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248A -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248A
KR20020039248A KR1020010071747A KR20010071747A KR20020039248A KR 20020039248 A KR20020039248 A KR 20020039248A KR 1020010071747 A KR1020010071747 A KR 1020010071747A KR 20010071747 A KR20010071747 A KR 20010071747A KR 20020039248 A KR20020039248 A KR 2002003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tray
feed roller
pap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288B1 (ko
Inventor
스기무라나오토
Original Assignee
사까모도 마사모도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모도 마사모도,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모도 마사모도
Publication of KR2002003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65H9/006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the stop being formed by forwarding means in stand-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07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 B65H3/5215Non-driven retainers, e.g. movable retainers being moved by the motion of the articl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23Retainers of the pad-type, e.g. fri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65H2404/723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formed of forwarding means
    • B65H2404/7231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formed of forwarding means by nip rollers in stand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는 제 1 급지 롤러(38)와 제 1 처리 부재(42)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 L1과, 제 2 용지 롤러(40)와 제 2 처리 부재(44)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L2 사이에 배치되는(또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는 그 범위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는 제 1 급지 롤러(38)의 상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 L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급지 롤러(38), 제 2 급지 롤러(40)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는 서로간에 가능한한 근접하도록 배치되면, 급지 장치(28)의 높이 치수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아웃에 따르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와 제 2 급지 롤러(40)는 서로 근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한 반달 형상의 롤러가 제 2 급지 롤러(40)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용지 등의 시트형상의 기록 매체의 화상 형성부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시트형상의 기록 매체를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기 위한 급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 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의 여러 가지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그 화상 형성부에서,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용지 등의 시트형상의 기록 매체상에 문자, 도형 등의 화상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이나 열전사 방식에서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용지위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전자 사진 방식이나 정전 기록 방식에서는, 화상 캐리어 상의 정전 잠상에 토너를 부여함으로써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이 후 상기 토너 화상이 용지 위에 전사되어 정착된다.
이와 같이 화상이 부여되는 용지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단위의 상기 시트가 서로의 위에 적층되어, 화상 형성 장치내에 설치된 급지 장치에 수용되고, 이 시트는 1장씩 순차 공급된다.
상기 급지 장치내에 수용되는 용지 등은 적절한 보급이 필요하며, 이 보급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급지 장치의 본체와 착탈이 가능한 카세트로 형성된 용지 트레이가 사용되며, 사실상 이 용지는 용지 트레이에 보급되어 수용된다.
이러한 용지 트레이의 경우, 1개의 화상 형성 장치에 1개의 용지 트레이만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사이즈가 다른 용지를 선택하여 화상의 부여를 행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카세트나 용지 트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여러 가지 사이즈 및 여러 종류의 용지를 임의로 사용하는데 편리한 수동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도 있다.
용지 트레이 또는 수동 트레이로부터 용지 등을 1장씩 빼내어, 화상이 형성될 위치로 순차 공급하는 기구를 구비한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로서, 도 10에 나타낸 구조의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수동 트레이(202)의 아래쪽에 카세트식의 2개의 용지 트레이(204, 206)가 배치되어 있다.
수동 트레이(202)의 안쪽에는 반달(semilunar) 형상의 롤러(210) 및 처리 부재(212)가 설치되어 있다. 반달 형상 롤러(210)는 동작시에 입력 트레이(202)에 수용된 용지들 중 최상부의 용지 P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고, 이것이 회전되면, 최상부의 용지 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4)를 향해 송출한다.
처리 부재(212)는 마찰이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최상부의 용지 P로부터 최상부의 용지 P와 중첩해서 반송되는 아래쪽의 용지 P를 분리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반달 형상 롤러(210)을 사용하는 형태의 급지 장치에서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도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최상단에 수동 트레이(202)를 설치하고, 이 수동 트레이(202)의 아래쪽에 착탈 가능한 카세트식의 용지 트레이(204, 206)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지 트레이(204, 206)에가 각각 용지 P를 송출하는 급지 롤러(216, 218)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4)까지의 용지 반송 경로가 길어지는, 즉 급지 장치의 높이 치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급지 롤러가 반달 형상 롤러인 경우, 반달 형상 롤러의 용지 반송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반달 형상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와의 용지 반송 경로의 도중에 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까지 반송하기 위한 턴 롤러를 설치할 필요가있어서, 부품수가 많아지고, 급지 장치 및 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로써, 턴 롤러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화상 형성 장치(200)에서와 같이, 카세트식의 용지 트레이(204, 206)의 용지 P를 송출하는 급지 롤러(216, 218)를 둥근 롤러로 하면, 용지 P의 반송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전자기 클러치 등)를 급지 롤러(216, 218)에 연결할 필요가 있어서, 부품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급자 장치 및 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통상 상태의 급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5는 용지가 걸렸을 때의 유지 관리 상태의 급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급지 장치가 제 1 급지 롤러를 사용하여 용지를 반송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낸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는 용지가 도 6의 상태보다도 더 반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b는 만곡된 용지의 사시도.
도 8은 급지 장치가 제 2 급지 롤러를 사용하여 반송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제 2 급지 롤러에 의해 송출된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급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6 상 기록 장치(화상 형성부)
27 현상 유닛 (화상 형성부)
28 급지 장치
30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34 용지 트레이
36 용지 트레이
38 제 1 급지 롤러
40 제 2 급지 롤러
42 제 1 처리 부재
44 제 2 처리 부재
60 안내면(제 1 안내부, 제 2 만곡 형성부)
60C 원호부(제 2 만곡 형성부)
62 안내면(제 1 안내부)
62A 상측 평면부(제 1 만곡 형성부)
62B 원호부(제 1 만곡 형성부)
64 안내면(제 2 안내부)
68A 연직면부(제 2 안내부)
72B 고정 안내면(제 2 안내부)
74B 안내면(제 2 안내부)
66 롤러
70 롤러
L1 제 1 접선
L2 제 2 접선
L3 수평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지 급지 장치와 더불어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발견된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지 장치의 높이 치수를 낮은 레벨로 억제하고, 더 부품 점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그 구조를 간단화 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제 1 용지 트레이와, 이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이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이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2 처리 부재와,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상기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제 1 급지 롤러와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 1 급지 롤러는 제 1 용지 트레이내에 적층되어 수용된 최상부의 용지와 접촉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 1 처리 부재는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2장 이상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처리 부재는 최상부의 용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용지가 최상부의 용지와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처리 부재는 필연적으로 제 1 급지 롤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 1 처리 부재의 아래쪽의 용지 반송 방향이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다음에, 제 2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트레이 내에 적층되어 수용된 용지와 접촉하여, 이 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 2 처리 부재는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2장 이상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 2 처리 부재도 최상부의 용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용지가 최상부의 용지와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 2 처리 부재는 필연적으로 제 2 급지 롤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 2 처리 부재의 아래쪽의 용지 반송 방향은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되면, 이 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화상 형성부로 반송된다.
여기서, 제 1 급지 롤러와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1 급지 롤러, 제 2 급지 롤러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위치가 낮아져서, 급지 장치의 높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제 1 급지 롤러 및 제 2 급지 롤러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반달 형상 롤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제 2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 및 제 1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턴 롤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급지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 1 용지 트레이와, 이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이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이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2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제 1 급지 롤러의 상단을 통과하는 수평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배치되는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급지 롤러는 제 1 용지 트레이 내에 적층되어 수용된 최상부의 용지와 접촉하여, 이 최상부의 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 1 처리 부재는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용지가 남아있는 한장 이상의 용지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 1 처리 부재는 최상부의 용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용지가 최상부의 용지와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 1 처리 부재는 필연적으로 제 1 급지 롤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처리 부재의 아래쪽의 용지 반송 방향은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다음에, 제 2 급지 롤러는 제 2 용지 트레이 내에 적층되어 수용된 용지와 접촉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 2 처리 부재는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2장 이상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제 2 처리 부재도 최상부의 용지의 아래쪽에 배치된 용지가 최상부의 용지와 함께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 2 처리 부재는 필연적으로 제 2 급지 롤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처리 부재의 아래쪽의 용지 반송 방향은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또,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측으로 반송되면, 이 용지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 하상 형성부로 반송된다.
여기서, 제 1 급지 롤러의 상단을 통과하는 수평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급지 장치의 높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제 1 급지 롤러 및 제 2 급지 롤러에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반달 형상 롤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제 2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 및 제 1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턴 롤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급지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제 1 용지 트레이와, 이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이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이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2개의 서브 롤러들을 갖고, 서브 롤러들 사이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nip portion)에서 제 2 급지 장치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까지의 거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에서 제 1 급지 장치와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닙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급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급지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제 2 급지 롤러는 제 1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가 제공되며, 제 1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내부는,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의 반송 방향을 만곡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용지 만곡 형성부, 및 제 1 용지 만곡 형성부보다 반송 방향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의 반송 방향을 제 1 만곡 형성부의 만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만곡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용지 만곡 형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양태에 따른 급지장치가 제공되며, 제 2 급지 롤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안내부는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 중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작은 직경의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부, 및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6 양태에 따른 급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급지 장치로부터 송출된 용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의해서 화상 형성부로 반송되며, 이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은 용지 상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지 장치의 높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높이 치수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균일하게 대전된 후, 여기에 화상 광(image light)을 조사함으로써, 그 표면에 정전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캐리어(소위 감광 드럼)(12)와, 이 화상 캐리어(12)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장치(14)와,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화상 캐리어(12)에 화상광을 조사하여 정전 전위차에 따른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기록 장치(16)와, 이 잠상에 토너를 선택적으로전이시켜 상기 잠상을 가시화하는 현상 장치(18)와, 용지 반송로(20)를 따라 공급되는 기록 용지에 화상 캐리어 표면의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장치(22)와, 기록 용지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24), 및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에 화상 캐리어에 잔류하는 토너를 청소하는 클리너(26)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 캐리어(12), 대전 장치(14), 현상 장치(18) 및 클리너(26)는 현상 유닛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판(10A)을 개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 내부에 설치된 본체 프레임(미도시)으로부터 간단하게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하부에는, 그 내에 기록 용지를 수용하고 이것을 기록 용지로부터 1매씩 송출하는 급지 장치(28)와, 이 급지 장치(28)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토너 화상의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상 캐리어(12)는 그 배면에 감광체층을 갖으며, 그 노광부의 전위는 화상 캐리어(12)가 균일하게 대전된 후에 노광으로 인해서 감쇠된다.
상기 대전 장치(14)는 화상 캐리어(12)와 접촉하는 롤러 형상의 부재로서, 이 대전 장치(14)와 화상 캐리어(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이들의 접촉부 부근의 미소 간극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화상 캐리어(12) 표면을 거의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 장치로서는, 상술한 대전 장치(14)뿐만 아니라, 전극 와이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 작용으로 인해 화상 캐리어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형태의 대전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이 화상 기록 장치(16)는 점멸하는 레이저를 화상 캐리어(12) 주위 면에 주사하여,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정전 잠상을 화상 캐리어(12) 주위 면 상에 형성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화상 기록 장치로서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배열하고, 이 발광 소자들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점등시키는 장치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현상 장치(18)는 화상 캐리어(12)와 근접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된 원통 형상의 현상 롤러(18A)를 갖고, 이 현상 롤러(18A)와 화상 캐리어(12)의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즉, 현상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로 인해, 현상 롤러(18A)와 화상 캐리어(12)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계가 형성되고, 그 결과 전하를 갖는 토너가 화상 캐리어(12) 상의 노광부로 전이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 전사 장치(22)는 화상 캐리어(12)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롤러 형상의 부재로서, 이 전사 장치(22)와 화상 캐리어(12)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전사 장치(22)를 통과하는 기록 용지상에 토너 화상을 전사시킬 수 있다.
(급지 장치)
상기 급지 장치(28)는 제 1 용지 트레이(34)와, 이 제 1 용지 트레이(34)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 2 용지 트레이(36)와, 상측 용지 트레이(34)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제 1 급지 롤러(38) 및 하측 용지 트레이(36)로부터 용지를 송출하는 제 2 급지 롤러(40)와, 제 1 급지 롤러(38)에 가압 접촉되는 제 1 처리 부재(42)와,제 2 급지 롤러(40)에 가압 접촉되는 제 2 처리 부재(44)와, 제 1 용지 트레이(3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제 1 처리 부재(42)를 지지하는 홀더(46)와, 제 2 용지 트레이(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제 2 처리 부재(44)를 지지하는 홀더(48)를 포함한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36)는 카세트로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용지가 송출되는 방향과 역방향(도 2에서는 화살표 F 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측 용지 트레이(34)는 수동 트레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화살표 F방향측의 측부에 설치된 개구(49)를 통해 용지 트레이(34) 내로 임의의 크기의 용지를 간단하게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급지 롤러(38)는 그 둘레면의 일부가 절단된 반달 형상의 롤러로서, 이 제 1 급지 롤러가 회전 구동되는 경우, 그 둘레면이 용지 트레이에 적재된 가장 위쪽의 용지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데, 즉 제 1 급지 롤러(38)가 상기한 방식으로 용지 P를 순차 송출하게 된다.
제 1 처리 부재(42)는 용지 트레이(3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46)에 의해서 지지되며, 반면 이 제 1 처리 부재(42)는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제 1 급지 롤러(38)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급지 롤러(38)의 축(50)에는 코어 롤러(52)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한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 1 처리 부재(42)는 항상 코어 롤러(52)와 접촉되어 있다. 또한, 제 1 급지 롤러(38)에 의해서 송출되는 용지 P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에 의해 반송되는 경우에는, 아래쪽의 용지 P 아래에 적재된 용지 P가 위쪽의 용지 P에 딸려 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처리 부재(44)는 용지 트레이(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48)에 의해서 지지되며, 반면 이 제 2 처리 부재(44)는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제 2 급지 롤러(40)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급지 롤러(38)의 축(50)에 코어 롤러(52)가 설치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 2 급지 롤러(40)의 축(54)에도 코어 롤러(5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처리 부재(44)는 항상 코어 롤러(56)와 접촉되어 있고, 또한 제 2 급지 롤러(40)에 의해서 송출되는 용지 P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에 의해서 반송될 때, 아래쪽의 용지 P 아래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 P가 위쪽의 용지 P에 딸려 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급지 롤러(38)는 화상 형성 장치의 안쪽(도 2에서는 화살표 B방향측)에서의 용지 트레이(34)의 단부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데, 즉 용지 트레이(34)에 수용된 용지 P는 제 1 급지 롤러(38)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급지 롤러(38)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89)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제 2 급지 롤러(4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안쪽(도 2에서는 화살표 B방향측)에서의 용지 트레이(36) 단부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데, 즉 용지 트레이(36)에 수용된 용지 P는 제 2 급지 롤러(40)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2급지 롤러(40)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89)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급지 롤러(38)의 화살표 B방향측에는 화살표 B방향에 배치되는 롤러(30A)와, 화살표 F 방향측에 배치되어 롤러(30A)에 가압 접촉되는 롤러(30B)로 구성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30A) 및 롤러(30B)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89)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된다.
그런데, 제 2 급지 롤러(40)는 제 1 급지 롤러(38)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급지 롤러(38)와 제 1 처리 부재(42)간의 처리부(접촉부)를 통과하는 제 l 접선 L1과, 제 2 급지 롤러(40)와 제 2 처리 부재(44)간의 처리부(접촉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L2 사이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롤러(30A)와 롤러(30B)간의 닙점(nip point)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닙점을 또한 제 1 접선 L1보다 약간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는 제 1 급지 롤러(38) 상단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급지 롤러(40)는 제 1 급지 롤러(38)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수평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제 1 급지 롤러(38), 제 2 급지 롤러(40)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가능한 한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하면, 급지 장치(28)의높이 치수(도 1에서는 화살표 U방향 및 화살표 D방향의 치수) 및 그 깊이 치수(화살표 F방향 및 화살표 B방향의 치수)를 모두 최소한으로 억제한 합리적인 배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롤러(30A)와 롤러(30B)의 닙점에서 제 2 급지 롤러(40)와 제 2 처리 부재(44)의 닙점까지의 거리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롤러(30A)와 롤러(30B)의 닙점에서 제 1 급지 롤러(38)와 제 1 처리 부재(42)의 닙점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롤러(30B)의 축(30Ba)에는 링(57)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측 안내 어셈블리(58)가 부착되어 있다.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의 용지폭 방향 양측(도 3에서는 지면의 앞뒤 방향)에는 각각 거의 C자 형상의 베어링(59)이 형성되어 있는데, 즉 이 베어링(59)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축(30Ba)에 대하여 상측 안내 어셈블리(58)를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측 안내 어셈블리(58)는 제 1 급지 롤러(38)로부터 송출된 용지 P의 (트레이에 적재시의) 하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면(60)과, 제 1 급지 롤러(38)로부터 송출된 용지 P의 (트레이에 적재시의) 상면측(62)을 안내하는 안내면(62)과, 제 2 급지 롤러(4O)로부터 송출된 용지 P의 (트레이에 적재시의) 상측 면측을 안내하는 안내면(64)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통상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어셈블리(59)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면(60)은 제 1 급지 롤러(38)측에 형성되어 용지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이 대략 직선 형상으로 된 직선부(60A)와, 이 직선부(60A)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측에 형성되어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원호부(60B)와, 이 제 1 원호부(60B)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측에 형성되어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이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원호부(6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안내면(62)은 안내면(60)과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안내면(62)은 안내면(60)의 직선부(60A)의 일부분 및 제 1 원호부(60B)에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이 대략 직선 형상인 상측 평면부(62A), 및, 제 2 원호부(60C)와 대향하는 위치에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형상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2개의 안내면(60)과 안내면(62)간에는 이들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향하여 간격이 서서히 좁아지고, 한편 이 간격은 제 1 급지 롤러(38)에 의해 반송된 용지 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향하여 안내하는 반송 경로(65)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에는 안내면(64)의 하단에 작은 직경의 롤러(66)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66)는 반송되는 용지 P와 접촉하는 경우에 이 롤러(66)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본체 프레임 측에는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의 화살표 B방향측에 고정 안내면(68)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안내면(68)은 안내면(64)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면부(68A)와, 이 수직면부(68A)의 상단과 원활하게 이어지며 화살표 B방향측에서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부(68B)와, 이 수직면부(68A)의 하단와 원활하게 이어지며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이 아래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된 원호부(68C)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안내면(68)과 안내면(6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아래쪽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용지 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향하여 안내하는 반송 경로(69)가 제공된다.
고정 안내면(68)에는 수직면부(68A)와 고정 안내면(69)의 경사부(68B)의 접속 부분에 작은 직경의 롤러(7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70)는 고정 안내면(68)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있고, 따라서 롤러(70)의 돌출부가 용지 P와 접촉하면, 이 롤러(70)는 회전된다.
통상, 이 상측 안내 어셈블리(58)는 안내면(64)과 수직면부(68A)가 이들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도 1, 3 및 도 4에 나타낸 위치)에 설치되도록 잠금 멈춤부에 의해서 잠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안내 어셈블리(58)는 잠금 멈춤부에 의해서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화살표 CCW방향(도 5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고정 안내면(68)의 수직면부(68A)이위쪽 방향으로 크게 노출된다.
또, 화상 형성 장치(l0)의 본체 프레임측에는 제 2 급지 롤러(40)의 화살표 B방향측의 경사방향 아래쪽에 하측 안내 어셈블리(7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안내 어셈블리(72)는 고정 안내면(68)과 대향하는 고정 안내면(72A)과, 제 2 급지 롤러(40)에서 반송된 용지 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측을 항하여 제 2 급지 롤러(40)로부터 반송되는 용지 P를 안내하며 용지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안내면(72B)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 안내면(72B)은 하측 안내 어셈블리(72)의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용지폭 방향(도 5에서는 지면의 앞뒤 방향)의 중앙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 안내면(72B)의 용지폭 방향 양단측에는 이동형 안내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형 안내부재(74)는 하측 안내 어셈블리(72)의 축(7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하측 안내 어셈블리(7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고정 안내면(72A)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안내면(74A)과, 하측 안내 어셈블리(7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고정 안내면(72B)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안내면(74B)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 이 이동형 안내부재(74)는 고정 안내면(72B)의 용지폭 방향의 연장선 상에 안내면(74A)이 위치하도록 잠금 기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도 1, 도 2 및 도 4 참조).
이 이동형 안내 부재(74)가 잠금 기구의 잠금 해제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73)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CW방향(도 5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고정 안내면(68)과 이동형 안내 부재(74)간의 간격을 위쪽 방향을 항하여 크게 개구할 수 있다.
도 l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안내면(72B)과 제 2 급지 롤러(40) 사이의 간격, 및 안내면(74B)과 제 2 급지 롤러(40) 사이의 간격은 제 2 급지 롤러(40)에 의해 반송된 용지 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향하여 안내하는 반송 경로(75)가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안내면(68)의 아래쪽에는 안내면(76)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안내면(68)과 안내면(76) 사이의 간격은 용지 P의 반송 경로(78)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한편 반송 경로(78)의 화살표 B방향측의 단부는 화상 형성 장치 측면의 개구(80)과 연결되어 있다.
반송 경로(78)의 도중에는 용지 P를 반송하는 한 쌍의 롤러(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82)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용지 P를 화살표 B방향 및 화살표 F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용지 검출 기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에는 반송 경로(65)에 송출된 용지 P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1 액츄에이터(84), 및 반송 경로(69)에 송출된 용지 P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 2 액츄에이터(8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액츄에이터(84)는 이 제 1 액츄에이터(8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축(84A)을 포함하고, 한편 이 축(84A)은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의 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액츄에이터(84)는 축(84A)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요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액츄에이터(84)는 비틀림 스프링(미도시)(이 비틀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에, 다른쪽 단부는 제 1 액츄에이터(84)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비틀림 스프링은 강한 비틀림력을 갖고 있음)에 의해서 도 3에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통상 제 1 액튜에이터(84)는 도 3에 나타낸 위치에 존재하며, 한편 그 측면은 상측 안내 어셈블리(58)와 접촉된다.
한편, 제 2 액츄에이터(86)는 비틀림 스프링(이 비틀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제 1 액츄에이터(84)에, 다른쪽 단부는 제 2 액츄에이터(86)에 고정되어 있고, 이 비틀림 스프링은 제 1 액츄에이터(84)의 비틀림 스프링보다 비트림력이 약함)에 의해서 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런데, 제 2 액츄에이터(86)는 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86A)를 포함하고, 통상 이 돌기(86A)는 제 1 액츄에이터(8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기(84B)와 접촉되는데, 즉 제 2 액튜에이터(86)는 통상 도 3에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본체 프레임측에 존재하는 고정 안내면(68)에는 투과형의 광센서(88)가 설치되어 있다. 또, 광센서(88)는 화상 형성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89)(도 2 참조)와 접속되어 있다.
통상, 제 2 액츄에이터(86)는 반송 경로(69)를 횡단하며, 이 제 2 액튜에이터(86)의 선단 부분은 광 센서(88)의 광 빔을 차단하고 있다.
용지 P가 제 2 액츄에이터(86)와 접촉하고 제 2 액츄에이터(86)가 도 3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광 센서(88)의 광 빔이 투과하도록 하면, 이 광 센서(88)는 용지 P가 반송 경로(69)에 진입한 것을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P가 제 1 액츄에이터(84)와 접촉하고, 이 제 1 액츄에이터(84)가 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액츄에이터(84)와 함께 제 2 액츄에이터(86)가 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광 센서(88)의 광 빔이 투과하도록 함으로써, 용지 P가 반송 경로(65)에 진입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작용)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서로의 상부에 겹쳐서 제 1 용지 트레이(34)에 적재된 용지 P의 반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급지 롤러(38)가 화살표 CW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급지 롤러(38)의 외주면과 접촉한 최상부의 용지 P가 반송 경로(65)를 향하여 송출된다.
제 1 처리 부재(42)(제 2 처리 부재(44)도 마찬가지임)는 종래와 같이 용지 P와의 마찰이 큰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용지 P가 서로의 상부에 겹쳐 있을 때에는, 용지 P간의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으로 하측의 용지 P의 주행을 억제함으로써, 상측의 용지 P만이 송출된다.
또, 제 1 급지 롤러(38)가 화살표 CW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용지 P가 반송경로(65)에 진입하면, 선단이 위쪽의 안내면(62)(상측 평면부(62A) 및/또는 원호부(62B))으로 안내되어, 용지 P의 반송 방향이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고, 또 용지 P가 더 반송되면, 용지 P의 선단이 하측의 안내면(60)(제 2 원호부(60C))으로 안내되어, 용지 P의 반송 방향이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어, 용지 P가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를 향하여 반송된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P의 반송 방향은 우선 안내면(62)과 접촉하여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이 용지 P가 위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고(7b의 R 참조), 그 후 용지 P의 반송 방향이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이 용지 P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다(도 7b의 R 참조). 따라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P의 선단(Pa)을 일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도록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에 용지 P를 삽입함으로써, 용지 P가 접힌 자국이 생길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고, 한편 용지 P는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에 끼워 반송된다.
제 1 급지 롤러(38)가 1회전하면, 제 1 급지 롤러(38)는 정지한다. 또한, 반송 경로(65) 내로 용지 P가 진입하면, 제 1 액츄에이터(84) 및 제 2 액츄에이터(86)가 회전하여, 광 센서(88)의 광 빔이 투과함으로써 용지 P가 반송 경로(65)로 진입한 것이 검출되고, 소정 시간(제어 장치(89)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음)이 경과한 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가 회전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 사이에 끼워진 용지 P는 더 위쪽으로 반송되어, 소정 시간(제어 장치(89)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음)이 경과한 후, 화상의 기록이개시된다. 화상 캐리어(12) 상의 토너 화상은 용지 P에 전사되어 정착 장치(24)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다음에, 제 2 용지 트레이(36)에 서로의 상부에 겹쳐서 적재된 용지 P의 반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급지 롤러(40)가 화살표 CW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급지 롤러(40)의 외주면과 접촉한 최상부의 용지 P가 반송 경로(75)를 향하여 반송된다.
제 2 급지 롤러(40)가 화살표 CW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용지 P가 반송되면, 용지 P의 선단은 고정 안내면(72B) 및 안내면(74B), 고정 안내면(68), 안내면(64)의 순으로 접촉하여 안내되고, 최종적으로 용지 P는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에 설치된다.
이 반송 경로(75) 및 반송 경로(69)에 있어서, 용지 P는 고정 안내면(72B) 및 안내면(74B), 고정 안내면(68), 안내면(64)의 순으로 접촉함으로써, 우선 용지 P는 화살표 B방향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고, 그 후 용지 P는 화살표 F방향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다. 따라서, 용지 P의 선단을 일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도록 용지 P를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로 돌입시킬 수 있으므로, 롤러(30A)와 롤러(30B) 사이에 끼워 반송되는 용지 P에 접은 자국이 생길 가능성이 제거된다.
제 2 급지 롤러(40)가 1회전하면, 제 2 급지 롤러(40)는 정지한다. 또한, 반송 경로(69) 내로 용지 P가 진입하면, 제 2 액츄에이터(86)가 회전하고, 광센서(88)의 광 빔이 투과되도록 허용됨으로써, 용지 P가 반송 경로(69)에 진입한 것이 검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가 회전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 사이에 끼워진 용지 P는 더 위쪽으로 반송되어, 화상 캐리어(12) 상의 토너 화상이 용지 P 상에 전사되고, 정착 장치(24)에 의해서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여기서, 제 2 급지 롤러(40)가 정지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에 의해서 용지 P를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P의 반송 방향 뒤쪽 부분은 코어 롤러(56)를 회전시키고 또한 제 2 처리 부재(44)와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와 제 2 처리 부재(44) 사이의 용지 P에는 장력이 작용하여 용지 P가 당겨지지만, 이 상태에서 용지 P는 롤러(66) 및 롤러(70)에만 접촉되어 있고, 이들 롤러(66) 및 롤러(70)가 용지 P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므로, 용지 P를 원활하게 반송될 수 있다.
특히, 반송 경로가 짧고, 용지 P의 반송 방향이 비교적 급격하게 변경되는 부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력이 작용한 상태의 용지 P를 안내면 상에 슬라이딩시키지 않고, 이 용지 P를 회전 가능한 롤러(66) 및 롤러(70)에만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급지 롤러(38)와 제 1 처리 부재(42)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 L1과, 제 2 급지 롤러(40)와 제 2 처리 부재(44)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L2 사이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닙 부분을 배치하고, 또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제 1 급지 롤러(38)의 상단을 통과하는수평선 L3보다 아래쪽에 배치함과 동시에, 제 1 급지 롤러(38), 제 2 급지 롤러(40)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를 가능한 한 서로 접근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서, 급지 장치(28)의 높이 치수(화살표 U방향 및 화살표 D방향의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제 2 급지 롤러(40)를 제 1 급지 롤러(38)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수평 방향으로 사이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급지 장치(28)의 깊이 치수(화살표 F방향 및 화살표 B방향의 치수)와 함께 높이 치수(화살표 U방향 및 화살표 D방향의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의 높이 치수 및 깊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측의 제 2 급지 롤러(40)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급지 롤러(40)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한 반달 형상의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조를 가능한 한 간략화할 수 있고, 부품수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타의 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위치가 제 1 급지 롤러(38)와 제 1 처리 부재(42)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 L1보다 위쪽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물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위치를 제 1 접선 L1보다 아래쪽으로 설정해도 좋다. 즉,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위치를 제 1 접선 L1보다 아래쪽으로 설정하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의 위쪽에배치된 부품(현상 유닛(27) 등)의 위치를 더 낮추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써 화상 형성 장치(10)의 높이 치수를 더 낮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급지 롤러(40)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0) 사이에 2개의 작은 직경의 롤러(66, 70)를 배치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용지 P의 반송 경로의 형상에 따라서, 작은 직경의 롤러의 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그리고, 반송 경로(65) 내에 하나 이상의 롤러를 설치하고, 장력이 작용한 상태의 용지 P를 회전 가능한 롤러에만 접촉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제 1 급지 롤러와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1 급지 롤러, 제 2 급지 롤러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하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위치를 낮춰서, 화상 형성 장치의 높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1 급지 롤러 및 제 2 급지 롤러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가 용이한 반달 형상 롤러를 사용할 수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고,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수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상기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과, 제 2 급지 롤러와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급지 장치.
  2. 제 1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상기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상기 제 1 급지 롤러의 상단을 통과하는 수평선과,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배치되는 급지 장치.
  3. 제 1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보다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상기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2개의 서브 롤러들을 갖고,
    상기 서브 롤러들 사이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nip portion)에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에서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닙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급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는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급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내부는,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의 반송 방향을 만곡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1 용지 만곡 형성부, 및
    상기 제 1 용지 만곡 형성부보다 반송 방향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의 반송 방향을 상기 제 1 만곡 형성부의 만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만곡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용지 만곡 형성부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 중의 어느 한 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작은 직경의 롤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
  7. 화상 형성부, 및
    급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 장치는,
    제 1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대해서 하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처리 부재와,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적재되어 수용된 용지의 가장 위쪽의 1매와 접촉하고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제 2 용지 트레이에 수용된 복수의 용지가 함께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 2 처리 부재와,
    상기 제 1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와 제 2 용지 트레이로부터 송출된 용지를 사이에 끼워서, 양쪽의 용지를 상기 제 1 급지 롤러보다 상측 방향으로 배치된상기 화상 형성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는 상기 제 1 급지 롤러와 상기 제 1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1 접선과, 상기 제 2 급지 롤러와 상기 제 2 처리 부재 사이의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 2 접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71747A 2000-11-20 2001-11-19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583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3375A JP3783554B2 (ja) 2000-11-20 2000-11-20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0-00353375 200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248A true KR20020039248A (ko) 2002-05-25
KR100583288B1 KR100583288B1 (ko) 2006-05-25

Family

ID=1882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747A KR100583288B1 (ko) 2000-11-20 2001-11-19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4634B2 (ko)
JP (1) JP3783554B2 (ko)
KR (1) KR100583288B1 (ko)
CN (1) CN1244484C (ko)
TW (1) TW5504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7562B2 (ja) * 2001-08-31 2008-02-13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ト斜行矯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4222B2 (ja) * 2002-12-06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用紙搬送方法
US7063318B2 (en) * 2003-12-22 2006-06-20 Xerox Corporation Sheet deskew system and method
US20060214353A1 (en) * 2005-03-23 2006-09-28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edia input tray with manual feeder
JP4513682B2 (ja) * 2005-07-25 2010-07-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121952A (ja) * 2005-10-31 2007-05-17 Ricoh Co Ltd 画像情報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07962B2 (ja) 2006-01-24 2009-0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4207963B2 (ja) * 2006-01-24 2009-0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8019050A (ja) * 2006-07-12 2008-01-31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4829717B2 (ja) * 2006-08-23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搬送制御方法
KR101172398B1 (ko) * 2007-08-03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매체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0089912A (ja) * 2008-10-08 2010-04-22 Riso Kagaku Corp 印刷装置の給紙機構
JP5744803B2 (ja) * 2012-08-06 2015-07-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70520B2 (ja) * 2014-10-16 2016-08-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9146A (ko) * 1973-12-27 1975-08-06
US4540297A (en) * 1983-02-01 1985-09-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aper holding, feeding and inserting apparatus for a printer using different kinds of sheets
US4473314A (en) * 1983-02-02 1984-09-25 Mamoru Imaizumi Printing apparatus responsive to paper feeding device position
JPS61136842A (ja) * 1984-12-05 1986-06-24 Sharp Corp 原稿自動送り装置
US4966356A (en) * 1987-09-30 1990-10-30 Fujitsu Limited Apparatus for selectively feeding cut sheets in a recording machine
JPH01226646A (ja) * 1988-03-02 1989-09-11 Toshiba Corp 給紙枚数計数装置
JPH10129883A (ja) * 1996-10-30 1998-05-19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34634B2 (en) 2003-10-21
CN1354119A (zh) 2002-06-19
JP3783554B2 (ja) 2006-06-07
US20020060389A1 (en) 2002-05-23
KR100583288B1 (ko) 2006-05-25
CN1244484C (zh) 2006-03-08
JP2002154716A (ja) 2002-05-28
TW550442B (en) 200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983A (en)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reduced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KR100583288B1 (ko)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002276B2 (en) Sheet conveyance device
JPH08157107A (ja) 給紙装置
JP396270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15832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67624B1 (ko) 양면 인쇄기의 용지 정렬 장치
JP2004354422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1555B2 (ja) 画像形成装置
JP4569907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159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42455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0708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70926A (ja)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22531B2 (ja) シート供給装置
JPH06107345A (ja) 給紙装置
JP6489071B2 (ja) 給紙カセット、画像形成装置、用紙搬送装置
JP6724595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00208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原稿自動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31348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65844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52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21840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5707642A (zh) 片材输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H1015393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