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639A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639A
KR20020025639A KR1020010015661A KR20010015661A KR20020025639A KR 20020025639 A KR20020025639 A KR 20020025639A KR 1020010015661 A KR1020010015661 A KR 1020010015661A KR 20010015661 A KR20010015661 A KR 20010015661A KR 20020025639 A KR20020025639 A KR 20020025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
display
osd
synthe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711B1 (ko
Inventor
오키타히데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2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컨트롤러 기기의 OSD 상태 확인부는 1394 버스를 거쳐 타깃 기기의 OSD 제어부에 확인 지시를 전달하고, OSD 제어부로 하여금 OSD 합성부의 표시 상태를 확인하여 그 표시 확인 결과를 OSD 상태 확인부에 통지하게 한다. OSD 상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기기의 조작 선택부는 입력부의 입력을 타깃 기기의 OSD 제어부로 또는 컨트롤러 기기의 OSD 제어부로 전달할지 결정한다. 따라서, 컨트롤러 기기는 타깃 기기의 OSD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에 따라 컨트롤러 기기 상의 OSD 표시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대상을 판정하므로, 적절한 표시 내용 제공 및 조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VIDEO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송출 장치 및 상기 영상 전송 장치로부터 고속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송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가 모두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갖춘 경우에 사용되는 표시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용량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IEEE 1394 규격의 고속 직렬 버스(이하, "1394 버스"라 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1394 버스는 예컨대, DTV(Digital Television Receiver)와 DVD(Digital Versatile Disc reproducing device)의 상호 접속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정보는 DTV와 DVD 사이를 양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DTV가 DVD에 임의의 영상을 요구할 경우, 이 요구 신호는 1394 버스를 경유하여 DVD에 전달되며 필요하다면 DVD에 의해 재생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는 1394 버스에 고속으로 전송되어, DTV 상에 영상 신호가 표시된다.
그러나, 컨트롤러 기기(DTV 등의 영상 표시 장치)가 1394 버스를 경유하여 타깃 기기(DVD 등의 영상 송출 장치)를 제어할 경우, 상기 타깃 기기가 전송 전에 영상 신호상에 부영상(이하에, "OSD"로 칭함)을 오버레이하는 OSD 기능을 갖는다면, 다음의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컨트롤러 기기에는 자신의 OSD와 타깃 기기의 OSD간에 중첩 표시를 감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OSD와 타깃 기기의 OSD가 중첩된다면, 둘 중의 한 OSD는 취소되거나 기타의 표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기기가 OSD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 패널 표시 화면을 표시하여 그 자신을 제어하거나 또는 커서키 등을 이용함으로써 타깃 기기를 제어하여 화면에서의 제어 패널을 조작한다면, 커서키와 같이 양 기기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키는 어느 기기에서 송신되었는지 불명확하다. 게다가, 에러 등으로 인해 양 기기가 동일 내용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게 되면, 중첩 표시는 피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고속의 직렬 버스를 경유하여 영상 표시 장치가 영상 송출 장치를 제어하고,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송출 장치 양측에 모두 OSD 기능이 있다면, 양측의 OSD는 서로 중첩되어, 적절한 표시 또는 제어를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컨트롤러 기기 또는 타깃 기기에 의해 합성된 OSD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기기 및 타깃 기기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기기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는,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송출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영상 송출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요구 및 수신 장치와, 상기 영상 요청 장치 및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한 수신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 수단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부영상이 합성된 수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부영상 합성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영상 송출 장치에 확인 요구를 송출하고, 해당 영상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수신 영상에서의 부영상 합성 상태를 확인하는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 및 상기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에 의해 확인된 부영상 합성 상태에 따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의 부영상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부영상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타깃 기기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 수단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영상이 합성된 영상을,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송출하는 영상 송출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전달된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의 부영상 합성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통지하는 부영상 합성 상태 통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러 기기 및 타깃 기기로서 영상 처리 장치들이 예컨대 고속 직렬 버스를 경유하여 상호 접속될 경우, 컨트롤러 기기는 타깃 기기의 부영상 합성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에 따라 컨트롤러 기기 상에서의 부영상 표시 및 사용자 입력 조작의 조작 대상을 판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 내용 제공 및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장점은 이하에 기재되는 설명을 통해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습득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특히 이후에 제시되는 수단들과 그 조합을 사용하여 실현되며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송 표시 처리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1의 구성을 갖춘 영상 전송 표시 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접속예와 OSD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 장치 상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OSD 제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DTV 표시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제어 패널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OSD 상태 확인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OSD 상태 확인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DVD 타이틀 메뉴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의 표시예에 대한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DVD 타이틀 메뉴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의 표시예 대한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DVD 타이틀 메뉴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의 표시예에 대한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 장치 상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은 본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 기기가 타깃 기기의 OSD를 제어할 때의 동작 흐름도.
도 13은 컨트롤러 기기가 타깃 기기의 OSD 상태 변화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기기의 OSD가 제어될 때의 동작 흐름도.
도 14는 컨트롤러 기기가 리모트 제어기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버튼 조작 결과를 수신할 경우의 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
도 15는 컨트롤러 기기가 리모트 제어기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버튼 동작의 결과를 수신할 경우의 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
도 16은 컨트롤러 기기 및 타깃 기기 양측에 동일 에러 메시지가 중복 표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컨트롤러 기기(DTV 표시 장치)
A1 : 제2 1394 처리부
A2 : 제2 OSD 합성부
A3 : 표시부
A4 : 제2 OSD 제어부
A5 : OSD 상태 확인부
A6 : 조작 선택부
A7 : 입력부
B : 타깃 기기
B1 : 영상 출력부
B2 : 제1 OSD 합성부
B3 : 제1 1394 처리부
B4 : 제1 OSD 제어부
B5 : OSD 상태 통지부
C : 리모트 컨트롤러
수록되어 명세서의 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대한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은 이상에서의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에 설명될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발명의 원리를 설명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송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조 부호 A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DTV 등의 컨트롤러 기기이며, 참조 부호 B는 컨트롤러 기기(A)에 의해 제어된 영상을 송출하는 DVD 등의 타깃 기기를 의미한다.
타깃 기기(B)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B1)는 매체(medium)(DVD 매체 등), 방송파 및 기타 영상 장치로부터의 영상 스트림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스트림은 제1OSD 합성부(B2)에 전달된다. 제1 OSD 합성부(B2)는 필요하다면 입력 영상 스트림에 대해 제1 제어 패널과 같은 그래픽(OSD)을 합성(오버레이)한다. 상기 그래픽은 또한 "부영상"으로 언급되고 DVD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서브픽쳐(sub-picture)와는 상이하지만 제어 패널 등의 제어용 그래픽(OSD)과 관련된다. 그러나, DVD 규격으로 정의되어 있는 서브픽쳐는 부영상(sub-video)처럼 처리될 수 있다.
제1 OSD 합성부(B2)는 후술되는 제1 OSD 제어부(B4)에 의해 제어된다. 제1 OSD 합성부(B2)에서 그래픽과 합성된 영상은 제1 1394 처리부(B3)에 의해 IEEE 1394에 규정되어 있는 등시 패킷(isochronous packet)으로 변환되고, 상기 등시 패킷은 1394 버스를 경유하여 컨트롤러 기기(A)에 송출된다.
컨트롤러 기기(A)에 있어서, 1394 버스를 경유하여 전달된 등시 패킷은 제2 1394 처리부(A1)로 송출된다. 제2 1394 처리부(A1)는 수신된 등시 패킷을 영상 스트림으로 재변환하고, 이어서 제2 OSD 합성부(A2)는 필요하다면 제2 제어 패널 등의 그래픽(OSD)을 영상 스트림에 합성하고, 이어서 표시부(A3)는 합성된 영상 스트림을 표시한다. 제2 OSD 합성부(A2)는 후술하는 제2 OSD 제어부(A4)에 의해 제어된다.
제1 OSD 합성부(B2) 및 제2 OSD 합성부(A2)는 필요하다면 영상 스트림을 인코드 또는 디코드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부(B1)는 영상 스트림으로서 MPEG2-TS를 출력하고, 제1 OSD 합성부(B2)는 수신된 MPEG2-TS를 기저 대역으로 디코드한 후, 기저 대역을 OSD 처리하고 처리된 기저 대역을 표시부(A3)에 전송한다.
컨트롤러 기기(A)의 OSD 상태 확인부(A5)는 타깃 기기(B)의 제1 OSD제어부(B4)에 확인 지시를 전달하여 제1 OSD 제어부(B2)의 표시 상태를 확인하다. 표시 상태의 구체적인 예로는 영상의 표시·비표시의 구별과, 표시 범위 및 에러 코드 등이 있다. 제1 OSD 제어부(B4)는 제1 OSD 합성부(B2)의 표시 상태를 확인하고, 표시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OSD 통지부(B5)로 하여금 1394 버스를 경유하여 그 변화를 컨트롤러 기기(A)의 OSD 상태 확인부(A5)에 통지하게 한다.
OSD 상태 확인부(A5)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기기(A)의 조작 선택부(A6)는 입력부(A7)에서의 입력(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C)의 키조작 입력)를 타깃 기기(B)의 제1 OSD 제어부(B4)와 컨트롤러 기기(A)의 제2 OSD 제어부(A4) 중 어느 것에 전송할지 선택한다. 입력부(A7)의 입력 조작을 타깃 기기(B)의 제1 OSD 제어부(B4)로 전송할 경우, 제2 1394 제어부(B3)는 그 입력을 1394 버스용 포맷으로 변환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제1 1394 제어부(A1)에 송신한다.
도 2는 상기 구성을 갖춘 영상 전송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접속예와, OSD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타깃 기기(B)의 구체적인 예는 DVD 플레이어이며, 컨트롤러 기기(A)의 구체적인 예는 DTV 표시 장치이다.
DVD 플레이어(B)는 삽입된 매체 영상에 제어 패널(OB1) 등의 OSD를 오버레이하고, 영상 스트림으로서 그 결과 영상을 IEEE 1394 버스를 거쳐 DTV 표시 장치에 전송한다. 전송된 영상 스트림은 DTV 표시 장치(A)의 표시 화면으로 표시된다. DTV 표시 장치(A)는 필요하다면 전송된 영상 스트림에 제어 패널(OA1) 등의 OSD를 오버레이한다. 영상 스트림에 오버레이된 제어 패널(OA1, OB1)은 리모트 컨트롤러(C)의 커서키에 의해 조작된다.
종래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DVD 플레이어(B)의 제어 패널(OB1)이 영상 스트림에 오버레이된 상태로 전송되기 때문에, DTV 표시 장치(A)에서는 DVD 플레이어의 OSD 표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DTV 표시 장치(A)는 DVD 플레이어(B)의 제어 패널 OB1 상에 제어 패널 OA1을 중첩시킬 수도 있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C)의 커서키 등의 조작을 DTV 표시 장치(A)에서 처리해야 하는지 DVD 플레이어(B)에서 처리해야 하는지의 판정이 불가능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 구성에 있어서, DTV 표시 장치(A)는 DVD 플레이어(B)의 OSD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따라 DTV 표시 장치(A)의 OSD와 리모트 컨트롤러(C)의 조작 대상을 결정하여 적절한 표시 내용을 획득하고 적절한 조작이 가능해 진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 장치에서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타깃 기기(B)는 DVD 플레이어로 구성되고 컨트롤러 기기(A)는 DTV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도 3에서, 타이틀 메뉴(OB1)는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도록 DVD 플레이어(B)가 OSD 기능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제어 패널(메뉴)이며, 타이틀 메뉴(OB1)는 DVD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 리스트를 나타낸다. 제어 패널(OA1)은 OSD 기능을 이용하여 DTV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며, DTV 표시 장치(A)는 상기 제어 패널(OA1)을 이용하여 DVD 플레이어(B)를 제어한다. DVD 플레이어(B) 제어의 구체적인 예로는 재생, 중지 및 고속 포워드 등의 매체 조작과, TOP 메뉴, TITLE 메뉴 및 SETUP 메뉴 등의 메뉴 호출(invocation)이 있다. 타이틀 메뉴(OB1) 및 제어 패널(OA1)은 모두 DTV 표시 장치(A)의 리모트 컨트롤러(C)(화살키 및 엔터키)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도 3은 제어 패널(OA1)의 타이틀 버튼을 누르도록 커서키를 조작함으로써 DVD 플레이어(B)의 타이틀 메뉴(OB1)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타이틀 메뉴(OB1)에 부가하여, DVD 플레이어(B)의 메뉴 표시 방법은 DVD 매체 내용에 따른 재생시 멀티앵글(multiangle) 제어 패널과 같은 메뉴의 자동 표시와 메뉴 조작에 의한 메뉴의 자동 삭제를 포함한다. 메뉴는 다양한 타이밍으로써 표시되거나 비표시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DTV 표시 장치(A)에서의 타이틀 메뉴(OB1) 표시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제어 패널(OA1)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없었고, 상기 2개의 메뉴는 서로 중첩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배면(背面)의 메뉴를 조작하기 위해, 그 앞의 메뉴를 수동으로 숨겨야만 했다. 또한, 양 기기의 메뉴를 모두 숨겨야 할 경우, DTV 표시 장치(A)에는 DVD 플레이어(B)의 메뉴 비표시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 표시 장치는 커서키에 대응하는 "AV/C" 커맨드를 무의미하게 DVD 플레이어(B)에 전송하였다. 더욱이, DTV 표시 장치(A)가 제어되어야 할 경우(화살키를 사용하여 채널 또는 음량 조작), 그 제어는 교체(switch)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 구성에 있어서, 컨트롤러 기기(DTV 표시 장치)(A)는 타깃 기기(DVD 플레이어)의 OSD 표시 상태를 확인하면서 적절하게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OSD 제어예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표시 화면은 어떻게 DTV 표시 장치(A)에 OSD가 표시되는지 나타낸다.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한 소정의 조건으로 DVD 플레이어상에 OSD가 표시되어, 도 4(B)에 도시된 표시 화면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DTV 표시 장치(A)는 DVD 플레이어(B)의 OSD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OSD 변경시, DTV 표시 장치에서의 OSD 비표시 등의 적절한 조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DTV 표시 장치의 제어 패널(OA1)이 조작되어 DVD 플레이어(B)에 "RootMenu" 표시 커맨드를 전달하고, 그 플레이어어로 하여금 자신의 OSD를 표시하게 하여, DTV 표시 장치(A)는 OSD 표시 상태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신뢰성의 제어가 가능해 진다. 또한, DVD 플레이어(B)의 DVD 매체 재생시 제어 패널이 멀티앵글 부분에 표시될지라도, DTV 표시 장치(A)는 OSD 상태 변화를 판정할 수 있다. 게다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대상을 가리키는 DTV 조작용 "DTV"와 DVD 조작용 "DVD" 등의 메시지 또는 아이콘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혼란없이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DTV 표시 장치(A)의 리모트 컨트롤러(C)를 사용하여 제어 패널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C)로부터의 입력(커서 조작 등)은 DTV 표시 장치(A) 및 DVD 플레이어(B)의 OSD 상태에 따라 조작 대상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DTV 표시 장치(A)의 OSD가 표시 상태일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입력은 DTV 표시 장치(A)의 제어 패널(OA1)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DVD 플레이어의 OSD가 표시 상태의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입력은 "AV/C" 커맨드 포맷으로 변환되고, 이 커맨드는 1394 버스를 경유하여 DVD 플레이어(B)에 전송되어 DVD 플레이어(B)의 제어 패널(OB1)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DTV 표시 장치(A)의 리모트 컨트롤러(C)에 DTV/DVD 스위칭 버튼이 없어도, DTV 표시 장치(A)의 OSD가 제어되는지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소정의 화살키가 눌려질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 캐맨드는 자동적으로 DTV 표시 장치(A) 또는 DVD 플레이어(B)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위칭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적은 버튼 조작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DTV 표시 장치(A)의 리모트 컨트롤러(C)도 물론 DTV/DVD 스위칭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C)에서의 적외선 코드가 각각의 DTV 표시 장치(A) 및 DVD 플레이어(B)에 직접 송신될 지라도,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조작 대상은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명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절한 스위칭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OSD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1394TA 발행의"Enhancement to the AV/C General Specification 3.0"에 기재된"Info Books"를 사용한 데이터 표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포맷은 타깃 기기(B)에 저장되어 있고, 커맨드 "READ INFO BLOCK" 등을 이용하여 컨트롤러 기기(A)에 의해 판독된다. OSD 표시 상태는 예컨대, 70h(표시), 60h(비표시)와 같은 형식으로 "osd_state" 부분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osd_status_info_block"은 1394TA 발행의 "AV/C Disc Subunit General Specification 1.0"에 기재된"source_plug_status_area_info_block"에 저장되어 있다.
"osd_status_info_block"에는 OSD 표시·비표시 판별 외에 표시 내용(에러 메시지 코드 등) 또는 제어 패널상에서의 커서 위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포맷은 제한적이지 않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OSD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 포맷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1394TA 발행의"AV/C General Specification 3.0"에 기재된"AV/C Status"를 이용한 데이터 포맷 예를 나타낸다. 컨트롤러 기기(A)는 이러한 데이터 포맷을 "AV/C Status" 커맨드 형식으로 타깃 기기(B)에 송신하고, 타깃 기기(B)는 OSD 상태를 예컨대, 70h(표시) 또는 60h(비표시)와 같은 형식으로 "osd_status"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포맷이"AV/C General Specification 3.0"에 기재된"AV/C Notify"에 적용된다면, 타깃 기기(B)의 OSD 상태가 변할 경우, 타깃 기기(B)는 상기 변화 내용을 컨트롤러 기기(A)에게 통지한다.
"AV/C Status" 또는 "AV/C Notify" 커맨드는 OSD 표시·비표시 판별 외에 표시 내용(에러 메시지 코드 등) 또는 제어 패널상에서의 커서 위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포맷은 제한적이지 않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DVD 타이틀 메뉴(OB1)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OA1)의 제1 표시예이다. 도 8에서, DTV 제어 패널(OA1)은 DVD 타이틀메뉴(OB1)가 숨겨지지 않도록 숨겨진다.
도 9는 본 실시예를 따라 DVD 타이틀 메뉴(OB1)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OA1)의 제2 표시예이다. 도 9에서, DTV 제어 패널(OA2)은 DVD 타이틀 메뉴(OB1)가 숨겨지지 않도록 아이콘(OA2)처럼 표시된다. 아이콘(OA2) 표시 위치에 축소 화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는 본 실시예를 따라 DVD 타이틀 메뉴(OB1)를 표시하는 DTV 제어 패널(OA1)의 제3 표시예이다. 도 10에서, DTV 제어 패널의 버튼 수는 최소 필요값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DTV 제어 패널(OA1)은 DVD 타이틀 메뉴(OB1)의 표시 영역에 중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타이틀 메뉴(OB1)의 표시 위치는 DVD 플레이어로부터 취득되어, DTV 제어 패널(OA1)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0의 예에서, DTV 제어 패널(OA1) 및 DVD 타이틀 메뉴(OB1)가 모두 표시될 경우, 필요하다면 조작 대상은 DTV 제어 패널(OA1) 또는 DVD 타이틀 메뉴(OB1)로 스위칭될 수 있다. 구체적인 스위칭 방법에는 리모트 컨트롤러(C)에 조작 대상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단계 또는 상하 화살키로 메뉴를 조작하는 단계와, 좌우 화살키로 조작 대상을 스위칭하는 단계가 있다. 이 경우에, DVD 플레이어(B)에 복수열의 버튼이 있고 좌우 화살키를 DVD 타이틀 메뉴 조작에 사용해야 할지라도, 본 실시예서는 조작 버튼의 위치와 같은 OSD 내용을 취득해야 하므로, 메뉴 또는 패널이 화면에 적합할 경우에만 화살키를 조작하여 조작 대상을 스위칭하는 제어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통상의 장치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DTV 표시 장치(A)가 DVD 플레이어(B)를 재생 조작할 경우, 매체 무삽입으로 인한 에러 발생 표시예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DTV 표시 장치(A)에는 DVD 플레이어(B)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DTV 표시 장치(A)와 DVD 플레이어(B) 양측에 모두 매체 미삽입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OB3)가 표시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DTV 표시 장치(A)는 매체 미삽입을 나타내는 경고 메시지(OB3)가 DVD 플레이어(B)에 표시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이서, DTV 상에 경고 메시지(OA3) 표시가 금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표시가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A)가 타깃 기기(B)의 OSD를 제어할 경우의 조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1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OSD가 표시된다. 단계 S2에서, 조작 커맨드가 타깃 기기(B)에 송신된다. 조작 커맨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DVD 플레이어의 "RootMenu" 또는 "SetupMenu", "PLAY" 및 "STOP"이 있다. 단계 S3에서, 송신된 조작 커맨드의 응답이 수신된다. 단계 S4에서, 타깃 기기(B)의 OSD 상태가 요구되고, 단계 S5에서, OSD 상태 요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다. 단계 S6에서, 타깃 기기(B)의 OSD 상태를 점검하여, 타깃 기기(B)에 OSD가 표시되는지 확인한다. 타깃 기기(B)에 OSD가 비표시 상태라면, 단계 S2에서부터 처리가 반복된다. 타깃 기기(B)에 OSD가 표시 상태라면, 컨트롤러 기기의 OSD 상태는 변경된다. 표시 상태 변경의 구체적인 예로서, 비표시화, 아이콘화, 축소 표시 등이 있다.
본 흐름도에 따라, 타깃 기기(B)의 조작으로 인한 타깃 기기(B) OSD 변화는기종을 따를지라도(예컨대, 단일 리모트 컨트롤러 버튼에 복수의 기능들이 할당되 상이한 조작은 현재 모드에 따라 수행된다), 컨트롤러 기기(A)는 OSD 상태를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컨트롤러 기기(A)가 타깃 기기(B)의 OSD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컨트롤러 기기(A)의 OSD가 제어되는 경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단계 S11에서, 타깃 기기(B)에 OSD 상태를 요구한다. 단계 S12에서, 타깃 기기(B)로부터 OSD 상태가 수신된다. 단계 S13에서, 타깃 기기(B)의 OSD 변화를 판정하여, 비변경시 단계 S12 및 단계 S13의 처리가 반복된다.
OSD 상태가 변경되었다면, 단계 S14에서, 타깃 기기(B)의 OSD가 표시 상태인지 확인하여, 표시 상태라면(비표시 상태가 표시 상태로 변경) 단계 S15에서, 컨트롤러의 OSD 상태는 변경된다. 표시 상태 변경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표시화, 아이콘화, 축소 표시 등이 있다.
타깃 기기(B)의 OSD가 비표시 상태일 경우(표시 상태에서 비표시 상태로 변경), 단계 S16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OSD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결정한다. 그 OSD 상태가 변하였다면, 단계 S17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OSD 상태는 원 상태로 복원된다. 상태 복원의 구체적인 예는 아이콘 및 축소 표시로 변경된 컨트롤러 기기(A)의 OSD 표시를 통상의 사이즈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DVD 시청시, DVD 플레이어가 멀티 앵글 부분에 자동적으로 메뉴를 표시할 경우에도, 컨트롤러 기기(A)의 OSD는 적절하게 제어되어 OSD 중첩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컨트롤러 기기(A)가 리모트 컨트롤러(C)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버튼 조작 결과를 수신할 경우에 제어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21에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조작 결과가 수신된다.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버튼이 눌려질 때) 결과는 예컨대, 적외선 코드 형식으로 컨트롤러 기기(A)에 송신된다. 이어서, 단계 S22에서, 컨트롤러 기기(A)와 타깃 기기(B)의 OSD 상태가 확인되어, 그 표시 상태에 따라 상이한 처리 과정으로 분기된다.
컨트롤러 기기(A)와 타깃 기기(B)의 OSD가 모두 비표시 상태(R1)라면, 버튼 조작 내용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된다. 버튼 조작 내용의 구체적인 예로서, 숫자 버튼, 화살 버튼, 메뉴 버튼 등이 있다. 다음에, 단계 S24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현재 동작 모드가 확인된다. 동작 모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BS 디지털 수신 모드와 DVD 표시 모드가 있다. 단계 S23 및 단계 S24의 결과에 기초하여, 단계 S25에서, 조작 대상이 타깃 기기(B)인지 판정되어, 상이한 처리 과정으로 분기된다. 판정은 동작 모드와 버튼 조작 내용의 조합에 따른다. 그러므로, 동일한 메뉴 버튼이 조작되었을지라도, DVD 타이틀 메뉴는 DVD 표시 모드로 표시되고, 전자 프로그램 리스트는 BS 디지털 수신 모드로 표시된다.
컨트롤러 기기(A)의 OSD만 표시될 경우(R2),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6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조작이 필요한지 판정되어, 조작되어야 한다면, 단계 S27에서 컨트롤러 기기(A)는 수신된 버튼 조작을 처리한다.
타깃 기기(B)의 OSD만 표시될 경우(R3),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조작은 타깃 기기(B)의 조작 커맨드로 변환된 후, 단계 S29에 타깃 기기(B)로 송신된다. 타깃 기기(B)의 조작 커맨드로의 변환의 구체적인 예로서, "AV/C" 커맨드로의 변환이 있다.
컨트롤러 기기(A) 및 타깃 기기(B)의 OSD가 모두 표시될 경우(R4),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에서 버튼 조작 내용이 확인되어 단계 S31에서는 조작 대상 OSD의 표시 내용을 확인한다.
표시 내용 확인의 구체적인 예로서, 버튼 조작 위치가 있다. 단계 S30 및 단계 S31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 대상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판정된다. 조작 대상 변경이 변경되어야 할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서, 현재의 조작 버튼 위치가 좌단에 있는 경우와, 버튼이 좌방향으로 조작되었을 경우가 있다. 조작 대상 기기를 변경해야 할 경우, 단계 S33에서 확실하게 조작 대상을 변경한다. 조작 대상 기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면, 단계 S34에서 조작 대상이 타깃 기기(B)인지 컨트롤러 기기(A)인지 판정하고, 상이한 처리 과정으로 분기된다.
도 16은 컨트롤러 기기(A) 및 타깃 기기(B) 양측에 동일한 에러 메시지의 중첩 표시를 피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 S41에서 컨트롤러 기기(A)의 에러 내용이 확인되고, 단계 S42에서 타깃 기기(B)의 OSD 표시 내용이 확인된다. 표시 내용의 구체적인 예에는 타깃 기기(B)상에 표시되는 에러 메시지에 대응하는 에러 코드가 있다. 다음에, 단계 S43에서 단계 S41의 확인 결과 내용이 타깃 기기상에 표시된 에러 내용과 동일한지 판정된다. 만약 동일하다면, 컨트롤러 기기(A)는 소정의 처리 수행없이 종료된다. 동일하지 않거나, 타깃 기기(B)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다면, 단계 S44에서, 컨트롤러 기기(A)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상의 처리 흐름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컨트롤러 기기로서 영상 표시 장치는 타깃 기기인 영상 송출 장치의 OSD 상태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의 OSD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컨트롤러 기기에서의 OSD 표시 소거, 축소, 투과 등). 또한, 조작 대상을 아이콘 또는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혼동없이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트롤러 기기 또는 타깃 기기에 의해 합성된 OSD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기기와 타깃 기기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는 추가의 장점 및 개선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더 넓은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적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 청구범위 및 그 동류에 의해 한정되는 전반적인 본 발명 발상의 사상 및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트롤러 기기 또는 타깃 기기에 의해 합성된 OSD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기기와 타깃 기기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컨트롤러 기기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송출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영상 송출 장치로부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요구 및 수신 수단과;
    상기 영상 요구 및 수신 수단에 의해 얻어진 수신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 수단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부영상이 합성된 수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기 영상 송출 장치에 부영상 합성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 요구를 송출하고, 영상 공급원인 상기 영상 송출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기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수신 영상에서의 부영상 합성 상태를 확인하는 부영상 상태 확인 수단 및
    상기 부영상 수신 상태 확인 수단에 의해 확인된 부영상 합성 상태에 따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의 부영상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부영상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송출 영상에 부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부영상 합성 수단과;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부영상이 합성된 영상을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송출하는 영상 송출 수단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송신된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의 부영상 합성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통지하는 부영상 합성 상태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선은 고속의 직렬 버스로 구성되는 것인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은 상기 부영상으로서, 상기 영상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메뉴 선택 영상 또는 제어 패널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 제어 수단은 상기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이 수신 영상의 부영상 합성 상태로의 변화를 판정할 경우,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합성될 표시 항목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 제어 수단은 상기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이 수신 영상의 부영상 비합성 상태로의 변화를 판정할 경우,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변경되었던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 형식을 원래의 표시 형식으로 복원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은 부영상이 수신 영상에 합성되는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부영상 제어 수단은 합성될 부영상의 표시 위치가 수신 영상에 합성된 부영상 범위에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을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되는 부영상이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의 부영상인지 상기 영상 송출 장치로부터의 부영상인지 분명하게 표시하는 식별 부영상을 표시 영상에 합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식별 부영상은 표시 부영상에 합성되고, 상기 부영상 제어 수단은 상기 부영상 합성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에 합성되는 부영상과 동일 내용의 부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부영상 합성 상태 확인 수단의 확인 결과를 기초하여 조작 대상을 스위칭하는 조작 대상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01-0015661A 2000-09-29 2001-03-26 영상 처리 장치 KR100388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0445 2000-09-29
JP2000300445A JP2002108326A (ja) 2000-09-29 2000-09-29 映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639A true KR20020025639A (ko) 2002-04-04
KR100388711B1 KR100388711B1 (ko) 2003-06-25

Family

ID=187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661A KR100388711B1 (ko) 2000-09-29 2001-03-26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40474A1 (ko)
EP (1) EP1195989A3 (ko)
JP (1) JP2002108326A (ko)
KR (1) KR100388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73B1 (ko) * 2004-12-3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9B1 (ko) * 2005-04-1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Link 방식의 프레임 데이터 전송 방법
US7782399B2 (en) 2003-07-21 2010-08-24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a method to avoid on-screen fluctuations due to input signal changes while in an OSD or graphic centric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2694A1 (en) * 2002-02-07 2004-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ntaining display mode information,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3309778A (ja) * 2002-04-16 2003-10-31 Sony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再生方法
KR100434078B1 (ko) * 2002-06-01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씨알/디브이디피 복합제품의 옵션정보 관리 방법
JP4188628B2 (ja) * 2002-06-28 2008-11-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561400B1 (ko) * 2003-07-21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연결시 사용자 안내 온 스크린 표시 방법 및그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MXPA06003890A (es) * 2003-10-06 2006-07-03 Disney Entpr Inc Sistema y metodo de control de reproduccion y caracteristica para reproductores de video.
JP3797360B2 (ja) 2003-12-25 2006-07-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Avシステム、増幅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増幅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動作プログラム
US8046790B2 (en) * 2004-07-06 2011-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Media projector system for preventing the display of on-screen display information
US20060098939A1 (en) * 2004-11-09 200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bin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each device through a single OSD menu and method thereof
KR100609916B1 (ko) * 2004-11-25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44219A1 (en) * 2005-09-28 2009-02-12 Norifumi Katou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operation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method
CN101558640A (zh) * 2006-12-14 2009-10-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再现和显示信息的系统和方法
US8599315B2 (en) * 2007-07-25 2013-12-03 Silicon Image, Inc. On screen displays associated with remote video source devices
JP5186861B2 (ja) * 2007-09-27 2013-04-24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
JP5161551B2 (ja) * 2007-12-07 2013-03-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受信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表示モニタ
JP2010057023A (ja) * 2008-08-29 2010-03-11 Toshiba Corp 映像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
US8166398B2 (en) * 2008-10-29 2012-04-24 Cyberlink Corp.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isplaying a control bar of a multimedia player
WO2011019352A1 (en) * 2009-08-13 2011-02-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ing display monitor user controls to adjust an accessory
US20130076742A1 (en) * 2010-06-11 2013-03-28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mplifier apparatus, and image system
JP2012195628A (ja) * 2011-03-14 2012-10-11 Onkyo Corp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JP5558517B2 (ja) * 2012-04-25 2014-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送信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送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TWI482485B (zh) * 2012-11-14 2015-04-21 Amtran Technology Co Ltd 影音播放系統、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及顯示裝置
WO2014155474A1 (ja) 2013-03-25 2014-10-02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
JP6500219B2 (ja) * 2015-02-06 2019-04-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信号分配装置
KR20180010688A (ko) * 2016-07-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20180102933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Ui를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5299D0 (en) * 1993-12-10 1994-02-16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for use in as system
KR970025008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Tvcr의 재생시 osd 겹침 방지장치 및 방법
US6177961B1 (en) * 1996-02-14 2001-01-23 Thomson Licensing S.A. Television system with display of VCR mode
CN1115822C (zh) * 1996-10-16 2003-07-23 汤姆森消费电子有限公司 利用持续时间数据控制电子设备之间的通信的方法和装置
US5923379A (en) * 1996-12-02 1999-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SS/DVD picture in picture with internet
US6097383A (en) * 1997-01-23 2000-08-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and audio functions in a web television
KR100230281B1 (ko) * 1997-04-14 1999-11-15 윤종용 프로그램 번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프로그램 번호 전송 및 수신방법
KR100237303B1 (ko) * 1997-04-29 2000-01-15 윤종용 복합 영상기기의 주변 시스템 연결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233646B1 (ko) * 1997-05-31 1999-12-01 윤종용 보조 입출력 단자를 갖는 모니터의 오에스디 표시 방법
KR100260496B1 (ko) * 1997-07-18 2000-07-01 윤종용 복합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US6208388B1 (en) * 1997-10-18 2001-03-27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 responsive television input signal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ES2202916T3 (es) * 1997-11-25 2004-04-01 Thomson Licensing S.A. Interoperabilidad de dispositivos que utilizan menus de presentacion en pantalla en forma de mapas de bits.
DE19918046B4 (de) * 1998-04-23 2007-02-15 Lg Electronics Inc. Speicherstruktur für Bild-in-Bild-Anzeige bei einer digitalen Videoanzeigeeinheit sowie Verfahren hierfür
US6593937B2 (en) * 1998-06-18 2003-07-15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high bandwidth on-screen-display graphics data over a distributed IEEE 1394 network utilizing an isochronous data transmission format
KR20000021567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버스제어 방식을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사용포트 표시방법
US6587154B1 (en) * 1998-09-30 2003-07-0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US6137539A (en) * 1998-10-09 2000-10-24 Matsh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television status display
JP4508330B2 (ja) * 1999-01-25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6490002B1 (en) * 1999-02-03 2002-12-03 Sony Corporation Supplemental data path for supporting on-screen displays from external sources in a monitor/TV receiver using a secondary analog signal path
JP4541476B2 (ja) * 1999-02-19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画像表示方法
KR20010097454A (ko) * 2000-04-24 2001-11-08 윤종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오브젝트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WO2001089224A2 (en) * 2000-05-12 2001-11-22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device interoperabil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2399B2 (en) 2003-07-21 2010-08-24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a method to avoid on-screen fluctuations due to input signal changes while in an OSD or graphic centric mode
KR101005443B1 (ko) * 2003-07-21 2011-01-05 톰슨 라이센싱 Osd혹은 그래픽 중심 모드에서 입력 신호 변화에 따른온-스크린 변동을 피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0652573B1 (ko) * 2004-12-3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9B1 (ko) * 2005-04-1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TVLink 방식의 프레임 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0474A1 (en) 2002-04-04
EP1195989A2 (en) 2002-04-10
KR100388711B1 (ko) 2003-06-25
EP1195989A3 (en) 2004-01-14
JP2002108326A (ja) 200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711B1 (ko) 영상 처리 장치
JP4996348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US7554614B2 (en) Remote control system
JP5008677B2 (ja) 映像音声装置ネットワークおよび信号再生方法
KR101286257B1 (ko) 컨텐츠 출력 시스템, 정보 표시 장치, 컨텐츠 출력 장치,및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EP198870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EP1942657A1 (en)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operation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using the method
JP200810934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7019695A (ja) 再生装置
JP5107017B2 (ja) 遠隔操作装置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JP4929952B2 (ja) デジタル放送録画装置
JP4817635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301849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10011183A (ja) 使用状況監視装置及び外部接続装置の監視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1300949B1 (ko) 영상표시기기를 이용한 외부기기의 제어방법
JP4143675B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コマンド転送方法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405500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で操作される電子機器
KR100864720B1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JP2008219932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コマンド転送方法
US20040130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ideo signal of composite image apparatus
JP200122395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設定方法
JP4079721B2 (ja) Dvd信号出力方式選択装置、dvd内蔵型マルチ方式tv受像機、dvd再生表示装置、及びdvd再生装置
JP2006014004A (ja) 2画面テレビ制御方法
KR100406993B1 (ko) 광기기 기록/재생장치와 텔레비젼 복합기기 및 그의자막표시동작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