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81B1 - 판재 터닝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981B1
KR101309981B1 KR1020070139347A KR20070139347A KR101309981B1 KR 101309981 B1 KR101309981 B1 KR 101309981B1 KR 1020070139347 A KR1020070139347 A KR 1020070139347A KR 20070139347 A KR20070139347 A KR 20070139347A KR 101309981 B1 KR101309981 B1 KR 101309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rning
slab
roll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134A (ko
Inventor
서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4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tongs or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6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members, e.g. grooved, engaging opposite sides of the work and moved relatively to each other to revolve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3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urn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판재 예컨대, 압연소재인 슬라브와 같은 판재 터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판재 터닝장치는, 판재 이송테이블에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부재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하부에 연계 설치되되 이송테이블을 통하여 이송되는 판재를 단위 각도로 연속 터닝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슬라브)의 터닝 작동을 신속하게 구현하는 것은 물론, 슬라브 터닝에 따른 압연 지연을 제거하고, 특히 다양한 크기, 온도 및 중량을 갖는 후판재 압연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슬라브 폭내기 압연, 후판 압연, (후)판재 터닝장치

Description

판재 터닝장치{Slab Tu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터닝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로에서 추출된 판재(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의 터닝시 선행 슬라브 터닝후 장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 슬라브 터닝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라 슬라브 터닝에 따른 압연 지연을 제거하고, 특히 다양한 크기, 온도 및 중량을 갖는 후판재 압연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판재 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열간 후판 압연공정은 도 1에서와 같이, 압연소재인 슬라브(slab)(100)의 폭을 목표 폭으로 맞추기 위한 폭내기 압연(broadside rolling) 공정과 폭내기 압연후 슬라브를 90°회전하여 최종 제품의 두께까지 압연하는 길이내기 압연(longitudinal rolling) 공정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폭내기 압연을 실시한 슬라브(100)는 90°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브(100)의 길이는 폭방향(도 1의 'Y' 방향)이 되며, 슬라브(100)의 폭은 길이방향(도 1의 'X' 방향), 즉 압연 방향(슬라브 중앙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이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브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후판재 압연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10)에 추출된 슬라브(100)는 스케일 제거장치(120)에서 표면 스케일이 제거되고, 슬라브 이송롤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 가동되는 이송 테이블(130)을 거쳐 터닝 테이블(200)에 도달한다.
따라서, 슬라브(100)는 조 압연기(140) 입측의 터닝 테이블(200)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폭과 길이방향이 도 1과 같이 변경되어 압연기(140)를 거쳐 폭내기 압연된다.
예를 들어, 후판재의 경우, 일반 열간 압연재 대비 폭이 1500 ~ 4500mm 정도로 크기 때문에, 조압연기 입측에서 슬라브(100)를 터닝하여 폭과 길이 방향이 변경되어 폭이 길이가 되고 길이가 폭이 되어 압연이 수행된다.
따라서, 압연 특성상 압연재는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므로, 목표 폭에 해당하는 분량만큼 터닝후 조압연 공정에서 슬라브의 길이가 늘어나면 조압연을 완료하고 다시 터닝함으로써 목표폭을 가지는 후판재(후강판)을 1차 압연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알려진 종래의 터닝 테이블(200)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압연기 입,출측에 설치된 테이블 바디에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터닝롤(210)들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종래 터닝 테이블(200)의 터닝롤(210)들은 길이방향으로 테이 퍼('T'로 표시)져 있어 도 2와 같이 터닝롤(210)들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롤들을 회전시키면, 슬라브(100)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위한 터닝 테이블(200)은, 현재 제철공장의 가장 관심사인 제품의 고속 생산 즉, 고속 압연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종래 터닝 테이블(200)은, 압연기(140) 입,출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브가 압연기 투입 전 슬라브의 터닝에 따른 기간이 필요하고, 따라서 고속 압연을 어렵게 한다. 즉 압연기에 연속적으로 슬라브가 투입되지 못하는 압연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종래의 터닝 테이블(200)은 슬라브 압연 공정의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 터닝 테이블(200)은 테이퍼 진 터닝롤(210)들을 가동시키기 때문에, 실제 슬라브 터닝시 작업자의 수작업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터닝 테이블 자체의 가동시간도 지연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 2에서 슬라브(100)의 선단부(100a)(점선 부분)가 휘어지는 선단부 형상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이 부분(100a)이 터닝롤 사이에 끼이면서 터닝롤을 통한 슬라브 터닝이 불가능하게 되는 다른 문제도 있었다.
이때, 수작업으로 무리하게 슬라브는 터닝시켜야 하는 것은 물론, 터닝 지연에 따른 슬라브의 온도 저하로, 설정 압연 온도 유지가 어렵고, 결국 슬라브 압연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어 후판재 생산성 및 실수율을 떨어트리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도 2의 슬라브 터닝테이블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도록 한 종래의 슬라브 터닝장치(300)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도 1의 110)에서 추출된 슬라브(100)가 터닝장치(300)측의 이송롤 위치에 도달하면, 터닝장치의 2개의 통 크레인(310)이 내려와서 슬라브(100)를 잡고, 들어올려서 터닝시킨 후 다시 슬라브(100)를 이송롤 위에 내려놓고 슬라브(100)로부터 통 크레인(310)이 분리되면 슬라브는 조 압연기로 이송되며, 통 크레인(310)은 연계된 대차(320)로서 초기 상부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슬라브 터닝장치(300)는, 실린더 작동되는 통 크레인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브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슬라브를 잡는 압력을 조정해 주어야 하고, 통 크레인(310)은 슬라브(100)의 측면을 잡기 때문에, 슬라브 표면 결함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터닝시 슬라브가 미끄러져 낙하되는 대형 안전사고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슬라브 터닝장치(300)는, 통 크레인(310)의 회전(모터 회전 구동되는 베이스(320) 양측에 제공됨)시 터닝장치에 진동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고, 슬라브(100)의 위치 제어도 어려운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존 터닝테이블(200)이나 통 크레인 방식의 종래의 터닝장치(300)의 사용시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소하여, 슬라브 폭내기 압연시 슬라브 온도 저하나 압연 지연 없이 판재(슬라브)의 고속 터닝을 가능하게 하 고, 전체적인 장치 구조도 간소화시킨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가열로에서 추출된 판재(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의 터닝시 선행 슬라브 터닝후 장치를 원 위치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 슬라브 터닝을 신속하게 구현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라 슬라브 터닝에 따른 압연 지연을 제거하고, 특히 다양한 크기, 온도 및 중량을 갖는 후판재 압연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판재 터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판재 이송테이블에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부재;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수단;와, 상기 승강수단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수단의 하부에 연계 설치되되 이송테이블을 통하여 이송되는 판재를 단위 각도로 연속 터닝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판재 터닝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의 하부에 고정되되 이송테이블을 따라 이송되는 판재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회전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되 단위 각도 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의 이송롤에 구비된 안착홈부 또는 이송롤사이의 공간에 인입되는 간격으로 제공되고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판재 안착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 장치에 의하면, 가열로에서 추출된 판재(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의 터닝시 선행 슬라브 터닝후 장치를 원 위치 로 복귀시킬 필요가 없어 슬라브의 터닝이 연속적으로 장치 복귀 작동 없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슬라브 터닝에 따른 압연 지연도 제거하고, 특히 다양한 크기, 온도 및 중량을 갖는 후판재 압연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3의 종래 압연 라인의 여러 설비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의 압연 라인 설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가열로 출측의 스케일 제거장치(120)와 압연기(140)의 입측 터닝케이블(200)사이의 이송테이블(130) 구간의 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연기에 근접하여 배치되지 않고 이송 테이블 구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미리 판재를 터닝시키어 이송 속도 조정을 통하여 압연기로의 투입 지연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다음의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이송테이블(130)에서 장치와 연동하는 이송테이블(90)을 설치하면 이송테이블의 어느 위치에나 간단하게 배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압연기측 보다는 도 4에서 스케일 제거장치(120)에 인접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판재 터닝후 압연기로의 투입 조정을 위한 시간을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크게 판재 이송테이블(130)에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부재(10)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수단(30)와, 상기 승강수단(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수단(50) 및, 상기 회전수단(50)의 하부에 연계 설치되되 이송테이블을 통하여 이송되는 판재를 단위 각도로 연속 터닝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장치 프레임부재(10)에서 승강수단(30)이 승강되어 판재 터닝장치(1)에 대응하는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와 이송롤 사이의 공간에 장치 터닝수단(70)이 인입 및 판재 터닝을 위한 이송롤로부터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수단(50)은 리프팅된 판재인 슬라브(100)의 90°의 단위 각도 터닝을 가능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판재 터닝수단은 판재를 리프팅하여 터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주요 구성부재나 수단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는 상기 이송테이블(130)의 양측에 설치된 수직대(12)와 상기 수직대(12)사이에 연결되는 베이스판(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직대(12)의 설치에 따라 본 발명 장치의 이송 테이블 구간 설치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베이스판(14)은 수직대 상부에 수평하게 거치 고정되어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에 구비된 베이스판(14)에 설치된 승강 구동원(32) 및, 상기 구동원(32)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14)을 통과하여 하방 신장된 승강대(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원(32)은 상기 베이스판(14)의 중앙부분에 수직 설치된 수직 구동실린더 예컨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원(32)의 수직 구동실린더의 로드가 전,후진 하면 상기 승강대(34)도 일체로 베이스판(14)에 형성된 개구부(14a)를 통하여 수직하게 승강된다.
이와 같은 승강대(34)의 수직 이동폭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이송테이블(130)의 이송롤(132)을 따라 이송하다가 본 발명의 장치가 배치된 이송롤(90)에 판재 예를 들어 후판재로 압연되는 슬라브(100)가 도달하면 슬라브를 들어올려 이송롤(90)에서 이격시키어 다음에 설명하는 터닝수단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정도이면 된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에서 상기 회전수단(50)은, 상기 승강수단(30)의 승강대(34)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대(52)와, 상기 승강대(34)에 고정된 회전 구동원(54)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대(56)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회전 구동원(54)은 승강대(34)사이에 연결 고정된 지지판(54a)의 하부에 수직 설치된 구동모터 또는 유압모터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대(52)와 회전대(56)사이에는 베어링(56a)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구동원(54)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대(56)는 상기 지지대(52)상에서 회전된다.
이때,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다음에 설명하는 터닝수단(70)의 단위 회전각도는 90°이다.
즉, 슬라브(100)인 판재가 장치 터닝수단에 진입되어 리프팅되면서 회전되는 각도는 도 1과 같이 슬라브를 길이방향에서 폭방향으로 90° 터닝시키면 된다.
결국, 상기 회전 구동원(54)은 단위 회전각의 90° 단위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70)을 설명하기 전에, 도 7과 같이 이송테이블(130) 구간에서 본 발명의 장치가 배치되는 판재 터닝영역의 이송롤(90)에는 안착홈부(9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는, 이송테이블(130)의 다른 기존과 같은 이송롤(132)과 마찬가지로 개별 구동 작동되고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다만, 다음에 설명하는 판재 터닝수단이 인입되어 슬라브가 이송된후 리프팅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착홈부(92)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안착홈부(92)는 판재 터닝수단의 판재 안착바디(74)의 폭에 해당하도록 형성되되 이송롤 간격과 안착홈부 간격(S)는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판재 터닝수단의 판재 안착바디(74)의 구조체가 90° 단위로 회전되므로 이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가 배치되는 판재 터닝영역의 이송롤(90)은 판재 터닝수단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여 안착홈부(92)를 갖도록 조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5,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에서 실질적으로 판재 즉, 슬라브(100)를 터닝시키는 상기 판재 터닝수단(70)은, 상기 회전수단(50)의 회전대(56) 하부에 고정되되 이송테이블을 따라 이송되는 판재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회전바디(72) 및, 상기 회전바디(72)의 하부에 구비되되 단위 각도 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130)의 이송롤(90)에 구비된 안착홈부(92) 또는 이송롤(90)사이의 공간(A)에 인입되는 간격으로 제공되고 상기 판재인 슬라브(100)가 안착되는 판재 안착바디(74)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바디(72)는 상기 회전수단(50)의 90°의 단위 회전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대(56)에 중심부분이 고정되는 십자형태의 상부바디(72a)와, 상기 상부바디(72a)의 외곽에 고정되는 외곽바디(72b) 및, 상기 외곽바디(72b)에 수직 고정되는 수직바디(72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대의 회전에 따라 상부바디와 외곽바디 및 수직바디는 일 체로 회전된다.
다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디(72c)의 높이(H)는 최대 두께를 갖는 판재 즉, 슬라브(100) 보다 더 길게 신장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닝수단(70)의 판재 안착바디(74)는, 상기 회전바디(72)의 수직바디(72c)의 하부에 수평 고정된 가로바디(74a) 및, 상기 가로바디(74a)사이에 연결 고정된 세로바디(74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가로바디(74a)와 세로바디(74b)의 폭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와 이송롤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a 내디 도 10e에서 판재의 연속 터닝단계를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인 슬라브(100)가 이송롤 테이블의 이송롤(132)을 따라 이송되어 장치 안착바디(74)에 진입되기 전에, 안착바디의 세로바디(74b)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에 상부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인입되어 있고, 가로바디(74a)는 이송롤(90)사이의 공간에 인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세로바디와 가로바디는 폭이 도 7과 같이 이송롤 안착홈부와 이송롤 간 간격(S)과도 맞추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의 판재 터닝수단(70)의 판재 안착바디(74)의 가로 및 세로바디 전체는 90° 단위로 회전하면서 이송롤 안착홈부와 이송롤 사이의 공간에 인입되고 승강되어 판재인 슬라브를 일정 높이로 리프팅하기 때문에, 정사각형으로 형 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의 설치수도 가로바디와 세로바디(74b)의 설치수에 대응하여 이송롤의 바디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10a 내지 도 10e와 같이, 초기에는 판재 안착바디의 세로바디가 이송로 안착홈에 인입되고, 가로바디는 이송롤 사이에 인입되어 있다가, 터닝되면 세로바디는 이송롤 사이에 인입되고 가로바디는 이송롤 최외곽 안착홈부(단차진 부분)에 인입되는 단계를 반복하면서 판재를 90°단위로 터닝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장치는 판재 터닝수단(70)의 판재 안착바디(74)의 구조와 이송롤 안착홈부 및 이송롤 간 간격 조정으로, 도 3의 종래 장치와 같이 판재 터닝후 초기 위치로 복귀될 필요가 없이 90°의 단위 회전각마다 연속적으로 판재 터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와 최외곽의 단차진 부분은 판재 안착바디(74)의 세로바디(74b)와 가로바디(74a)의 두께 보다는 약간 더 깊게 가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1d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를 통한 판재 즉, 슬라브 터닝작동을 사진으로 단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 터닝수단(70)의 판재 안착바디(74)의 세로바디(74b)는 이송롤(90) 사이에 인입되어 있고, 가로바디(74a)는 이송롤 최외곽의 단차진 부분에 인입되어 있다가, 도 11b와 같이 슬라브는 판재 안착바디위의 이송롤(90)까지 이송되어 정지되면, 앞에서 설명한 승강수단(30)에 의하 여 이송롤에서 이격되도록 슬라브를 리프팅하고, 도 11c와 같이 회전바디(72)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수단(50)으로 90°회전되고, 마지막으로 도 11와 같이, 판재 안착바디는 하강하여 세로바디(74b)가 이송롤 안착홈부(92), 가로바디(74a)는 이송롤 사이 공간에 입입되고, 이때 슬라브는 이송롤에 접촉되면서 터닝된 상태로 전진 이송되며, 다시 그 상태에서 새로은 슬라브가 진입 터닝되는 일련의 작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에서 적어도 판재 터닝수단의 회전바디(72)와 판재 안착바디(74)의 전체적인 크기는 판재 즉, 슬라브의 최대 폭이나 길이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위한 터닝 테이블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후판재 터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의 압연 라인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와 이에 연동하는 판재 이송테이블의 이송롤들을 포함하여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7는 도 6의 판재 터닝장치 구역의 이송롤들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송테이블의 이송롤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도 8의 A-A 선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판재(후판재)의 터닝 작동을 도시한 작동 단계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터닝장치의 작동단계를 나타낸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판재 터닝장치 10.... 장치 프레임부재
12.... 수직대 14.... 베이스판
30.... 승강수단 32.... 승강 구동원
34.... 승강대 50.... 회전수단
52.... 지지대 54.... 구동원
56.... 회전대 70.... 판재 터닝수단
72.... 회전바디 74.... 판재 안착바디
90.... 판재 터닝구역의 이송롤
92.... 안착홈부

Claims (9)

  1. 판재 이송테이블(130)에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부재(10);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수단(30);와, 상기 승강수단(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수단(50); 및, 상기 회전수단(50)의 하부에 연계 설치되되 이송테이블을 통하여 이송되는 판재를 단위 각도로 연속 터닝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판재 터닝수단(70)은, 상기 회전수단(50)의 하부에 고정되되 이송테이블을 따라 이송되는 판재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는 회전바디(72) 및, 상기 회전바디(72)의 하부에 구비되되 단위 각도 회전에 따라 이송테이블(130)의 이송롤(90)에 구비된 안착홈부(92) 또는 이송롤(90)사이의 공간에 인입되는 간격으로 제공되고 상기 판재가 안착되는 판재 안착바디(74)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는,
    상기 이송테이블(130)의 양측에 설치된 수직대(12); 및,
    상기 수직대(12)사이에 연결되는 베이스판(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장치 프레임부재(10)에 구비된 베이스판(14)에 설치된 승강 구동원(32); 및,
    상기 구동원(32)과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14)을 통과하여 하방 신장된 승강대(34);
    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50)은,
    상기 승강수단(30)에 구비된 승강대(34)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대(52);
    상기 승강대(34)에 고정된 회전 구동원(54)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대(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70)의 회전바디(72)는,
    상기 회전수단(50)에 구비된 회전대(56)에 중심부분이 고정되는 십자형태의 상부바디(72a);
    상기 상부바디(72a)의 외곽에 고정되는 외곽바디(72b);및,
    상기 외곽바디(72b)에 수직 고정되는 수직바디(72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74)는,
    상기 회전바디(72)의 수직바디(72c)의 하부에 수평 고정된 가로바디(74a); 및,
    상기 가로바디(74a)사이에 상기 이송롤(90)에 구비된 안착홈부(92)와 이송롤(90)간 간격(S)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수평 고정되고 상부에 판재가 안착 터닝토록 제공된 세로바디(74b);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의 가로바디(74a)와 세로바디(74b)는, 단위 각도 회전시 상기 이송롤(90)의 안착홈부(92)와 이송롤 사이 공간에 순차로 인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장치는 단위 각도 회전시마다 판재를 연속 터닝 가능하 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디(74a)와 세로바디(74a)의 판재 안착바디(74)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 안착홈부는 안착바디의 가로 및 세로 바디들의 설치수에 대응하여 이송롤의 바디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KR1020070139347A 2007-12-27 2007-12-27 판재 터닝장치 KR10130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347A KR101309981B1 (ko) 2007-12-27 2007-12-27 판재 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347A KR101309981B1 (ko) 2007-12-27 2007-12-27 판재 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134A KR20090071134A (ko) 2009-07-01
KR101309981B1 true KR101309981B1 (ko) 2013-09-17

Family

ID=413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347A KR101309981B1 (ko) 2007-12-27 2007-12-27 판재 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26B1 (ko) * 2023-02-07 2023-05-30 주식회사케이.피.씨 압연 판재 반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86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슬라브 회전장치
JP2002178023A (ja) 2000-12-08 2002-06-25 Nippon Steel Corp 鋼片の旋回方法
KR20030026066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압연라인의 슬라브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86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슬라브 회전장치
JP2002178023A (ja) 2000-12-08 2002-06-25 Nippon Steel Corp 鋼片の旋回方法
KR20030026066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압연라인의 슬라브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134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6226B (zh) 一种步进式冷床轧件对齐装置
AU737631B2 (en) Method to control the axial position of slabs emerging from continuous casting and relative device
US2858122A (en) Conveying apparatus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CN111715703B (zh) 一种粗轧轧制过程中的带钢翘头平整装置及方法
JP5343337B2 (ja) 加熱炉への鋼材装入装置
JP4910387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KR101424869B1 (ko) 형강용 회전 장치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KR20160121708A (ko) 후판 제조용 압연 장치
KR101294867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JP6196251B2 (ja) ロールフレーム回転装置
JP5336166B2 (ja) 冷却床
KR100928815B1 (ko)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KR20100034948A (ko) 열간압연설비
KR101786259B1 (ko) 유도가열기 분해조립장치
KR101228677B1 (ko) 판재 터닝장치
JP4935420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EP2666559B1 (en) Apparatus for turning steel products
JP3231239B2 (ja) 鋼管の製造方法
KR20020027991A (ko) 슬래브의 교정장치
JP2018178244A (ja) 鋼材抽出用ハースローラ装置およびそれを装備した鋼材加熱炉
JP3886754B2 (ja) 圧延材搬送装置
RU2340420C2 (ru)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ого профи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