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031A -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031A
KR20020018031A KR1020010051814A KR20010051814A KR20020018031A KR 20020018031 A KR20020018031 A KR 20020018031A KR 1020010051814 A KR1020010051814 A KR 1020010051814A KR 20010051814 A KR20010051814 A KR 20010051814A KR 20020018031 A KR20020018031 A KR 2002001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impact
sorting
paddy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소이치
사이토아키오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소이치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62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663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35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19875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소이치,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모토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야마모토 소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충격 도정(搗精) 요동 선별 장치(10)는 충격 도정부(10A)와 요동 선별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충격 도정부(10A)는 회전 날개(18)에 의해 벼(M)를 방사형으로 방출하여 충격력에 의해 도정한다. 요동 선별부(10B)는 요동 선별판(74)의 요동에 의해 현미(G), 혼합미(K) 및 벼(M)를 선별한다. 요동 선별부(10B)에서 선별된 후의 벼(M)는 벼 복귀구(84)로부터 낙하하여 벼 홈통(90)을 통해 충격 도정부(10A)의 공급구(14)로 직접 반송된다. 따라서, 이 벼(M)를 충격 도정부(10A)로 반송하기 위한 특별한 기기(스크류 컨베이어나 벼 복귀 스로어 등)가 불필요하고, 결과적으로 부품수가 저감되어 장치 코스트가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Description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APPARATUS FOR HULLING RICE BY IMPACT AND SORTING BY VIBRATION}
본 발명은 공급된 벼로부터 왕겨를 제거(도정(搗精))하여 현미를 인출하는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에서 수확한 직후의 벼의 수분치(함수율)는, 통상의 경우 22 내지 28% 정도이다. 이러한 벼는 일반적으로 건조기에 의해 수분치가 15 내지 16%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도정기로 도정하여 현미로 된다(시판되는 현미의 수분치는 15내지 16%이다).
현재 공급된 벼를 도정하여 현미를 인출하는 도정 선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정 선별 장치는 공급된 벼를 도정하는 도정부와, 이 도정부에서 도정한 후의 도정미(현미 및 도정이 안된 벼)에서 현미를 선별하여 인출하는 선별부를 갖추고 있다(일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1-15743호 공보)
상기 공보에 개시(開示)된 도정 선별 장치에서, 도정부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회전 날개를 가지며, 공급된 벼를 원심력으로 방출하여 외주 케이스에 충돌시키고, 그 충격력에 의해 도정하는 충격 도정기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선별부는 상하 복수단으로 배치된 망(網)부재(소위, 만석망(万石網))을 가지며, 도정된 후의 도정미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면서 도정이 안된 벼와 현미를 순차적으로 분리 선별하는 만석 선별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정 선별 장치는 저가이며, 소규모 농가에는 적합하지만 처리 능력이 작고 선별 정밀도도 낮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처리 능력이 클뿐만 아니라 선별 정밀도도 높고, 대규모 농가나 대규모 시설에 적합한 도정 선별 장치를 이미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다(일예로서, 일본 특개 2000-61332호 공보).
상기 공보에 개시된 도정 선별 장치에서, 도정부는 서로 대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약간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는 한 쌍의 도정롤(고무롤)을 가진 롤 도정기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한 쌍의 도정롤 사이를 벼가 통과할 동안 비벼져서 도정된다. 또한 선별부는 3차원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요동 선별판을 가진 요동 선별기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복수의 요동 선별판이 좌우로 요동(진동)함으로써, 도정미(搗精米)로부터 현미, 벼 및 이들이 혼재하는 혼합미가 선별된다. 또한 상기 도정미로부터 선별된 현미는 장치 외부로 인출되고, 도정이 안된 벼는 다시 도정부로 반송되며, 양자가 혼재하는 혼합미는 다시 요동 선별판 위로 공급된다.
또한 이 요동 선별판에 의한 도정미의 선별 기술(요동식 선별 장치)은 이미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다(일본 특공평 2-4349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롤 도정기 및 요동 선별기를 구비한 도정 선별 장치는 처리 능력이 크고 또한 선별 정밀도도 높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비교적 고가이다. 다시 말해, 요동 선별부에서 도정미는 현미, 벼 및 이들이 혼재하는 혼합미로 선별되지만, 선별한 후에 도정이 안된 벼를 다시 롤 도정기의 한 쌍의 도정롤 상류 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나 벼 복귀 스로어(thrower)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부품수가 많아짐으로써 장치의 코스트가 높아졌다. 따라서 소규모 농가에서는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채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규모 농가에서도 처리 능력이 크고 또한 선별 정밀도도 높은 도정 선별 장치의 사용(운용)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 농가의 개별적 형편에 따라 「논에서 수확한 직후의 벼를 그대로 도정기로 도정한 후, 현미를 수분치가 15 내지 16%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확한 벼를 그대로 도정한 후, 현미를 수분치가 15 내지16% 정도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면, 종래의 도정 선별 장치에서는 이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롤 도정기와 요동 선별기를 갖춘 도정 선별 장치에서는, 아직 건조되지 않은 벼를 한 쌍의 도정롤로 도정하려고 해도, 롤 원주 속도 차이에 의한 왕겨의 분리가 어려워(벼가 비벼지기 어려움), 도정률이 극히 나빠지며 최악의 경우에는 거의 도정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충격 도정기와 만석(万石) 선별기를 갖춘 도정 선별 장치에서는 아직 건조가 안된 벼를 도정하여 현미를 선별하고자 해도 만석망(万石網) 위에서는 벼나 현미의 슬라이딩이 좋지 않아, 선별 성능이 극히 나쁘며 최악의 경우에는 선별 처리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롤 선별기와 만석 선별기를 갖춘 도정 선별 장치에서는 도정 능력과 선별 능력에 관한 두 가지의 문제점이 중복해서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에 적용한 충격 도정부와 종래의 도정 선별 장치에 적용된 롤 도정기에 의한 처리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도시하는 비교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건조 처리 전의 벼에서도 확실한 도정 및 선별 처리를 할 수가 있어, 처리 능력이 코고 또한 선별 정밀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저가의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를 얻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회전 날개와, 벼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벼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벼를 원심력에 의해 방출하고, 부재에 대한 충격력에 의해 도정하는 충격 도정부와, 또한 복수의 요동 선별판과 벼 배출구를 가지며, 도정된 후의 도정미를 이 요동 선별판에 의해 현미와 벼로 선별하고, 상기 현미는 외부로 인출하며 상기 벼는 상기 벼 배출구에서 배출하는 요동 선별부를 구비한다.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에서는, 충격 도정부로 공급된 벼는 원심력에 의해 방출되어 부재와 충돌하며, 이 때의 충격력에 의해 도정된다. 도정된 후의 도정미(현미 및 도정이 안된 벼)는, 요동 선별부의 요동 선별판 위로 공급되며 이 요동 선별판이 좌우로 요동함으로써, 현미, 벼 및 이들이 혼재하는 혼합미로 선별된다. 또한 상기 도정미로부터 선별된 현미는 장치 외부로 인출되며, 도정이 안된 벼는 다시 충격 도정부롤 반송되고, 양자가 혼재하는 혼합미는 다시 요동 선별판 위로 공급된다.
여기서,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는 도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된 벼를 원심력에 의해 방출하여 부재에 대한 충격력에 의해 도정하는 충격 도정부를 채용하고 있으며, 또한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서, 요동 선별판에 의해 도정미를 현미와 벼로 선별하고 현미를 외부로 인출하는 요동 선별부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일 수확한 벼를 그대로 도정한 후, 현미를 소정의 수분치까지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해도, 충격 도정부에 의해 도정하기 때문에 벼의 수분치가 높아도 도정 능력에 대한 영향은 없으며, 또한 요동 선별기의 요동 선별판의 요동에 의해 선별하기 때문에, 현미의 수분치가 높아도 선별 처리 능력에 대한 영향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에서는, 건조 처리 전의 벼도(환언하면, 벼나 현미의 수분치에 상관없이) 도정 처리 및 선별 처리를 확실히할 수 있어, 처리 능력이 크고 또한 선별 정밀도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도정부의 벼 공급구와 상기 요동 선별부의 벼 배출구가 연통하면, 상기 요동 선별부에서 배출되는 벼를 상기 충격 도정부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충격 도정부로 직접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필요하였던, 선별 후의 벼를 롤 도정기로 반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나 벼 복귀 스로어가 불필요하며, 결과적으로 부품수가 절감됨으로써 장치 코스트가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소규모 농가에서도 처리 능력이 크고 또한 선별 정밀도가 높은 도정 선별 장치의 사용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가 있다.
◆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 대한 전체 구성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 대한 전체 구성의 평면도이다.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는, 공급된 벼(M)를 도정하여 현미(G)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며, 전체적으로 충격 도정부(10A)와 요동 선별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충격 도정부(10A)에는, 상면으로 개구된 벼 공급 호퍼(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벼 공급 호퍼(12)에 벼(M)가 투입된다. 이 공급 호퍼(12)는 개구부가 직사각형이며 저부(底部)에 이르면서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벼 공급 호퍼(12)의 최저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급구(14)가 설치되며, 벼(M)는 이공급구(14)로부터 순차적으로 충격 도정부(10A)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벼 공급 호퍼(12)의 공급구(14)는, 충격 도정부(10A)를 구성하는 외주 케이스(16)의 중심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외주 케이스(16) 내에는 복수의 회전 날개(18, 일종의 블로어)가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고속으로 회전한다. 상기 공급구(14)로부터 외주 케이스(16) 내의 중심부로 유입된 벼(M)는, 이 회전 날개(18)에 의해 원심력이 부여되어 방사형으로 방출된다. 외주 케이스(16)의 내주에는 라이닝판(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날개(18)에 의해 원심력이 부여되어 방사형으로 방출된 벼(M)는, 라이닝판(20)과 충돌하며, 이 때의 충격력에 의해 도정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라이닝판(20)과 충돌하여 도정된 벼(M)를 도정미(S)라 부른다. 이 도정미(S)는 도정된 다량의 현미(G)와, 도정이 안된 소량의 벼(M) 및 왕겨(N)를 포함하고 있다.
외주 케이스(16)로부터는 상방으로 안내통(2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풍력 선별실(3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정미(S)는 안내통(22)을 경유하여 풍력 선별실(30)로 안내된다.
풍력 선별실(30)에는 복수의 망판(24) 및 격벽(26)에 의해 풍력 선별로(34, 36)가 설치되어 있으며, 풍력 선별실(30)로 안내된 도정미(S) 중에 혼입된 왕겨(N) 및 쭉정이 벼(T, 껍질 뿐이며 알갱이가 거의 없는 미숙한 벼)가 충격 도정부(10A)의 회전 날개(18)와 동축 상에 병설된 왕겨 배출 블로어(풍력 선별실(30) 내의 하방에 있으며, 도시하지 않음)의 흡인력에 의해 흡인된다. 흡인된 왕겨(N)는 풍력 선별로(34) 및 왕겨 배출 블로어의 왕겨 배출 홈통(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쭉정이 벼(T)는 왕겨(N)보다 무겁기 때문에, 흡입에 의한 약간의 상승이 이루어지지만 풍력 선별로(34)까지는 상승하지 못하고 낙하하여 풍력 선별로(36, 風力選別路)에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풍력 선별실(30) 측방에는, 벼 홈통(48)이 풍력 선별실(30)의 스크린(37, 網板) 부분과 연통해 있으며, 풍력 선별실(30)을 통과하여 왕겨(N) 및 쭉정이 벼(T)가 제거된 도정미(S)를 혼합미(K)라 부른다. 즉, 이 혼합미(K)에는 다량의 현미(G)와 소량의 벼(M)가 혼재되어 있다.
벼 홈통(48)의 하방(충격 도정부(10A)의 측방)에는 요동 선별부(10B)가 배치되어 있으며, 벼 홈통(48)을 통과한 혼합미(K)는 요동 선별부(10B)로 안내된다.
요동 선별부(10B)의 한 쪽(도 1 지면의 좌측)에는, 분배 홈통(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배 홈통(72)은 각각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며 적층 배치된 복수의 요동 선별판(74)과 각각 연통되어 있으며, 벼 홈통(48)에서 오는 혼합미(K)를 각 요동 선별판(74)으로 각각 균등하게 분배 공급한다.
요동 선별판(74)은 그 하나의 모서리부(도 1의 좌측 안쪽)의 위치가 이 모서리부의 대각선 상에 있는 모서리부의 위치보다 높아지도록 조정되어 3차원적으로 경사져 있다. 즉, 요동 선별판(74)은 도 1에서, 요동 선별판(74)의 우측이 높고 좌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또한 지면 안쪽이 높고, 지면 앞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 요동 선별판(74)의 표면 전체에는 우측면이 바로 서고 좌측면은 완만히 경사진 대략 3각형의 단면을 가진 무수한 돌기(76)가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분배 홈통(72) 및 복수의 요동 선별판(74)으로 이루어지는 요동 선별부(10B, 그 본체 부분)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 구동력이 크랭크 기구(캠 기구)에 의해 왕복 구동력으로 변환되어,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 선별판(74) 위로 공급된 혼합미(K)는, 이 요동 선별판(74)의 좌우 요동에 의해, 현미(G), 벼(M, 도정 안된 것) 및 이들이 혼재하는 혼합미(K)로 선별된다.
즉, 비중이 큰 현미(G)는 혼합미 층의 하방으로 가라앉아 상기 돌기(76)에 의해 압출되면서 요동 선별판(74)의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이행하며, 비중이 작은 벼(M)는 혼합미 층의 상방으로 떠올라 층의 표면 위를 미끄러 떨어지면서 요동 선별판(74)의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행한다. 그 이행 정도의 차이에 따라 요동 선별판(74) 위에서 도 1의 우측 영역에 현미(G), 중앙 영역에 혼합미(K), 좌측 영역에 벼(M)가 집중함으로써 선별(분리)된다. 이 현상은 요동 선별판(74)의 안쪽(공급측)에서 앞쪽으로 혼합미 등의 자연스러운 이행과 더불어 서서히 그리고 확실히 나타난다. 요동 선별판(74) 위의 현미(G), 혼합미(K) 및 벼(M)(이하 혼합미 등이라 한다)는 각 단의 요동 선별판(74) 앞쪽에서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요동 선별판(74)의 낙하측 단부(도 1의 지면 앞쪽 단부)에는 고정 칸막이판(78)과 이동 칸막이판(80)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칸막이판(7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판(74)에 의해 선별된 벼(M)와 혼합미(K)의 경계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도 1에서 이 고정 칸막이판(78)의 좌측으로는 벼(M)가 낙하하며, 고정 칸막이판(78)의 우측으로는 혼합미(K)가 낙하한다. 한편, 이동 칸막이판(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판(74)에 의해 선별된 혼합미(K)와 현미(G)의 경계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도 1에서 이 이동 칸막이판(80)의 좌측으로는 혼합미(K)가 낙하하며, 이동 칸막이판(80)의 좌측으로는 현미(G)가 낙하한다.
또한, 이들 고정 칸막이판(78) 및 이동 칸막이판(80)의 하방에는 요동 배출 홈통(82)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동 배출 홈통(82)에는 벼 복귀구(84), 혼합미 배출구(86) 및 현미 배출구(8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칸막이판(78)에 의해 선별된 벼(M)는 벼 복귀구(84)로 안내되고, 또한 고정 칸막이판(78)과 이동 칸막이판(80)에 의해 선별된 혼합미(K)는 혼합미 배출구(86)로 안내되며, 이동 칸막이판(80)에 의해 선별된 현미(G)는 현미 배출구(88)로 안내된다.
벼 복귀구(84)의 부근에는 벼 복귀 홈통(90)이 설치되어 있어, 벼 복귀구(84)로 안내된 벼(M)는 벼 복귀 홈통(90)으로 낙하한다. 또한 이 벼 복귀 홈통(90)은 전술한 충격 도정부(10A)의 벼 공급 호퍼(12)의 공급구(14)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벼 복귀구(84)로부터 벼 복귀 홈통(90)으로 낙하한 벼(M)는 충격 도정부(10A)의 회전 날개(18)의 흡인력에 의해 흡인되어 다시 충격 도정부(10A)로 직접 반송된다. 즉, 벼 복귀구(84)에서 낙하하는 것은 요동 선별부(10B)에 의해 선별된 후 다시 한번 충격 도정부(10A)에 의해 도정이 필요한 벼(M)이며, 이를 위해 벼(M)는 요동 선별부(10B)로부터 벼 복귀구(84)로 송입된다.
한편, 혼합미 배출구(86)는 혼합미 복귀 스로어(52)와 연결되어 있다. 혼합미 복귀 스로어(52)는 전술한 충격 도정부(10A)의 풍력 선별실(30)의 망판(37) 부분과 연통되어 있다. 즉, 혼합미 배출구(86)에서 낙하하는 혼합미(K)는 다시 한번 선별이 필요한 것이며, 이를 위해 요동 선별부(10B)의 분배 홈통(72)으로 혼합미(K)가 송입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혼합미 배출구(86)에서 배출된 혼합미(K)는 다시 한번 요동 선별부(10B)에서 선별된다.
또한 현미 배출구(88)에는 현미 배출 셔터(106)가 설치되어 있다. 현미 배출 셔터(106)는 현미 배출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장치의 운전 개시 직후부터 소정 시간(즉, 준비 시간)은, 요동 선별부(10B)에 의한 선별이 완전하지 못하여, 도 1의 요동 선별판(74)의 우측단에도 혼합미(K)가 존재하는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준비 기간 동안은 현미 배출구(88)를 현미 배출 셔터(106)에 의해 닫아 두고, 전체를 혼합미 배출구(88)로 안내한다. 준비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자동적으로 현미 배출 셔터(106)가 개방되어 현미(G)는 현미 배출구(88)로부터 배출된다.
이 현미 배출구(88)는 현미 배출 스로어(108)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현미 배출구(88)에서 배출된 현미(G)는 현미 배출 스로어(108)에 의해 튀어 나와 현미 배출 홈통(1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충격 도정부(10A)의 벼 공급 호퍼(12)로 벼(M)가 투입된 후, 장치의 운전이 개시되면, 벼(M)는 순차적으로 충격 도정부(10A) 외주 케이스(16) 내의 중심부로 유입되어, 회전 날개(18)에 의해 원심력을 부여 받아 방사형으로 방출된다. 방출된 벼(M)는 라이닝판(20)과 충돌하고 이 때의 충격력에 의해 도정된다. 도정된 도정미(S)는 순차적으로 풍력 선별실(30)로 유입되며, 그 속에 혼입된 왕겨(N) 및 쭉정이 벼(T) 등이 충격 도정부(10A)의 회전 날개(18)와 동축 상에 병설된 왕겨 배출 블로어의 왕겨 배출 홈통(4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또한 쭉정이 벼(T)도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풍력 선별실(30)을 통과하여 왕겨(N) 및 쭉정이 벼(T)가 제거된 혼합미(K)는 홈통(48)을 통해 요동 선별부(10B)로 안내된다.
요동 선별부(10B)에서는 혼합미(K)가 분배 홈통(72)으로부터 각각 균등하게 요동 선별판(74) 위의 장치의 안쪽으로 분배 공급된다. 각각의 요동 선별판(74) 위에 공급된 혼합미(K)는 이 요동 선별판(74)의 좌우 요동에 의해 현미(G), 벼(M) 및 이들이 혼재하는 혼합미(K)로 선별된다.
또한, 선별된 벼(M)는 고정 칸막이판(78)에 의해 벼 복귀구(84)로 안내되고, 이 벼 복귀구(84)에서 벼 복귀 홈통(90)을 통해 다시 충격 도정부(10A)로 직접 반송된다. 또한 선별된 혼합미(K)는 고정 칸막이판(78)과 이동 칸막이판(80)에 의해 혼합미 배출구(86)로 안내되고, 여기서 배출되어 혼합미 복귀 스로어(52)에 의해 충격 도정부(10A)의 풍력 선별실(30)의 망판(37) 부분으로 반송된다. 그 결과, 이 혼합미(K)는 다시 한번 요동 선별부(10B)의 분배 홈통(72)으로 보내지며, 다시 요동 선별부(10B)에서 선별된다.
한편, 선별된 현미(G)는 이동 칸막이판(80)에 의해 현미 배출구(88)로 안내되고, 여기서 배출되어 현미 배출 스로어(108)에 의해 튀어 나와 현미 배출 홈통(1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도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공급된 벼(M)를 원심력에 의해 방출하고 라이닝판(20)에 대한 충격력에 의해 도정하는 충격 도정부(10A)가 채용되어 있으며, 또한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서, 요동 선별판(74)에 의해 현미(G)와 벼(M)로 선별하여, 현미(G)를 외부로 인출하는 요동 선별부(10B)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충격 도정부(10A)의 벼 공급 호퍼(12)의 공급구(14)와, 요동 선별부(10B)의 벼 복귀구(84)가 벼 복귀 홈통(90)을 통해 직접 연통되어 있으며, 요동 선별부(10B)로부터 배출되는 벼(M)를 충격 도정부(10A)의 회전 날개(18)의 흡인력에 의해 충격 도정부(10A)로 직접 반송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한 쌍의 도정롤을 가진 롤 도정기를 갖춘 장치에 필요하였던, 선별 후의 벼를 롤 도정기로 반송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나 벼 복귀 스로어가 불필요하며, 결과적으로 부품수가 절감됨으로써 장치 코스트가 전체적으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소규모 농가에서도 처리 능력이 크고 또한 선별 정밀도가 높은 도정 선별 장치의 사용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처리하는 벼(M)가 소정 수분치까지 건조되어 있지 않아도, 도정 및 선별 처리를 확실히 실시할 수가 있다. 즉, 예를 들어, 만일 수확한 벼(M)를 건조시키지 않고(수분치가 22 내지 28% 정도) 그대로 도정한 후, 현미(G)를 소정 수분치까지 건조시키는 방식을 채용해도, 이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충격 도정부(10A)에 의해 도정하기 때문에, 벼의 수분치가 높아도 도정 능력에 대한 영향이 없고, 또한 요동 선별부(10B)의 요동 선별판(74)의 요동에 의해 선별하기 때문에, 현미(G, 도정된 도정미(S))의 수분치가높아도 선별 능력에 대한 영향은 없으며, 따라서 도정 및 선별 처리를 확실히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는 본 출원인이 실험에 의해 얻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 적용한 충격 도정부(10A)와 종래의 도정 선별 장치에 적용되었던 롤 도정기에 의한 도정률과 벼(M)의 수분치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벼(M)의 도정률은 93%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도정 선별 장치에 적용되던 롤 도정기에서는, 아직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벼(M, 수분치가 28%나 22%의 것)를 도정 처리하고자 해도 도정률이 극히 나빠 확실한 도정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 적용된 충격 도정부(10A)는 아직 충분히 건조시키지 않은 벼(M)를 도정하는 경우에도 확실한 도정 처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 적용한 충격 도정부(10A)는 벼(M)의 품종 및 그 수분치에 상관없이 확실한 도정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10)에서는 건조 처리 전의 벼도 도정 처리 및 선별 처리를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처리 능력과 높은 선별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가이다.

Claims (2)

  1. 방사형으로 배치된 회전 날개와 벼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벼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벼를 원심력에 의해 방출하여 부재에 대한 충격력에 의해 도정(搗精)하는 충격 도정부와, 복수의 요동 선별판과 벼 배출구를 가지며, 도정된 후의 도정미를 상기 요동 선별판에 의해 현미와 벼로 선별하여 상기 현미는 외부로 인출하고 상기 벼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요동 선별부를 구비한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도정부의 벼 공급구와 상기 요동 선별부의 벼 배출구가 연통한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KR1020010051814A 2000-08-31 2001-08-27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KR20020018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2768A JP2002066356A (ja) 2000-08-31 2000-08-31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JPJP-P-2000-00262768 2000-08-31
JPJP-P-2000-00313579 2000-10-13
JP2000313579A JP2002119875A (ja) 2000-10-13 2000-10-13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031A true KR20020018031A (ko) 2002-03-07

Family

ID=3747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814A KR20020018031A (ko) 2000-08-31 2001-08-27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03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23A (ko) * 1983-07-25 1985-03-14 강상두 탈부기를 위한 탈부립 회수장치
KR850001025A (ko) * 1983-07-26 1985-03-14 강상두 탈부기의 구조
KR940000396U (ko) * 1992-06-03 1994-01-03 안진섭 일회용 기저귀
JPH10156199A (ja) * 1996-12-03 1998-06-16 Taiwa Seiki:Kk 籾すり調整機
KR19990009871U (ko) * 1997-08-25 1999-03-15 강상두 정미기의 현미 리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023A (ko) * 1983-07-25 1985-03-14 강상두 탈부기를 위한 탈부립 회수장치
KR850001025A (ko) * 1983-07-26 1985-03-14 강상두 탈부기의 구조
KR940000396U (ko) * 1992-06-03 1994-01-03 안진섭 일회용 기저귀
JPH10156199A (ja) * 1996-12-03 1998-06-16 Taiwa Seiki:Kk 籾すり調整機
KR19990009871U (ko) * 1997-08-25 1999-03-15 강상두 정미기의 현미 리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1570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flour milling
US5846591A (en)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KR20020018031A (ko) 충격 도정 요동 선별 장치
US6082550A (en) Cooling and sieve drum for tobacco material
JP2002066356A (ja)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JPS6323750A (ja) 籾摺選別装置
JP2001252577A (ja) 籾摺機
JP7408055B2 (ja) 籾摺選別機
JP2002119875A (ja)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JP2003305412A (ja) 揺動選別装置
SU1660730A1 (ru) Машина дл отделени зародыша от зерна кукурузы
KR860000521B1 (ko) 현미기의 왕겨 처리풍구
JP2003260376A (ja) 衝撃脱ぷ揺動選別装置
JP2003170067A (ja) インペラ羽根型籾摺選別機
JP3870853B2 (ja) 揺動選別型籾摺選別機
JP2003320262A (ja) 籾摺機
JP4483122B2 (ja) 籾摺選別機における風量調節装置
JPS645938B2 (ko)
JP2001205113A (ja) 脱ぷ装置
JPH06226210A (ja) 籾摺選別機等の吸引排塵機
JP2001029808A (ja) 籾摺装置
JP2001276632A (ja) 脱ぼう機を備える穀粒精選設備及び脱ぼう工程を備える穀粒精選方法
JPH0929114A (ja) 籾摺精米機
JP2003290671A (ja) 籾供給装置
JP2002035617A (ja) 揺動選別型籾摺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