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936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936A
KR20080082936A KR1020080021678A KR20080021678A KR20080082936A KR 20080082936 A KR20080082936 A KR 20080082936A KR 1020080021678 A KR1020080021678 A KR 1020080021678A KR 20080021678 A KR20080021678 A KR 20080021678A KR 20080082936 A KR20080082936 A KR 2008008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drop
drop point
sew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키 가스가
마사미 오카무라
고우이치 곤도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06Control knobs or display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 데이터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조속히 선택할 수 있는 재봉틀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봉틀(M)이 구비하는 조작 패널(20)은,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P)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2)와, 그 표시부(22)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21)을 구비하고 있고, 터치 패널(21)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P) 중,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몇 개의 바늘 낙하점(P)을 선출하며,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P)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P)을 좁혀 선택함으로써,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여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틀 본체 또는 재봉틀 본체에 부속되는 조작 부재에 있어서,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봉제 데이터를 터치패널식의 표시부에 도형 표시하고, 그 터치패널에 의해 터치 지시된 바늘 낙하점(바늘 관통 위치)에 대한 데이터 변경을 행하여, 바늘 낙하점 위치의 변경 등, 봉제 데이터의 편집을 실행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6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데이터 변경을 행하는 대상인 바늘 낙하점(P) 근처에 몇 개의 바늘 낙하점(P)이 밀집되어 있는 모양의 바늘 낙하점 변경의 경우, 예컨대 본원 도 13에 도시하는 네잎 모양의 바늘땀 형상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모양인 경우에, 그 표시 화면을 터치 지시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바늘 낙하점(P)을 선택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터치 지시되어 선택된 바늘 낙하점(P)이, 그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어떤 형상 요소, 예컨대 도 13에 도시하는 네잎 모양의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4개의 각 잎의 요소에 속하는지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의도하지 않는 바늘 낙하점(P)의 데이터를 변경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바늘 낙하점(P)의 선택 위치를 바늘 낙하점(P)의 나열순으로 키 조작에 의해서 시프트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선택된 바늘 낙하점(P)이 원하는 바늘 낙하점(P)이 아니었을 때에,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다음 형상 요소까지 순차 시프트시키는 것이 되고, 상기한 도 13과 같은 모양에서는 하나 어긋난 선상의 바늘 낙하점을 선택한 경우에는, 선상의 바늘 낙하점을 따라 멀리 돌아가야 하여 그 바늘 낙하점(P)을 지시하는 조작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 데이터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조속히 선택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에 관한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 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을 포함하고, 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11)과 재봉 바늘(8)을 XY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재봉 바늘을 상기 피봉제물에 바늘 낙하시켜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틀로서,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22)과,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221)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21)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는 선출 수단(100, 바늘 낙하점 선출 프로그램)과,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설정된 범위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여 좁히는 축소 수단(100, 바늘 낙하점 축소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은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할 수 있으며,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혀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데이 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축소 수단은,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고,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힘으로써,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데이터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축소 수단은,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고, 봉제 데이터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힘으로써,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축소 수단에 의해서,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 는 바늘 낙하점을 좁힐 때에,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 중 어느 하나를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며,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100,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작용을 나타내고, 재봉틀에 있어서,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더 좁힐 때에,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이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며,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이 식별 가능하게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은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할 수 있으며,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혀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복수의 바늘 낙하점이 표시되어 있는 표시 수단이, 작업자에 의해 터치 지시된 접촉 위치에 따라서, 몇 개의 바늘 낙하점을 선택해야 하는 바늘 낙하점의 후보로서 선출하고,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의 후보로부터 작업자가 바늘 낙하점을 좁히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조속히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여 지정함으로써, 그 바늘 낙하점에 관한 데이터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바늘 낙하점의 좌표를 변경하여 바늘땀 형상을 변형하는 등, 작업자가 원하는 봉제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힘으로써,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의한 바늘 낙하점의 축소에 맞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봉제 데이터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것에 의해,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한 바늘 낙하점의 축소에 맞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에 있어서,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선출된 몇 개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힐 때에,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을 다른 바늘 낙하점과는 다르게 되도록,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고,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다른 요소 부분과는 다르게 되도록,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과정에 있어서,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그 축소 대상의 바늘 낙하점이,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어떤 형상 요소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바늘 낙하점인지를 작업자는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틀림없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 사이클 재봉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사이클 재봉틀은, 봉제를 행하는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을 가지며, 그 유지 프레임이 재봉 바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유지 프레임에 유지되는 천에 미리 결정된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는 바늘땀 형상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틀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재봉 바늘(8)이 상하 운동을 행하는 방향을 Z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하나의 방향을 X축 방향(좌우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과 X축 방향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전후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은,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 봉제 데이터 작성 기능을 갖는다.
전자 사이클 재봉틀(M)(이하, 재봉틀(M))은, 도 1부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틀 테이블(T) 상면에 구비되는 재봉틀 본체(1)와, 재봉틀 테이블(T)의 하부에 구비되고, 재봉틀 본체(1)를 조작하기 위한 페달(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봉틀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コ형을 나타내는 재봉틀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재봉틀 프레임(2)은, 재봉틀 본체(1)의 상부를 이루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틀 아암부(2a)와, 재봉틀 본체(1)의 하부를 이루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틀 베드부(2b)와, 재봉틀 아암부(2a)와 재봉틀 베드부(2b)를 연결하는 세로 본체부(2c)를 갖고 있다.
이 재봉틀 본체(1)에는, 재봉틀 프레임(2) 내에 재봉틀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회전 운동 가능하게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상부 축 및 도시하지 않는 하부 축을 갖고 있다. 상부 축(도시 생략)은 재봉틀 아암부(2a)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부 축(도시 생략)은 재봉틀 베드부(2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축(도시 생략)은, 재봉틀 모터(5)(도 3 참조)에 접속되고, 이 재봉틀 모터(5)에 의해 회전 운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하부 축(도시 생략)은, 도시하지 않는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상부 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축이 회전 운동하면 상부 축의 동력이 동력 전달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하부 축에 전달되어, 하부 축이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축(도시 생략)의 전단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축의 회전 운동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바늘대(8a)가 접속되어 있고, 그 바늘대(8a)의 하단에는, 재봉 바늘(8)이 교환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재봉틀 아암(2a)에는 재봉 바늘(8)의 상하 운동에 의한 천의 부상(浮上)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대(8a)의 상하 운동과 연동하여 상하 운동하고, 재봉 바늘(8) 주위의 천을 압박하는 주지의 노루발(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축(도시 생략)의 전단에는, 셔틀(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축과 함께 하부 축이 회전 운동하면, 재봉 바늘(8)과 셔틀(도시 생략)과의 협동에 의해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한 재봉틀 모터(5), 상부 축(도시 생략), 바늘대(8a), 재봉 바늘(8), 하부 축(도시 생략), 셔틀(도시 생략) 등의 접속 구성이나 동작은 종래 공지의 것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틀 베드부(2b)상에는, 천판(1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천판(10)의 위쪽에 유지 프레임(11) 및 재봉 바늘(8)이 배치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11)은, 재봉틀 아암부(2a)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부착 부재(13)에 부착되어 있고, 그 부착 부재(13)에는 재봉틀 베드(2b) 내에 배치된 펄스 모터인 X축 모터(14) 및 Y축 모터(15)가 구동 기구부로서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유지 프레임(11)은,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고, X축 모터(14) 및 Y축 모터(15)의 구동에 따라, 유지한 천을 유지 프레임(11)과 함께 전후 좌우 방향(XY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유지한 천을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프레임(11)의 이동과, 재봉 바늘(8)이나 셔틀(도시 생략)의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천에 미리 결정된 봉제 데이터(특히, 후술하는 바늘 낙하점을 도시하는 좌표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는 바늘 낙하를 실시함으로써 바늘땀이 형성된다. 특히 유지 프레임(11)에서의 미리 결정된 봉제 범위인 그 유지 프레임(11)의 내측에 유지되는 천에, 원하는 바늘땀 형상의 바늘땀이 형성된다.
즉, 재봉틀(M)(재봉틀 본체(1))은, 그 프레임의 내측이 봉제 가능 영역인 유지 프레임(11)을 가지며, 그 유지 프레임(11) 내측에 유지되는 천에서의 봉제 가능 범위에, 바늘땀 형상에 따른 봉제 데이터에서의 바늘 낙하점을 도시하는 좌표 데이터(바늘 낙하점 데이터)에 기초하는 바늘 낙하를 실시하여, 원하는 바늘땀 형상의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프레임(11)은, 봉제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바늘 낙하점을 지정하거나 입력하는 경우나, 작성된 봉제 데이터에서의 바늘 낙하점을 지시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재봉 바늘(8)이 그 바늘 낙하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봉제시가 아니어도, 유지 프레임(11)은, 그 유지 프레임(11) 내측에 유지되는 천에 봉제하는 바늘땀 형상에 따라서,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 고, 봉제 데이터에서의 바늘 낙하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재봉 바늘(8)을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재봉틀(M)(재봉틀 본체(1))에 있어서, 유지 프레임(11)이 X축 모터(14)와 Y축 모터(15)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유지 프레임(11)은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즉 유지 프레임(11)의 이동에 의해서, 재봉 바늘(8)은 유지 프레임(1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페달(16)은, 재봉틀(M)을 구동하고, 바늘대(8a)(재봉 바늘(8))를 상하 운동시키거나, 유지 프레임(11)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페달로서 작동한다. 즉 페달(16)에는, 페달(16)이 밟히는 그 밟기 조작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예컨대 가변 저항 등으로 구성되는 센서(밟은 양 검출 수단)가 내장되어 있고, 그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페달(16)의 조작 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00)에 출력되며, 제어부(100)는 그 조작 위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재봉틀 모터(5) 등을 구동하고, 재봉틀(M)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재봉틀(M)(재봉틀 본체(1))은, 도 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재봉틀에 대한 각종 설정 조작이나, 각종 데이터 등의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 패널(20)과 재봉틀 본체(1)는 도시하지 않는 유선 또는 무선의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조작 패널(2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틀의 각종 설정이나 각종 데이터의 입력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조작키가 배치되는 터치패널(21)과, 각종 조작키 및 각종 봉제 데이터나 바늘땀 형상, 각종 설정 조건이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21)은, 표시부(22)의 표시 화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표시부(22)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표시부(22)는, 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로서, 각종 키나 버튼을 갖는 조작키군이나, 각종 봉제 데이터나 각종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패널(20)은, 액정 표시 패널과 그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면상에 설치된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조작키군 등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예컨대 전자유도식, 자기왜곡식, 감압식 등의 위치 판독 원리로, 터치 패널이 터치 지시된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부(22) 부분에 각종 데이터(예컨대 봉제 데이터, 봉제 데이터에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조작 패널(20)의 액정 표시 패널에서의 표시가 여러 가지로 전환되고, 각종 설정 조작이나 각종 입력 조작에 따른 여러 가지 조작키군이나 여러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패널(20)은 재봉틀의 입력부나 표시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터치 패널(2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힐 때에, 그 선출된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기 위한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 다음 후보 선택 버튼(211b)과, 후술하는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바 늘 낙하점이 선출될 때에,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는 검색 범위의 선두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의 요소를 설정하기 위한 선두값 설정 버튼(212a)과,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는 검색 범위의 종단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의 요소를 설정하기 위한 종단값 설정 버튼(212b)과, 상기 양 설정 버튼(212a, 212b) 등에 의해 설정된 검색 범위에 대한 검색 실행/불실행을 전환하기 위한 범위 검색 ON/OFF 버튼(213)과, 검색 범위에 따른 검색 모드를 바늘땀 형상의 요소에 기초하는 요소 모드와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기초하는 피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버튼(214)과, 각종 선택 조작이나 입력 조작에 관한 결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엔터 버튼(215)과, 각종 선택 조작이나 입력 조작에 관한 취소 처리를 행하기 위한 캔슬 버튼(216) 등의 조작키군에 대응하는 입력키부를 갖고 있다.
또한, 범위 검색 ON/OFF 버튼(213)은, 검색 실행 설정시에 「ON」 표시되고, 검색 불실행 설정시에 「OFF」 표시되어 있다. 또한 모드 전환 버튼(214)은, 요소 모드시에는 「CST」표시되고, 피치 모드시에는 「PCH」 표시되어 있다.
특히, 터치 패널(21)은, 후술하는 패턴 표시 영역(221)이 터치 지시된 임의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표시부(2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제 데이터에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이나,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턴 표시 영역(221)과, 선두값 설정 버튼(212a)에 의해 설정된, 검색 범위의 선두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의 요소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선두값 표시 영역(222a)과, 종단값 설정 버튼(212b)에 의해 설정된, 검색 범위의 종단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의 요소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종단값 표시 영역(222b) 등을 갖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의 표시부(22)의 패턴 표시 영역(221)에는, 22개의 바늘 낙하점이 연속되는 바늘땀 형상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이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15개의 바늘 낙하점이 연속해있는 곡선형으로서 대략 9자 형상을 나타내는 제1 요소와, 4개의 바늘 낙하점이 연속해있는 직선형의 제2 요소와, 3개의 바늘 낙하점이 연속해있는 직선형의 제3 요소, 3개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틀(M)(재봉틀 본체(1))은, 재봉틀 모터(5), X축 모터(14), Y축 모터(15), 조작 패널(20), 페달(16) 등에 접속되는 제어부(100)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00)는, 재봉틀 모터(5), X축 모터(14), Y축 모터(15), 조작 패널(20) 및 그 외의 도시하지 않는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 및 제어를 실행하는 CPU(101)와, 각종 처리 및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처리 및 제어에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ROM(102)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이 되는 RAM(103)과, 새로운 데이터의 기록/소거가 가능한 기억 수단인 EEPROM(104)과, CPU(101)와 각종 기기와의 접속을 도모하는 인터페이스(도시 생략)와, 각 모터용 펄스 모터 드라이버(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CPU(101)는, 페달(16)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나, 조작 패널(2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설정 신호나 각종 데이터 등에 따라서, ROM(102)에 저장되어 있는 전 자 사이클 재봉틀용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EEPROM(104)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봉제 데이터 등을 독출하고, 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서 재봉틀 각 부의 동작 처리를 집중 제어하며, 그 처리 결과를 RAM(103) 내의 작업 영역에 저장하고, 조작 패널(20)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각종 데이터나, RAM(103)에 저장한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서 EEPROM(104)에 기억시킨다.
즉, CPU(101)는 재봉틀(M)(재봉틀 본체(1))을 구성하는 각 부의 구동이나 처리에 관한 제어를 실행한다.
ROM(102)에는, 재봉틀(M)(재봉틀 본체(1))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 각종 봉제에 관한 데이터나 표시 화면 정보 등이 저장되고, 기억되어 있다.
예컨대 기억 수단으로서의 ROM(102)에는, 천에 각종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 바늘대(8a)(재봉 바늘(8))나 유지 프레임(11)을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의 바늘땀 형상에 관한 여러 봉제 데이터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 봉제 데이터로서는, 바늘땀 형상을 도시하는 복수의 바늘 낙하점의 좌표(바늘 낙하점 데이터)가, 유지 프레임(11)에 대한 재봉 바늘(8)의 위치에 관련된 바늘 낙하 위치의 좌표 데이터(바늘 낙하점(P))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그 좌표 데이터의 위치에 재봉 바늘(8)을 배치하도록, 유지 프레임(11)을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때의 이동량에 관한 이동량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ROM(102)에는, 예컨대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이 터치 지시되고, 터치 패널(21)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기 위한 바늘 낙하점 선출 프로그램이나,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기 위한 바늘 낙하점 축소 프로그램이나, 선출된 바늘 낙하점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바늘땀 형상에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RAM(103)에는, 여러 가지의 작업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중이나, 봉제 동작중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EEPROM(104)에는, ROM(102)에 기억되어 있는 것 이외의 봉제 데이터나 표시 화면 정보, 오퍼레이터가 조작 패널(20)을 통해 설정한 봉제 데이터 등이 복수 저장되고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이 봉제 데이터로서는, 바늘땀 형상을 도시하는 복수의 바늘 낙하점의 좌표(바늘 낙하점 데이터)가, 유지 프레임(11)에 대한 재봉 바늘(8)의 위치에 관련된 바늘 낙하 위치의 좌표 데이터(바늘 낙하점(P))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그 좌표 데이터의 위치에 재봉 바늘(8)을 배치하도록, 유지 프레임(11)을 재봉 바늘(8)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때의 이동량에 관한 이동량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ROM(102)이나 EEPROM(104)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봉제 데이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형상 요소에 관한 요소 정보로 구성되어 있고, 각 요소 정보는 도형 정보와 바늘 낙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형 정보는 요소 종별, 바늘땀의 피치, 형상점의 수, 바늘 낙하점의 수 등의 요소 기본 정보와, 형상점 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늘 낙하 정보는, 요소 내의 바늘 낙하에 대해서, 다음의 바늘 낙하까지의 이동량(X 방향 이동량과 Y 방향 이동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X축 모터(14)에 병설된 X축 원점 센서(도시 생략)나 Y축 모터(15)에 병설된 Y축 원점 센서(도시 생략)로부터의 검출 신호나, 페달(16)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나, 조작 패널(2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설정 데이터나, ROM(102)이나 EEPROM(104)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ROM(102)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사이클 재봉틀용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고, 각 모터나 조작 패널(20) 또는 그 외 액추에이터의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봉제의 실행시에 있어서는, CPU(101)가 미리 결정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ROM(102) 또는 EEPROM(104)에 기억된 봉제 데이터를 판독하고, 페달(16)의 조작에 따르는 재봉틀 모터(5)의 구동 시작과 함께 봉제 데이터가 도시하는 바늘 낙하 위치가 되도록 X축 모터(14) 및 Y축 모터(15)를 구동하며, 유지 프레임(11)을 재봉 바늘(8)(바늘대(8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위치 결정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101)는 재봉틀 모터(5)의 회전에 동기시키면서, 봉제 데이터에 설정된 좌표 데이터나 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바늘 낙하 위치에 순서대로 위치 결정된 유지 프레임(11)이 유지하는 천에 재봉 바늘(8)을 바늘 낙하시켜, 미리 결정된 바늘땀 형상을 봉제하는 제어를 봉제 완료 까지 계속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봉제 데이터의 설정 입력시나 편집 작업시, 또는 봉제 동작시 등에 따라서, CPU(101)가 ROM(102)이나 EEPROM(104)으로부터 표시 화면 정보를 독출하고, 조작 패널(20)에 미리 결정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조작 패널(20)이 조작된 것에 수반하는, 복수의 형상점이나 바늘 낙하점의 좌표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이들 바늘 낙하점의 좌표 데이터(바늘 낙하점데이터)가 조합되는 미리 결정된 바늘땀 형상에 관련되는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 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바늘 낙하점의 좌표 데이터(바늘 낙하점 데이터)는, 표시부(22)에 있어서의 패턴 표시 영역(221)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 지시하여 바늘 낙하점의 위치를 직접 입력하거나, 터치 패널(21)의 조작키군을 조작하여 좌표를 나타내는 수치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ROM(102)의 바늘 낙하점 선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이 터치 지시되고, 터치 패널(21)에 의해 검출된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접촉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는 선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는, 예컨대 작업자가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을 터치 지시한 접촉점을 중심으로, 그 패턴 표시 영 역(221)에서의 반경 5 mm의 범위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서 선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ROM(102)의 바늘 낙하점 축소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설정된 범위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축소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축소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는, 예컨대 작업자가 조작 패널(20)의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이나 다음 후보 선택 버튼(211b)을 누른 조작 지시에 의해서,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에 의해 선출된 몇 개의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부터,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여 좁혀 지정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특히, 축소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20)의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이나 다음 후보 선택 버튼(211b)을 눌러 조작하는 축소에 맞추도록, 그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의한 바늘 낙하점의 축소나, 그 봉제 데이터에서의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한 바늘 낙하점의 축소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조속히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혀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ROM(102)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선출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22)(패턴 표시 영역(221))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바늘땀 형상에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부(22)(패턴 표시 영 역(221))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100)는, 예컨대 선출된 몇 개의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 중 어느 하나의 바늘 낙하점을, 다른 바늘 낙하점과 식별 가능해지도록 다른 표시 형태(예컨대 다른 색, 다른 점 형상 등)로 표시부(22)에 표시시킬 때에, 바늘땀 형상에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그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 식별 가능해지도록 다른 표시 형태(예컨대 다른 색, 다른 실 종류 등)로 표시부(22)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의 재봉틀(M)(재봉틀 본체(1))에 있어서, 봉제 데이터에서의 바늘 낙하점에 관한 데이터의 변경을 행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선택하여 지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 등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투입된 재봉틀(M)의 조작 패널(20)에서의 미리 결정된 바늘 낙하점 지정키(도시 생략)가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01; Yes), 제어부(100)는, 각종 초기 설정에 관한 데이터를 RAM(103)에 저장하고, 도 4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을 조작 패널(20)에 표시한다(단계 S102).
또한, 초기 설정으로서는, 「범위 검색; OFF」, 「검색 범위 선두값; 1」, 「검색 범위 종단값; 1」, 「커서 지시 바늘 낙하; 현재 바늘 낙하」, 「검색 중심 좌표; 현재 바늘 낙하 좌표」, 「검색 요소 번호; 현재 바늘 낙하점을 포함하는 요소의 번호」, 「검색 모드; 피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에 있어서, 검색 범위 ON/OFF 버 튼(213)은 「OFF」 표시, 모드 전환 버튼(214)은 「PCH」 표시로 되어 있고, 선두값 표시 영역(222a)에는 「S0001」, 종단값 표시 영역(222b)에는 「EO00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에는, 22개의 바늘 낙하점(P)이 연속되는 바늘땀 형상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흰 원으로 표시되어 있는 현재 바늘 낙하점에는 대략 십자형의 커서(C)가 중첩하여 표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모드 전환 버튼(214)이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03; Yes), 제어부(100)는 모드 전환 처리를 행하고(단계 S104), 단계 S103으로 복귀된다.
또한, 모드 전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피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던 때에는 요소 모드로 전환하고, 요소 모드로 설정되어 있던 때는 피치 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피치 모드란 제어부(100)가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선출할 때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에 해당하는 바늘 낙하점 중에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설정 모드이고, 요소 모드란 제어부(100)가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선출할 때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요소 범위에 해당하는 바늘 낙하점 중에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설정 모드이다.
또한, 제어부(100)가 모드 전환 버튼(214)이 눌린 것을 검지하지 않고(단계 S103; No),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이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05: Yes), 제어부(100)는 검색 범위에 대한 검색의 실행(ON)과, 검색의 불실 행(OFF)을 전환하는 처리를 행하고(단계 S106), 단계 S103으로 복귀한다.
또한, 검색 범위 ON/OFF 전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검색 실행(ON)이 설정되어 있던 때는 검색 불실행(OFF)으로 전환하고, 검색 불실행(OFF)이 설정되어 있던 때는 검색 실행(ON)으로 전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검색의 실행(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때에 설정되어 있는 피치 모드 또는 요소 모드에 해당하는 바늘 낙하점의 선출을 행하고, 검색의 불실행(OFF)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설정 모드에 관계없이, 모든 바늘 낙하점 중에서 바늘 낙하점 선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이 눌린 것을 검지하지 않고(단계 S105; No), 선두값 설정 버튼(212a) 또는 종단값 설정 버튼(212b)이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07; Yes), 제어부(100)는 검색 범위에 관한 변경 처리를 행하며(단계 S108), 단계 S103으로 복귀한다.
또한, 선두값 설정 버튼(212a)의 「+」가 눌리면 검색 범위 선두 번호(선두값 표시 영역(222a))를 플러스 1하는 변경을 행하고, 「-」가 눌리면 검색 범위 선두 번호를 마이너스 1하는 변경을 행한다.
또한, 종단값 설정 버튼(212b)의 「+」가 눌리면 검색 범위 종단 번호(종단값 표시 영역(222b))를 플러스 1하는 변경을 행하고, 「-」가 눌리면 검색 범위 종단 번호를 마이너스 1하는 변경을 행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0)는,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9).
제어부(100)가,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은 눌려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단계 S109; No), 단계 S113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조작 패널(20)의 패턴 표시 영역(221)이 눌렸다고 판단하면(단계 S109; Yes), 제어부(100)는 패턴 표시 영역(221)이 눌린 접촉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고(단계 S110), 그 검출한 접촉 위치 좌표로부터 미리 결정된 범위 내(예컨대 접촉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5 mm의 범위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P)을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서 선출하며(단계 S111)(도 9 참조), 후보 커서(C)를 선출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 중의 하나에 이동시켜 표시한다(단계 S112)(도 10 참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검출한 접촉 위치 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5 mm의 범위 내에 있는 3개의 바늘 낙하점(P)(제2 요소의 2점과 제3 요소의 1점)을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서 선출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요소의 바늘 낙하점(P)에 커서(C)를 중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선출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 중의 하나인 제3 요소의 바늘 낙하점(P)에 커서(C)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그 바늘 낙하점(P)을 다른 바늘 낙하점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바늘땀 형상에서의 그 바늘 낙하점(P)이 포함되는 제3 요소 부분이, 그 바늘땀 형상에서 식별 가능해지도록 굵은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에 있어서,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은 「ON」표시, 모드 전환 버튼(214)은 「CST」표시로 되어 있고, 선두값 표시 영역(222a)에는 「S0002」, 종단값 표시 영역(222b)에는 「E0003」이 표시되어 있다. 즉, 이 조작 패널(20)은, 제2 요소와 제3 요소 중에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선출하는 요소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이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13; Yes), 단계 S114로 진행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도 7에 도시하는 흐름도와 같은, 이전 후보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100)는 커서(C)가 대응되어 있는 후보 바늘 낙하점이 바늘땀 형상의 선두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제어부(100)가, 커서(C)가 대응되어 있는 후보 바늘 낙하점이 바늘땀 형상의 선두단이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01; No), 제어부(100)는 커서 위치를 1 바늘 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S202).
그리고 제어부(100)가, 요소를 갖췄다고 판단하면(단계 S203; Yes), 요소 번호를 마이너스 1하고(단계 S204), 단계 S207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요소를 갖추지 않는다고 판단하면(단계 S203; No), 단계 S207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커서(C)가 대응되어 있는 후보 바늘 낙하점이 바늘땀 형상의 선두단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01; Yes), 커서 위치를 최종단으로 이동하고(단계 S205), 요소 번호를 최종 요소 번호로 설정하며(단계 S206), 단계 S207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207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후보 바늘 낙하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7).
제어부(100)가,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후보 바늘 낙하점이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07; No), 단계 S201로 복귀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후보 바늘 낙하점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07; Yes), 제어부(100)는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에 의한 설정이 「OFF」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제어부(100)가,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에 의한 설정이 「OFF」라고 판단하면(단계 S208; Yes), 단계 S212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검색 범위 ON/OFF 버튼(213)에 의한 설정이 「ON」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08; No), 제어부(100)는 피치 모드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9).
제어부(100)가, 피치 모드 설정이라고 판단하고(단계 S209; Yes),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설정되어 있는 피치의 조건(피치 설정 범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단계 S210; Yes), 단계 S212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설정되어 있는 피치의 조건(피치 설정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단계 S210; No), 단계 S201로 복귀한다.
또한, 제어부(100)가, 피치 모드 설정이 아니고, 요소 모드 설정이라고 판단하며(단계 S209: No),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설정되어 있는 요소의 조건 (요소 설정 범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단계 S211; Yes), 단계 S212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설정되어 있는 요소의 조건(요소 설정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단계 S211; No), 단계 S201로 복귀한다.
그리고, 단계 S212에 있어서, 제어부(100)가, 커서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에 대하여 커서를 갱신하여(단계 S212), 도 6에 도시하는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3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커서(C)가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에 있어서의, 1 바늘 이전 후보로 이동 갱신되면, 도 11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과 같이, 제2 요소의 바늘 낙하점(P)에 커서(C)가 중첩되어 표시되고, 바늘땀 형상에서의 그 바늘 낙하점(P)이 포함되는 제2 요소 부분을, 그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 식별 가능해지도록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100)가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이 눌린 것을 검지하지 않고(단계 S113; No), 다음 후보 선택 버튼(211b)이 눌린 것을 제어부(100)가 검지하면(단계 S115; Yes), 단계 S116로 진행한다.
단계 S116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와 같은, 다음 후보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다음 후보 검색 처리(단계 S301∼S312)는, 전술한 이전 후보 검색 처리(단계 S201∼S212)와, 바늘 낙하점을 검색하는 순서가 다를 뿐이기 때문에(이전 후보 검색 처리가 오름차순인 것으로 하면, 다음 후보 검색 처리는 내림차순), 설 명은 생략한다.
단계 S117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엔터 버튼(215)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l17).
제어부(100)가, 엔터 버튼(215)이 눌렸다고 판단하면(단계 S117, Yes), 제어부(100)는 커서(C)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에 현재 바늘 낙하점을 갱신하여(단계 S118),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고(단계 S120), 바늘 낙하점 선택 지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10의 조작 패널(20)에 표시된 커서(C)가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에서의 2 바늘 이전 후보에 이동 갱신된 위치의 바늘 낙하점이,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이었던 것에 의해, 엔터 버튼(215)이 눌린 것으로 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과 같이, 그 제2 요소의 바늘 낙하점(P)에 커서(C)가 중첩하여 표시되고, 그 바늘 낙하점(P)은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흰 원으로 표시된다. 또한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그 바늘 낙하점(P)이 포함되는 제2 요소 부분은 굵은 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조작 패널(20)에 있어서, 흰 원으로 표시되는 바늘 낙하점(P)이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등록되어, 그 바늘 낙하점에 관한 데이터 변경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가 엔터 버튼(215)이 눌려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단계 S117; No), 제어부(100)는 캔슬 버튼(216)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9; Yes).
제어부(100)가, 캔슬 버튼(216)이 눌렸다고 판단하면(단계 S119; Yes), 현재 바늘 낙하점의 갱신은 행하지 않고 이전 화면으로 복귀되고(단계 S120), 바늘 낙하점 선택 지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00)가, 캔슬 버튼(216)이 눌려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단계 S119; No), 단계 S103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M)에 의하면, 조작 패널(20)에 표시되어 있는 봉제 데이터에 관한 바늘 낙하점 부분을 터치 지시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터치 지시한 접촉 위치에 따라 몇 개의 바늘 낙하점을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서 선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의 이전 후보 선택 버튼(211a)이나 다음 후보 선택 버튼(211b)을 누름으로써, 커서(C)의 표시 위치를 전환하고, 선출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를 순서대로 이송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며, 작업자가 엔터 버튼(215)을 누름으로써 그 좁혀진 바늘 낙하점을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갱신 등록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과정에 있어서, 커서(C)가 지시하는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를 굵은 선으로 표시함으로써,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갱신 등록하는 대상인 바늘 낙하점이,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어떤 형상 요소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바늘 낙하점인지를 작업자는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틀림없이 선택하여 지정하고,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갱신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봉틀(M)의 조작 패널(20)에 있어서, 봉제 데이터에 대응하는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작업자가 조작 패널(20)을 터치 지시한 접촉 위치에 따라서 몇 개의 바늘 낙하점을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서 선출하고, 그 선출된 지정 바늘 낙하점 후보로부터 작업자가 바늘 낙하점을 좁히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갱신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조속히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현재 바늘 낙하점으로서 갱신 등록하는 것에 의해, 그 바늘 낙하점에 관한 데이터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늘 낙하점의 좌표를 변경하여 바늘땀 형상을 변형하는 등, 작업자가 원하는 봉제 데이터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형상 요소에 기초하는 요소 모드에서의 바늘 낙하점 선택 지정 처리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봉제 데이터의 바늘땀 피치에 기초하는 피치 모드에서의 바늘 낙하점 선택 지정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그 외 구체적인 세부 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유지 프레임의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조작 패널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봉제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의 선택 지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바늘 낙하점의 선택 지정 처리에 관한 이전 후보 검색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바늘 낙하점의 선택 지정 처리에 관한 다음 후보 검색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조작 패널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조작 패널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조작 패널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조작 패널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는 평면 도.
도 13은 네잎 모양의 바늘땀 형상을 나타내는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바늘 낙하점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재봉틀 본체(재봉틀) 5: 재봉틀 모터
8: 재봉 바늘 11: 유지 프레임
16: 페달 20: 조작 패널
21: 터치 패널(검출 수단) 211a: 이전 후보 선택 버튼
211b: 다음 후보 선택 버튼 212a: 선두값 설정 버튼
212b: 종단값 설정 버튼 213: 범위 검색 ON/OFF 버튼
214: 모드 전환 버튼 215: 엔터 버튼
216: 캔슬 버튼 22: 표시부(표시 수단)
221: 패턴 표시 영역 222a: 선두값 표시 영역
222b: 종단값 표시 영역
100: 제어부(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 선출 수단, 축소 수단, 표시 제어 수단)
M: 전자 사이클 재봉틀(재봉틀) C: 커서
P: 바늘 낙하점

Claims (4)

  1. 복수의 바늘 낙하점으로 이루어지는 바늘땀 형상에 관한 봉제 데이터를 작성하는 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봉제 데이터 작성 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과 재봉 바늘을 XY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재봉 바늘을 상기 파봉제물에 바늘 낙하시켜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틀로서,
    상기 봉제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늘 낙하점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복수의 바늘 낙하점 중,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는 선출 수단과,
    상기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설정된 범위에 있는 바늘 낙하점을 선출하여 좁히는 축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축소 수단은, 상기 바늘땀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형상 요소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데이터는, 상기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축소 수단은, 상기 바늘 낙하점간의 바늘땀 피치에 따라서,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 형상은, 복수의 형상 요소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축소 수단에 의해서, 상기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으로부터 원하는 바늘 낙하점을 좁힐 때에, 상기 선출 수단에 의해 선출된 바늘 낙하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표시 수단에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바늘땀 형상에 있어서의 그 바늘 낙하점이 포함되는 형상 요소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80021678A 2007-03-09 2008-03-07 재봉틀 KR20080082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60093A JP2008220475A (ja) 2007-03-09 2007-03-09 ミシン
JPJP-P-2007-00060093 2007-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936A true KR20080082936A (ko) 2008-09-12

Family

ID=3983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678A KR20080082936A (ko) 2007-03-09 2008-03-07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20475A (ko)
KR (1) KR20080082936A (ko)
CN (1) CN1012605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7065B2 (ja) * 2009-04-06 2014-04-02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6494960B2 (ja) * 2014-09-04 2019-04-0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システム、端末装置、ミシンシステムにおける刺繍データの同期方法、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
TWI557287B (zh) * 2015-09-21 2016-11-11 Zeng Hsing Ind Co Ltd Handwriting Needle Identification Method and Its Identification System
JP6679160B2 (ja) * 2015-12-18 2020-04-1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刺しゅう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4311B2 (ja) * 2004-09-13 2010-10-2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6271880A (ja) * 2005-03-30 2006-10-12 Brother Ind Ltd 加工機用データ編集装置、ミシン用縫製データ編集装置、加工機用データ編集方法、ミシン用縫製データ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20475A (ja) 2008-09-25
CN101260597A (zh)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7737B (zh) 缝纫机
US787813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KR101171394B1 (ko) 재봉틀
KR20080082936A (ko) 재봉틀
KR101888102B1 (ko) 자동 바느질 재봉기
US7493867B2 (en) Sewing machine
JP4516886B2 (ja) ミシン
CN101768838B (zh) 缝纫机的缝制数据生成装置
JP2007054110A (ja) 刺繍ミシン
JP2007111233A (ja) ミシン
US20080223273A1 (en) Sewing machine
US20090025621A1 (en) Sewing machine
JP4625297B2 (ja) ミシン
JP4564311B2 (ja) ミシン
JP2008012048A (ja) ミシン
JP2009240384A (ja) ミシン
JP4644523B2 (ja) ミシン
JP4226671B2 (ja) ミシン
US20070113765A1 (en) Sewing machine
JP2007021012A (ja) 縫製データ表示装置
JP2007014602A (ja) 縫製データ表示装置
JP2007135911A (ja) ミシン
JP2007135912A (ja) ミシン
JP2006075419A (ja) ミシンの入力表示装置
JP2006247259A (ja) ミシンの縫製データ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