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302A -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302A
KR20060018302A KR1020040066621A KR20040066621A KR20060018302A KR 20060018302 A KR20060018302 A KR 20060018302A KR 1020040066621 A KR1020040066621 A KR 1020040066621A KR 20040066621 A KR20040066621 A KR 20040066621A KR 20060018302 A KR20060018302 A KR 2006001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rolled material
wire rod
guide means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536B1 (ko
Inventor
태종성
이천수
김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066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간 압연소재의 진행시 압연기와 압연기 사이를 진행하는 압연소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업 루퍼 설비에서 압연소재의 코블(cobble) 발생, 압연소재의 긁힌 결함 발생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소재가 업루퍼 설비로 부터 그 후방측의 출구롤러측으로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통과하도록 된 터널식 가이드 수단;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후단부를 지지 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및 상기 압연소재가 루프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통과하도록 압연소재의 루프형성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가변적으로 경사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소재의 코블을 방지하고, 긁힌 결함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선재제품의 품질향상은 물론 원활한 조업에 따른 작업 생산성의 향상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압연선재, 업루퍼 설비, 터널식 가이드 수단, 선재압연설비, 코블 방지, 표면 긁힘방지

Description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TUNNER GUIDE APPARATUS OF ADJUSTABLE TYPE FOR WIRE ROD ROLLING MILL}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가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구비된 유압회로도를 도시한 구성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가이드 부재의 단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가이드 부재와 수직 롤러의 연결 구성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수직 롤러의 작동 설명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수직 롤러가 압연소재를 안내하여 표면 긁힘을 방지하는 작동을 도시한 설명도;
제 9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재 압연라인에서 코블발생현황을 도시한 설명도;
제 10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재 압연라인에서 표면 긁힘현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10.... 터널식 가이드 수단 12.... 가이드부재
15.... 입구부 20.... 고정수단
22.... 지지 구조물 24.... 경첩
40.... 회동수단 43.... 작동실린더
43a... 로드 50.... 유압회로도
60.... 롤러 가이드 수단 62.... 롤러 고정대
66.... 롤러 샤프트 68,68'.... 수직 롤러
200.... 스캐너 205.... 업루퍼 설비
210.... 루프-암 212.... 업루퍼 롤러
222,222'.... 업루퍼 측면 가이드
240.... 입구롤러 250.... 출구롤러
300.... 압연 패스라인 베드 S.... 압연소재
본 발명은 선재의 연속압연 생산공정에서 사용되어지는 가이드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소재의 진행시 압연기와 압연기 사이를 진행하는 압연소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업 루퍼 설비에서 압연소재의 코블(cobble) 발생, 압 연소재의 긁힌 결함 발생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선재제품의 품질및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압연은 빌렛트(Billet)를 대략 선재압연 가능 온도인 910~1200℃로 가열하여 조압연, 중간사상 압연, 사상압연을 거쳐 Φ5.5∼Φ42.0까지의 선재(wire rod)를 생산하는 봉강압연에 속한다. 선재압연의 소재인 빌렛트는 대략 160mm × 160mm 정도의 단면크기를 갖고, 제품당 단중은 2톤(ton)이다.
선재압연라인은 통상, Φ5.5∼Φ13.0의 소경선재를 압연하는 선재라인(Wire Rod Line)과 Φ14.0∼Φ42.0의 대경선재를 압연하는 가렛트 라인(Garret Line)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러한 선재압연은 연속적인 압연이 이루어지며, 압연소재의 직경이 ∮14mm ~42mm 대경선재압연 공정에서는 루프제어 시스템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루프제어 시스템은 선재압연라인중 압연소재의 장력 제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중간 조압연공정의 #11~13압연기 및 중간 사상압연기에 장착되어 압연소재의 장력을 제어해 준다.
상기한 종래의 루프(LOOP) 제어시스템은 중간 조압연공정의 #11~13압연기 및 중간 사상압연기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어원리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압연소재(S)가 어느 한 임의의 N번째 압연기에서 선재 압연되고, 다음 단계의 N+1번째 압연기에 취입되면, 이러한 압연소재(S)를 상기 N번째, N+1번째 압연기들의 사이에 배치된 스캐너(200)가 감지하고 압연 라인의 하부측에 위치된 업루퍼 설 비(205)의 루프-암(210)에 장착된 업루퍼 롤러(212)를 상승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업루퍼 롤러(212)의 상승에 의하여 압연소재(S)가 업루퍼 설비(205)의 입구롤러(240)와 출구롤러(250) 사이에서 포물선을 그리며 곡선을 유지하는데, 이때 압연소재(S)의 포물선 높이는 스캐너(200)의 중심점에 이르게 되고, 압연소재(S)의 포물선은 입구롤러(240)에 의하여 전방측 N번째 압연기와 직선을 이루게 되며, 또한 압연소재(S)는 출구롤러(250)에 의하여 후방측 N+1번째 압연기와의 사이에서 직선상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업루퍼 설비(205)의 업루퍼 롤러(212)는 루퍼암(21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루퍼 암(210)의 후단은 작동실린더(214)로 구동되며, 상기 업루퍼 롤러(212)의 후방측에 위치된 일측 업루퍼 측면 가이드(222)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절개된 관통구(224)가 천공되어 스캐너(200)에 의하여 압연소재(S)의 포물선 높이를 검출한다. 또한, 다른 측면 가이드(222')에도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구(224')가 형성되어 압연소재(S)의 포물선 형태를 선재압연 작업자가 점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입구롤러(240) 및 출구롤러(250)는 첨부도면 도10의 예시와 같이 압연 패스라인 베드(300)의 선상에서 대략 50mm 정도의 높이에 그 위치가 한정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루프 제어 시스템에서는 압연소재(S)의 높이가 스캐너(200)의 검출 중심에 이르지 않을 경우, 후방측 N+1번째 압연기의 공형롤(256)의 회전 수를 감속시켜 압연소재(S)의 루프(LOOP) 크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조정함으로써 압연소재(S)는 후방측 N+1번째 압연기를 통과하는 속도가 늦어지게 되어 스캐너(200)의 중심점에 위치하도록 포물선을 그리게 되고, N번째 압연기와 후방측 N+1번째 압연기와의 사이에서 압연소재(S)의 루프(LOOP) 형태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업루퍼 설비(205)는 도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소재(S)가 그 사이에서 통과하는 업루퍼 측면 가이드(222)(222')와 출구롤러(250)사이에서 압연소재(S)를 직선적으로 인도하는 가이드가 없다.
따라서, N번째 압연기를 통과한 압연소재(S)의 선단부가 간헐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출구롤러(250)에 충돌하거나 출구롤러(250)의 상부로 이탈하여 압연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선재압연의 코블(Cobble)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코블(cobble) 현상은 압연소재(S)가 출구롤러(250)의 상부측으로 진행하면서 출구롤러(250)에 부딪혀 압연 패스라인을 이탈하는 형상으로서, 이때에는 압연작업의 중단을 초래하고, 압연설비의 파손이 이루어지는 등 심각한 조업장애를 초래한다.
즉, N번째 압연기를 통과한 압연소재(S)는 전방측 N번째 압연기의 공형롤 중 하부 롤(254')의 직경이 클 경우, 그 선단부가 상향으로 절곡하는 경향을 갖는다. 그리고, 압연소재(S)의 상부로 휘어짐에 더하여 롤 냉각수노즐(258),(258')에 의한 냉각작용의 불균일이 일어나서 압연소재(S)의 과냉이 이루어질 경우, 압연소재(S)의 선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되면서 압연소재(S)는 업루퍼 설비(205)의 출구롤러(250)에 충돌하거나 출구롤러(250)의 상부로 이탈하는 코블 사례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루프(LOOP) 제어시스템은 압연소재(S)가 포물선 루프를 높게 형성하 면서 간헐적으로는 측방으로 압연소재(S)의 치우침(쓰러짐)이 발생되고, 이는 압연소재(S)와 측면 가이드(222)(222') 간의 접촉및 마찰이 이루어져 압연소재(S)의 표면에 긁힌 결함(Scratch Defects)들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은 선재 제품의 품질 결함은 물론, 안정적인 연속작업을 저해하여 조업 장애의 큰 요인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간 압연소재의 압연작업시, 전방측 압연기와 후방측 압연기사이를 진행하는 압연소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업루퍼 설비에서 압연소재가 후방측 압연기로 정확하게 진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코블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된 선재 압연작업으로 조업 생산성의 향상을 이루고, 압연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연작업중에 압연소재가 측면 가이드등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표면 긁힘현상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선재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안정된 선재 생산조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재의 연속압연 생산공정에서 압연소재에 코블(cobble)및 긁힘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터널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소재가 업루퍼 설비로 부터 그 후방측의 출구롤러측으로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통과하도록 된 터널식 가이드 수단;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후단부를 지지 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및
상기 압연소재가 루프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통과하도록 압연소재의 루프형성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가변적으로 경사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업루퍼 설비로 부터 상기 출구롤러측으로 코블 발생없이 직선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입구측에 압연소재가 측방으로 기울어져 측면 가이드등에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 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1)는 도1및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의 연속압연 생산공정에서 압연소재(S)에 코블(cobble)및 긁힘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1)는 상기 압연소재(S)에 루프를 형성하는 업루퍼 설비(205)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압연소재(S)가 업루퍼 설비(205)로 부터 그 후방측의 출구롤러(250)측으로 직선적으로 안내되 어 통과하도록 된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을 구비한다.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은 업루퍼 롤러(212)의 후방측에 위치된 측면 가이드(222)(222')와 출구롤러(250)의 사이에서 배치된 것으로서, 압연소재(S)를 출구롤러(250)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대략 ┏┓단면의 가이드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의 내부 높이(d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0mm 정도가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출구롤러(250)와 압연 패스라인 베드(300)의 사이 간격(d2)이 50mm인 경우, 이를 감안하여 설정되었으며, 또한 가이드부재(12)의 입구부(15)는 상부로 대략 30°이하의 기울기 값으로 확대 구성됨으로써 그 입구부(15)의 선단 높이(d3)가 대략 150mm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가이드부재(12)의 입구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루프제어 시스템의 측면 가이드(222)(222')에 근접 배치되는 경우, 압연소재(S)의 선단부를 그 내측으로 충분히 안내시킴과 아울러, 압연소재(S)의 선단부가 출구롤러(250)측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2)의 출측 상단부에는 그 후단부를 지지 구조물(2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20)을 구비하는 바, 상기 고정수단(20)은 연결링 형태의 경첩(24)을 구비한다. 이 경첩(24)은 출구롤러(250)를 외부로 부터 보호하는 고정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물(22)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2)는 상기 고정수단(20)의 경첩(24)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여 선재압연라인(300)에 대해 수평상태의 위치로 부터 그 입구부(15)가 상향된 경사회동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연소재(S)가 루프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을 통과하도록 압연소재(S)의 루프형성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을 가변적으로 경사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수단(40)은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을 동력으로 경사 작동시키는 작동실린더(43)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실린더(43)는 그 몸체부 후단이 상기 출구롤러(250)의 지지 구조물(2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43a)는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43)는 업루퍼 롤러(212) 구동용 작동실린더(214)와 동일한 시점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4의 유압회로도(5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입구측에 압연소재(S)가 측방으로 기울어져 측면 가이드(222)(222')등에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 수단(6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롤러 가이드 수단(60)은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2)의 입구부(15)에서 그 양측면 각각에 배치된 롤러 고정대(62)들을 구비하며, 이 롤러 고정대(62)는 도6의 예시와 같이 외팔보 고정방식으로서 상기 가이드부재(12)에 연결된다.
상기 롤러 가이드 수단(60)에 구비된 롤러 샤프트(66)는 그 상단이 상기 롤러 고정대(62)에 의하여 볼트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롤러 샤프트(66)는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원통형 수직 롤러(68)(68')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 롤러(68)(68')는 가이드부재(12)의 입구부(15) 양측에서 롤러 샤프트(66)상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 배 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 롤러 고정대(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롤러(68)(68')의 상단 일부분은 압연 패스라인의 베드(300) 선상의 상부로 돌출되고, 수직 롤러(68)(68')의 하단 대부분은 압연 패스라인 베드(300)의 하부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입구부(15)가 상향으로 도 7의 예시와 같이 상향(up)으로 경사 작동되면, 포물선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압연소재(S)를 상기 수직 롤러(68)(68')가 회전하면서 지지하여 측면 가이드(222)(222')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이 경사 형성되고, 한쌍의 수직 롤러(68)(68')에 의하여 포물선을 그리는 압연소재(S)의 진행 패스라인에 수직 롤러 고정대(62)가 배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상관 관계를 예시한다. 이는 포물선을 그리는 압연소재(S)의 패스라인은 각각의 압연선재의 방출 직경 및 업루프 유연성의 제어 정도등을 고려하여 대략 100~24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가이드부재(12)에 배치되는 수직 롤러(68)(68')의 하단부가 압연 패스라인 베드(300)의 선상으로 부터, 대략 70mm 가량 상향 이격되며, 수직 롤러(68)(68')의 상단부는 압연패스라인의 베드 지점으로 부터 대략 280mm 정도가 이격된다.
그리고, 도8은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입구에 배치되는 수직 롤러(68)(68')와 루프제어 시스템의 측면 가이드(222)(222')와의 사이의 평면상에서 그 배치관계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수직 롤러(68)(68')의 외경 간의 내측부 간격(a)이 상기 측면 가이드(222)(222')의 벽면 간의 간격(b)보다 작게 구성되어 압연소재(S)를 측면 가이드(222)(222')에 접촉하지 않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출구롤러(250)측으로 압연소재(S)의 선단부 진입을 양호하게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소재(S)의 선단부가 업루퍼 설비(205)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업루퍼 롤러(212)는 압연 패스라인 베드(300) 선상의 하부로 다운된 상태이고, 또한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가이드부재(12)는 압연패스라인의 베드(300) 선상에 일치하여 압연소재(S)의 선단부를 출구롤러(250)측으로 안전하면서 확실하게 안내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와 같이 압연소재(S)를 정확하게 안내함으로써 압연소재(S)의 패스라인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업루퍼 설비(205)에서 선재 압연의 치명적인 코블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압연소재(S)의 선단부가 업루퍼 설비(205)의 출구롤러(250)를 통과하고, 후방측 N+1번째 압연기에 취입되면 업루퍼 설비(205)의 업루퍼 롤러(212) 구동용 작동실린더(214)가 작동하여 업루퍼 롤러(212)가 상향 작동됨과 아울러,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을 경사작동시키는 회동수단(40)의 작동실린더(43)가 함께 작동하게 된다.
이는 작동실린더(43)의 로드(43a)가 몸체부측으로 당겨짐으로써, 그리고 작동 실린더(43)의 몸체부와 로드(43a)가 각각 지지 구조물(22)과 가이드부재(1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로드(43a)의 당김에 의해서 가이드부재 (12)는 고정수단(20)의 경첩(24)을 중심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적으로 그 입구부(15)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입구부(15) 및 롤러(68)(68')가 상부로 상향 작동되면, 업루퍼 롤러(212)에 의하여 포물선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압연소재(S)는 롤러(68)(68')에 의해서 안내되고, 그때의 압연소재(S)의 포물선 높이는 스캐너(200)에 의하여 검출되며, 그 높이가 적절하지 않다면 종래와 같이 후방측 N+1번째 압연기의 압연속도 조절에 의해서 적절하게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은 그 가이드부재 입구부(15) 및 롤러(68)(68')들이 상향 경사된 상태로 압연소재(S)를 지지하게 되므로, 도 2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소재(S)는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에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지지 않으면서, 포물선을 그리는 압연소재(S)가 측면으로 쓰러질 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소재(S)가 한쌍을 이루는 수직 롤러(68)(68')와 접촉하여 수직 롤러들이 회전하면서 지지하게 되어 압연소재(S)는 루프제어 시스템의 측면 가이드(222)(222') 벽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압연소재(S)의 표면에 긁힘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압연소재(S)의 꼬리(tail)부가 업루퍼 설비(205)를 빠져 나가게 되면, 업루퍼 롤러(212) 및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이 동시에 하부로 하강 작동되어 도1의 예시와 같이 다음 번에 진입하는 압연소재(S)의 선단부를 안전하게 통과시키는 준비작업으로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의 기재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들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변형 구조 또는 균등 구조들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특히, 본원 발명의 구성 요소들의 재질 변경, 단순 기능의 부가, 단순 형상변경 또는 치수 변경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겠지만, 이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명백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의 연속압연 생산공정에서 압연기 공정간 압연소재(S)의 루프와 장력을 제어하는 업루퍼 설비(205)에서, 터널식 가이드 수단(10)의 가이드 부재(12)가 압연소재(S)의 선단부를 안전하게 출구롤러(250)측으로 통과시켜 업루퍼 설비(205)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압연소재(S)의 코블을 방지하여 선재압연 생산 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루퍼 설비(205)에서 포물선의 형태로 루프를 형성한 압연소재(S)가 측면으로 쓰러지면서 측면 가이드(222)(222')의 벽면에 접촉하는 현상을 롤러 가이드 수단(60)의 한쌍의 수직 롤러(68)(68')들이 회전하면서 방지하므로, 압연소재(S)의 긁힌 결함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선재제품의 품질향상은 물론 원활한 조업에 따른 작업 생산성의 향상을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8)

  1. 선재의 연속압연 생산공정에서 압연소재에 코블(cobble)및 긁힘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터널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소재가 업루퍼 설비로 부터 그 후방측의 출구롤러측으로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통과하도록 된 터널식 가이드 수단;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후단부를 지지 구조물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고정수단;및
    상기 압연소재가 루프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통과하도록 압연소재의 루프형성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가변적으로 경사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업루퍼 설비로 부터 상기 출구롤러측으로 코블 발생없이 직선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입구측에는 압연소재가 측방으로 기울어져 측면 가이드등에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 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은 압연소재를 출구롤러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입구부는 상부로 확대 구성됨으로 써 압연소재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링 형태의 경첩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경첩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며, 선재압연라인에 대해 수평상태의 위치로 부터 그 입구부가 상향된 경사회동 작동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실린더는 그 몸체부 후단이 지지 구조물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로드는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작동실린더의 구동으로 터널식 가이드 수단을 경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는 업루퍼 롤러 구동용 작동실린더와 동일한 시점에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유압회로도에 의해서 동작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 수단은 상기 터널식 가이드 수단에 구비된 가이드부재의 입구부에서 그 양측면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원통형 수직롤러를 포함하여 압연소재를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롤러의 외경 간의 내측부 간격은 상기 측면 가이드의 벽면 간의 간격보다 작게 구성되어 압연소재를 측면 가이드에 접촉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1020040066621A 2004-08-24 2004-08-24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10107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21A KR101079536B1 (ko) 2004-08-24 2004-08-24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21A KR101079536B1 (ko) 2004-08-24 2004-08-24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302A true KR20060018302A (ko) 2006-03-02
KR101079536B1 KR101079536B1 (ko) 2011-11-02

Family

ID=3712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621A KR101079536B1 (ko) 2004-08-24 2004-08-24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5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52B1 (ko) *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CN109396181A (zh) * 2018-11-13 2019-03-01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解决棒材多线切分3#剪切分倍尺后行走歪斜的装置
KR20200001314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진행 감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설비
KR20220028218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업 루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026Y1 (ko) 1999-10-15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선재압연 가이드의 인서트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52B1 (ko) *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KR20200001314A (ko) * 2018-06-27 2020-01-0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진행 감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재 제조설비
CN109396181A (zh) * 2018-11-13 2019-03-01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解决棒材多线切分3#剪切分倍尺后行走歪斜的装置
CN109396181B (zh) * 2018-11-13 2023-06-20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解决棒材多线切分3#剪切分倍尺后行走歪斜的装置
KR20220028218A (ko) * 2020-08-28 2022-03-08 주식회사 포스코 업 루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536B1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7446A (en) Roll forming apparatus
KR960016462B1 (ko) 강 스트립의 연속어닐링장치 및 그의 장력제어장치와 장력제어방법
US4898013A (en) Installation for levelling a metal strip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101082205B1 (ko) 슬라브 틸팅장치
KR102042552B1 (ko) 업루퍼 시스템
JPH0833914A (ja) 被圧延材ループを制御の下に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715701A (zh) 一种用于带钢粗轧轧制过程中的压翘头装置及方法
KR100973902B1 (ko) 통판성을 향상시킨 열연소재 가이드장치
KR102379572B1 (ko) 업 루퍼 장치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101951945B1 (ko) 광휘 소둔 라인의 루퍼 장치
US5944275A (en) Device for forming loops from a wire strand emerging from a wire rolling train by means or a rotating looper
KR100829965B1 (ko) 선재압연라인의 선재 루핑장치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KR200155912Y1 (ko) 선재설비의 자동루퍼 제어장치
KR100544670B1 (ko) 소둔로내 진입 스트립 포지션 교정장치
KR102379577B1 (ko) 업 루퍼 장치
JPH05111728A (ja) 棒状材料の拘束装置
KR102378284B1 (ko) 압연기의 레스트 바 장치
US10960447B2 (en) Cooling of an obliquely positioned flat rolled product
KR200155911Y1 (ko) 선재설비의 사이드루퍼 긁힘 방지장치
US3370448A (en) Pipe forming apparatus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CN214472705U (zh) 一种加热炉入口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