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065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065A
KR20020018065A KR1020010052099A KR20010052099A KR20020018065A KR 20020018065 A KR20020018065 A KR 20020018065A KR 1020010052099 A KR1020010052099 A KR 1020010052099A KR 20010052099 A KR20010052099 A KR 20010052099A KR 20020018065 A KR20020018065 A KR 2002001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button
cycle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158B1 (ko
Inventor
소노다타카히사
우에다마사히코
야마타니케이코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다께오
Publication of KR2002001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02Operator to the machine
    • D05D2205/08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 D05D2205/085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combined with a display arrangement, e.g. touch sensitive control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재봉틀에 있어서, 현재의 봉제상황의 파악과, 봉제조건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샤쓰 등의 봉제물에 있어 여러개의 봉제개소에 보턴을 꿰매는 것으로 표시장치(2)를 구비하는 보턴을 다는 재봉틀(1)에 있어서 여러종류 봉제물의 화상정보와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위치정보 등을 기억하는 ROM(5), RAM(6)과, 표시장치(2)가 상기 화상정보를 기초로 봉제물의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봉제개소를 다른 봉제개소에 대해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CPU(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틀{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상황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봉제대상물의 여러 개소에 대해 순차패턴재봉을 실시하는 재봉틀로서 예를들면 보턴을 다는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작업자는 보턴을 다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예를들면 봉제대상물이 샤쓰일 때 샤쓰 안자락이나 커프스 등의 여러 특정개소에 대해 보턴을 순차로 소정 봉제패턴에 의해 꿰매어 간다.
그러나 작업자는 봉제중 또는 봉제준비중의 보턴이 샤쓰의 어떤 특정개소에대해 꿰매는 보턴인지 또는 꿰매는 여러개소에 대해 어떤 순서로 꿰매어지는 지를 용이하게 알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다음 봉제를 위한 준비가 어려워 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작업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대상물 전체에 대해 현재의 봉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봉제조건의 설정을 간단한 것으로 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보턴을 다는 재봉틀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봉틀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사이클재봉 표준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사이클No. 신규작성화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문자입력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봉제물 선택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패턴No. 일람화면을 도시하고, 도 5b는 패턴No. 입력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사이클No. 일람화면을 도시하고, 도 6b는 사이클No. 입력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봉제데이타화면과, 이 화면에서 P01선택갈래화면과 P10수치입력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이클카피 원화면과 사이클 카피할 곳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사이클재봉 봉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턴을 다는 재봉틀 2: 표시장치
3: 조작부 4: CPU
5: ROM 6: RAM
7: 구동제어회로 8: 재봉틀모터
9: 보턴홀더 구동장치 10: 보턴홀더
40: 표시장치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대상물에 있어 여러개의 특정개소에 대해 순차패턴재봉을 실시하는 재봉틀(단추를 다는 재봉틀(1))에 있어서,
표시장치(2)와,
상기 대상물의 화상정보와 상기 특정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RAM(6), ROM(5))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화상정보를 기초로 대상물의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개의 특정개소 중 최소한 한 곳을 다른 개소에 대해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CPU(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표시장치가 봉제대상물의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특정개소 중 최소한 한 곳을 다른 개소에대해 식별가능하게 표시하기 때문에 봉제대상물 전체에 대해 봉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현재 봉제중 하나의 봉제개소를 다른 봉제개소와는 다른 상태로 표시하면 봉제대상물 전체 중 어떤 부분을 봉제하고 있는 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봉제가 종료한 하나 이상의 봉제개소에 대해 아직 봉제하지 않은 개소와는 다른 상태로 표시하면 어떤 부분까지 봉제가 종료되었는 지 알 수 있다. 또한 다음 봉제개소를 식별표시하면 다음에 어떤 개소를 봉제할 지를 알 수 있어 사전 준비도 쉬워지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청구항 1의 표시장치는 화상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보를 시각적·감각적으로 알 수 있어 봉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이라함은 예를들어 스커트, 샤쓰 , 바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또는 소매, 옷의 길등 의류의 부분이라도 좋다.
또 「대상물에 있어 여러개의 특정개소에 대해 순차패턴재봉을 실시함」이라 함은 예를들면 봉제대상물의 여러개소에 대해 보턴이나 주머니, 벨트루프, 레이스 등의 장식을 다는 경우나, 자수모양을 실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식별가능하게」라 함은 「최소한 한 곳」만 점멸이나 점등시키거나 「최소한 한 곳」과 「다른 개소」의 색을 바꾸거나 표시의 농담을 바꾸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조작부 (3))을 구비하고,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설정수단에 있어 설정된 봉제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설정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봉제조건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것으로 봉제개소의 설정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상술과 같이 설정시도 봉제대상물의 화상과 함께 하나 이상의 봉제개소를 다른 것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면 여러개의 봉제개소 중 조건설정안의 개소를 식별표시하거나 미리 조건을 설정완료한 개소를 식별표시하는 등에 의해 오차없이 간단히 설정작업이 가능하다.
여기서 설정수단은 표시장치상에 배치되어도 좋고 별개라도 좋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대상물에 있어 임의의 위치를 상기 특정개소로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물론 대상물에 있어 임의의 위치를 특정개소로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여러개의 특정개소에 대해 봉제순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설정수단에 의해 봉제순서가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옷길부터 먼저 꿰매고 다음 소매를 꿰매는 부분마다 순번을 정하거나 2종류 이상의 보턴을 꿰맬 경우 같은 종류의 보턴에 대해 연속하여 꿰매는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디자인이나 봉제의 준비상황이라는 각종 사정에 맞추어 상황에 맞는 봉제순서로 설정할 수 있어 한 층 유용하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여러개의 특정개소가 순차 설정되고,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는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순서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는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순서로 설정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샤쓰 등에 있어 종일열로 보턴을 연속하여 다는 봉제의 경우 일단측에서 타단을 향해 순서대로 봉제개소를 설정해 가면 그 설정순으로 봉제순서가 설정되어 봉제순서만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정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여러종류의 봉제대상물의 화상정보와, 각각의 봉제대상물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기억수단은 여러종류의 봉제대상물의 화상정보와,
각각의 봉제대상물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봉제대상물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여러 봉제대상물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종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유용하다.
여기서 「여러개의 봉제대상물」이라 함은 예를들어 스커트 뿐만 아니라 스커트에 덧붙여 샤쓰, 바지에 대한 화상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해 여러종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해 여러종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봉제개소의 위치정보를 여러개의 변종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한 디자인의 차이 등에 의한 보턴위치의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억수단에 기억된 봉제순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봉제순서를 표시하기 때문에 봉제준비가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봉제순서」는 기억수단에 미리 기입되어 있어도 좋고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하여 기억수단에 기입된 것이라도 좋다.
다음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보턴을 다는 재봉틀의 개략구성을 도시하였다. 도 1의 보턴을 다는 재봉틀(1)은 CPU(4), 이 CPU(4)에 접속된 표시장치(2), ROM(5), RAM(6), 기동용 페달(11), 구동제어회로(7)등으로 구성되고, 표시장치(2)를 통해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봉제하는 사이클 재봉틀이다.
ROM(Read Only Memory)(5)은 재봉틀(1)에 있어 봉제동작이나 후술한 설정처리 및 봉제시 표시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타, 또한 설정처리시에 선택가능한 봉제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다. 봉제데이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AM(Read Access Memory)(6)은 봉제중, 설정처리, 봉제시 표시처리 또는 수동입력 봉제데이타 기억에 있어서, 데이타 등을 격납하는 작업영역이 되는 것이다. 이들 ROM(5) 및 RAM(6)에 의해 본 발명의 기억수단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제어수단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4)은 ROM(5)안에 기입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 제어데이타 및 봉제데이타를 기초로 입력되는 각종신호나 표시장치(2)를 통해 입력되는 지시신호에 따라 RAM(6)을 기억공간으로서 이용하면서 연산을 행하여 각종 처리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CPU(4)는 구동제어회로(7)를 통해 재봉틀모터(8), 보턴홀더 구동장치(9)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처리나 봉제시 표시처리를 제어한다. 또한 재봉틀(1)에서는 구동제어회로(7)에 대해 재봉틀 모터(8) 및 보턴홀더 구동장치(9) 이외의 도시하지 않은 각종 액튜에이터(스텝핑모터, 전자밸브, 솔레노이드 등)도 접속되고, CPU(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재봉틀 모터(8)는 봉제하기 위한 바늘봉이나 루퍼, 밑북을 구동하는 것이다. 또 보턴홀더 구동장치(9)는 보턴홀더(10)를 구동하는 것이다. 보턴홀더(10)는 천에 달기 위한 보턴을 고정하는 장치로 보턴홀더 구동장치(9)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기동용 페달(11)은 작업자가 봉제개시시에 조작하는 것으로 이것이 ON이 되면 CPU(4)에 대해 기동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ROM(5)에는 상기와 같이 봉제데이타가 기입된다. 봉제데이타는 샤쓰나 스커트라는 봉제대상물(다음 봉제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의 종류마다 보턴을 다는 위치(봉제위치)나 봉제순서 및 보턴의 종류 등에 대해 여러개의 패턴데이타를 구비하고, 이들 패턴데이타를 화상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부에서는 주로 이미지형상으로 봉제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RAM(6)에서는 미리 기억되고 있는 패턴데이타 이외에 작업자가 임의로 작성한 데이타를 새로운 패턴데이타로서 기억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표시수단에 대해 도 2 ~ 도 9를 기초로 설명한다.
표시장치(40)는 표시수단으로서의 액정표시패널과, 이 액정표시패널위에 서로 겹쳐지는 설정수단으로서의 투명터치 패털로 구성되고, 투명터치 패널밑의 액정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스위치도형에 대응하는 검출부분에 닿는 것으로 이 스위치도형의 선택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분은 스위치도형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변경된다. 또 스위치도형은 입체적으로 나오도록 표시된다.
이 보턴을 다는 재봉틀(1)에 있어서는 하나의 봉제물에 꿰매어지는 여러개의 보턴을 연속하여 봉제하는 사이클 재봉용 데이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보턴에 관한 데이타를 패턴데이타라 하고, 여러개의 패턴데이타로 구성되어 하나의 재봉물의 모든 보턴에 관한 데이타를 사이클 데이타라고 한다. 등록가능한 데이타수로서는 사이클 데이타는 No. 1 ~ No. 20의 20개, 패턴데이타로서는 No. 1~ No. 99의 99개이다. 1패턴데이타에는 꿰매는 보턴의 종류(4개의 구멍, 2개 구멍 등), 솔기(솔기, 크로스재봉 등), 바늘 수 등이 포함된다.
다음에서는 사이클 데이타를 작성하여 필요에 따라 그것을 수정하고 봉제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을 설명한다.
보턴을 다는 재봉틀의 전원이 ON이 되면 표시장치(40)에서는 자동적으로 도 2에 도시하는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이 표시된다. 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은 사이클 데이타를 구축, 편집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화면으로 주화면(51), 조작화면(52)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 주화면(51)에는 현재 선택되고 있는 (전회 사용한) 사이클 데이타에 대한 봉제물의 이미지그림과 데이타내용이 표시된다. 도 2는 사이클 No. 8이 선택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한다. 또한 처음 사이클재봉을 행할 때에는 디폴트로서 사이클 No. 20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도 2에 표시하고 있는 사이클 No. 8은 다음의 설명에 의해 작성되는 사이클 데이타의 완성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번 단계에서는 No.8은 작성되지 않고 사이클재봉 표준화면에는 다른 사이클번호의 데이타가 표시되어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처음 주화면(51)위에 배치된 신규작성 보턴(55a)을 조작하면 사이클 재봉 표준화면(50)위에 도 3(a)에 도시하는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이 팝업표시된다.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은 주화면(61)과 사이클번호 선택부(62)로 구성된다. 주화면(61)은 엔터보턴(61a), 캔슬보턴(61b), 번호표시부(61c), 패턴신규 작성보턴(61d)을 구비한다. 사이클번호 선택부(62)는 10개의 숫자키로 이루어지는 텐키(62a), 업키(62b), 다운키(62c)를 구비한다.
번호표시부(61c)에는 사이클 데이타로서 등록되지 않은 즉 비어있는 사이클번호중 가장 작은번호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사이클 No. 8이 표시되고 중앙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또 사이클번호 선택부(62)의 텐키(62), 업키(62b), 다운키(62c)를 적절히 조작하는 것으로 사이클 No. 8이외의 숫자가 번호표시부(61c)에 표시된다. 이 경우 No. 8과 마찬가지로 아직 등록되지 않은 사이클번호가 표시되어 있으면 번호만 표시된다.
한편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에 있어서 등록완료된 사이클번호를 선택한 경우, 봉제물(예를들면 샤쓰)의 외형선에 덧붙여 보턴의 위치나 봉제순서 등의 데이타내용도 간략히 표시된다.
그리고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에서 사이클번호로서 「8」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엔터보턴(61a)에 닿으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가고 주화면(51)의 사이클번호 선택보턴(51a)에 「8」이 표시된다. 주화면(51)의 중앙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클 No. 신규작성 화면(60)에서 등록완료된 번호를 선택하고, 엔터보턴(61a)이 조작되면 「초기치로 되돌아 가도 좋습니까?」라고 경고메세지가 표시된다. 이대로 엔터보턴(61a)을 조작하면 데이타의 내용을 소거하여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 가고, 데이타는 소거되어 사이클번호만이 표시되게 된다.
또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에서 캔슬보턴(61b)이 조작되면 이 화면(60)에서 조작의 전부를 캔슬하여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각 도면에서 도시하는「X」는 모두 캔슬보턴으로 이를 조작하면 그 화면에서의 조작을 캔슬하고 앞의 화면으로 되돌리도록 되어있다.
또한 사이클 No. 신규작성화면(60)에 있어 패턴신규작성보턴(61d)을 조작하면 패턴 No. 신규작성화면(도시하지 않음)으로 이행하고 전부 새로운 패턴데이타를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후술한 패턴 No. 일람화면(70)에서 선택가능한 패턴데이타는 이 패턴 No. 신규작성화면에서 작성·등록한 것과, 미리 디폴트로서 갖는 패턴데이타, 여기서는 패턴 No. 95~99에 한정된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주화면(51)에 사이클 No. 8이 표시되고, 중앙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에 봉제물 선택보턴(52a)을 조작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봉제물 선택화면(65)이 표시된다.
봉제물 선택화면(65)은 봉제물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윗절반의 주화면(66)과, 밑절반의 봉제물 일람부(67)로 구성된다.
봉제물 일람부(67)에는 4개의 패턴선택보턴(67c~67f)과, 이들을 4개씩 스크롤하여 표시를 변경하는 업스크롤 보턴(67a), 다운스크롤 보턴(67b)이 배치된다. 업스크롤 보턴(67a)은 패턴번호가 커지도록 다운스크롤 보턴(67b)은 작아지도록 스크롤한다.
봉제물 선택보턴(67c~67f)에는 각각 봉제물의 이미지화상이 표시되어 터치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샤쓰를 표시하는 봉제물 선택보턴(67f)을 터치하여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같이 봉제물 선택보턴(67f)을 선택하면 주화면(66)에는 샤쓰T1의 외형선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엔터보턴(66a)을 조작하면 이 내용으로 확정하여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 간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주화면(51)의 중앙에는 샤쓰T1의 외형선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봉제물 선택화면(65)에서의 조작에 의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 사이클No. 8에 대해 샤쓰T1의 외형선만이 표시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보턴을 다는 위치나 보턴의 종류 등이 설정되어 간다.
조작화면(52)의 중앙에는 패턴선택 보턴(53)과 화살키(54a~54d)가 배치된다. 한편 주화면(51)에는 보턴 형상의 커서(C)이 늘 표시되고, 커서(C)은 화살키(54a~54d)에 의해 주화면(51)안의 소정범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 커서(C)의 가동범위는 예를들면 주화면(51)에 표시되는 봉제물에 대해 일회전 큰 직사각형의 범위가 된다.
그리고 화살키(54a~54d)를 이용하여 커서(C)을 보턴을 달고자 하는 위치인 위치 P1으로 이동시켜 패턴선택 보턴(53)을 조작하면 도 5(a)의 패턴 No.일람화면(70)이 표시된다.
패턴No. 일람화면(70)은 개개의 보턴을 다는 것에 대해 패턴데이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윗절반의 주화면(71)과, 밑절반의 패턴 일람부(72)로 구성된다. 처음 주화면(71)에는 예를들면 가장 가까운 번호의 패턴데이타가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패턴번호의 밑에는 첫번째 보턴에 대해 설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1」이 표시된다.
패턴 일람부(72)에는 4개의 패턴선택보턴(72c~72f)과, 이들을 4개씩 스크롤하여 표시를 변경하는 업스크롤 보턴(72a), 다운스크롤 보턴(72b)이 배치된다. 업스크롤 보턴(72a)은 패턴번호가 커지도록 다운스크롤 보턴(72b)은 작아지도록 스크롤한다.
패턴선택보턴(72c~72f)에는 각각 왼쪽 위에 패턴번호가 도시됨과 동시에 패턴데이타의 보턴을 다는 조건이 표시되어 터치하는 것으로 선택가능하다. 여기서는 패턴No. 88을 표시하는 패턴선택보턴(72f)을 터치하여 선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패턴No. 88을 선택하면 주화면(71)에는 패턴번호로서 「88」과 그 내용(4개 구멍의 솔기, 구멍 사이의 거리, 바늘 수 등)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엔터보턴(71a)을 조작하면 이 내용으로 확정하여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 간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위치 P1에 있어서는 도 2와 같이 둥근 것 안에 「1」로 표시되게 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1」의 보턴에 대해서는 패턴 No. 88의 내용에서 보턴을 다는 재봉틀이 행해지는 것이 설정된다.
또한 패턴일람부(72)에는 패턴번호 입력보턴(73)이 배치되고, 이를 조작하면 도 5(b)와 같이 텐키(75a)와 텐키(75a)로 입력한 숫자가 표시되는 표시부(75c)가 배치된 패턴번호 입력화면(75)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패턴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엔터보턴(75b)을 조작하면 패턴번호 일람화면(70)의 주화면(71)에 그 패턴번호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 패턴일람부(72)의 오른쪽 밑에는 패턴등록 삭제보턴(74)이 배치되고, 이를 조작하면 선택중의 패턴번호의 데이타를 삭제(완전히 소거)하도록 되어있다. 단 상술한 패턴No. No. 95~99는 삭제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이후 봉제되는 보턴의 수만큼 패턴No. 일람화면(70)과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과의 왕복을 반복하여 각각의 보턴에 대해 패턴데이타를 설정해 간다. 이와같이 설정해 가면 도 2와 같이 봉제위치에 「1~13」의 숫자가 샤쓰T1의 그림안에 도시된다. 즉 커서(C)을 맞춘 위치가 봉제개소가 되며 이것들이 본발명의 특정개소이다. 또한 「1~13」의 숫자는 설정한 순서이지만 실제의 봉제도 이 순서로 행해지도록 되어있다.
미리 설정한 보턴에 대해 제거한 경우에는 커서(C)을 지우고자 하는 보턴의 숫자상에 맞추어, 조작화면(52)의 오른쪽 위에 배치되는 데이타 개별삭제 보턴(52b)을 누르는 것으로 그 보턴의 표시와 데이타가 삭제된다. 그 경우 그 보턴이후의 봉제순서가 하나씩 위로올라가고 그에 따라 도면안에서도 봉제순서의 표시가 변경된다.
또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오른쪽 밑에는 제 1사이클 등록삭제보턴(52c)이 배치되고, 사이클 데이타의 모든 보턴에 관한 설정을 정리하여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주화면(51)의 중앙에는 패턴데이타 설정전의 외형선만큼의 봉제물(여기서는 샤쓰 T1)이 표시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1봉제물에 보턴을 다는 봉제를 행하기 위한 하나의 사이클 데이타가 작성된다. 여기서 이 사이클 데이타에 이름을 붙이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주화면(51)의 위에는 문자입력보턴(55c)이 배치된다. 이를 조작하면 도 3(b)에 도시하는 문자입력화면(80)이 팝업표시된다. 문자입력화면(80)의 상부에는 커서(80a)과 함께 문자입력부(80b)가 배치된다. 또한 이 밑에는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알파벳보턴(81), 숫자로 이루어지는 숫자보턴(82), 「#」등의 기호로 이루어지는 기호보턴(83)이 배치된다. 커서(80a)이 지시하는 위치가 문자입력가능한 위치로 알파벳보턴(81) 등을 터치하면서 최대 14문자까지 입력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들 보턴밑에 배치된 화살표 왼쪽 보턴(84), 화살표 오른쪽 보턴(85)을 조작하여 커서(80a)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클리어보턴(86)이 배치되고, 이에 따라 커서(80a)이 가리키고 있는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문자입력화면(80)의 왼쪽위에는 사이클번호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8」이 표시된다.
엔터보턴(87)을 조작하면 입력한 문자열을 보존하고 사이클재봉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 가 도 2와 같이 봉제물의 상부에 이름 N이 표시된다.
이와같이 봉제하고자 하는 사이클 데이타의 작성·등록이 종료하면 도 2와 같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 밑에 배치되는 준비완료 스위치(56)를 조작하는 것으로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으로 이행한다.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에서는 사이클 데이타를 오퍼레이터가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미리 여러개의 사이클 데이타가 작성 및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이클 데이타를 불러내어 그 데이타를 기초로 봉제해도 좋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 있어서 사이클번호 선택보턴(51a)을 조작하면, 사이클No. 일람화면(90)(도 6a)이 팝업표시된다.
사이클No. 일람화면(90)은 상기 패턴No. 일람화면(70)과 대략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즉 윗절반의 주화면(91)과 아래절반의 사이클 일람부(92)로 구성된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서 사이클No. 일람화면(90)으로 이행했을 때 주화면(91)에는 현재 선택되고 있는 즉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 표시되고 있는 사이클 데이타의 번호와 그 데이타내용의 개략이 표시된다.
사이클 일람부(92)에는 4개의 사이클선택보턴(92c~92f)과, 이들을 4개씩 정리하여 스크롤하여 표시를 변경하는 업스크롤 보턴(92a), 다운스크롤 보턴(92b)이 배치된다. 사이클선택보턴(92c~92f)에는 각각 왼쪽 위에 사이클번호, 그 밑에 사용하는 보턴의 수, 봉제물의 형상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사이클No. 8이 선택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이클 선택보턴(92d)이 눌러져 움푹들어간 상태로 표시된다. 사이클No. 8이외 번호의 사이클 선택보턴을 누르면 그 보턴이 들어간 상태로 표시되고, 주화면(91)에는 그 내용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엔터보턴(91a)을 조작하면 사이클No. 일람화면(90)에서 선택한 사이클번호와 그 데이타내용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 표시된다.
또한 이 화면(90)의 오른쪽 밑에는 제 2사이클 등록삭제 보턴(94)이 배치된다. 이를 조작하면 화면(90)에 있어서 선택한 사이클번호가 데이타마다 삭제(완전히 소거)된다. 단 상술한 사이클 No. 20은 삭제할 수 없다.
그러나 사이클 일람부(92)에는 사이클번호 입력보턴(93)이 배치된다. 이를 조작하면 도 6(b)와 같이 텐키(95a)와, 텐키(95a)에 의해 입력된 숫자가 표시되는 표시부(95c)가 배치된 사이클 No. 입력화면(95)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이클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엔터보턴(95b)을 조작하면 사이클No. 일람화면(90)의 주화면(91)에 그 사이클번호의 내용이 표시된다.
다음 상술한 것과 같이 작성 또는 선택한 사이클 데이타중 패턴데이타의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주화면(51)내의 커서(C)을 적절히 이동하여 패턴데이타를 변경하고자 하는 보턴위에 위치를 맞춘다. 그 상태에서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왼쪽 밑에 배치되는 봉제데이타 화면표시보턴(52d)을 조작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봉제데이타 화면(100)이 팝업표시된다.
봉제데이타화면(100)은 주화면(101)과, 패턴번호의 데이타를 구성하는 파라메터의 일람을 도시하는 파라메터 일람부(102)로 이루어진다.
주화면(101)에는 현재 선택되고 있는 보턴의 봉제순서가 표시되며 여기서는 「1」로 표시되고 있다. 그 위에 이 보턴에 대해 설정되고 있는 패턴번호로서 「88」이 표시된다. 주화면(101)의 중앙에는 패턴No. 88의 개요가 표시되고, 오른쪽 위에는 캔슬보턴(101a)이 표시된다.
파라메터 일람부(102)에는 주화면(101)에 표시되는 패턴데이타를 구성하는 파라메터항목을 터치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는 파라메터보턴(103a~103f)이 배치된다. 또한 파라메터 보턴(103a~103f)을 6개씩 정리하여 스크롤하여 표시를 변경하는 업스크롤 보턴(104a), 다운스크롤 보턴(104b)이 배치된다. 파라메터 보턴(103a~103f)의 각각에는 데이타내용을 도시하는 이미지화면과 함께 파라메터번호 (「P01」등)가 표시된다.
또 파라메터 보턴(103a~103f)에 표시된 파라메터번호중 숫자로 변경가능한 파라메터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핑크로 표시하고, 몇개의 선택갈래 중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변경가능한 파라메터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녹색으로 표시하도록 구별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파라메터 변경방법의 예를 든다.
예를들면 녹색으로 표시되고 보턴구멍에 대한 실의 통과방법에 관한 파라메터번호「P01」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파라메터 보턴(103a)에 터치한다. 이에 따라 P01선택갈래 화면(105)이 표시된다.
P01선택갈래 화면(105)에는 상기 주화면(101)과 완전 동일한 주화면(105a)과, 그 밑에 여러개의 선택갈래 보턴으로 이루어지는 선택갈래 보턴군(105b)이 배치된다. 이중 예를들면 선택갈래 보턴(105c)을 눌러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움푹 들어간 상태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엔터보턴(106)을 조작하면 파라메터 「P01」에 관하여 선택갈래 보턴(105c)의 내용에 데이타변경을 행하고 봉제데이타 화면(100)으로 되돌아간다.
또 예를들면 핑크로 표시되고, 소정의 원점위치에 대한 보턴을 다는 위치에 관한 파라메터번호「P01」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파라메터보턴(103f)에 터치한다. 이에 따라 P10수치입력화면(107)이 표시된다.
P10수치입력화면(107)에는 상기 주화면(101)와 완전 동일한 주화면(107a)과, 그 밑에 텐키(108a), +보턴(108b), -보턴(108c)이 배치된다. +보턴(108b)은 소정단위씩 숫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턴(108c)은 소정단위씩 감소시키는 것이다. 텐키(108a)의 왼쪽 근처에는 현재 파라메터값을 표시하는 값표시부(108d)가 배치된다
또한 값표시부(108d)의 상하에 원점에 대해 보턴을 다는 위치를 소정의 정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기 위한 +선택보턴(109a)과, 이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기 위한 -선택보턴(109b)이 배치되며, 여기서는 +선택보턴(109a)이 눌러져 선택된다. 이 상태에서 텐키(108a), +보턴(108b), -보턴(108c)을 적절히 조작하여 데이타표시부(108d)에 원하는 숫자를 표시하도록 하고, 엔터보턴(109c)을 조작하면 꿰매는 위치가 원점에 대해 소정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 변경되어 봉제데이타화면(100)으로 되돌아간다.
봉제데이타화면(100)의 밑에는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과 마찬가지로 준비완료 스위치(56)가 배치된다. 봉제데이타화면(100)에서 변경한 내용 그대로 좋으면 준비완료 스위치(56)를 조작하고,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으로 이행한다. 또 봉제데이타화면(100)에 있어서 캔슬보턴(101a)을 조작하면 데이타변경을 캔슬하여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봉제데이타화면(100)에서의 파라메터의 변경은 여기서 선택되는 패턴No. 88의 파라메터를 근본적으로 변경하는 조작이다. 따라서 변경후에 전혀 다른 사이클 데이타에 대해 패턴No. 88을 불러낸 경우 「P01」 및 「P10」에 대해 변경후의 내용이 된다.
꿰매는 보턴의 패턴데이타를 미리 등록되어있는 패턴데이타로 치환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조작하면 된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 있어서 커서(C)을 치환하고자 하는 보턴위에 위치를 맞춘 후 패턴선택 보턴(53)을 조작하고, 상기 패턴No. 일람화면(70)으로 이행하여 이 화면안에 있어 미리 등록되어있는 다른 패턴번호로 변경하면 된다.
또 하나의 사이클 데이타를 그대로 남기고 또한 그 사이클 데이타의 일부를 변경한 사이클 데이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피기능을 이용한다.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의 상부에는 카피보턴(55b)이 배치되어 이를 조작하면 도 8에 도시하는 사이클카피 원화면(110)이 팝업표시된다.
사이클카피 원화면(110)은 주화면(111)과 사이클 일람부(112)로 이루어진다. 주화면(111)에는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서 선택된 사이클 데이타의 사이클번호와 데이타의 개략이 표시된다. 또 사이클 일람부(112)에는사이클선택보턴(112a~112d)과, 이들을 4개씩 정리하여 스크롤 표시하는 업스크롤 보턴(113), 다운스크롤 보턴(114)과, 카피할 곳을 지정하기 위한 카피할 곳으로 이동하는 보턴(115)이 배치된다.
카피를 행할 경우 업스크롤 보턴(113), 다운스크롤 보턴(114)을 조작하면서 사이클선택보턴(112a~112d)에 원하는 사이클번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사이클선택 보턴(112d)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터치하여 선택하면 움푹들어가게 표시되고, 주화면(111)에 그 사이클 데이타의 개략이 표시된다.
여기서 카피할 곳으로 이동하는 보턴(115)을 조작하면 사이클 카피할 곳 화면(120)이 표시된다. 사이클카피할 곳 선단면(120)은 카피전 사이클번호와 그 데이타가 표시되는 주화면(121)과, 텐키(122a), 업키(122b), 다운키(122c), 번호표시부(123)등을 구비하는 카피할 곳 번호지정부(124)로 이루어진다. 번호표시부(123)에는 미등록의 사이클번호중 가장 작은 번호가 우선 표시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텐키(122a), 업키(122b), 다운키(122c)를 조작하면서 카피할 곳에 원하는 사이클번호를 번호표시부(123)에 표시하도록 하고(여기서는 「9」), 엔터보턴(125)을 조작하면 사이클번호 9에 사이클번호 8의 데이타내용을 사이클카피 원화면(110)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카피할 곳 번호지정부(124)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사이클번호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 사이클번호에 원래부터 설정되고 있었던 데이타에 덮어쓰기가 된다.
상술과 같이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 또는 봉제데이타화면(100)에 있어서준비완료 스위치(56)를 조작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하는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으로 이행한다. 이 화면은 봉제시의 상황을 표시하는 것이다.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의 중앙에는 현재의 봉제상황을 표시하는 주화면(131)이 배치된다. 주화면(131)에는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서 표시하고 있었던 사이클 데이타의 사이클번호「8」과 봉제물의 이미지그림으로서 샤쓰 T1이 보턴의 봉제위치·봉제순서와 함께 표시된다.
보턴의 색은 봉제상태에 따라 다르다. 즉 지금부터 봉제하는 보턴 및 봉제중의 보턴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봉제가 종료한 보턴은 회색으로 표시되며, 그 외의 보턴은 옥색으로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있어서 봉제전, 「1」번 보턴은 청색으로 표시되고, 다른 보턴은 옥색으로 표시된다. 이 상태는 봉제중에도 유지되며 봉제가 종료하면 「1」번의 보턴은 청색에서 회색으로 바뀌고 「2」번의 보턴이 옥색에서 청색으로 바뀐다. 이와같이 보턴마다 봉제상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주화면(131)에는 봉제순서를 위로 올리는 위로 올리는 보턴(132)과, 역으로 밑으로 내리는 밑으로 내리는 보턴(133)이 배치된다. 이들을 조작하는 것으로 사이클 데이타의 프로그램순서와는 관계없이 봉제하고자 하는 보턴을 봉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보턴에 대해 실패한 경우에 유용하다.
또 주화면(131)의 왼쪽 밑에는 봉제한 봉제물의 매수를 세는 카운터(131a)가 배치된다.
주화면(131)의 위에는 보턴로더 보턴(134) 및 실통과 보턴(136)이 배치된다.표시장치(40)가 배치되는 보턴을 다는 재봉틀에는 전동으로 보턴을 바늘 밑까지 반송하는 보턴로더장치가 배치되고, 이 보턴로더장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자동적으로 보턴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지만 보턴로더 보턴(134)을 조작하면 매뉴얼로 보턴을 반송한다.
또 실통과 보턴(136)을 조작하면 오퍼레이터가 재봉틀바늘에 실이 쉽게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재봉틀 바늘이 상사점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보턴로더 보턴(134) 및 실통과 보턴(136)은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에도 배치되고, 오퍼레이터의 상황에 맞는 타이밍으로 이들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주화면(131)의 밑에는 봉제중 보턴의 다음 보턴에 대한 패턴데이타가 표시되는 다음 봉제표시부가 배치된다. 여기서는 다음의 봉제가 2번째의 보턴인 것을 나타내는「2」라는 표시와 함께 이 보턴에 대한 패턴번호나 그 데이타 내용이 도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이상과 같은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을 보면서 봉제물의 셋트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다음의 보턴의 준비를 하거나 또는 상기 보턴로더장치로 보턴의 셋트가 가능하도록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표시장치(40)를 구비한 보턴을 다는 재봉틀이면 사이클 데이타의 신규작성, 변경 등의 설정 또는 봉제중에 봉제물의 이미지화상과 함께 여러개의 보턴이 화상표시되어 강조해야할 보턴에 대해서는 다른 보턴과는 다른 상태로 식별표시하는 것으로 설정내용이나 현재의 상황을 시각적·감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봉제중 사이클재봉 봉제화면(130)에 있어서, 봉제전후 및 봉제중의 보턴 각각에 대해 다른 색으로 표시되므로 봉제의 진행상황이나 다음에 어떠한 준비를 하면 좋을 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결과로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 봉제물과 보턴의 표시뿐만 아니라 그 외의 표시에 대해서도 화상표시되므로 시각적·감각적으로 알기 쉬워 설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들면 봉제물 선택화면(65), 패턴No. 일람화면(70) 및 사이클No. 일람화면(90)에서는 봉제물 선택보턴(67c~67f), 패턴선택 보턴(72c~72f) 및 사이클 선택보턴(92c~92f)에 등록되어있는 데이타를 화상표시하도록 하고 터치하는 것으로 선택·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으로부터 간단히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보턴에 대해 데이타의 설정순서가 그대로 봉제순서가 되기 때문에 봉제순서만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 설정작업이 간단하게 되며 또한 그 순서가 표시되어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사이클재봉 표준화면(50)안에서 커서(C)을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임의의 위치를 보턴을 다는 위치로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봉제조건이라 함은 도 2의 사이클재봉 표준화면에서 설정되는 특정개소와 봉제순번, 도 4의 봉제물 선택화면에서 설정되는 봉제물(대상물)의 외형형상(화면) 및 도 7의 봉제데이타화면에서 설정되는 보턴형상, 보턴구멍의 수, 구멍 사이의 거리 등의 보턴을 다는 재봉틀에 관한 각종 파라메터이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표시장치가 봉제대상물의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봉제개소 중 최소한 하나이상의 봉제개소를 다른 개소에 대해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 봉제대상물 전체에 대해 봉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현재 봉제중 하나의 봉제개소를 다른 봉제개소와는 다른 상태로 표시하면 봉제대상물 전체 중 어떤 부분을 봉제하고 있는 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봉제가 종료한 하나 이상의 봉제개소에 대해 아직 봉제하지 않은 개소와는 다른 상태로 표시하면 봉제대상물 전체의 어떤 부분까지 봉제가 종료되었는 지 알 수 있다. 또한 다음의 봉제개소를 식별표시하면 다음에 어떤 개소를 봉제할 지를 알 수 있어 사전 준비도 쉬워지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청구항 1의 표시장치는 화상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보를 시각적·감각적으로 알 수 있어 봉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설정수단에 있어서 설정된 봉제조건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것으로 봉제개소의 설정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설정시도 봉제대상물의 화상과 함께 하나 이상의 봉제개소를 다른 것과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면 여러개의 봉제개소 중 현재조건을 설정중의 개소를 식별표시하거나 미리 조건을 설정완료한 개소를 식별표시하는 등에 의해 오차없이 간단히 설정작업이 가능하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물론, 대상물에 있어 임의의 위치를 특정개소로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에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설정수단에 의해 봉제순서가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옷의 길부터 먼저 꿰매고 다음에 소매를 꿰매는 것과 같이 부분마다 순번을 정하거나 2종류 이상의 보턴을 달 경우, 같은 종류의 보턴에 대해 연속하여 다는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디자인이나 봉제의 준비상황이라는 각종 사정에 맞추어 상황에 맞는 봉제순서로 설정할 수 있어 한 층 유용하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는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순서로 설정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샤쓰 등에 있어 종일열로 보턴을 연속하여 다는 봉제의 경우 일단측에서 타단을 향해 순서대로 봉제개소를 설정해 가면 그 설정순으로 봉제순서가 설정되어 봉제순서만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정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기억수단은 여러종류의 봉제대상물의 화상정보와, 각각의 봉제대상물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봉제대상물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여러 봉제대상물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종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 유용하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해 여러종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봉제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봉제개소의 위치정보를 여러개의 변종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한 디자인의 차이 등에 의한 보턴위치의 변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하에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여러개의 봉제개소의 봉제순서를 표시하기 때문에 봉제준비가 용이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8)

  1. 대상물에 있어 여러개의 특정개소에 대해 순차패턴재봉을 실시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표시장치와,
    상기 대상물의 화상정보와 상기 특정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화상정보를 기초로 대상물의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개의 특정개소 중 최소한 한 곳을 다른 개소에 대해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봉제조건을 설정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설정수단에 있어 설정된 봉제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2항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대상물에 있어 임의의 위치를 상기 특정개소로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여러개의 특정개소에 대해 봉제순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설정수단에 의해 상기 여러개의 특정개소가 순차 설정되고,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는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순서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여러종류의 봉제대상물의 화상정보와, 각각의 봉제대상물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하나의 봉제대상물에 대해 여러종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여러개의 특정개소의 봉제순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표시장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억수단에 기억된 봉제순서를 표시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10052099A 2000-08-29 2001-08-28 재봉틀 KR10081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59403 2000-08-29
JP2000259403 2000-08-29
JP2001245574A JP4829433B2 (ja) 2000-08-29 2001-08-13 ミシン
JPJP-P-2001-00245574 200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065A true KR20020018065A (ko) 2002-03-07
KR100814158B1 KR100814158B1 (ko) 2008-03-14

Family

ID=2659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099A KR100814158B1 (ko) 2000-08-29 2001-08-28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29433B2 (ko)
KR (1) KR100814158B1 (ko)
CN (1) CN100338284C (ko)
DE (1) DE1014224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0B1 (ko) * 2007-05-17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 바늘대의 재봉 순서 지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072B2 (ja) 2003-10-31 2011-08-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4516782B2 (ja) * 2004-04-30 2010-08-04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CN101501263B (zh) 2006-08-17 2012-07-04 兄弟工业株式会社 可编程电子缝纫机和可编程电子缝纫机的控制装置
KR101435864B1 (ko) * 2007-09-17 2014-09-01 주식회사 썬스타 벨트고리 재봉기의 밑박음 패턴디자인 선택 장치 및 방법
JP2009160084A (ja) * 2007-12-28 2009-07-23 Juki Corp ミシンの作業分析装置
CN101705585B (zh) * 2009-10-29 2013-02-13 王志革 缝纫机自动控制系统
CN102535027A (zh) * 2012-02-29 2012-07-04 苏州井村服饰有限公司 一种钉纽扣压脚及其使用方法
JP2017046830A (ja) * 2015-08-31 2017-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2017064205A (ja) * 2015-09-30 2017-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CN109497645B (zh) * 2018-09-20 2021-07-06 深圳市赢领智尚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扣子钉制方法及扣子钉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513052A (nl) * 1975-11-07 1977-05-10 Stamicarbon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driedimensionale voorwerpen in hoofdzaak bestaande uit door kunst- stof gebonden minerale bestanddelen.
US4704974A (en) * 1986-08-25 1987-11-10 Usm Corp. Automatic sewing machine system
SE459103B (sv) * 1987-10-05 1989-06-05 Husqvarna Ab Symaskin med grafiska instruktioner
JP2696341B2 (ja) * 1988-06-27 1998-01-14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自動刺繍機における刺繍柄模様表示装置
JP3109597B2 (ja) * 1990-07-19 2000-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DE4135472C1 (ko) * 1991-10-28 1993-05-06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JP3285275B2 (ja) * 1994-05-09 2002-05-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データ作成装置
JPH1046465A (ja) * 1996-05-27 1998-02-17 Brother Ind Ltd 刺繍データ処理装置
US5943973A (en) * 1997-06-28 1999-08-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grammable electronic sewing machine
DE19916660C1 (de) * 1999-04-14 2000-06-21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2002248285A (ja) * 2001-02-27 2002-09-03 Juki Corp 縫製装置
JP2003053074A (ja) * 2001-08-13 2003-02-25 Brother Ind Ltd ミシンのプログラム作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0B1 (ko) * 2007-05-17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 바늘대의 재봉 순서 지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42241A1 (de) 2002-03-28
CN100338284C (zh) 2007-09-19
KR100814158B1 (ko) 2008-03-14
CN1399024A (zh) 2003-02-26
JP4829433B2 (ja) 2011-12-07
DE10142241B4 (de) 2005-07-28
JP2002143584A (ja)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158B1 (ko) 재봉틀
KR950000478B1 (ko) 니팅 설계시스템과 그 시스템용의 니팅 데이타의 작성방법
KR101171394B1 (ko) 재봉틀
US9031686B2 (en) Embroidery data processor,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mbroidery data processing program and sewing machine
US6158364A (en) Embroidery stitch data producing device with selective designation confirming functions
JPH0686881A (ja) 刺繍模様作成装置
JPH04261697A (ja) ミシン
JP2013034697A (ja) 多針ミシン
JPH10113483A (ja) 刺繍データ編集方法並びに刺繍データ編集装置
JP3615777B2 (ja) 刺繍用一針データ処理装置
JP2013070754A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刺繍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ミシン
KR20080082936A (ko) 재봉틀
US5794552A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JP2003326011A (ja) ミシン
JP462380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3629849B2 (ja) 刺繍ミシン
JP2003311055A (ja) ミシン
JP3009754B2 (ja) 色替えスキップ可能な刺しゅうミシンおよび色替えスキップ方法
JP2754748B2 (ja) 編機のための配色データに基づく制御装置
JP2005102994A (ja) 刺繍機のデータ編集装置
JP2950071B2 (ja) 刺繍ミシン
JP3016887B2 (ja) 刺しゅうミシンのシャドー縫目の形成方法
CN114075722A (zh) 缝制装置
JP2000218073A (ja) ボタン孔かがり縫いミシン
JP3907067B2 (ja) パッチワーク縫い表示機能を備えた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