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15B1 -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15B1
KR100928815B1 KR1020070126210A KR20070126210A KR100928815B1 KR 100928815 B1 KR100928815 B1 KR 100928815B1 KR 1020070126210 A KR1020070126210 A KR 1020070126210A KR 20070126210 A KR20070126210 A KR 20070126210A KR 100928815 B1 KR100928815 B1 KR 100928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rning
slab
rolling
tur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382A (ko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8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means of guide members shaped to revolve the work during its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3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urn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판재 터닝장치는, 판재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배치토록 승강 구동원과 회전 구동원이 연계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수직 배치되는 상,하부 작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작동수단; 및, 상기 이송롤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바디와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세로바디가 조립되는 판재 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작동축이 판재 안착바디의 저부 중심부에 수직 고정되어 작동수단의 작동시 이송롤 상의 판재가 상부에 안착 회전되어 판재의 터닝을 구현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판재 특히 열간 후판재 생산시,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슬라브를 신속하게 터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가열로와 압연기 사이의 슬라브 이송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기존 압연기측 터닝 테이블을 이용하는 슬라브 터닝에 따른 슬라브의 압연기 투입 지연이 제거되도록 하여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70126210
슬라브 폭내기 압연, 터닝 테이블, 판재 터닝장치

Description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Slab Tur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ing heavy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 특히, 열간 후판재 생산시,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슬라브를 신속하게 터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가열로와 압연기 사이의 슬라브 이송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기존 압연기측 터닝 테이블을 이용하는 슬라브 터닝에 따른 슬라브의 압연기 투입 지연이 제거되고, 궁극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열간 후판 압연공정은 도 1에서와 같이, 압연소재인 슬라브(slab)(100)의 폭을 목표 폭으로 맞추기 위한 폭내기 압연(broadside rolling) 공정과 폭내기 압연후 슬라브를 90°회전하여 최종 제품의 두께까지 압연하는 길이내기 압연(longitudinal rolling) 공정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폭내기 압연을 실시한 슬라브(100)는 90° 회전하게 되므로, 슬라 브(100)의 길이는 폭방향(도 1의 'Y' 방향)이 되며, 슬라브(100)의 폭은 길이방향(도 1의 'X' 방향), 즉 압연 방향(슬라브 중앙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이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슬라브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후판재 압연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110)에 추출된 슬라브(100)는 스케일 제거장치(120)에서 표면 스케일이 제거되고, 슬라브 이송 테이블인 롤러 테이블(130)을 거쳐 종래의 터닝 테이블(200)에 도달한다.
따라서, 슬라브(100)는 (조)압연기(150) 입측의 터닝 테이블(200)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폭과 길이방향이 도 1과 같이 변경되어 압연기(140)를 거쳐 압연된다.
다음, 압연기 출측의 터닝 테이블(200)에서 다시 터닝되어 1차 압연된 후판재(100')는 다시 터닝되고, 따라서 슬라브는 처음의 길이방향으로 터닝되어 압연된다. 이때 조압연기는 가역-비가역 압연기일 수 있고, 만약 가역 압연기면 도 2에서 압연기 출측 터닝 테이블(200')은 다른 압연기(이경우 RM-FM 배열)를 거쳐 길이방향 압연된다.
예를 들어, 후판재(후강판)의 경우, 일반 열간 압연재 대비 폭이 1500 ~ 4500mm 정도로 크기 때문에, 조압연기 입측에서 슬라브(100)를 터닝하여 폭과 길이 방향이 변경되어 폭이 길이가 되고 길이가 폭이 되어 압연이 수행된다.
따라서, 압연 특성상 압연재는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게 되므로, 목표 폭에 해당하는 분량만큼 터닝후 조압연 공정에서 슬라브의 길이가 늘어나면 조압연을 완료 하고 다시 터닝함으로써 목표폭을 가지는 후판재(후강판)을 1차 압연 생산하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알려진 터닝 테이블(200)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압연기 입,출측에 설치된 테이블 바디에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터닝롤(210)들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터닝롤(210)들은 길이방향으로 테이퍼('T'로 표시)져 있어 도 2와 같이 터닝롤(210)들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롤들을 회전시키면, 슬라브(100)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위한 터닝 테이블(200)은, 현재 제철공장의 가장 관심사인 제품의 고속 생산 즉, 고속 압연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종래 터닝 테이블(200)은, 압연기(140) 입,출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브가 압연기 투입전 슬라브의 터닝에 따른 기간이 필요하고, 따라서 고속 압연을 어렵게 한다. 즉 압연기에 연속적으로 슬라브가 투입되지 못하는 휴지시간(idle time)이 발생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터닝 테이블(200)은 슬라브 압연 공정의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 터닝 테이블(200)은 테이퍼 진 터닝롤(210)들을 가동시키기 때문에, 실제 슬라브 터닝시 작업자의 수작업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터닝 테이블 자체의 가동시간도 지연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슬라브를 신속하게 터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가열로와 압연기 사이의 슬라브 이송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기존 압연기측 터닝 테이블을 이용하는 슬라브 터닝에 따른 슬라브의 압연기 투입 지연이 제거되어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판재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배치토록 승강 구동원과 회전 구동원이 연계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수직 배치되는 상,하부 작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작동수단; 및,
상기 이송롤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바디와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세로바디가 조립되는 판재 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작동축이 판재 안착바디의 저부 중심부에 수직 고정되어 작동수단의 작동시 이송롤 상의 판재가 상부에 안착 회전되어 판재의 터닝을 구현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슬라브를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압연기 입측의 이송 테이블 구간에 설치된 상기 판재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압연기 입측 터닝 테이블 가동에 따른 투입 지연을 방지토록 슬라브를 터닝시키는 단계; 및,
터닝된 슬라브를 압연기에서 터닝 테이블 가동 없이 바로 폭내기 압연하는 슬라브 압연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판재 특히 열간 후판재 생산시,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슬라브를 신속하면서 센터링이 조정되면서 터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가열로와 압연기 사이의 슬라브 이송구간에서 원하는 위치에 장치의 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압연 라인 구성에 따라 장치 가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압연 공정, 특히 폭내기 압연 공정 측면에서는, 기존에 압연기측 터닝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슬라브의 압연기 투입지연이 제거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후판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의 라인 설치위치를 도시 하고 있다.
다만, 이하에서 종래 기술의 가열로에서 압연기까지의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장치와 관련된 구성은 10단위로 나타내되, 기존 이송 테이블(130)의 이송롤(132)들 중 본 발명의 장치와 관련된 이송롤의 도면부호만을 '10'으로 나타낸다.
한편, 판재는 실제로는 후판재로 압연 생산되고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로서 폭내기 압연되기 위하여 90°터닝(회전)되는 슬라브(100)일 수 있다.
물론, 판재가 반드시 슬라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예컨대 이송테이블(130)로 이송되되 진행 위치나 압연 위치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다른 플레이트 형태의 소재 즉, 판재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스케일 제거장치(120)와 압연기(140)의 입측 터닝 테이블(200) 사이로 길게 설치된 이송 테이블(130)의 스케일 제거장치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존에 압연기 입측 터닝 테이블(200)에서 슬라브(100)의 터닝을 구현하면, 압연기로의 슬라브 투입은 터닝 테이블 가동중에는 그 조업이 중단되어 압연기로의 슬라브 투입지연 즉, 압연기 롤들이 공회전되는 'idle time'이 발생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이송테이블(130), 예를 들어 스케일 제거장치(120)의 출측 이송테이블(130)에 배치되는 판재 터닝장치(1)로서 도 1과 같이 폭내기 압연되는 슬라브(100)를 미리 터닝시키어 압연기에서는 폭내기 대상 슬라브의 연속적인 투입이 이루어 지게 하는 것이다.
즉, 이송 테이블 초입에서 슬라브를 터닝시키고, 이송테이블의 각 이송롤 회전 속도를 제어하면, 슬라브 판재 터닝시간을 보상하여 압연기에서는 연속적으로 슬라브 투입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를 이용하면, 가열로에서 슬라브를 가열하여 추출하고, 가열된 슬라브를 압연기 입 측의 이송 테이블 구간 바람직하게는, 이송 테이블 초입에 배치된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를 이용하여 압연기 입측 터닝 테이블 가동에 따른 투입 지연을 방지토록 슬라브를 터닝시키고, 터닝된 슬라브를 압연기에서 터닝 테이블 가동 없이 바로 폭내기 압연하는 일련의 슬라브 압연 특히, 폭내기 압연이 최대한 고속으로 이루어 지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토대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크게 판재 이송롤(10)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동수단(30) 및, 상기 작동수단(30)의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시 이송롤 상의 판재(100)가 상부에 안착 회전되어 판재의 터닝을 구현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50)으로 이루어 진다.
즉,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는 작동수단(30)은, 이송롤(10)상의 판재(100) 즉, 슬라브를 터닝시키기 위하여 판재를 약간 들어올리는 상승과, 판재의 이송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이송롤(10)에 형성된 바디 인입홈부(12)로 판재 터닝수단(50)의 바디들이 인입되어 이송롤을 통하여 판재가 이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 기 위한 하강, 그리고 판재가 판재 터닝수단(50)으로 이송롤에서 약간 상승하면 터닝하기 위한 회전과 같은 일련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판재 터닝수단(50)은 판재 예를 들어, 슬라브(100)의 터닝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30)은, 승강 구동원(32)과 회전 구동원(34)이 연계되어 이송롤(10)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수직 배치되는 다단의 상부 작동축(38) 및 하부 작동축(3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작동축(38)과 그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작동축(36)은 스플라인 형태로 조립되어 회전력이 축사이에 전달되면서 상부 작동축의 승강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 작동축(38)의 하단부에는 스플라인 가이드 (39a)가 원주를 따라 일체로 된 조립단(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작동축(36)에는 상기 상부 작동축 조립단(39)의 스플라인 가이드(39a)와 조립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1a)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개구부(4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구동원(34)은 상기 하부 작동축(36)에 조립되는 종동 베벨기어(40) 및 상기 종동 베벨기어(40)에 단속되고 모터(42) 구동되는 구동 베벨기어(44)로 구성되는데, 상기 종동 베벨기어(40)는 하부 작동축(36)의 외연에 키(k) 조립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승강 구동원(32)은 상기 하부 작동축(36)의 하부 구멍(36a)을 통과하여 상부 작동축(38)에 연결되는 수직 구동실린더로서, 상기 상부 작동축(38)의 조립단(39)에 형성된 결합홈(39b)에 실린더의 로드(32a)가 조립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회전 구동원(34)의 모터(42)가 구동되면, 구동 베벨기어(44)와 종동 베벨기어(40)의 연동으로 키 조립된 하부 작동축(36)과 스플라인 조립된 상부 작동축(38)이 회전되다.
그리고, 상기 승강 구동원(32)인 수직 구동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 작동하면, 상기 상부 작동축(38)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실제 상기 상부 작동축(38)의 상승폭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판재 터닝수단이 이송롤 면에서 이격되어 회전시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수 cm 이내이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 작동축(36)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 로드 통과용 구멍(36a)에는 부싱부재(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부싱부재(46)는, 승강 구동원(32)인 수직 구동실린더의 로드(32a)를 지지하여 그 상승,하강 및 회전을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지지한다.
그런데, 실제 판재가 슬라브이고, 슬라브의 중량을 감한 할 때, 고속 회전이나 승강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부싱부재는 실린더 로드를 큰 마모 없이 지지할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작동축(38)은 장치 베이스(2)에 설치된 고정링(4)의 내측 부싱부재(6)가 지지하여, 판재 즉, 고중량 슬라브의 터닝시 상부 작동축(38)의 승강과 회전이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에서 상기 판재 터닝수단(50)은, 이송롤(10)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바디 (52)와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세로바디(54)가 조립되는 판재 안착바디(5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재 안착바디(56)의 가로바디와 세로바디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송롤(10)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브 터닝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판재 안착바디(56)의 가로바디 또는 세로 바디가 인입되어 이송롤상의 판재가 판재 안착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디 인입홈부(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수단(30)의 상부 작동축(38)은 상기 판재 안착바디(56)의 가로 바디 중 중앙측 가로바디(52a)와 세로 바디(54)로 판재 안착수단의 중심부에 수직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판재 즉 슬라브가 이송 테이블(도 3의 130)의 이송롤(10)을 따라 이송되다가(각각의 이송롤 축에는 구동축(10a)이 연결되어 있어 개별 구동된다), 본 발명의 장치가 배치되는 해당 이송롤(10)위로 도달하면 이송롤 작동이 중지된다.
그 다음,앞에서 설명한 작동수단(30)의 상,하부 작동축(38)(36) 및 회전 구동원과 승강 구동원의 작동으로 판재 안착바디(56)가 약간 상승 되면, 이송롤(10)상의 슬라브는 이송롤에서 떨어져 이격 상승된다.
다음, 작동축들의 회전으로 안착바디상의 슬라브는 폭내기 압연을 위하여 90°회전되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롤(10)의 바디 인입홈부(12)의 가공된 길이(S2)는 적어도 판재 안착바디(56)의 두께와 다음에 설명하는 유도수단(70)의 판재 접촉단의 판재 접촉길이(돌출 높이)를 합한 길이 'S1' 보다는 약간 깊어야 한다.
이는, 슬라브의 이송롤(10)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의 가로바디 중 중앙측 가로바디(52a)에는 판재 안착바디에 안착되는 판재를 안착바디 중앙으로 유도하는 판재 유도수단(70)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도 7과 같이, 상기 판재 유도수단(70)은, 상기 중앙측 가로바디(52a)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공간(72)에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삽입되는 제1,2 이동바아(74)(76) 및, 상기 이동바아들의 단부에 제공되는 판재 접촉단(78)(80)과 안착공간 중앙에 배치된 모터(79)에 체결된 구동기어(81)에 단속되는 랙부(8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재 접촉단(78)(80)의 돌출길이 즉, 판재와 접촉하는 부분은 가능한 판재 유도를 가능할 정도로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롤 인입홈부의 가공 깊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터(79)가 구동하면 구동기어(81)는 제 1,2 이동바아의 랙부에 맞물린 상태이므로 제 1,2 이동바다들을 서로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국 판재 안착바디(56)상의 슬라브를 가능한 그 중심쪽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판재 안착바디(56)의 외곽 가로바디(52)들에는 양측으로 가이드 롤(92)이 설치되어 판재 즉, 슬라브의 유도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유도수단의 판재 접촉단(78)(80)들은 터닝시 슬라브를 잡아서 탈락되거나 위치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중앙측 가로 바디(52a)의 안착공간(72)을 형성하는 개구부(53)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그 입구에는 제 1,2 이동바아의 위치에 맞추어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대(53a)들이 조립된다.
이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재 접촉단(78)(80)에 고정된 고정봉(88)을 통하여 스프링(86)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판재 위치교정판(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교정판(90)의 후면에 고정된 스프링(86)은 판재 접촉단을 통과한 상기 고정봉이 일부분 내경부에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스프링(86)은 위치 교정판(90)이 틀어진 슬라브와 접촉할 때 그 압축 정도가 다르게 되면서 판재 접촉단의 반복 이동시 가이드롤(92)상의 판재 위치를 교정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8에서는 위치 교정판의 길이를 짧게 도시하였으나, 이송롤 사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판재 교정을 감안할때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이와 같은 판재 즉 슬라브 위치 교정판(90)은 접촉단 보다는 길게 신장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시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슬라브 측면에 접촉되는데, 제 1,2 이동바아의 반복적인 이동시 슬라브 측면과 접촉단 보다는 더 접촉되면서 슬라브가 안착바디(56) 상에 비틀려진 상태로 안착되면 그 위치를 조정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1) 즉, 슬라브 터닝장치는 스케일 제거장치(120)와 압연기 입측 터닝 테이블(200) 사이의 이송테이블(130) 초입에 배치되어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 터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알려진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후판재 폭내기 압연을 위한 터닝 테이블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판재 터닝장치의 압연 라인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터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장치에서 'A' 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판재 센터링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도 7의 판재 센터링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판재 터닝장치 2.... 고정대
4,46.... 부싱부재 10.... 판재 이송롤
12.... 바디 인입홈 30.... 작동수단
32.... 승강 구동원 34.... 회전 구동원
36,38.... 작동축 40,44.... 베벨기어
50.... 판재 터닝수단 52.... 가로바디
54.... 세로바디 56.... 판재 안착바디
70.... 판재 유도수단 74,76.... 이동바아
90.... 판재 위치교정판 92.... 가이드 롤
100.... 판재(슬라브) 100'.... 압연된 후판재
110.... 가열로 130.... 이송테이블
140.... 압연기 200,200'.... 압연기 입,출측 터닝 테이블

Claims (12)

  1. 판재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배치토록 승강 구동원과 회전 구동원이 연계되어 이송롤 사이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수직 배치되는 상,하부 작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작동수단; 및,
    상기 이송롤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바디와 그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세로바디가 조립되는 판재 안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작동축이 판재 안착바디의 저부 중심부에 수직 고정되어 작동수단의 작동시 이송롤 상의 판재가 상부에 안착 회전되어 판재의 터닝을 구현토록 구성된 판재 터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의 상부 작동축과 그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작동축은 스플라인 형태로 조립되어 회전력이 축사이에 전달되면서 상부 작동축의 승강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원은 상기 하부 작동축에 조립되는 종동 베벨기어 및 상기 종동 베벨기어에 단속되고 모터 구동되는 구동 베벨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 구동원은 상기 하부 작동축을 통과하여 상부 작동축에 연결되는 수직 구동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동축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 구동원인 실린더의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실린더 로드의 수직 이동 및 회전을 지지하는 부싱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의 가로바디와 세로바디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롤에는 터닝 작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판재 안착바디의 가로바디 또는 세로 바디가 인입되어 이송롤상의 판재가 판재 안착바디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디 인입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의 가로바디 중 중앙측 가로바디에는 판재 안착바디에 안착되는 판재를 안착바디 중앙으로 유도하는 판재 유도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유도수단은, 상기 중앙측 가로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공간에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삽입되는 제1,2 이동바아; 및,
    상기 이동바아들의 단부에 제공되는 판재 접촉단과 안착공간 중앙에 배치된 모터에 체결된 구동기어에 단속되는 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접촉단에 고정된 고정봉을 통하여 스프링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판재 위치교정판이 더 구비되어 판재의 안착시 틀어짐을 교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안착바디에 구비된 가로바디에는 판재 유도수단을 통한 판재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롤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판재는 후판재로 압연 생산되는 슬라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위한 슬라브 터닝을 압연기 입측 이송테이블 위치에서 구현하여 압연기로의 슬라브 투입지연을 제거토록 가열로와 압연기 사이의 이송 테이블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터닝장치.
  12. 가열로에서 슬라브를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압연기 입측의 이송 테이블 구간에 설치된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판재 터닝장치를 이용하여 압연기 입측 터닝 테이블 가동에 따른 투입 지연을 방지토록 슬라브를 미리 터닝시키는 단계; 및,
    터닝된 슬라브를 압연기에서 터닝 테이블 가동 없이 바로 폭내기 압연하는 슬라브 압연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판재 터닝장치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KR1020070126210A 2007-12-06 2007-12-06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KR100928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210A KR100928815B1 (ko) 2007-12-06 2007-12-06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210A KR100928815B1 (ko) 2007-12-06 2007-12-06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382A KR20090059382A (ko) 2009-06-11
KR100928815B1 true KR100928815B1 (ko) 2009-11-27

Family

ID=4098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210A KR100928815B1 (ko) 2007-12-06 2007-12-06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75Y1 (ko) * 1994-04-13 1996-11-1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압연기 전면의 슬라브 회전장치
KR200204902Y1 (ko) * 1996-12-24 2000-12-01 이구택 슬라브 회전장치
KR20040043068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 제품 회전장치
JP2007130672A (ja) 2005-11-11 2007-05-31 Jfe Steel Kk 厚板圧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775Y1 (ko) * 1994-04-13 1996-11-1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압연기 전면의 슬라브 회전장치
KR200204902Y1 (ko) * 1996-12-24 2000-12-01 이구택 슬라브 회전장치
KR20040043068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 제품 회전장치
JP2007130672A (ja) 2005-11-11 2007-05-31 Jfe Steel Kk 厚板圧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382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075B1 (ko) 금속 로드 사면 가공장치
KR100928815B1 (ko)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KR20130047796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2042552B1 (ko) 업루퍼 시스템
KR20090100979A (ko) 가열로 장입용 롤러 이송 장치
KR101365527B1 (ko) 가열로의 스라브 이송장치
JP5343337B2 (ja) 加熱炉への鋼材装入装置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CN100355680C (zh) 辊道倾斜式玻璃钢化炉
KR101035507B1 (ko) 가변형 압연가이드
KR101294867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KR100712598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정렬장치
KR20130023710A (ko) 슬라브 공랭 대기 장치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13815B1 (ko) 개량된 이송롤러가 설치된 수평 이송식 고주파 열처리 장치
JPH03211233A (ja) 加熱炉
KR101307442B1 (ko) 봉상 소재의 선단 가열방법 및 장치
JP2018178244A (ja) 鋼材抽出用ハースローラ装置およびそれを装備した鋼材加熱炉
KR102046959B1 (ko) 롤 교체용 지그장치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JP3886754B2 (ja) 圧延材搬送装置
KR20100025903A (ko) 압연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