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891A - 스트립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891A
KR20020042891A KR1020000072235A KR20000072235A KR20020042891A KR 20020042891 A KR20020042891 A KR 20020042891A KR 1020000072235 A KR1020000072235 A KR 1020000072235A KR 20000072235 A KR20000072235 A KR 20000072235A KR 20020042891 A KR20020042891 A KR 20020042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deflector roll
guide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642B1 (ko
Inventor
김부래
김재일
김정열
조상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7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6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스트립을 복수의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후단부를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의 선,후단부가 인접한 기기들에 접촉되어 표면흠이 발생하거나, 스트립의 진행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이루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스트립을 복수의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후단부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플렉터 롤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 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의 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 회동가능한 스트립 유도롤을 구비하고, 디플렉터 롤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 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 롤의 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벤딩롤을 구비하고, 스트립의 선,후단을 안내하는 경우, 상기 스트립 유도롤과 벤딩롤이 디플렉터 롤의 원주를 따라 일정각도 이동되면서 스트립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유도장치{APPARATUS FOR GUIDING STRIP}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스트립을 복수의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후단부를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트립의 선,후단부가 인접한 기기들에 접촉되어 표면흠이 발생하거나, 스트립의 진행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이루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스트립 생산라인에서는 스트립을 코일형으로 감지 위한 권취설비를 가지며, 이러한 권취설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기(210)의 후단에 디플렉터 롤(Deflector Roll)(212)과 복수의 스너버 롤(Snubber Roll)(215a)(215b)을 가지고, 그 후방에는 복수의 텐션릴(230a)(230b)을 구비한다. 이러한 권취설비(200)에서, 스트립(S)은 전단기(210)를 거쳐서, 상기 디플렉터롤(212)과 스너버롤(215a)(215b)을 통과한 후, 1번 텐션릴(230a)에 감기고, 그 감김작업이 종료하면, 2번 텐션릴(230b)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트립(S)은 1번 텐션릴(230a)에 스트립(S)이 감기고, 전단기(210)에서 일정길이의 스트립 절단이 이루어진 후에는 스트립(S)의 표면에 스크래치 결함을 발생시킨다. 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권취설비는 1번 텐션릴(230a)에 스트립(S)이 감기는 과정에서 스트립(S)의 후단부는, 특히 1.5 내지 3.2t 의 두께를 가진 후물 스트립(S)인 경우는 그 후단부가 디플렉터롤(212)과 스너버 롤(215a)(215b)을 통과한 다음, 이에 인접한 에어노즐(240)에 부딪쳐서 그 표면에 상당한 스크래치 결함을 발생시킨다. 이는 후물 스트립(S)이 적절하게 하향되지 못하고, 디플렉터롤(212)과 스너버롤(215a)사이에서 상향 반곡된 상태를 유지하여 인출되기 때문이다.
즉, 1번 텐션릴(230a)에 코일을 권취하여 작업하는 도중, 전단기(210)에서 스트립(S)의 후단부가 절단되면, 스트립(S)에 가해졌던 장력이 제거되고, 스트립(S)은 1번 텐션릴(230a)의 회전만으로 권취됨으로서 스트립(S)의 후단부는 디플렉터롤(212)과 스너버롤(215a)사이에서 상향 반곡된 상태로 인출되어 에어노즐(240)에 간섭되고, 대략 7m 이상 스트립(S)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결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권취설비(200)는 2번 텐션릴(230b)에 스트립(S)을 감고자 하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이 종종 에어노즐(240)에 충돌되어 진행결함을 발생시킨다.
이는 특히, 0.2 내지 0.8t의 박판 스트립 선단부는 디플렉터롤(212)과 스너버롤(215b)의 사이에서 상향 반곡된 상태(도 2b의 점선참조)를 유지하고 배출되어 에어 노즐(240)의 상부측으로 진입하여야 하나, 종종 그 선단부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 처지어 에어노즐(240)에 충돌되는 것이다. 즉, 2번 텐셜릴(230b)로 스트립(S)을 유도하는 경우, 전방측 스너버 롤(215b)이 하강하여 스트립(S)에 대략 15°의 상향경사를 주게 되나, 박판 스트립(S)의 경우는 스트립(S)의 자중에 의해서 그리고, 스트립(S)의 휨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하부로 그 선단부가 처져서 에어노즐(240)의 선단에 충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스트립(S)의 연속진행이 불가능하므로 권취설비의 가동정지로 연속작업이 불가능하여 막대한 공정상의 생산성 하락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트립의 선,후단부가 인접한 기기들에 접촉되어 표면흠이 발생하거나, 스트립의 진행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이루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트립 권취설비에서 종래의 스너버롤의 작동과 스트립 권 취상황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스너버 롤에 의한 스트립의 표면결함이 발생하는 상태도로서,
a)도는 스트립 후단부가 에어노즐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도는 스트립 선단부가 에어노즐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박판 및 중박 스트립을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a)는 스트립 선단부를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는 스트립 후단부를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c)는 스트립 선단부를 에어노즐의 상부측으로 유도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후물 스트립을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a)는 스트립 선단부를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는 스트립 후단부를 유도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c)는 스트립 선단부를 에어노즐의 상부측으로 유도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트립 유도롤 12..... 상하이동 실린더
14.... 전,후진 실린더 20..... 벤딩 롤
22.... 브라켓 28..... 제 2레버
35.... 경사 실린더 42..... 지지대
50.... 가이드 바 52..... 고정 블록
55.... 승하강 실린더 200.... 권취설비
210... 전단기 212.... 디플렉터 롤
215a,215b... 스너버 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생산된 스트립을 복수의 텐션릴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선,후단부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플렉터롤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 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의 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 회동가능한 스트립 유도롤을 구비하고, 디플렉터롤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 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의 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벤딩롤을 구비하고, 스트립 선,후단을 안내하는 경우, 상기 스트립 유도롤과 벤딩롤이 디플렉터롤의 원주를 따라 일정각도 이동되면서 스트립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롤(212)의 상부측 프레임(5)에 각각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이 장착된다.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상부측에 배치된 것이고,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 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212)의 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그 상부측에서 연장하고,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와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에 연결되는 바, 상기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는 그들 실린더 몸체(12a)가 디플렉터롤(212)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12b)는 하부측으로 연장하여 각각 제 1레버(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레버(20)의 하단은 브라켓(22)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5)의 하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는 상기 프레임(5)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14a)에는 제 2레버(28)의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2레버(28)의 하단은 스트립 유도롤(10)의 양측단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레버(20)와 제 2레버(28)는 그 중간부분이 서로 핀(3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교차 연결되는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디플렉터롤(212)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P) 후방으로는 벤딩롤(20)이 위치되고, 이는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에서 상하이동및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는 바, 이를 위하여 벤딩롤(20)은 복수의 경사 실린더(35)가 디플렉터롤(212)의 양측에서 프레임(5)상에 각각 수평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경사 실린더(35)의 로드(35a)에는 제 3레버(37)들이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3레버(37)들은 프레임(5)으로부터 돌출한 지지대(42)상에 그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레버(37)의 하단은 각각 디플렉터롤(212)에 나란하게 한쌍의 가이드바(50)를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50)에는 중앙에 고정블럭(52)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블럭(52)에는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장착된다, 상기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는 그 몸체가 상기 고정블럭(52)에 장착되는 것이고, 그 양측으로는 원통형 가이드 구(57)를 장착하며, 상기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의 로드(55a)에는 요크(yoke)부재(60)를 통하여 벤딩롤(2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요크부재(60)의 상단으로는 한쌍의 가이드봉(62)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구(57)에 활주가능하도록 끼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벤딩롤(20)은 승,하강 실린더(55)에 의해서 디플렉터롤(212)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고, 경사 실린더(35)에 의해서 디플렉터 롤(212)의 원주방향으로 경사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레버(37)와 지지대(4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벤딩롤(20)의 경사정도를 각각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설비제어 컴퓨터(미도시)로 송신하는 다수의 센서들이 장착되며, 상기 센서의 위치는 경사 실린더(35)의 홈 포지션 센서(K),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에 대하여 밴딩롤(20)이 일정각도 경사지는 경우, 즉 두께 1.3 내지 3.2t의 후물 스트립(S)에 대한 벤딩롤(20) 홈포지션 위치검출센서(K1), 후물 스트립(S)에 대한 벤딩롤(20) 이동완료 검출센서(k2), 0.2 내지 1.2t의 박판 및, 중물 스트립(S)에 대한 벤딩롤(20) 이동완료 검출센서(K3)들이 갖춰지며, 상기 센서(k)(k1)(k2)(k3)들은 지지대(42)에 대하여 제 3레버(37)가 경사지는 경우, 이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들을 각각 상기 설비제어 컴퓨터(8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트립 유도장치(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텐션릴(230a)에 스트립(S)의 선단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비제어 컴퓨터(80)에 상위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소재의 두께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다. 이송되어 오는 스트립(S)의 두께가 0.2 내지 1.2t의 박판 및, 중물 스트립인 경우, 스트립 유도롤(10)은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가 작동되어 그 로드(12b)가 하향됨으로써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의 0°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그 사이에서 스트립(S)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벤딩 롤(20)은 홈포지션 센서(k)에 의해 검출된 상태에서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작동되어 벤딩롤(20)은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 -5°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스트립(S)을 안내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에 대하여 전방측은 + 각도로 표시하고, 후방측은 - 각도로 표시하기로 한다.
따라서, 0.2 내지 1.2t의 박판 및, 중물 스트립(S)의 선단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트립 유도롤(10)은 0°의 위치에서, 그리고 벤딩롤(20)은 -5°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부를 유도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은 하향되어 1번 텐션릴(230a)측으로 쉽게 안내되고, 에어 노즐(240)과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스트립 선단부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은 최초의 위치로 상승되어 복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0.2 내지 1.2t의 박판 및, 중물 스트립(S)의 전단지점이 전단기(210)에 도달하게 되면, 스트립 유도롤(10)은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가 작동되어 그 로드(12b)가 하향됨으로써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표면에 접촉되고,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가 작동되어 스트립 유도롤(10)을 수직 기준선(P)의 +20°의 지점으로 이동시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그 사이에서 스트립(S)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벤딩 롤(20)은 홈포지션 센서(K)에 위치된 상태에서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작동되어 벤딩롤(20)은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 -5°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스트립(S)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전단기(210)에 의해서 스트립(S)의 전단이 이루어지면, 벤딩롤(20)은 상기 경사실린더(35)가 작동하여 벤딩롤(20)의 위치를 -5°로부터 도 5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30°로 이동시켜 검출센서(K3)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발신시키면서 스트립(S)의 후단부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스트립(S)의 후단부는 벤딩롤(20)이 -30°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의 사이에서 지지되므로 에어노즐(240)과 충분한 거리가 유지되어 아무런 스크래치 결함없이 1번 텐션릴(230a)에 완전히 감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1번 텐션릴(230a)의 권취가 완료되면, 후행하는 스트립(S)을 2번 텐션 릴(230b)에 감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스트립(S)의 선단부를 2번 텐션릴(230b)측으로 유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비제어 컴퓨터(80)는 벤딩 롤(20)을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 0°에 위치시키고, 스트립 유도롤(10)을 수직 기준선(P)으로부터 스트립 두께에 따른 일정 각도(α)만큼 이동시킨다. 상기 각도는 0.2 내지 0.5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6°,0.6 내지 0.9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7°,1.0 내지 1.2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9°로 형성되어 디플렉터 롤(212)의 전방측으로 경사시킴으로서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향 반곡으로 유도하고, 에어 노즐(240) 너머의 2번 텐션릴(230b)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부는 충분히 상향 반곡이 되어 에어 노즐(240)에 충돌되어 스트립(S)의 진행이 방해됨이 없이 후속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을 1.3 내지 3.2t의 후물 스트립(S)에 적용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텐션릴(230a)에 후물 스트립(S)의 선단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비제어 컴퓨터(80)에 상위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소재의 두께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다. 이송되어 오는 스트립(S)의 두께가 1.3 내지 3.2t의 후물 스트립이 확인되는 경우, 스트립 유도롤(10)은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가 작동되어 그 로드(12b)가 하향됨으로써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의 0°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그 사이에서 스트립(S)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벤딩 롤(20)은 홈포지션 센서(K)에 위치된 상태에서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작동되어 벤딩롤(20)은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 -5°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스트립(S)을 안내한다.
따라서, 후물 스트립(S)의 선단부는 하향 만곡되어 1번 텐션릴(230a)로 양호하게 유도되며, 이때,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0°의 위치에서, 그리고 벤딩롤(20)은 -5°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후물 스트립(S)의 선단부를 유도하면, 상기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은 최초의 위치로 상승되어 복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후물 스트립(S)의 전단지점이 전단기(210)에 도달하게 되면, 스트립 유도롤(10)은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가 작동되어 그 로드(12b)가 하향됨으로써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표면에 접촉되고,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가 작동되어 스트립 유도롤(10)을 수직 기준선(P)의 +20°의 지점으로 이동시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그 사이에서 스트립(S)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벤딩 롤(20)은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작동되어 벤딩롤(20)은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 -5°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스트립(S)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유지되다가 전단기(210)에 의해서 스트립(S)의 전단이 이루어지면, 벤딩롤(20)은 상기 경사실린더가 작동하여 벤딩롤(20)의 위치를 -5°로부터 도 6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30°로 이동시키면서 검출 센서(k2)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하고, 스트립(S)의 후단부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스트립(S)의 후단부는 벤딩롤(20)이 -30°지점에 위치하여 디플렉터롤(212)과의 사이에서 지지되므로 에어노즐(240)과 충분한 거리가 유지되어 아무런 스크래치결함없이 1번 텐션릴(230a)에 완전히 감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1번 텐션릴(230a)의 권취가 완료되면, 후행하는 스트립(S)을 2번 텐션 릴(230b)에 감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스트립(S)의 선단부를 2번 텐션릴(230b)측으로 유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비제어 컴퓨터(80)는 벤딩 롤(20)을 디플렉터롤(212)의 수직 기준선(P)에 대하여 -5°에 위치시키고, 스트립 유도롤(10)을 수직 기준선(P)으로부터 스트립 두께에 따른 일정 각도(β)만큼 이동시킨다. 상기 각도(β)는 1.3 내지 1.6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5°,1.7 내지 2.3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4.5°,2.4 내지 3.2t의 스트립(S)인 경우는 14°로 형성되어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향 반곡으로 유도하고, 에어 노즐(240) 너머의 2번 텐션릴(230b)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선단부는 충분히 상향 반곡이 되어 에어 노즐(240)에 충돌되어 스트립(S)의 진행이 방해됨이 없이 후속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번 텐션릴(230a)로 스트립(S)의 선,후단부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에 의해서 스트립(S)에 하향반곡을 형성시켜 에어 노즐(240)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2번 텐션릴(230b)로 스트립(S)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에 의해서 스트립(S)에 상향반곡을 형성시켜 에어 노즐(240)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S)의 선,후단부가 인접한 기기들에 접촉되어 표면흠이 발생하거나, 스트립(S)의 진행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트립(S)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권취작업을 이루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4)

  1. 제철소에서 생산된 스트립(S)을 복수의 텐션릴(230a)(230b)을 이용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스트립(S)의 선,후단부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플렉터롤(212)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P) 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212)의 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 회동가능한 스트립 유도롤(10)을 구비하고, 디플렉터롤(212)의 상부측에서 그 수직 기준선(P) 후방에서 상하이동 및, 디플렉터롤(212)의 후방측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벤딩롤(20)을 구비하고, 스트립(S)의 선,후단을 안내하는 경우, 상기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이 디플렉터롤(212)의 원주를 따라 일정각도 이동되면서 스트립(S)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유도롤(10)은 디플렉터롤(21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그 상부측에서 연장하고,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와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상하이동 실린더(12)는 그들 실린더 몸체(12a)가 디플렉터롤(212)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12b)는 하부측으로 연장하여 각각 제 1레버(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레버(20)의 하단은 브라켓(22)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5)의 하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전,후진 실린더(14)는 상기 프레임(5)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14a)에는 제 2레버(28)의 상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 2레버(28)의 하단은 스트립 유도롤(10)의 양측단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1레버(20)와 제 2레버(28)는 그 중간부분이 서로 핀(3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교차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롤(20)은 복수의 경사 실린더(35)가 디플렉터롤(212)의 양측에서 프레임(5)상에 각각 수평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경사 실린더(35)의 로드(35a)에는 제 3레버(37)들이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 3레버(37)들은 프레임(5)으로부터 돌출한 지지대(42)상에 그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 3레버(37)의 하단은 각각 디플렉터롤(212)에 나란하게 한쌍의 가이드바(50)를 장착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50)에는 중앙에 고정블럭(52)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블럭(52)에는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가 장착되며, 그 양측으로는 원통형 가이드 구(57)를 장착하고, 상기 벤딩롤 승하강 실린더(55)의 로드에는 벤딩롤(20)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한쌍의 가이드봉(62)이 상기 가이드 구(57)에 활주가능하도록 끼워 결합됨으로서, 상기 벤딩롤(20)은 승,하강 실린더(55)에 의해서 디플렉터롤(212)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고, 경사 실린더(35)에 의해서 디플렉터롤(212)의 원주방향으로 경사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유도롤(10)과 벤딩롤(20)은 1번 텐션릴(230a)로 스트립(S)의 선,후단부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스트립(S)에 하향반곡을 형성시켜 에어 노즐(240)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2번 텐션릴(230b)로 스트립(S)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트립(S)에 상향반곡을 형성시켜 에어 노즐(240)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유도장치.
KR10-2000-0072235A 2000-12-01 2000-12-01 스트립 유도장치 KR10047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35A KR100470642B1 (ko) 2000-12-01 2000-12-01 스트립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235A KR100470642B1 (ko) 2000-12-01 2000-12-01 스트립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891A true KR20020042891A (ko) 2002-06-08
KR100470642B1 KR100470642B1 (ko) 2005-03-07

Family

ID=2767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235A KR100470642B1 (ko) 2000-12-01 2000-12-01 스트립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6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61B1 (ko) * 2001-06-22 2006-03-16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권취기의 박판 표면 마찰흠 방지장치
KR100716464B1 (ko) * 2001-07-13 2007-05-10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스트립의 권취선단 제어장치
KR100787586B1 (ko) * 2001-07-11 2007-12-21 주식회사 포스코 엔트리가이드의 스트립 선단부 유도장치
CN110560609A (zh) * 2019-09-23 2019-12-13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在线钢筋自动剪切、卷筒切换装置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05B1 (ko) * 2002-08-07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에지 평탄 가압 장치
KR100865160B1 (ko) 2007-07-25 2008-10-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EP4368308A1 (de) 2022-11-10 2024-05-15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Wickelverfahren u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532A (ja) * 1991-07-31 1993-02-09 Kawasaki Steel Corp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BR9806803A (pt) * 1997-11-27 2000-05-02 Mitsubishi Heavy Ind Ltd Sistema de bobinamento para tira metálic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61B1 (ko) * 2001-06-22 2006-03-16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권취기의 박판 표면 마찰흠 방지장치
KR100787586B1 (ko) * 2001-07-11 2007-12-21 주식회사 포스코 엔트리가이드의 스트립 선단부 유도장치
KR100716464B1 (ko) * 2001-07-13 2007-05-10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스트립의 권취선단 제어장치
CN110560609A (zh) * 2019-09-23 2019-12-13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在线钢筋自动剪切、卷筒切换装置及其方法
CN110560609B (zh) * 2019-09-23 2024-04-26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在线钢筋自动剪切、卷筒切换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642B1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642B1 (ko) 스트립 유도장치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JP2549776B2 (ja) サプライスタンドの自動トラバース装置
KR100467771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JPH0833914A (ja) 被圧延材ループを制御の下に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859582B2 (ja) ストリップコイルの鼻曲げ装置およびストリップ処理ライン
US4958718A (en) Article centering device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20060021190A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부 굽힘 유도장치
JP3820457B2 (ja) マーキング鋼板の製造方法、マーキング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92369A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CN110744118A (zh) 一种取向硅钢错边卷剪切装置及控制方法
KR20020047458A (ko) 루퍼카 스트립 사행 조정 장치
KR20050017273A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JPH0123608Y2 (ko)
CN214767795U (zh) 一种可与卷取机同步横移钢卷压紧装置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20060018302A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20220015585A (ko) 스프링용 선재 인입장치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JP4372540B2 (ja) ブライドルユニット
KR20030014506A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정렬장치
JPS63194815A (ja) 金属管の冷間抽伸装置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