KR100565062B1 (ko) * 2003-12-13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망을 통해 프린터를 선택하여 인쇄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JP4574253B2 (ja) 2004-07-09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645141B2 (ja) * 2004-10-05 2011-03-09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医療機器の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医療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404215B2 (ja) * 2005-08-12 2010-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管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7804612B2 (en) * 2006-01-31 2010-09-28 Ricoh Company, Ltd. Network printing with driverless clients
US8653482B2 (en) 2006-02-21 2014-02-18 Goji Limited RF controlled freezing
CN100454231C (zh) * 2006-03-01 2009-01-21 株式会社理光 打印机设备
JP4898269B2 (ja) * 2006-04-14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インストール方法
EP2528415B1 (en) 2006-07-10 2015-03-04 Goji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with multi-frequency microwaves
JP5373290B2 (ja) * 2008-01-10 2013-12-18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医用画像装置
US20100027050A1 (en) * 2008-07-29 2010-02-04 Alain Regnier Dynamic bridging of web-enabled components
JP5495523B2 (ja) * 2008-08-06 2014-05-21 株式会社東芝 医療通信機器設定システム及び医療通信機器設定方法
JP5310445B2 (ja) * 2009-09-28 2013-10-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88436B2 (en) 2011-08-31 2018-10-02 Goji Ltd. Object processing state sensing using RF radiation
KR101857792B1 (ko) * 2012-03-1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바이스와 기능을 공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450744B (zh) 2013-05-13 2021-04-0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管理方法
US11671991B2 (en) 2020-07-13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management in blockchain based iot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538A (ja) 1988-07-21 1990-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ドレス設定方法
US5408618A (en) * 1992-07-31 1995-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mechanism
US5511208A (en) * 1993-03-23 1996-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ting resources in computer networks having cache server nodes
JPH07271702A (ja) 1994-04-01 1995-10-20 Canon Inc スキャナプリンタサーバーシステムおよびスキャナプリンタサーバーシステムの有効機能管理方法
JP3509177B2 (ja) * 1994-04-12 2004-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機器操作支援装置及び機器操作支援方法
JP2792427B2 (ja) 1994-04-13 199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リモコン給湯機
JP3342225B2 (ja) * 1995-03-29 2002-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機能表示方法、ファクシミリ機能取得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JP3359496B2 (ja) * 1996-06-14 2002-12-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伝送装置識別番号付与方法、伝送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管理装置
US6069896A (en) * 1996-10-15 2000-05-30 Motorola, Inc. Capability addressable network and method therefor
JPH10326244A (ja) 1997-05-27 1998-12-08 Toyota Motor Corp データ送出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
US6421069B1 (en) * 1997-07-31 2002-07-1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self-describing information within devices
US6667992B1 (en) * 1997-08-04 2003-1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etwork control system
JPH1188965A (ja) 1997-09-12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装置
US6167449A (en) * 1997-11-19 2000-12-26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locating services on multiple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a query by type
JPH11168498A (ja) 1997-12-02 1999-06-22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子メール補助装置及び記録媒体
US6085236A (en) * 1998-01-06 2000-07-04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 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modules for incorporating legacy devices
DE19812163C2 (de) * 1998-03-19 2002-03-07 Siemens Ag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und Initialisierung von Geräten
EP1022876B1 (en) * 1999-01-25 2006-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rvice advertisements in wireless local networks
US6925513B1 (en) * 1999-05-04 2005-08-02 Apple Computer, Inc. USB device not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09B1 (ko) * 2004-07-09 2009-03-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39372A4 (en) 2008-07-09
CN1214330C (zh) 2005-08-10
EP1239372B1 (en) 2010-01-20
EP1239372A1 (en) 2002-09-11
WO2001037101A1 (fr) 2001-05-25
KR100437849B1 (ko) 2004-06-30
CN1423777A (zh) 2003-06-11
DE60043744D1 (de) 2010-03-11
JP4309087B2 (ja) 2009-08-05
US7076550B1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849B1 (ko) 네트워크 접속기기 및 이것을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7239891B2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US6968365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from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7194689B2 (en) Generic user control point tool for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devices
CN1943171B (zh) 用于控制分布式站的网络中的设备的方法和网络站
EP16556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device o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and playing content using the device
KR100637080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20070009633A (ko) 통지 방법, 접속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N103780666A (zh) 用户终端、操作者服务器、远程支持方法、以及用于用户终端的程序
KR20030068377A (ko) 네트워크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제어 방법
US20040133678A1 (en) Data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4505360A (ja) Uiベース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ブリッジング
JP2005292903A (ja) 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2009807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12296B2 (ja) 状態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当該プログラムによりプログラムされたコンピュータ
EP1234465B1 (en)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EP2337349A1 (en)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and system
EP1234436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from a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2003308264A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制御方法
JP2008040915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通信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57793B1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53266B1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생성 방법
JP2007172289A (ja) 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方法
EP22470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managing electronic utility devices
CN102209164A (zh) 图像形成系统、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