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750A -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750A
KR20020028750A KR1020010002041A KR20010002041A KR20020028750A KR 20020028750 A KR20020028750 A KR 20020028750A KR 1020010002041 A KR1020010002041 A KR 1020010002041A KR 20010002041 A KR20010002041 A KR 20010002041A KR 20020028750 A KR20020028750 A KR 2002002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less
time pass
antenna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412B1 (ko
Inventor
현운혁
Original Assignee
윤학범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범,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filed Critical 윤학범
Publication of KR2002002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6Tickets or cou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요금 지불수단으로 비접촉방식의 정액권과 일회권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불량이 발생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출하기 위한 불량카드 반환구,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알에프 안테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알에프 안테나, 각 카드의 처리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투입구로 투입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수집하는 수집부, 정상적으로 요금징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승객의 통과를 제한하는 플랩,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선불 또는 후불형의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를 사용하고, 지하철을 부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비접촉식 일회권 카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요금을 지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마그네틱 종이티켓을 사용함에 따른 금액 기록의 지워짐과 잼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계수 및 충전을 모두 전산화하여 전체 인건비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Subway charge accounting system using a fixed-amount ticket of non-contact type and single-ride ticket}
본 발명은 지하철 요금 지불수단으로 비접촉방식의 정액권과 일회권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선불 또는 후불형의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를 사용하고, 지하철을 부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비접촉식 일회권 카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승차요금은 운행되는 거리나 지역에 따라 구간요금이 차등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철의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형태는 마그네틱 종이티켓에 일회 승차 요금이나 정액 요금을 기록하여 승차권으로 사용하는 방법 및 비접촉식 카드를 사용하여 요금을 지불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요금지불방법중 일정한 금액을 충전한 사용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가 주로 사용되고는 있지만 이는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반면에 지하철을 부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한번 사용하기 위하여 정액권의 비접촉식 카드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현금을 사용하거나 동전형의 승차권을 사용하게 되는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하철 요금을 마그네틱 종이티켓을 사용하여 지불하게 되면 금액이 기록된 마그네틱 띠가 자석에 의해 기록이 쉽게 지워지거나 구겨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마그네틱 종이티켓이 구겨지면 지하철 게이트 내에서 마그네틱 종이티켓이 걸리는 잼 현상이 자주 발생되므로 관리비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부정기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이나 타지방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한번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요금지불수단이 제시되지 못하여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와 함께 여전히 마그네틱 종이 티켓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 요금 지불수단으로 비접촉방식의 정액권과 일회권 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게이트를 개발함으로서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선불 또는 후불형의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를 사용하고, 지하철을 부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비접촉식 일회권 카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마그네틱 종이티켓을 사용함에 따른 금액 기록의 지워짐과 잼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계수 및 충전을 모두 전산화하여 전체 인건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의 단말기 게이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단말기 게이트 본체 111:투입구
112:불량카드 반환구 113:플랩
114:승객감지수단 120:수집부
130:표시수단 140:제 1 알에프 안테나
150:제 2 알에프 안테나 160:가이드
161:리브 171:투입감지수단
172:입수감지수단 173:적재감지수단
181:제 1 셔터 182:제 2 셔터
183:제 3 셔터 191:제 1 솔레노이드
192:제 2 솔레노이드 193:제 3 솔레노이드
210:제어부 220:메모리
230:비 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 240:코드발생부
250:통신포트 260:플랩구동부
270:솔레노이드구동부 281:음성안내부
282:스피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불량이 발생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출하기 위한 불량카드 반환구,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알에프 안테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알에프 안테나, 각 카드의 처리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투입구로 투입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수집하는 수집부, 정상적으로 요금징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승객의 통과를 제한하는 플랩,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의 단말기 게이트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단말기 게이트 본체(100)의 정면 상측에는 요금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선불 또는 후불형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알에프 안테나(140)가 마련되고, 제 1 알에프안테나(140)의 일측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투입하는 투입구(111) 하측에는 상기 투입구(111)로 투입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중에서 불량인 것이 배출되는 불량카드 반환구(11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게이트 본체(100)를 통과하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승객감지수단(114)과 승객의 통과를 제한하기 위한 플랩(113)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수단(130)은 정상 혹은 비정상처리를 표시할 수 있는 제 1 표시부(131) 및 할인카드용 제 2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일회권 카드의 투입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된 투입구와 단말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된 다수의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수집부 사이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의 투입구측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투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투입감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투입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의 투입구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 1 솔레노이드 내지 제 3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제 1 셔터 내지 제 3 셔터가 마련되며, 수집부측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그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도록 제 4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제 4 셔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입구측에는 적재함으로 낙하하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재감지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14 및 16)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카드(34)가 정지되는 위치에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34)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내부 안테나(3)가 설치된다.
한편,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가이드(160)에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와 제 2 알에프안테나(150)가 서로 마주 대할 수 있도록 리브(161)가 형성되며, 투입구(111)에는 비접촉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구배면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은,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22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10)에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제 1 알에프안테나(140) 및 제 2 알에프안테나(1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비접촉 알에프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2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 1 알에프안테나(140) 및 제 2 알에프안테나(150)에서 수신된 정보의 처리결과를 정상처리, 비정상처리, 지불요금, 잔액 등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130)가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로부터 지하철 요금 징수를 할 수 있도록 카드를 읽고 쓰기 위한 비밀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부(240)와, 중앙컴퓨터의 수집장치(도시하지 않음)로 거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포트(250)와, 단말기 게이트 본체(100)에 마련된 플랩을 작동시키기는 플랩구동부(260)가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는다.
또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수단(171)과,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입수를 감지하는 입수감지수단(172),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적재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수단(173)이 제어부(210)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솔레노이드(191 내지 194)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가 제어부(210)에 접속된다. 또한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작동상태에 따른 음성안내를 하기 위한 음성안내부(281) 및 스피커(282)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알에프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232)를 통해 제어신호를 받는 제 1 증폭기(233)를 통해 제 1 알에프 안테나(140)가 연결되도록 하고, 제 2 증폭기(234)를 통해 제 2 알에프 안테나(150)가 연결되도록 하여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투입감지수단(171)과, 입수감지수단(172) 및 적재감지수단(173)은 포토센서를 이용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일측에는 빛을 발생시키는포토다이오드(PD)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빛에 의해 턴-온되는 포토트랜지스터(PT)가 설치되고, 포토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측은 제어부로 접속된다.
평상시 포토다이오드(PD)는 턴-온상태로 빛을 발생시키며, 포토트랜지스터의 포토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에 의해 턴-온되어 로우레벨의 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가 빛의 진행을 차단하면 포토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되어 하이레벨의 신호가 제어부(210)로 출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는 신용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 1 알에프안테나(140)와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2)와, 정보를 기록하는 집적회로(11)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는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제 2 알에프안테나(150)와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2)와, 정보를 기록하는 집적회로(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의한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다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차량의 각종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전원변환부(3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단말기 본체(21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나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시 제어부(210)는 제어신호를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230)으로 전송한다.
제어부(210)에서 로우레벨인 제어신호가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수단(230)으로 전송되면 인버터(232)를 통하여 제 1 증폭기(233)에 하이레벨이 인가되어 제 1 증폭기(233)가 인에이블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제 1 알에프안테나(140)를 통하여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210)에서 하이레벨인 제어신호가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수단(230)으로 전송되면 제 2 증폭기(234)에 하이레벨이 인가되어 제 2 증폭기(234)가 인에이블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제 2 알에프안테나(150)를 통하여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감지한다.
즉,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일 경우 제 1 증폭기(233)가 작동하여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를 감지하며,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일 경우 제 2 증폭기(234)가 작동하여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 1 증폭기(233) 및 제 2 증폭기(234)를 인에이블 시킴으로써 제 1 알에프 안테나(140) 및 제 2 알에프안테나(150)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감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알에프안테나(140)에서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가 감지되거나 혹은 제 2 알에프안테나(150)에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스캐닝 동작을 멈추고 감지된 카드의 처리 동작을 행한다.
만일, 상기와 같은 스캐닝 동작중에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제 1 알에프안테나(140)에 대거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를 제 2 알에프안테나(150)에 근접시킨다 하여도 카드 별로 미리 설정된 구분 코드, 예를 들어 OX10은 정액권 카드(31), OX20은 일회권 카드(34), OX30이상은 예비용과 같은 형식으로 메모리(22)에 프로그램된 구분 코드에 의해 정상처리가 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의 처리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 1 알에프안테나(140)를 통하여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가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스캔 동작을 중지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의 전자회로(12)에 입력된 금액정보를 제 1 알에프안테나(140)와 카드 안테나(11)를 통해 읽고 쓰기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코드발생부(240)에서 발생되는 비밀코드의 확인절차와 병행하여 진행되므로 지하철 요금 징수용으로 발행된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외에는 처리하지 않게 된다.
읽고 쓰기 동작후 비정상 처리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표시부(130)를 구동하여 비정상거래표시를 하고, 정상처리된 경우 제어부(210)는 표시부(130)를구동하여 정상거래표시를 하고 그와 동시에 징수한 금액 및 차감잔액은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처리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투입구(111)로 투입되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제 1 셔터(181)에 의해 투입구(111)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입감지수단(171)의 포토다이오드(PD)와 포토트랜지스터(PT)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트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빛이 포토트랜지스터(PT)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는 턴-오프된다.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되면 하이레벨의 신호가 제어부(210)로 인가되어 제어부(210)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투입을 인식하게 된다.
포토트랜지스터(PT)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제어부(210)가 인가되면 제어부(21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제 1 솔레노이드(191)를 작동시켜 제 1 셔터(181)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는 제 1 셔터(181)와 제 2 셔터(182) 사이에 위치한다.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제 1 셔터(181)와 제 2 셔터(18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투입감지수단(171)의 포토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빛이 포토트랜지스터(PT)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포토트랜지스터(PT)는 턴-온되어 로우레벨의 신호를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또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제 1 셔터(181)와 제 2 셔터(182)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입수감지수단(172)의 포토다이오드(PD)에서 발생된 빛이 포토트랜지스터(PT)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포토트랜지스터(PT)는 턴-오프된다. 포토트랜지스터(PT)가 턴-오프되면 하이레벨의 신호가 제어부(210)로 인가되어 제어부(210)는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입수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제 1 솔레노이드(19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며, 이로 인하여 제 1 셔터(181)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
제 1 셔터(181)가 닫힌 후 제어부(210)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230)을 제어하여 제 2 알에프안테나(150)를 통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코드발생부(240)에서 발생되는 비밀코드의 확인절차와 병행하여 진행되므로 지하철 요금 징수용으로 발행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외에는 처리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동작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에 대하여 비정상처리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1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제 2 솔레노이드(192)에만 소정시간동안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는 불량카드 반환구(112)로 반환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표시부(130)를 구동하여 비정상처리표시를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음성안내부(281)를 제어하여 스피커(282)를 통하여 음성안내를 실시한다.
하지만,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에 대하여 정상처리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10)는 표시부(130)를 구동하여 정상처리표시 및 거래 금액 및 잔액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제 2 및 제 3 솔레노이드(192 및 193)에 소정시간동안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 2 및 제 3 셔터(182 및 183)가 개방되어 정상처리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는 수집부(120)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정상처리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를 종류에 따라 분류 수집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제 4 솔레노이드(194)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 4 셔터(184)의 작동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는 그 종류에 따른 수집부(120)의 적재함(121)에 낙하하여 수집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적재감지수단(173)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의 이동을 감지하는데, 제 2 및 제 3 솔레노이드(192 및 193)가 작동된 후 적재감지수단(173)에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210)는 걸림현상(JAM)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10)는 솔레노이드 구동부(270)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제 2 및 제 3 솔레노이드(192 및 193)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제 2 및 제 3 셔터(182 및 183)의 열고 닫힘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걸림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10) 혹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20)에서 징수된 지하철 승차요금은 RS-232 포트와 RS-422, 485 포트를 포함하는 통신포트(250)에 의해 지하철공사 등의 수집장치로 전송되어 전산관리되므로 인건비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와 비접촉식 일회권 카드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기 게이트를 구성함으로서 지하철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선불 또는 후불형의 비접촉식 정액권 카드를 사용하고, 지하철을 부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승객은 비접촉식 일회권 카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요금을 지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마그네틱 종이티켓을 사용함에 따른 금액 기록의 지워짐과 잼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계수 및 충전을 모두 전산화하여 전체 인건비 등의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3)

  1. 지하철 요금을 징수하기 위해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한 단말기에 있어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불량이 발생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투출하기 위한 불량카드 반환구,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알에프 안테나,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와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알에프 안테나,
    상기 각 카드의 처리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수집하는 수집부,
    정상적으로 요금징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승객의 통과를 제한하는 플랩,
    상기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구배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투입구와 상기 수집부 사이에 설치되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기 투입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수단과,
    상기 투입감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가 감지될 경우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 1 셔터와 그를 구동하는 제 1 솔레노이드,
    상기 제 1 셔터를 통과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읽고 쓰기 위해 이동을 제어하는 제 2 셔터와 그를 구동하는 제 2 솔레노이드,
    상기 제 2 셔터에 의해 정지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감지하는 입수감지수단,
    상기 제 2 알에프안테나에 의한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상기 읽고 쓰기 결과에 따라 수입 혹은 투출시키는 제 3 셔터와 그를 구동하는 제 3 솔레노이드,
    수입되어 상기 수집부로 수집되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종류별로 적재하는 다수의 적재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감지수단과, 입수감지수단 및 적재감지수단은 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6. 제 1 항 혹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정상처리가 끝난 후 제 2 및 제 3 솔레노이드의 작동 후 상기 적재감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의 적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및 제 3 솔레노이드를 소정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7. 제 3 항 혹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읽고 쓰기 결과에 의해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를 그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적재함으로 안내하는 제 4 셔터 및 그를 구동하는 제 4 솔레노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8. 제 1 항 혹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에프안테나는 상기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 의해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가 정지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9. 제 1 항 혹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에프안테나는 안테나 코일부와 판독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가 정지되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상기 제 2 알에프 안테나와 마주보게 할 수 있도록 내부면에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제어에 따라 제 1 알에프안테나 및 제 2 알에프안테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비접촉 알에프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과, 비접촉식 정액권 알에프 카드와 비접촉식 일회권 알에프 카드로부터 지하철 요금 징수를 할 수 있도록 카드를 읽고 쓰기 위한 비밀코드를 발생시키는 코드발생부와, 거래정보를 중앙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는 비접촉식 카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상기 제 1 알에프 안테나와 접속되는 제 1 증폭기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며 제 2 알에프안테나와 접속되는 제 2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포트는 RS-232, RS-422, RS-485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KR10-2001-0002041A 2000-10-11 2001-01-13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KR100371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59660 2000-10-11
KR1020000059660 2000-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750A true KR20020028750A (ko) 2002-04-17
KR100371412B1 KR100371412B1 (ko) 2003-02-07

Family

ID=196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041A KR100371412B1 (ko) 2000-10-11 2001-01-13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118B2 (en) * 2000-02-29 2004-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ticket gate apparatus
KR100954489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094A (ja) * 1992-11-14 1994-05-31 Omron Corp 非接触自動改札機
KR100213975B1 (ko) * 1997-01-07 1999-08-02 전영삼 요금 자동징수를 위한 알에프 게이트 시스템
KR100249672B1 (ko) * 1997-12-31 2000-03-15 윤학범 일회권용 비접촉식 아이씨카드 판독장치 및 그카드
KR19990069958A (ko) * 1998-02-16 1999-09-06 전주범 지하철역의게이트장치
KR20000033014A (ko) * 1998-11-19 2000-06-15 전주범 알에프 카드 인식 시스템
KR200247103Y1 (ko) * 1998-12-04 2001-12-13 윤학범 비접촉식 일회권카드 판독처리장치
JP2000331198A (ja) * 1999-05-19 2000-11-30 Nippon Signal Co Ltd:The 改札処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118B2 (en) * 2000-02-29 2004-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ticket gate apparatus
KR100954489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412B1 (ko) 200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0108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revalung cash cards
KR100364030B1 (ko) 재충전가능한 매체를 사용하는 비접촉 지불 방법 및 장치
KR100371412B1 (ko)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지하철 요금 징수시스템
KR100371411B1 (ko) 비접촉식 정액권 및 일회권을 이용한 버스 요금 징수시스템
JP2002366991A (ja) 非接触式自動改札装置
CN1290377A (zh) 射频代币及其读取设备
JP2005309477A (ja) 改札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で用いられる非接触式自動改札機
KR200189774Y1 (ko) 1회용 알에프카드 발매기의 알에프카드 투출장치
JP4056754B2 (ja) 非接触式トークン自動発行機
JP3384963B2 (ja) 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
KR19990066004A (ko) 1회용 알에프 카드 발매기
JP2684067B2 (ja) 短時間専用駐車機能付き駐車場管理装置
JP5685368B2 (ja) 自動改札装置およびその正券クレジット管理方法
JP2001076191A (ja) カード処理装置
JPH05101235A (ja) 情報記憶媒体
JP3435333B2 (ja) 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
JP2003141610A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付き紙幣処理装置
JP2002024877A (ja) リストバンド自動精算機
JP2003123101A (ja) 自動改札機
JP2020067892A (ja) カード処理装置、料金収受機、カード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070113632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51936A (ja) 非接触式トークン投入装置
JPS62150492A (ja) 自動精算機
JPH01180691A (ja) 金額券処理装置
JP2004310508A (ja) トークン発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