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73B1 -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73B1
KR100652573B1 KR1020040118390A KR20040118390A KR100652573B1 KR 100652573 B1 KR100652573 B1 KR 100652573B1 KR 1020040118390 A KR1020040118390 A KR 1020040118390A KR 20040118390 A KR20040118390 A KR 20040118390A KR 100652573 B1 KR100652573 B1 KR 10065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gital
source device
menu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432A (ko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가 셋톱박스 등과 연결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에서 온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면 디지털티브이에 연결된 A/V 소스기기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치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온스크린 정보를 스트림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A/V 소스기기의 스트림과 메뉴 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MENU PICTURE DISPLAY METHOD FOR DIGITAL TV LINK SYSTEM USING OS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EIA/CEA-931이 적용된 종래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EIA-799에 정의된 타입코드와 화면 분할을 위한 확장을 나타낸 포맷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스트림 및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의 포맷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미셀러니어스 피처 필드 코딩의 확장 예를 나타낸 포맷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EIA-755 plug info"의 확장 예를 나타낸 포맷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확장 예를 나타낸 포맷도.
도 9는 본 발명의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V 소스기기 2 : 디지털티브이
3 : 리모콘
본 발명은 디지털 티브이가 셋톱박스 등과 연결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에서 온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화면과 메뉴화면을 각기 다른 영역에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1394는 애플(Apple)사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사가 1986년 공동으로 제창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Serial Bus Interface) 규격으로 AV 기기간에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교환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1995년에 산업 표준이 되었다. IEEE 1394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전송 속도로 100∼400Mbps의 전송이 가능하며, 현재 800,1.6Gbps 속도가 개발 중이어서 앞으로는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주변기기를 그대로 연결하여 디지털 오디오나 동화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IEEE 1394는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fer)과 등시 전송(Isochronous transfer)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전송의 실시간성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고화질 동영상 전송에 적합하다.
상기 IEEE 1394의 물리적인 장점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주변 장치들을 간단한 공용 플러그인 직렬 커넥터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과 두꺼운 병렬 케이블이 아닌 얇은 직렬 케이블을 사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사용을 중단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는 핫 플러그(Hot and Plug)를 지원하며, 종단 장치 나 복잡한 설정 없이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주변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현재에는 IEEE 1394를 지원하는 제품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편집장비, 디지털 VCR,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제품과 1394 IC들과 커넥터, 케이블, 테스트 장비, 소프트웨어 툴킷 등 1394 기본적인 부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티브이 링크(DTVLink) 시스템의 링크 기술은 상기 IEEE 1394를 이용한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2)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consumer)가 셋톱박스와 같은 A/V 소스 기기(producer)(1)의 스트림 및 온스크린신호(OSD)를 1394 링크(link)를 통해 전달받아 스트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OSD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및 그 A/V 소스기기(1)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디지털 티브이(2)의 리모콘(3)으로 그 디지털 티브이(2)와 A/V 소스기기(1) 모두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제품의 리모콘을 모두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EIA-775-A, EIA/CEA-849, EIA-799, EIA/CEA-931 등의 규격에 맞게 상기 A/V 소스기기(1)와 디지털 티브이(2)를 구현해야 한다.
상기 각 규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EIA-775-A"는 디지털티브이와 A/V 소스기기 간에 IEEE-1394 버스를 사용하여 베이스 밴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으로 아날로그 시스템과 유사한 레벨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EIA-775-A를 따르는 디지털티브이와 디지털 셋톱박스, 아날로그/디지털 하드디스 크,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등의 디지털 A/V 소스들 간의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IA-799"는 상기 EIA-775-A에서 온스크린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해야 하는 온스크린 포맷을 정의한 규격이다. 또한, "EIA/CEA-931"은 사용자의 리모콘이나 패널 조작을 통한 키 값을 AV/C 커맨드를 통해 해당 기기에 전달해줄 수 있도록 만든 규격이다. 마지막으로,"EIA/CEA-849"는 EIA-755-A를 따르는 디지털티브이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파일(application profiles)들을 정의한 규격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는 ATSC 지상파, DBS(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 US 케이블, DV 캠코더 등이 있다.
EIA-799에서는 도 3의 표에서와 같이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한 타입 코드(type code)를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Set OSD pixel format"은 이 프레임 이후에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참조하는 팔레트 정보를 저장한 프레임이다. 그리고 "4bit OSD data", "8bit OSD data", "Uncompressed 16 bit data"는 4,8,16 컬러 깊이(color depth)를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용된다. 그리고, "Fill region with constant"는 특정 영역을 지정된 색상으로 채우기 위해 이용되는 프레임이고, "Clear OSD"는 OSD 영역을 한꺼번에 지우는데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이다.
상기 A/V 소스기기(1)와 디지털 티브이(2)가 상기 링크(1394 link)를 통해 연결되면, A/V 소스기기(1)는 디지털 티브이(2)측으로 OSD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먼저 데이터 프레임을 위한 팔레트 정보가 담긴 서브 프레임(Set OSD pixel format)을 전송한다. 그리고, 팔레트 프레임이 전송되면 상기 디지털 티브이(2)에서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이후에 전송되는 OSD 데이터 프레임을 화면에 디스 플레이한다. 만일 A/V 소스기기(1)측에서 다른 포맷을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4비트 데이터 프레임을 디지털 티브이(2)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다가 8비트 데이터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기를 원하거나 팔레트에서 사용되는 테이블(color look up table)의 형태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팔레트를 전송하고, 이후에 이와 관련 있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면 된다.
디지털 티브이 링크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이 EIA-799를 이용하여 스트림 위에 A/V 소스기기(1)의 OSD를 오버레이(overlay)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EIA-799를 이용하여 스트림 위에 A/V 소스기기의 온스크린 정보를 재생화면에 오버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뿐 재생화면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스트림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프리뷰(preview)하면서 스트림 목록을 탐색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에서 화면분할(PIP/POP/PBP)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화면과 메뉴화면을 각기 다른 영역에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은 A/V 소스기기측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분할될 스트림 화면의 좌표와 해상도를 정의한 프레임을 디지털티브이측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디지털티브이와 A/V 소스기기가 각기 상대의 화면분할 (PIP/POP/PBP) 지원 여부를 알기 위해서 특정 필드를 확장하여 이용하고, 디지털티브이에서는 그 필드의 한 비트를 할당하여 화면분할 표시 기능을 지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A/V 소스기기에서는 EIA-775 플러그 정보의 예비 필드를 이용하여 자신이 화면분할 기능 이용시 사용될 수 있는 온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특징은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면 디지털티브이에 연결된 A/V 소스기기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치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일반 화면을 위한 온스크린의 팔레트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받아 온스크린 정보를 스트림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프레임 내부의 "SSP_X_loc", "SSP_Y_loc", "SSP_Width", "SSP_Height" 값을 이용하여 A/V 소스기기의 스트림과 메뉴 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현재 EIA-799에서 지원하고 있는 서브 프레임들의 타입 코드 (type code)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Set OSD pixel format"은 이 프레임 이후의 데이터 프레임에서 사용될 팔레트 정보를 저장한 프레임이다. 그리고, "4bit OSD data", "8bit OSD data", "Uncompressed 16 bit data"는 4,8,16의 컬러 심도(color depth)를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이다. "Fill region with constant"는 특정 영역을 지정된 색상으로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이고, "Clear OSD"는 OSD 영역을 한번에 지우는데 이용되는 서브 프레임이다. 이후의 "7∼255"의 값은 앞으로의 쓰임을 위하여 사용이 보류(reserved)된 프레임이다.
따라서, 화면분할(PIP/POP/PBP(Picture In Picture/Picture Out Picture/ Picture By Picture))을 위한 스트림의 좌표와 해상도 정보를 EIA-799에서 정의한 프레임 안에 넣기 위해서는 도 3의 표에서와 같이 기존의 타입코드를 확장하여야 한다. 즉, 사용이 보류된 값들을 이용하여 "Set Stream Position"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을 정의하고 타입코드 7을 할당하여 화면분할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였다.
도 5는 스트림의 좌표와 해상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포지션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좌표와 해상도 관련 필드는 16비트로 할당하였으며, x 위치, y 위치, 폭(width), 심도(height)만 전달하면 되기 때문에 데이터 길이(data length)는 타입코드(type code)와 데이터 길이(data length)를 제외한 8바이트(2byte×4=8byte)로 항상 고정된다.
확장된 EIA-799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지털티브이(2)의 화면분 할 기능 지원 여부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표에서와 같이 디지털티브이 정보 블록(DTV info block)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미셀러니어스 피처(miscellaneous features) 필드에 하나의 비트 값을 할당하여 화면 분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기기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A/V 소스기기(1)가 화면분할 기능을 지원하는 온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A/V 소스기기(1)의 유니트 아이덴티피케이션 디스크립터(unit identification descriptor)의 구성 요소인 "EIA-755 plug info"의 보류된 영역 중 일부인 "00 0F16"에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하였다. 상기 필드의 값이 1이면 해당 기기는 A/V 소스기기이고 화면분할 기능 이용시 사용될 온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EIA-775 plug info"와 "DTV info"에 각기 화면분할 지원 여부에 대해서 명시해 놓음으로써 A/V 소스기기이면서 컨수머인 기기에서도 역할에 따라 화면분할 지원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티브이(2)가 화면분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디코더를 가지고 있고, A/V 소스기기(1)가 화면분할 기능 이용시 사용될 온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화면분할 기능의 사용 여부는 사용자가 결정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도 8에서와 같이 "ALLOCATE_ATTACH" 커맨드를 확장하여 기존의 res 필드를 SSP_EN (Set Setream Position Enable) 필드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A/V 소스기기(1)의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해당 기기를 선택한 경우에만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SSP_EN 필드를 1로 만들어서 A/V 소스기기(1)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A/V 소스기기(1)는 전송받은 필드의 값을 근거로 디지털티브이(2)가 화면분할한 스트림의 출력을 원하는 것을 인식한 후, 도 5의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을 전송하여 A/V 소스기기(1)측에서 화면분할된 좌표와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A/V 소스기기(1)는 상기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일반 화면을 위한 온스크린 팔레트와 데이터 프레임을 디지털티브이(2)측으로 전송한다.
한편, 화면분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확장된 스펙(EIA-799 Spec.)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리모콘(3)의 특정 키(예: hot key)를 누르거나 디지털티브이의 온스크린 메뉴 화면을 이용하면, 해당 디지털티브이(2)의 온스크린을 통해 디지털티브이에게 연결된 A/V 소스기기(1)와 같은 A/V 소스기기들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S1,S2)
이때, 상기 디지털티브이(2)의 화면에는 각 A/V 소스기기들의 화면분할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가진 A/V 소스기기(1)를 선택하면 디지털티브이(2)는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화면과 스트림을 보기 원하는지에 대한 의사를 확인한다.(S3)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치 않 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디지털티브이(2)는 상기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SSP_EN 필드 값을 0으로 설정하여 A/V 소스기기(1)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A/V 소스기기(1)에서는 상기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 일반 화면을 위한 온스크린의 팔레트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체 화면으로 스트림을 감상하게 되며, 해당 온스크린 정보는 스트림 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된 형태를 디스플레이된다.(S4-S6)
하지만,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디지털티브이(2)는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SSP_EN 필드의 값을 1로 설정하여 A/V 소스기기(1)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A/V 소스기기(1)는 디지털티브이(2)에 먼저,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을 전송한다.(S7,S8)
이때, 상기 디지털티브이(2)는 수신한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의 타입코드(type code)를 검사하여 화면분할을 위한 설정이 필요함을 인식한 후 프레임 내부의 "SSP_X_loc", "SSP_Y_loc", "SSP_Width", "SSP_Height" 값을 이용하여 A/V 소스기기(1)의 스트림을 도 4의 (a),(b)에서와 같이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9)
따라서, 사용자는 A/V 소스기기에 있는 여러 개의 스트림 중 하나를 선택할 때, 프리뷰하면서 스트림 목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A/V 소스기기(1)의 스트림과 온스크린신호가 바뀌어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좌표와 해상도가 변하게 되는 경우에는 디지털티브이(2)에 "Set SSP Position"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여 반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에서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화면과 메뉴화면을 각기 다른 영역에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A/V 소스기기에 있는 여러 개의 스트림 중 하나를 선택할 때 프리뷰하면서 스트림 목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에 의해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설정되면 디지털티브이에 연결된 A/V 소스기기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화면 분할 기능을 이용하여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지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치 않는 것으로 판명되면, 온스크린 정보를 스트림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사용자가 화면분할 기능을 이용한 메뉴화면 보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명되면, A/V 소스기기의 스트림과 메뉴 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디지털티브이가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SSP_EN 필드 값을 0으로 설정하여 A/V 소스기기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A/V 소스기기가 일반 화면을 위한 온스크린의 팔레트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디지털티브이에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디지털티브이가 스트림을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온스크린 정보는 스트림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상기 디지털티브이는 "ALLOCATE_ATTACH" 커맨드의 SSP_EN 필드 값을 1로 설정하여 A/V 소스기기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A/V 소스기기가 디지털티브이에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디지털티브이가 수신한 "Set Stream Position" 프레임의 타입코드를 검사하여 화면분할을 위한 설정이 필요함을 인식한 후 프레임 내부의 "SSP_X_loc", "SSP_Y_loc", "SSP_Width", "SSP_Height" 값을 이용하여 A/V 소스기기의 스트림과 메뉴 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티브이는 미셀러니어스 피처 필드에 할당된 하나의 비트 값을 이용하여,자신의 화면분할 기능 지원 여부를 A/V소스기기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A/V 소스기기는 "EIA-755 plug info"의 보류된 영역 중 일부인 "00 0F16"에 화면분할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화면분할 기능을 지원하는 온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디지털티브이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40118390A 2004-12-31 2004-12-31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5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390A KR100652573B1 (ko) 2004-12-31 2004-12-31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390A KR100652573B1 (ko) 2004-12-31 2004-12-31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432A KR20060078432A (ko) 2006-07-05
KR100652573B1 true KR100652573B1 (ko) 2006-12-01

Family

ID=3717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390A KR100652573B1 (ko) 2004-12-31 2004-12-31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16B1 (ko) * 2005-04-0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392A (ja) 1999-03-01 2000-09-14 Hitachi Denshi Ltd 監視記録装置における画像および情報の表示方法
KR20020025639A (ko) * 2000-09-29 2002-04-04 니시무로 타이죠 영상 처리 장치
KR20020078256A (ko) * 2001-04-06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KR20030094598A (ko) * 2002-06-07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392A (ja) 1999-03-01 2000-09-14 Hitachi Denshi Ltd 監視記録装置における画像および情報の表示方法
KR20020025639A (ko) * 2000-09-29 2002-04-04 니시무로 타이죠 영상 처리 장치
KR20020078256A (ko) * 2001-04-06 200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다중화면 처리 장치
KR20030094598A (ko) * 2002-06-07 2003-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 프로그램 안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432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7813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891882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US6504996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via a network to a device that can display a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RU2479147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JP5428186B2 (ja) 電子機器
EP1858260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input apparatus
TWI545960B (zh) Sending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39985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57192B2 (en) Video sender and video receiver
WO2008013131A1 (fr) Dispositif av
CN101523900A (zh) 用于提供适合于由外部设备提供的菜单的菜单屏幕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成像设备
KR100652573B1 (ko) 온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티브이 링크 시스템의 메뉴화면디스플레이 방법
KR100619702B1 (ko) 디티브이 링크의 고해상도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90617B1 (ko) DTVLink기반의 OSD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690616B1 (ko) 영상 기기의 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77235B1 (ko) DTVLink 기반의 캡션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JP2014030252A (ja) 映像送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