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02B1 - 자동 바느질 재봉기 - Google Patents
자동 바느질 재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8102B1 KR101888102B1 KR1020110090103A KR20110090103A KR101888102B1 KR 101888102 B1 KR101888102 B1 KR 101888102B1 KR 1020110090103 A KR1020110090103 A KR 1020110090103A KR 20110090103 A KR20110090103 A KR 20110090103A KR 101888102 B1 KR101888102 B1 KR 1018881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ing
- pattern
- data
- point
- poi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봉제 패턴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신속하게 특정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바느질 재봉기는, 바늘대를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입력하는 위치입력수단과,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거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하는 데이터 검색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동 바느질 재봉기는, 바늘대를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입력하는 위치입력수단과,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거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하는 데이터 검색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을 유지시키는 유지프레임을 바늘 낙하 데이터(봉제점 데이터)에 근거하여 X-Y 평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봉제 패턴의 바늘땀 형성을 수행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유지 프레임을 X방향과 Y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천 이동기구를 구비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는, 상기 천 이동기구를 동작시키는 바늘 낙하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조합시켜 봉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봉제를 하고자 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에 대응된 코드를 지정하여 읽어냄으로써 원하는 봉제 패턴의 봉제를 수행하여 왔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서는, 재봉기에 설치된 간이한 바느질 데이터 작성장치나 재봉기 외부에 설치된 바느질 데이터 작성장치 등으로 각종 봉제 패턴에 대응된 봉제 패턴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혹은 시판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구입하여, 이들 봉제 패턴 데이터를 재봉기의 기억부 내에 새롭게 기억시킴에 따라, 기억된 봉제 패턴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이 때문에, 코드를 지정하여 봉제 패턴 데이터를 읽어낼 때, 코드와 봉제 패턴 데이터의 대응관계를 파악할 수 없어 판독작업이 매우 번잡해졌다.
즉, 원하는 봉제 패턴의 봉제를 할 경우에 그 봉제 패턴 데이터에 대응되는 코드를 파악하지 않으면, 코드를 하나하나 지정하여 봉제 패턴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수단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을 표시하거나, 또는 봉제를 실행하여 봉제 패턴을 확인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봉제 패턴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신속하게 특정하여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원발명은 재봉기 모터에 연동하여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를 소정의 위치에서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피봉제물을 유지한 유지부재를 X방향과 Y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천 이동기구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고, 각각의 봉제 패턴 데이터가, 상기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피봉제물에 대하여 상기 재봉바늘이 관통할 피봉제물 위의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바늘 상하이동기구 및 천 이동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피봉제물 위의 복수의 봉제점을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원하는 봉제 패턴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로서,
상기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유지부재를 이동가능하게 한 이동수단과,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된 상기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입력하는 위치입력수단과,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하는 데이터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의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가,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의 봉제순서에 따라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의 봉제순서의 선후관계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의 선후관계와 일치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검색하여 특정한다.
청구항 3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가, 패턴 특정점의 입력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가, 패턴 특정점 마다 순서를 지정 입력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한 봉제 패턴 데이터를 복수개 특정하였을 경우, 상기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일람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일람표시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 패턴 데이터에 근거한 봉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동작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패턴 특정점이, 봉제 패턴 데이터의 봉제점 데이터에 대응되는 봉제점을 포함한 소정 문턱값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패턴 특정점이 상기 봉제점 데이터와 일치 혹은 근사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검색의 결과로서 특정된 봉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일 경우, 상기 소정 문턱값 범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변경된 문턱값 범위에 근거하여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검색의 결과로서 특정된 봉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일 경우, 상기 위치입력수단으로부터 추가되는 패턴 특정점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된 패턴 특정점에 근거하여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본원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바느질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가장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단일 봉제 패턴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바탕천(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패턴 특정점)를 입력하면, 패턴 특정점과 일치 또는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한 봉제 패턴 데이터를 검색하여 특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간단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 내지 4의 발명에 따르면,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의 선후관계와 봉제 패턴의 봉제점의 봉제순서의 선후관계가 일치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검색하여 특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봉제점과 패턴 특정점의 위치가 일치 또는 근사한 봉제 패턴이 다수 특정되어 봉제 패턴을 간단히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범위를 좁힐 수 있어 보다 간이하고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검색결과인 봉제 패턴 데이터를, 예컨대 패턴 번호 혹은 패턴 도형 등의 형식으로 일람표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자는 특정된 봉제 패턴 데이터를 간단히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과 같이, 검색결과를 일람표시하여 선택에 의해 봉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경우에는, 검색 후 원하는 봉제패턴의 봉제를 신속히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패턴 특정점과 봉제점의 상호간 거리를 문턱값으로 하여 소정 문턱값 범위를 설정하고, 패턴 특정점이 해당 봉제점 데이터와 일치 혹은 근사한지를 판정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검색수단이 후보가 되는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특정하였을 경우, 문턱값 범위를 조정하면서, 예컨대 문턱값 범위를 한정축소하면서 봉제 패턴 데이터의 범위를 연속하여 좁힘으로써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범위를 좁힐 수 있어 검색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검색수단이 후보가 되는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특정하였을 경우, 추가된 패턴 특정점에 대해서도 봉제점 데이터와의 일치 또는 근사를 판단하여 재검색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범위를 좁힐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바탕천의 임의의 위치(패턴 특정점)를 입력하면, 패턴 특정점과 가장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한 단일 봉제 패턴을 검색하여 특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봉제 패턴 중에서 원하는 봉제 패턴을 간단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바느질 재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바느질 재봉기의 유지 프레임이나 중심 노루발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B)는 유지 프레임에 가이드판을 장비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자동 바느질 재봉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봉제 패턴의 설정내용을 표형식으로 나타낸 도표이고, (B)는 봉제가 이루어지는 봉제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위치입력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6의 (A)는 위치입력조작에 의한 패턴 특정점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확정 후의 패턴 특정점의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CPU가 실행하는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후속되는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는 경우로서 유사도가 낮은 경우의 예를 나타내며,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한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 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 (D)는 각 패턴 특정점에 가장 가까운 봉제점에서의 상호간 거리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는 경우로서 유사도가 높은 경우의 예이며,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한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 (D)는 각 패턴 특정점에 가장 가까운 봉제점에서의 상호간 거리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지 않는 경우의 예로서,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해진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지만, 순서의 선후관계와의 일치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의 예로서,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해진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색결과 표시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14는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색결과 표시화면의 다른 표시예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바느질 재봉기의 유지 프레임이나 중심 노루발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B)는 유지 프레임에 가이드판을 장비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자동 바느질 재봉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A)는 봉제 패턴의 설정내용을 표형식으로 나타낸 도표이고, (B)는 봉제가 이루어지는 봉제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위치입력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6의 (A)는 위치입력조작에 의한 패턴 특정점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확정 후의 패턴 특정점의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CPU가 실행하는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후속되는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는 경우로서 유사도가 낮은 경우의 예를 나타내며,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한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 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 (D)는 각 패턴 특정점에 가장 가까운 봉제점에서의 상호간 거리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는 경우로서 유사도가 높은 경우의 예이며,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한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 (D)는 각 패턴 특정점에 가장 가까운 봉제점에서의 상호간 거리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1은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지 않는 경우의 예로서,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해진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을 갖지만, 순서의 선후관계와의 일치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의 예로서, (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과 대조확인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각 봉제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도표, (C)는 봉제점 데이터에 정해진 매 바늘마다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으로부터 구해진 바늘마다의 봉제점의 X-Y좌표(절대좌표)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색결과 표시화면의 표시예이다.
도 14는 조작패널의 표시부의 표시화면으로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위치입력을 수행하는 검색결과 표시화면의 다른 표시예이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의 전체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동 바느질 재봉기로서 전자 사이클 재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는 봉제를 하는 피봉제물인 바탕천을 유지시키는 유지 프레임을 가지며, 그 유지 프레임이 재봉바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바탕천에 소정의 봉제패턴(바늘땀 패턴)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재봉기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후술하는 재봉바늘(108)이 상하이동하는 방향을 Z축 방향(상하방향)이라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하나의 방향을 X축 방향(좌우방향)이라 하며, Z축 방향과 X축 방향의 양자와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전후방향)이라 정의한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100 ; 이하에서는 재봉기(100)이라 함)는, 테이블(T)의 상면에 구비되는 재봉기 본체(101)와, 테이블(T)의 하부에 구비된 페달장치(R)와, 재봉기(100)의 봉제 패턴의 선택·설정 등의 입력설정을 수행하는 조작패널(조작부재 ; 74)과, 페달장치(R)의 페달조작 등에 의해 봉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어박스(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재봉기 프레임 및 주축)
재봉기 본체(101)는 재봉기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봉기 프레임(10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재봉기 상부를 구성하는 재봉기 아암부(102a)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재봉기 하부를 구성하는 재봉기 베드부(102b)와, 재봉기 아암부(102a)와 재봉기 베드부(102b)를 연결하는 세로 몸체부(102c)를 갖는다.
상기 재봉기 프레임(102) 내에 동력전달기구가 배치되고, 회동가능하게 Y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축(도시생략) 및 하축(도시생략)을 갖는다.
주축은 재봉기 아암부(102a)의 내부에 배치되며, 재봉기모터(2a, 도 3)에 연결되어 회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하축은 재봉기 베드부(102b)의 내부에 배치되며 종축(도시생략)을 통해 주축에 연결되어 회동력이 부여된다.
재봉기 아암부(102a)의 전단(前端) 근방에는, 바늘 상하이동기구로서의 크랭크기구(도시생략)를 통해 주축에 연결된 바늘대(108a)가 배치되어, 주축의 회동에 따라 바늘대(108a)가 Z축 방향으로 상하이동한다. 그 바늘대(108a)의 하단에 재봉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축에 재봉기 모터(2a)를 직접 연결하는 구성(직접구동)이며, 재봉기모터(2a)에 내장된 엔코더로서의 타코 제너레이터(tachogenerator ; 2b, 도 3 참조)에 의해 주축의 기준각도 및 그 기준각도 사이의 상세각도를 검출하는 회전동기신호가 출력된다. 즉, 직접구동인 경우에는 타코 제너레이터(2b)가 주축검출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직접구동 대신에, 주축에 설치된 풀리와 재봉기모터를 벨트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주축에 설치된 바늘위치검출기와 재봉기 모터에 내장된 엔코더에 의해 타코 제너레이터(2b)가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회전동기신호가 출력된다. 즉, 벨트구동의 경우에는, 바늘위치검출기와 타코 제너레이터(2b)의 협동에 의해 주축검출기로서 기능한다.
상기 회전동기신호로서, 예컨대 재봉기 모터(2a)에 의해 주축이 15°회전할 때마다 하나의 출력신호를 제어장치(1000)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축의 1회전에 따라 바늘대(108a)는 1왕복 운동을 한다.
또한, 재봉기 아암부(102a)의 전단에 대향되는 재봉기 베드부(102b)의 전단에는, 가마(도시생략)가 하축에 고정되어, 주축(상축) 및 하축이 회동하면, 재봉바늘(108)과 가마(도시생략)의 협동에 의해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 재봉기 모터(2a), 주축, 바늘대(108a), 재봉바늘(108), 하축(도시생략), 가마(도시생략) 등의 접속구성은 종래 공지된 것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한다.
(중심 노루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아암(102a)에는 재봉바늘(108)의 상하이동에 따라 바탕천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 노루발 기구(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기구는 바늘대(108a)의 상하이동과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며, 재봉바늘(108) 주위의 바탕천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중심 노루발(29)을 갖는다.
또한, 중심 노루발 기구의 주 구성은, 재봉기 아암부(102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재봉바늘(108)은 중심 노루발(29)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이동기구)
도 1,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베드부(102b) 상에는 재봉바늘(108)이 관통하는 바늘구멍(도시생략)을 갖는 바늘판(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판(110)의 상방에 유지부재(111)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재(111)는 서로 상하로 대향되는 프레임형상의 유지 프레임(111a)과 하판(111b)으로 구성되며, 유지 프레임(111a)은 부착부재(113)에 탈부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111a)을 지지하는 부착부재(113)와 하판(111b)은, 재봉기 베드(102b) 내에 배치된 구동수단으로서의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 도 3)에 연결되어 X방향 및 Y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111a)은 재봉기 아암(102a) 내에 배치된 천 누르개 모터(79a)의 구동에 의해 상하구동이 가능하며, 하강시에 하판(111b)과의 사이에서 바탕천을 끼움지지하며 유지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부재(111)의 이동이 재봉바늘(108)의 상하이동과 동기하여 수행됨에 따라, 유지 프레임(111a)의 프레임 내의 바탕천 상의 소정 위치(봉제점)에 재봉바늘(108)이 관통하여 바늘땀이 형성된다.
이들 유지 프레임(111a), 하판(111b),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가, 유지 프레임(111a), 하판(111b)에 유지된 바탕천을 재봉바늘(108)에 대하여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천 이동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지부재(111)는, 유지 프레임(111a)의 하면측에, 재봉을 수행하는 봉제 패턴의 바늘운동경로를 따라 개구부(112a)가 형성된 가이드판(112)이 고정 장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봉제 패턴에 따라서 개구부(11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봉제 패턴에 따라 봉제를 수행할 때에는, 개구부(112a)의 테두리부를 따라 바늘의 낙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판(112)은 유지부재(111)에 의해 유지된 바탕 천의 상면측에 접촉 또는 근접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써, 봉제시 바늘운동에 의해 해당 바탕 천이 펄럭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개구 대신에 슬릿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테이블(T)의 하부에 배치된 페달장치(R)는 재봉기(100)를 기동하기 위한 페달(Ra)과, 유지부재(111)를 동작시키기 위한 페달(Rb)이 배치되어 있다. 각 페달(Ra,Rb)에는, 밟기조작위치를 가변저항 등으로 구성되는 센서(밟기 검출수단)가 설치되어 있으며,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페달(Ra,Rb) 각각의 조작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장치(1000, 도 3)로 출력된다.
(재봉기의 제어시스템 : 제어장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00)는 상술한 각 부,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10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0)는, 봉제 동작 제어프로그램(70a) 및 데이터 검색 프로그램(70b)이 저장된 ROM(70)과, 봉제 패턴 데이터(71a) 및 각종 설정정보(도시생략)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서의 데이터 메모리(71)와, ROM(70) 내의 각 프로그램(70a~70b)을 실행하는 CPU(73)와, CPU(73)의 프로그램 처리시에 작업영역이 되는 RAM(72)을 구비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4a)를 통해 조작패널(74)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패널(74)은, 각종 화면이나 입력버튼을 표시하는 표시부(74b)와 표시부(74b)의 표면에 설치되어 그 접촉위치를 검지하는 터치센서(74c)를 가지며, 각종 정보의 입출력수단 혹은 봉제 프로그램에 의한 봉제실행모드나 데이터 검색프로그램에 의한 검색모드 등의 모드를 선택하여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조작패널(74)에서 이용되는 입력버튼이나 입력스위치는 모두 표시부(74b)에 표시되며, 터치센서(74c)에서 입력조작이 검지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 CPU(73)는 인터페이스(75)를 통해, 재봉기모터(2a)를 구동하는 재봉기모터 구동회로(75b)에 접속되어 재봉기모터(2a)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한, 재봉기모터(2a)에는 타코 제너레이터(2b)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코 제너레이터(2b)는 재봉기 모터(2a)의 1회전당 1회 출력되는 원점신호와 15°회전마다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인터페이스(75)를 통해 CPU(73)에 입력된다.
CPU(73)는 이 신호를 카운트함으로써, 재봉기 주축의 1회전중에 있어서의 봉제 패턴 데이터의 봉제점 데이터 등의 판독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혹은 위치결정모터인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나 후술하는 다른 액추에이터의 동작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를 각각 구동하는 X축 모터 구동회로(76b) 및 Y축 모터 구동회로(77b)가 인터페이스(76) 및 인터페이스(77)를 통해 CPU(73)에 접속되며, X축 모터 구동회로(76b) 및 Y축 모터 구동회로(77b)는 CPU(73)의 제어에 따라 유지부재(111)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동작시킨다. 또,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 중심 노루발 모터(42), 천 누르개 모터(79a)에는 예컨대 펄스모터가 이용된다.
또, CPU(73)에는 중심 노루발 모터 구동회로(78b)를 통해 중심 노루발 모터(42)가 접속되어 있으며, 중심 노루발 모터(42)는 중심 노루발 구동기구에 연결되어,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중심 노루발(29)의 하사점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설정된다. 이러한 독립된 구동원을 구비함으로써, 재봉기모터(2a)의 구동중 혹은 정지중에 관계없이 하사점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러한 중심 노루발 모터(42)는 「봉제에 관계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액추에이터」에 상당한다.
또한, 천 누르개 모터(79a)는, 유지부재(111)에 연결되며, 유지부재(111)를 상하이동시켜 바탕 천의 유지 및 해방을 수행하는 동시에, 봉제종료 후 절단된 재봉실을 바탕 천으로부터 빼내는 와이퍼(도시생략)의 동작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된다. 그리고, CPU(73)는 인터페이스(79)를 통해, 천 누르개 모터(79a)를 구동시키는 천 누르개 모터 구동회로(79b)가 접속되어, 천 누르개 및 와이퍼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재봉기(100)는 봉제종료 후에 실 절단을 수행하는 실 절단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한다. 실 절단장치는 동작구동원으로서 실 절단 모터(80a)를 이용한다. 그리고,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실 절단 모터(80a)를 구동하는 구동회로(80b)가 접속되어, 실 절단 모터(80a)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재봉기(100)는 실 장력조절 솔레노이드(81a)의 동작에 의해 재봉실의 실 장력을 조절하는 실 장력조절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그리고, CPU(73)는 인터페이스(81)를 통해, 실 장력조절 솔레노이드(81a)를 구동하는 구동회로(81b)가 접속되어, 실 장력조절 솔레노이드(81a)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도 3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페달장치(R)의 페달(Ra,Rb)로부터의 신호가 CPU(73)에 입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봉제 프로그램에 의한 봉제처리)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소정의 봉제 패턴의 바늘땀 형성을 실행하기 위하여 봉제 패턴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71)에 기억되어 있다.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는, X방향 이동량, Y방향 이동량의 데이터(복수의 봉제점을 나타내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가, 예컨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운동 순으로 규정되어 있다. 상기 도 4(A)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의해, 상기 재봉 바늘(108)의 상하이동위치로 복수의 봉제점을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도 4(B)에 도시된 바늘운동(바늘낙하)을 수행하도록, 유지부재(111)를 이동시킨다. 즉, 제 1 바늘땀 형성 후에 유지부재(111)를, 제 4 바늘땀까지는 X방향으로 3mm, Y방향으로 2mm 이동시키고, 제 5 바늘땀 및 제 6 바늘땀은 X방향으로 3mm, Y방향으로 0mm 이동시키며, 그리고 제 7 바늘땀은 X방향으로 3mm, Y방향으로 -2mm 이동시킨다. 따라서, 각 봉제점의 좌표위치는 각 X, Y 이동량의 적산(積算)값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소정의 바늘 수(타이밍)로 실행될 각종 명령, 예컨대 재봉기 모터(2a)의 회전 수를 결정하는 재봉속도 명령, 중심 노루발의 하사점 높이를 변경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조절 명령, 실 절단 명령, 실제거·누르개 상승 명령, 실장력 명령이 각 바늘운동마다 편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복수의 봉제 패턴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데이터 메모리(71) 내에 저장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 대신에, 봉제 패턴 데이터로서, 각 봉제점의 좌표위치를 직접적으로 데이터 설정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각 봉제점 간의 이동량을 연산하면서 X축 모터 혹은 Y축 모터를 구동제어한다.
봉제실행모드에서는, 조작패널(74)에 의해 봉제패턴의 선택, 즉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 페달(Ra)의 조작에 의해 재봉기(100)의 기동지령이 입력된다.
기동지령이 입력되면, CPU(73)는 봉제동작 제어프로그램(70a)을 실행한다. 이로써 재봉기 모터(2a)가 기동되는 동시에, 선택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판독된다. 즉, CPU(73)는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데이터 메모리(71)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판독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의해 소정의 주축각도로 X축, Y축 모터(76a,77a)가 구동되어, 바탕 천이 이동하며 재봉바늘(108)에 대한 바탕 천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바탕 천의 위치결정 후에 재봉바늘(108)이 바탕 천을 관통하여 바늘낙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따라 바늘운동마다 순차적으로 소정의 이송동작 후에 바늘낙하가 수행됨으로써,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의해 정해진 봉제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봉제 패턴 데이터(71a) 내에 정해진 각종 명령도 데이터 중에 정해진 타이밍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최종적으로 봉제가 완료되게 되어 있다.
이로써, CPU(73)는 유지 프레임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검색 프로그램)
데이터 검색 프로그램(70b)을 실행함으로써, CPU(73)는 위치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조작패널(74)의 조작에 의해, 패턴 특정점이 되는 복수의 X, Y좌표위치를 입력하고, 그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는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한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데이터 메모리(71) 내에서 검색하여 검색대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 검색처리에서의 위치입력처리에 대해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은 표시화면의 모드전환수단으로서의 조작패널(74)의 조작에 의해 검색모드가 선택되면, 조작패널(74)의 표시화면은, 도 5에 도시된 위치입력화면(G1)이 된다.
상기 위치입력화면(G1)에서는, 유지부재(111)의 봉제영역, 즉, 가이드판(112)의 개구부(112a)에 대응하여, 그 봉제영역 내의 위치좌표계에서의 커서(K) 및 특정점 마크(D)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M1)와, 커서(K)의 위치를 이동시켜 위치결정하는 8방향의 8개의 촌동(寸動)버튼(B1)과, 촌동버튼(B1)으로 입력한 커서 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확정하는 동시에 해당 커서 위치에 특정점 마크(D)를 표시하는 좌표입력버튼(B2)과, 버튼 특정점의 특정 후의 조작에 의해, 특정된 패턴 특정점을 검색조건으로 하여 검색을 실행시키는 검색버튼(B3)이 표시된다.
그리고, 데이터 검색 프로그램(70b)을 실행하는 CPU(73)는, 각 촌동버튼(B1)의 입력이 실행되면, 그 입력방향에 따라 커서(K)의 표시위치를 미세이동시키는 동시에, X축, Y축 모터(76a,77a)를 구동시켜 커서(K)와 연동하여 유지부재(111)도 추종(追從) 이동시킨다. 따라서, 각 촌동버튼(B1), X축 및 Y축 모터(76a,77a)는, 상기 유지 프레임(111)에 의해 유지된 피봉제물 상의 임의의 위치를 상기 재봉바늘(108)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유지 프레임(111)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좌표입력버튼(B2)의 입력조작이 이루어지면, 이동수단에 의해 재봉바늘(108)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된 피봉제물 상의 임의의 위치, 즉, 그때의 커서(K)의 위치좌표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RAM(72)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그 기억된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그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점 마크(D)를 소정의 색채(예컨대 빨강)로 도트(dot)표시한다.
그리고, 임의의 복수의 위치입력이 실행된 후에 검색버튼(B3)의 입력조작이 수행되면, 특정점 마크(D)의 각 좌표위치가 검색을 위한 패턴 특정점으로서 확정된다.
이와 같이, 유지부재(111)를 이동시켜 위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예컨대 기존의 가이드판(112)에 형성된 개구부(112a(또는 슬릿))의 형상에 기초한 봉제 패턴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지부재(111)에 가이드판(112)을 세팅하고 그 개구(112a(또는 슬릿))의 테두리가 재봉바늘(108)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유지부재(111)를 이동시켜, 그 위치를 눈으로 보면서 위치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112)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하여 특정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판(112)이 없는 봉제 패턴이라 하더라도, 이미 봉제가 이루어진 바탕 천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바탕 천을 유지부재(111)의 유지 프레임(111a)과 하판(111b)의 사이에 세팅하고, 그 바탕천의 원하는 위치를 재봉바늘(108)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촌동버튼(B1)을 조작하여 유지부재를 이동시켜 위치입력을 실행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그 봉제 패턴에 대응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검색하여 특정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색처리에서는, 조작패널(74)을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패턴 특정점의 입력순서의 선후관계와, 각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봉제점 데이터에 대응되는 봉제점의 봉제순서의 선후관계가 일치하는 것이,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검색대상으로서 특정되는 것의 조건이 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 A2, A3의 순서로 3점의 위치입력이 실행되면, CPU(73)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M(72)에 해당 3점(A1~A3)의 위치좌표와 그 입력의 순서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입력의 순서까지 기억함으로써, 각 봉제 패턴 데이터(71a)와의 대조확인처리에서, 각 패턴 특정점(A1~A3)과 일치하는 봉제점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위치의 일치 혹은 근사뿐만 아니라, 입력순서의 선후관계와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있어서의 각 봉제점 데이터에 대응되는 봉제점의 봉제순서의 선후관계와의 일치도, 일치의 요건으로 하여 판정할 수가 있다.
또한,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를 입력순서로 하지 않고, 조작패널(74)의 스위치 조작으로 수치를 입력하여 패턴 특정점마다 순서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데이터 검색처리에 있어서의 위치입력처리 후의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에서는, 위치입력처리 후에 데이터 메모리(71) 내의 등록번호가 빠른 봉제 패턴부터 순서대로 판독하여 일치판정이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에 근거하여 데이터 대조확인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데이터 대조확인처리는 CPU(73)에 의해 실행된다.
데이터 대조확인처리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판독되면, 먼저, 비교대상이 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최초의 봉제점 데이터의 순서(i)가 「1」로 설정되는 동시에(단계 S1), 위치입력처리에 의해 입력된 최초의 패턴 특정점의 순서(j)가 「1」로 설정된다(단계 S3).
다음으로, 패턴 특정점과 봉제점 데이터가 나타내는 봉제점의 위치(좌표위치)가 일치할 경우에 산출되는 유사도가 0으로 리셋된다(단계 S5).
그리고,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순서 i=1의 봉제점 데이터(이동량)로부터 절대좌표가 산출된다(단계 S7). 즉, 본 실시예에서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봉바늘(108)의 상하이동위치에 바탕천 상의 각 봉제점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X축과 Y축의 이동량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일치판정을 수행할 때에는 각 봉제점의 X축과 Y축의 이동량을 적산함으로써 각 봉제점의 X-Y 좌표(절대좌표)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CPU(73)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순서 i(=1)의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위치입력처리에 의해 입력된 순서 j(=1)의 패턴 특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치의 일치판정을 수행한다(단계 S9).
이러한 근접영역은, 위치가 일치하거나 혹은 근사(이하에서는 단순히 '일치'라 기재함)하다고 판정하기 위한 상호간 거리의 문턱값을 반경(半徑)으로 하는 패턴 특정점을 중심으로 한 원형의 영역이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상호간 거리의 문턱값을 2[mm]로 하고, 패턴 특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2[mm]의 원형의 근접영역(문턱값 범위)에 기초하여 일치판정을 수행한다. 또한, 근접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상기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i번째의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j번째의 패턴 특정점의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i에 1을 가산하여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서의 다음 순서의 봉제점 데이터를 판정 대상으로 한다(단계 S11). 그리고, 가산한 결과, i가 현재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 내의 최종 바늘 수를 초과하는지 여부, 즉 최종 바늘 수+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3).
그 결과, 봉제 패턴의 최종 바늘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단계 S13 : YES), 현재의 봉제 패턴에는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는 봉제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하고, 검색대상 외임을 확정하고서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5).
한편, 단계 S13에서 1을 가산한 봉제점이 봉제 패턴의 최종 바늘 수+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순서(i(=2))의 봉제점 데이터에 대하여 절대좌표가 산출되는 동시에(단계 S7), 같은 순서(j)의 패턴 특정점의 근접영역 내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S9).
또한, 단계 S9에 있어서, i번째의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j번째의 패턴 특정점의 근접영역 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9 : YES), j번째의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최초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봉제점 데이터이기 때문에, 해당 i번째의 봉제점과 j번째의 패턴 특정점의 상호간 거리를 산출하여, 현재의 시점에서의 최단거리로서 설정(기억)된다(단계 S17).
다음으로, CPU(73)는 i에 1을 가산하여(단계 S19), 해당 i(=2)를 재개(再開) 바늘 수의 값으로 설정한다(단계 S21). 그리고, CPU(73)는, i(=2)가 현재의 봉제 패턴(71a)에서의 최종 바늘 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최종 바늘 수+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
그 결과, 1을 가산한 봉제점이 봉제 패턴의 최종 바늘 수+1이 되었을 경우에는(단계 S23 : YES), 후술하는 단계 S37로 처리가 진행되고, 최종 바늘 수+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3 : NO), 새로운 순서(i(=2))의 봉제점 데이터에 대해 절대좌표가 산출되며(단계 S25), 새로운 순서(i(=2))의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순서 j(=1)의 패턴 특정점을 중심으로 하는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S27).
그 결과, 새로운 i번째의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였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S37로 처리가 진행되며(단계 S27 : NO),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였을 경우에는(단계 S27 : YES), 해당 i번째의 봉제점과 j번째의 패턴 특정점의 상호간 거리를 산출하여, 그때까지 기억되어 있던 최단거리보다 짧은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29).
그 결과, 새로운 i번째의 봉제점과 j번째의 패턴 특정점의 상호간 거리가 기억된 최단거리보다 길 경우에는(단계 S29 : NO), 단계 S3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또한, 기억된 최단거리보다 짧을 경우에는(단계 S29 : YES), 최단거리의 값이 새로운 값으로 갱신되어 기억된다(단계 S31).
단계 S33에서는, CPU(73)는 순서 i에 1을 가산한다. 그리고, 그 i를 재개 바늘 수의 값으로 설정하고(단계 S35), 단계 S23으로 처리가 복귀되며, 순서 i의 값이 최종 봉제점을 초과(단계 S23 : YES)할 때까지 동작이 반복된다.
단계 S23에서 최종 봉제점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단계 S27에서 봉제점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절대좌표가 근접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37에서 유사도의 산출이 실행된다.
상기 유사도는, 검색조건인 복수의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현재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어느 정도로 조건에 합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값으로서, 각 패턴 특정점마다 해당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는 봉제점의 상호간 거리의 합계치에 -1을 곱한 값이다. -1을 곱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상기 합계치의 절대치가 가장 작게 될 경우에, 각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보다 근접한 봉제점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게 되므로, 검색조건을 가장 만족시키는 봉제 패턴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상기 단계 S37의 처리에서는, 하나의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근접영역 내로서 가장 근접한 봉제점이 확정될 때마다, 그때까지의 시점의 유사도의 값에 패턴 특정점과 봉제점의 최단이 되는 상호간 거리를 감산(減算)하는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 때문에,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최단(最短)이 되는 봉제점이 확정되면,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가장 근접한 봉제점과의 상호간 거리의 합계치가 구해지게 된다.
이어서, CPU(73)는 현재의 i를 재개(再開) 바늘 수의 값으로 설정한다(단계 S39). 더욱이, 몇 번째 패턴 특정점까지, 가장 근접한 봉제점이 확정되었는지를 기억하기 위하여 j번째의 패턴 특정점에 대해 체크가 실시된다(단계 S41). 또한, 각 패턴 특정점에서의 체크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RAM(72)에 일시적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입력된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상기 체크가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단계 S43).
그 결과,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아직 체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j의 값에 1을 가산하고 다음 패턴 특정점에 대한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S45).
이때, 순서 i의 값이, 현재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서의 최종 바늘 수를 초과하는지 여부, 즉 최종 바늘 수+1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47).
그리고, 초과한 경우에는,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가장 근접한 봉제점이 확정되기 전에 모든 봉제점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현재의 봉제 패턴에는, 모든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는 봉제점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 되어, 검색대상 외인 것으로 확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49).
또한, 단계 S47에서, 순서 i의 값이, 현재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서의 최종 바늘 수+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47 : NO), 단계 S7로 처리가 복귀되어, 새로운 순서(j(=2))의 패턴 특정점에 대해 계속되는 순서의 봉제점과의 일치판정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근접영역 내이면서 가장 근접한 봉제점이 확정되면, 단계 S43에서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해 체크가 이루어진 상태로 판정하고, CPU(73)는 현재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복수의 패턴 특정점으로 이루어진 검색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하고, 검색대상에 포함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1).
그리고, 상기 처리에 의해, 데이터 메모리(71) 내의 각 봉제 패턴 데이터(71a) 중에서 하나 내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대해, 모든 패턴 특정점에 대하여 일치조건을 만족시킨 봉제점을 포함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특정된다.
도 9에 도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A1)에 대하여 제 6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고, 패턴 특정점(A2)에 대하여 제 8, 9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8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으며, 패턴 특정점(A3)에 대해 제 11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해 있다.
이로써, 각 패턴 특정점(A1,A2,A3)에서의 최근접(最近接) 봉제점과의 상호간 거리는, 각각 1, 1, 2가 되고, 이들을 합계하여 순차적으로 더함으로써 유사도를 산출한다.
유사도 = -1×(1+1+2) = -4가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A1)에 대해 제 6, 7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7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으며, 패턴 특정점(A2)에 대하여 제 9, 10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9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고, 패턴 특정점(A3)에 대하여 제 12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해 있다.
이로써, 각 패턴 특정점(A1,A2,A3)에서의 최근접 봉제점과의 상호간 거리는, 각각 0, 1, 1이 되고, 이들을 합계하여 순차적으로 더함으로써 유사도를 산출한다.
유사도 = -1×(0+1+1) = -2가 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2개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모두 검색대상의 봉제 패턴이라 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보다 검색조건에 합치되어, 검색된 봉제 패턴으로서 적정할 확률이 높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사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가장 근사한 봉제점에 대응되는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봉제 패턴 데이터(단일 봉제 패턴 데이터)를 특정할 수도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A1)에 대하여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봉제점이 존재하지 않고, 패턴 특정점(A2)에 대하여 제 7, 8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7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고, 패턴 특정점(A3)에 대하여 제 10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패턴 특정점(A1)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봉제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봉제 패턴(71a)은 검색대상 외로 판정되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처리에서는, 패턴 특정점(A1)부터 순서대로 일치하는 봉제점이 탐색되며, 봉제점이 발견될 때까지의 다음의 패턴 특정점(A2)을 대상으로 하는 처리로 이행되지 않기 때문에, 패턴 특정점(A2,A3)과 일치하는 제 7, 8, 10 바늘땀의 봉제점이 특정되지 않은 채로 처리가 종료되게 된다.
또, 도 12에 도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도 6의 패턴 특정점(A1)에 대하여 제 15째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해 있고, 패턴 특정점(A2)에 대하여 제 7, 8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7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고, 패턴 특정점(A3)에 대하여 제 10, 11 바늘땀의 봉제점이 근접영역 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11 바늘땀의 봉제점이 가장 근접해 있다.
그러나, 봉제패턴이 검색조건을 충족하려면, 복수의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의 선후관계와 봉제점 데이터의 바늘 낙하 순서의 선후관계가 일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12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각 패턴 특정점(A1~A3)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봉제점이 존재하면서도, 검색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게 되어 검색대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71a)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기초하는 처리에서는, 패턴 특정점(A1)부터 순서대로 일치하는 봉제점이 탐색되며, 봉제점이 발견되기까지의 다음의 패턴 특정점(A2)을 대상으로 하는 처리로 이행되지 않으므로, 패턴 특정점(A2,A3)과 일치하는 제 7, 8, 10, 11 바늘땀의 봉제점이 특정되지 않은 채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데이터 검색 프로그램(70b)을 실행하는 CPU(7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검색대상으로서 특정하였을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패널(74)에 있어서, 검색결과 표시화면(G2)을 표시한다.
상기 검색결과 표시화면(G2)에서는, 검색대상으로서 특정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예컨대 각각의 데이터 번호가 부여된 데이터 버튼(B4)에 의해 일람표시하여, 어떠한 데이터 버튼(B4)에 대해 입력조작을 실행하면, 해당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따른 봉제 패턴을 패턴 표시부(M2)에서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로써 조작패널(74)은 표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 데이터 버튼(B4)에 대해 다시 입력조작을 수행함으로써, CPU(73)는 해당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RAM(72)에 저장하여 그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기초한 봉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페달(Ra)의 조작에 의해 재봉기를 기동하여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71a)에 의해 패턴 표시부(M2)에 표시된 봉제 패턴의 봉제를 실행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버튼(B4)은 선택수단으로서 기능하며, CPU(73)는 확인동작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검색대상으로서 특정되었을 경우, 봉제 패턴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가 있으며, 탐색하던 봉제 패턴의 봉제 패턴(71a)을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의 기술적 효과)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자 사이클 재봉기(100)에서는, 제어장치(1000)에 있어서, 조작패널(74)을 통해 유지부재(111)를 추종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위치입력을 수행하면, CPU(71)가 각 패턴 특정점과 일치하는 봉제점을 포함한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검색하기 때문에, 유지 프레임(111)의 추종이동에 따라 시각적으로 실제의 봉제점을 확인하면서 위치입력을 실행함으로써 봉제 패턴을 간단히 찾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제어장치(1000)에 있어서,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검색할 때, 패턴 특정점의 입력의 선후관계와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봉제점의 봉제의 선후관계의 일치까지도 일치요건으로 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데이터 메모리(71) 내에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정밀도로 범위를 좁힐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또한, 봉제 패턴 데이터(71a)의 검색결과,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가 특정되었을 경우, 범위를 더욱 좁혀도 무방하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검색결과 표시화면(G3)과 같이, 복수의 봉제패턴이 검색대상이 되었을 경우, 근접영역 변경버튼(B5)과 패턴 특정점 추가버튼(B6)의 추가표시를 수행하여, 범위를 좁힐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근접영역 변경버튼(B5)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근접영역의 사이즈를 재설정하는 문턱값 표시화면이 표시되며, 새로운 문턱값을 설정하면(통상적으로는 문턱값을 작게 함. 즉, 문턱값 범위를 감축함), 새로운 근접영역에 근거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처리를 재실행한다. 또한, 이 경우, 처리의 대상이 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는, 이미 검색대상으로서 선출된 봉제 패턴 데이터(71a)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신속하게 보다 유사도가 높은 봉제 패턴(71a)만 검색대상이 되도록 범위가 좁혀진다.
또한, 패턴 특정점 추가버튼(B6)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조작패널(74)에 위치입력화면(G1)이 표시되며, 패턴 특정점의 추가설정을 접수하는 상태가 되어 새롭게 추가되는 패턴 특정점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이미 입력된 패턴 특정점보다 나중의 패턴 특정점에 대해 추가된 것으로 하여 그 순번이 처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패턴 특정점이 추가되면, 이미 검색대상으로서 선출된 봉제 패턴(71a)에 대하여, 추가 전에 순서면에서 가장 나중인 패턴 특정점(A3)에 대해 가장 근접한 것으로 판정된 봉제점보다도 뒤인 봉제점에 대하여, 새로운 패턴 특정점의 근접영역 내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며, 일치하는 봉제점이 존재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71a)로만 범위가 더욱 좁혀진다.
이와 같이, 후보가 되는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71a)를 검색하였을 경우, 상기와 같이 각각 범위를 좁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봉제 패턴의 범위를 좁힐 수 있어 보다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 특정점을 설정할 때, 촌동스위치(B1)를 조작함으로써 커서(K)를 이동시키고 이에 추종하여 유지부재(111)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작업자가 유지 프레임을 이동시키고 그 이동위치를 위치검지수단에 의해 검출하며, 그 검출결과로부터 이동위치를 조작패널(74)의 표시화면에 재봉바늘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여, 좌표입력버튼(B2)의 조작 시의 재봉바늘 표시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2a : 재봉기 모터
71 : 데이터 메모리(기억수단)
71a : 봉제 패턴 데이터
73 : CPU(확인동작제어수단, 데이터검색수단)
74 : 조작패널(위치입력수단, 표시수단)
76a : X축 모터(이동기구)
77a : Y축 모터(이동기구)
100 : 전자 사이클 재봉기(자동 바느질 재봉기)
108 : 재봉바늘
108a : 바늘대
111 : 유지 프레임
113 : 부착부재
1000 : 제어장치(동작제어수단)
71 : 데이터 메모리(기억수단)
71a : 봉제 패턴 데이터
73 : CPU(확인동작제어수단, 데이터검색수단)
74 : 조작패널(위치입력수단, 표시수단)
76a : X축 모터(이동기구)
77a : Y축 모터(이동기구)
100 : 전자 사이클 재봉기(자동 바느질 재봉기)
108 : 재봉바늘
108a : 바늘대
111 : 유지 프레임
113 : 부착부재
1000 : 제어장치(동작제어수단)
Claims (10)
- 재봉기 모터에 연동하여,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를 소정의 위치에서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피봉제물을 유지한 유지부재를 X방향과 Y방향의 합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천 이동기구와,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 각각의 봉제 패턴 데이터가, 상기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피봉제물에 대하여 상기 재봉바늘이 관통할 피봉제물 위의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봉제 패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바늘 상하이동기구 및 천 이동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피봉제물 위의 복수의 봉제점을 순차적으로 위치시켜 원하는 봉제 패턴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로서,
상기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상기 유지부재를 이동가능하게 한 이동수단과,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위치에 배치된 상기 피봉제물 위의 임의의 위치를 패턴 특정점으로서 입력하는 위치입력수단과,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하는 데이터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봉제 패턴 데이터의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가,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의 봉제순서에 따라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의 봉제순서의 선후관계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의 선후관계와 일치하는 봉제 패턴 데이터를 검색하여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는, 패턴 특정점의 입력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특정점의 설정순서는, 패턴 특정점 마다 순서를 지정 입력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1항, 제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일치 혹은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포함한 봉제 패턴 데이터를 복수개 특정하였을 경우, 상기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를 일람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일람표시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봉제 패턴 데이터에 근거한 봉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동작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패턴 특정점이, 봉제 패턴 데이터의 봉제점 데이터에 대응되는 봉제점을 포함한 소정 문턱값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패턴 특정점이 상기 봉제점 데이터와 일치 혹은 근사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검색의 결과로서 특정된 봉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일 경우, 상기 소정 문턱값 범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변경된 문턱값 범위에 근거하여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검색의 결과로서 특정된 봉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일 경우, 상기 위치입력수단으로부터 추가되는 패턴 특정점의 입력을 접수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된 패턴 특정점에 근거하여 재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수단은, 상기 위치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복수의 패턴 특정점과 가장 근사한 복수의 봉제점에 대응되는 복수의 봉제점 데이터를 갖는 단일 봉제 패턴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봉제 패턴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여 특정하는 자동 바느질 재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99633 | 2010-09-07 | ||
JP2010199633A JP5702091B2 (ja) | 2010-09-07 | 2010-09-07 | ミシン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5435A KR20120025435A (ko) | 2012-03-15 |
KR101888102B1 true KR101888102B1 (ko) | 2018-08-14 |
Family
ID=460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0103A KR101888102B1 (ko) | 2010-09-07 | 2011-09-06 | 자동 바느질 재봉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702091B2 (ko) |
KR (1) | KR101888102B1 (ko) |
CN (1) | CN10244397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60541A (ja) * | 2015-09-24 | 2017-03-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
CN107977019B (zh) * | 2016-10-21 | 2020-07-28 |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 布料抓取装置的抓取位置和姿态控制方法及系统 |
CN107090669B (zh) * | 2017-06-29 | 2020-04-10 |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 一种缝纫机自动倒回缝装置控制系统及方法 |
CN108921357B (zh) * | 2018-07-13 | 2021-02-12 |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 缝制轨迹数据的生成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
CN113279154B (zh) * | 2021-05-11 | 2023-06-30 | 深圳市星火数控技术有限公司 | 缝纫设备的指令执行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18930A (ja) * | 2004-05-06 | 2005-11-17 | Juki Corp | 差動送りミシン |
JP2006075505A (ja) * | 2004-09-13 | 2006-03-23 | Juki Corp | ミシン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33648A (ja) * | 1988-11-09 | 1990-05-22 |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 自動刺繍機 |
JP2748154B2 (ja) * | 1989-07-07 | 1998-05-06 |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 ミシンの刺しゅう模様入力装置 |
JPH0538390A (ja) | 1991-12-06 | 1993-02-19 | Juki Corp | 縫製装置のデータ検索装置 |
JPH05269277A (ja) * | 1992-03-25 | 1993-10-19 | Janome Sewing Mach Co Ltd | 刺しゅう模様形状表示装置 |
US7302308B2 (en) * | 2004-12-27 | 2007-11-27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
JP2007061530A (ja) * | 2005-09-02 | 2007-03-15 | Brother Ind Ltd | 模様縫製可能なミシン |
JP2008011971A (ja) * | 2006-07-04 | 2008-01-24 | Juki Corp | ミシン |
JP2010082149A (ja) * | 2008-09-30 | 2010-04-15 | Juki Corp | ミシン |
-
2010
- 2010-09-07 JP JP2010199633A patent/JP5702091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9-06 KR KR1020110090103A patent/KR1018881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07 CN CN201110268773.4A patent/CN10244397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18930A (ja) * | 2004-05-06 | 2005-11-17 | Juki Corp | 差動送りミシン |
JP2006075505A (ja) * | 2004-09-13 | 2006-03-23 | Juki Corp | ミシ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443972A (zh) | 2012-05-09 |
JP5702091B2 (ja) | 2015-04-15 |
JP2012055406A (ja) | 2012-03-22 |
CN102443972B (zh) | 2014-12-17 |
KR20120025435A (ko) | 201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8102B1 (ko) | 자동 바느질 재봉기 | |
CN1042847C (zh) | 缝纫数据修改装置 | |
EP2484827A1 (en) | Sewing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stored o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US7878133B2 (en) |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 |
KR101529095B1 (ko) | 재봉기 | |
JP2010158291A (ja) | ミシン | |
JP2006158497A (ja) | ミシン | |
KR20050041939A (ko) | 재봉틀 | |
US20180363185A1 (en) | Sewing machine | |
US9228279B2 (en) | Sewing machine | |
KR920003667B1 (ko) | 미싱의 봉제데이터작성방법 및 장치 | |
KR100878602B1 (ko) | 재봉틀 프로그램 작성 장치 | |
KR20080082936A (ko) | 재봉틀 | |
CN101302685B (zh) | 自动缝制缝纫机 | |
JP2010124865A (ja) | ミシンの縫い速度データ作成方法 | |
JP2008086370A (ja) | ミシン | |
CN101768838B (zh) | 缝纫机的缝制数据生成装置 | |
KR20060116727A (ko) | 재봉기 | |
US20080223273A1 (en) | Sewing machine | |
JP5438482B2 (ja) | ミシ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装置及びミシンの縫製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 |
JP2009240384A (ja) | ミシン | |
US10718077B2 (en) | Sewing machine | |
JP4564311B2 (ja) | ミシン | |
JP2010179014A (ja) | ミシン及び糸張力設定プログラム | |
JP2008012048A (ja) | ミシ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