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52B1 - 업루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업루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52B1
KR102042552B1 KR1020170172528A KR20170172528A KR102042552B1 KR 102042552 B1 KR102042552 B1 KR 102042552B1 KR 1020170172528 A KR1020170172528 A KR 1020170172528A KR 20170172528 A KR20170172528 A KR 20170172528A KR 102042552 B1 KR102042552 B1 KR 10204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posed
guide
kick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460A (ko
Inventor
권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4Loop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업루퍼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은 소재가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소재와 상기 롤러가 접하는 위치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설계함에 따라, 롤러의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짧은 수명으로 과소요되던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정비작업의 부하해소로 작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업루퍼 시스템{UP LOOPER SYSTEM}
본 발명은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가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소재와 상기 롤러가 접하는 위치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설계함에 따라,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로에서 제조된 용강은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을 거치면서 슬라브(slab)로 제작되고, 슬라브는 압연공정을 거쳐 강재로 제조된다.
압연공정은 금속의 소성을 이용하여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여러가지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적인 힘을 이용하여 두께와 폭을 감소시키고 길게 늘리는 소성가공을 의미한다.
압연공정에는 열간 압연공정, 선재 압연공정, 냉간 압연공정 등이 있다. 이 중 선재 압연공정은 빌렛(billet)을 투입하여 가열, 압연, 냉각 및 정정(검사 및 시험)을 거쳐 직경이 5~50mm인 선재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선재 공장의 압연구간에서는 선재의 텐션(tension)을 제어하고 소재의 진행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업루퍼 시스템이 설치된다.
업루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경우, 소재에 루프가 형성되면서 롤러 상에서 이송되는데, 이때, 소재가 이송되는 경로를 이탈하여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원활한 업루프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소재가 롤러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소재가 접하는 롤러의 위치에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러의 손상이 빨리 진행되고, 소재가 접하지 않은 부분은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여 짧은 주기로 롤러를 교체하여 정비비의 과소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업루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장비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정비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992호(2010.12.20. 등록)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압연기의 업루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업루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입측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입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푸쉬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푸쉬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측면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출측 가이드; 및 상기 출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 어셈블리는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 및 상기 레버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커 롤러부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제1키커 롤러;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레버(lever); 상기 롤러 레버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키커 롤러; 상기 제2키커 롤러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키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입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출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하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은 소재가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소재와 상기 롤러가 접하는 위치를 상기 롤러의 축방향 중심에서 비대칭으로 설계함에 따라, 롤러의 마모 현상을 방지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짧은 수명으로 과소요되던 정비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정비작업의 부하해소로 작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기존 롤러에 이송되는 소재가 접하는 위치와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포함되는 롤러에 이송되는 소재가 접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포함되는 업루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업루퍼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재공장에서 압연구간에 설치되어 선재의 텐션(tension)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강제적으로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업루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퍼 시스템(10)은 베이스 프레임(100), 입측 가이드(200), 푸쉬 어셈블리(300), 측면 가이드(400), 출측 가이드(500) 및 가이드 부재(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소재에 루프(loop)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입측 가이드(200),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 상기 측면 가이드(400) 및 상기 출측 가이드(500)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입측 가이드(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단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입측 가이드(200)는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입측 가이드(200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입측 가이드(20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측 가이드(200)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및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각각은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로서,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배치될 때, 제2입측가이드 롤러(12)는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루퍼 시스템(10)의 첫 번째 작동 시,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1위치에 배치되고, 업루퍼 시스템(10)의 두 번째 작동 시, 제1입측가이드 롤러(11)가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를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롤러에 소재가 접하는 위치를 샤프트의 축방향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비대칭으로 설계함으로써, 롤러를 2회 이상 추가로 사용할 수 있어 롤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롤러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푸쉬 어셈블리(3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2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기 위해,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4) 및 상기 레버(4)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5)를 포함한다.
상기 키커 롤러(kicker roller)부는 제1키커 롤러(13), 롤러 레버(2) 및 제2키커 롤러(14)를 포함한다. 상기 키커 롤러부는 후술할 유압 실린더(5)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레버(4)의 선단이 상승하면서 상기 키커 롤러부가 상승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키커 롤러(13)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200)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키커 롤러(13)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13)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상부 및 양측에는 롤러 측면 가이드(1)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 상에 소재가 이송될 때, 이송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일측에는 제1롤러 측면 가이드(1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키커 롤러(13)의 다른 일측에는 제2롤러 측면 가이드(1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 레버(lever)(2)는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 레버(lever)(2)는 "ㄴ"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의 끝단은 상기 레버(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롤러 레버(2)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레버(4)에 의해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키커 롤러(13)가 상승함에 따라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루프가 형성된 소재를 바로 제2키커 롤러(14) 상에 접할 수 있어, 상기 소재가 지면에 하강하면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루프 조정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소재의 표면 결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키커 롤러(14)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14)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14)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3)은 상기 제2키커 롤러(14)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제1베어링 블록(3a)과 제2베어링 블록(3b)이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측면 가이드(40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쉬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 가이드(400)는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측면 가이드(400a)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측면 가이드(400b)가 배치될 수 있다.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4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소재의 일측에는 제1출측 가이드(5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소재의 다른 일측에는 제2출측 가이드(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측 가이드(500)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및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각각은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출측 가이드(500)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600)로부터 이송되는 소재는 상기 업루퍼 시스템(1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선재 압연 시스템(미도시)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업루퍼 시스템(10)에서 소재에 루프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재가 입측 가이드(200)에 배치되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11) 상에 이송되면서 제2입측 가이드 롤러(12) 하부를 통과한다. 상기 입측 가이드(200)에는 소재의 업루프 높이를 감지하고, 푸쉬 어셈블리(300)의 유압 실린더(5)를 구동시키는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캐너(미도시)는 상기 입측 가이드(200)를 통과하는 소재를 감지하고, 유압 실린더(5)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켜, 푸쉬 어셈블리(300)의 레버(4)에 장착된 키커 롤러부를 상승 작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키커 롤러(13)를 이용하여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제2키커 롤러(14)에 상기 소재가 접하면서 상기 제2키커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커 롤러부의 상승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내어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킴으로써, 소재의 장력을 유지하여 선재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재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루프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상기 소재가 제1키커 롤러(13)를 따라 원활하게 움직여야 안정된 루프 형성이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루프 형성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 롤러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10~50cm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재는 상기 제1키커 롤러(13)와 상기 제2키커 롤러(14) 상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측면 가이드(40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측면 가이드(400)를 통과하는 소재는 직선 상으로 공급되면서 제1출측 가이드 롤러(15) 하부를 통과하고, 제2출측 가이드 롤러(16) 상부를 통과하여, 가이드 부재(600)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이송하는 소재의 끝단 부분이 입측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스캐너(미도시)가 오프(off)되면 상기 유압 실린더(5)의 작동이 오프되면서 상기 유압 실린더(5)는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롤러 측면 가이드
1a : 제1롤러 측면 가이드
1b : 제2롤러 측면 가이드
2 : 롤러 레버
3 : 베어링 블록
3a : 제1베어링 블록
3b : 제2베어링 블록
4 : 레버
5 : 유압 실린더
10 : 업루퍼 시스템
11 : 제1입측가이드 롤러
12 : 제2입측가이드 롤러
13 : 제1키커 롤러
14 : 제2키커 롤러
15 : 제1출측가이드 롤러
16 : 제2출측가이드 롤러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입측 가이드
300 : 푸쉬 어셈블리
400 : 측면 가이드
500 : 출측 가이드
600 : 가이드 부재

Claims (11)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입측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입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되는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loop)를 형성시키는 푸쉬 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푸쉬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가 형성된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면 가이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상기 측면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출측 가이드; 및
    상기 출측 가이드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소재의 이송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소재의 하부에 일면이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어셈블리는 키커 롤러부; 상기 키커 롤러부에 선단이 결합되는 레버(lever); 및 상기 레버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키커 롤러부를 상승시켜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키커 롤러부는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입측 가이드에서 이송되는 소재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재에 포물선 형태의 루프를 형성시키는 제1키커 롤러;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키커 롤러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키커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레버(lever); 상기 롤러 레버의 끝단에 배치되고, 샤프트 상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포물선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는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키커 롤러; 상기 제2키커 롤러에 결합되는 상기 샤프트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롤러 레버에 고정시키는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을 포함하며,
    상기 제2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커 롤러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키커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키커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입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상부 및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입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입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가이드는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1출측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소재의 하부 및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제2출측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1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는 상기 소재가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상기 제2출측 가이드 롤러에 상기 소재가 접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루퍼 시스템.
KR1020170172528A 2017-12-14 2017-12-14 업루퍼 시스템 KR10204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ko) 2017-12-14 2017-12-14 업루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ko) 2017-12-14 2017-12-14 업루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60A KR20190071460A (ko) 2019-06-24
KR102042552B1 true KR102042552B1 (ko) 2019-11-08

Family

ID=6705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28A KR102042552B1 (ko) 2017-12-14 2017-12-14 업루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77B1 (ko) 2020-08-28 2022-03-29 주식회사 포스코 업 루퍼 장치
KR102379572B1 (ko) 2020-08-28 2022-03-29 주식회사 포스코 업 루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60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93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ляба
KR102042552B1 (ko) 업루퍼 시스템
JP4702166B2 (ja) 形鋼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5975232B2 (ja) 鋼管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102551750B1 (ko) 롤러 테이블 장치
KR101365527B1 (ko) 가열로의 스라브 이송장치
AU778461B2 (en) Oxygen cutting of slabs
KR100961610B1 (ko) 판재 이송 장치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309981B1 (ko) 판재 터닝장치
KR20160079948A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 가이드 장치
KR100961357B1 (ko) 소재 이송 장치
KR100993403B1 (ko) 바의 측면온도 보정을 위한 에지히터장치
KR102046959B1 (ko) 롤 교체용 지그장치
KR102312073B1 (ko) 압연 장치 롤용 초크 조립장치
KR101353832B1 (ko) 에이프론장치
KR100928814B1 (ko) 소재의 곡선이송 가이드장치
KR20240027336A (ko) 업루퍼 설비용 롤러장치
KR101225401B1 (ko) 절단설 처리용 틸팅 테이블
KR101786259B1 (ko) 유도가열기 분해조립장치
KR100928815B1 (ko) 판재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재 압연방법
KR840001681B1 (ko) 연속주조슬래브의 안내 및 지지를 위한장치
KR101656229B1 (ko) 루퍼 설비의 스윙 롤 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