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751A - 자동 완충경첩 - Google Patents

자동 완충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751A
KR20020006751A KR1020000040125A KR20000040125A KR20020006751A KR 20020006751 A KR20020006751 A KR 20020006751A KR 1020000040125 A KR1020000040125 A KR 1020000040125A KR 20000040125 A KR20000040125 A KR 20000040125A KR 20020006751 A KR20020006751 A KR 2002000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cylinder
fixing
circumferential surfa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79B1 (ko
Inventor
이원옥
Original Assignee
이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옥 filed Critical 이원옥
Priority to KR10-2000-004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679B1/ko
Priority to KR2020000020065U priority patent/KR200205937Y1/ko
Publication of KR2002000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여닫이 문짝의 개폐동작을 스프링작용으로 완충시키는 자동 완충경첩에 관한 것으로, 날개의 일측 중앙부분에서 돌출되어 날개와 일체인 중앙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공을 형성한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중앙실린더를 수용하는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를 날개의 일측 상하부분에 형성하되, 상기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하측 외주면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측 내주면에는 테두리홈을 형성한 제2연결편과; 상기 테두리홈 상측에 중앙 작업공과 래치를 형성한 하부 래치구를 용착고정하되, 상기 하부 래치구의 상측에서 치합되는 래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 테두리면에 토션스프링의 하단고정돌기를 삽입하는 하단고정홈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상단 중앙에서 연장 성형된 축삽입돌기를 구비한 역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의 축삽입돌기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축과, 이 수용축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몸체를 구비하되, 원형몸체의 하측 테두리면에 상단 고정홈을 형성하여 토션스프링의 상단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중앙실린더의 고정공에 핀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완충부를 더 구비한 자동완충경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완충경첩{Automatic Shock-absorbing Hinge}
본발명은 자동 완충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의 개폐시 스프링의 비틀림 작용과 압축 작용에 의하여 닫히는 속도를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하며 문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자동 완충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첩은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문틀과 문짝에 각기 장착되는 좌우의 연결편이 구비되고, 좌우의 연결편 사이를 힌지 결합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문짝이 회전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첩은 단순히 문을 여닫을 수 있는 경첩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문이 닫힐 때 완충작용을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문짝과 문틀에 별도의 도어클로우져를 설치하여 유압작용에 의하여 닫히는 속도를 완충시켜 왔다.
하지만, 도어클로우져는 경첩이외에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의 증가와 이를 설치하는 위치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을 자주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경첩의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이나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이나 유압작용으로 문의 개폐속도를 조절하여 완충시키는 자동 완충경첩이 발명되어 일반적인 경첩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형적인 자동 완충경첩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자동 완충경첩은 일측 중앙에 중앙실린더(101)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실린더(101)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공(102)을 형성하여 문틀에 장착되는 제1연결편(103)과, 상기 제1연결편(103)의 중앙실린더(101)를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상부실린더 (104)와 하부실린더(105)를 일측 상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상부실린더(104)의 내주면 상측에 고정기어홈(106)을 형성하며 하부실린더(105) 내주면 하측에 랫치(107)를 형성하여 문짝에 장착되는 제2연결편(108)과, 상기 제2연결편(108)의 하부실린더(105)의 내주면에 수용되어 문짝이 개방될 때 랫치(107)에 걸려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측에 회전방지편(109)을 탄설하고 상측 내주면에 너트수용홈(110)을 형성하며 하부캡(111)으로 하단을 폐쇄하는 회전방지부(112)와, 상기 회전방지부(112)의 너트수용홈(110)에 수용되는 연결너트(113)를 하측중앙에 탄력설치하고 상측 외주면으로는 스프링의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홈(114)을 형성하며 중앙에 축결합돌기(115)를 형성한 회전방지연결부(116)와, 상기 회전방지연결부(116)의 축결합돌기(115)를 하단에 수용하고 중앙 상측에는 기어(117)와 상단에는 나선을 형성한 회전축(118)과, 상기 회전축(118)을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하단을 절곡한 토션스프링(119)과,상기 토션스프링(119)의 상단부가 하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고정홈 (120)을 형성하여 상기 제1연결편(103)의 중앙실린더(101)의 고정공(102)을 거쳐 너트로 고정하고 상측면 테두리에는 다수의 완충홈(121)을 형성한 고정체 (122)와, 상기 고정체(122)의 완충홈(121)에 삽입되어 회전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측면에 완충돌기(123)를 형성하고 내주면으로는 상기 회전축(118)과 연동되도록 기어(117)와 치합되는 완충캡(124)과, 상기 완충캡(124)을 가압할 수 있도록 완충캡(124) 상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편(108)의 상부실린더(104)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기어홈(106)에 치합되는 고정기어(125)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기어 (125)에는 다수의 누름핀(126)을 삽입하고 상기의 누름핀(126)의 상측으로 압축스프링(127)을 형성하고 고정너트로 회전축(118)의 상단과 결합하는 압축부(128)와, 상기의 압축부(128)의 상단을 수용하고 회전축(118)의 상단과 결합하는 상부캡 (129)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완충경첩은 문짝에 장착되어진 제2연결편(108)이 회전하게 되면, 하부실린더(105)에 내장된 회전방지부(12)의 회전방지편(109)이 랫치(107)에 걸리며, 상부실린더(104)에는 고정기어(25)가 고정기어홈(106)에 치합되어 제2연결편(108)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방지부(112)에 연결된 회전방지연결부(116)나 회전축(118) 및 완충캡(124)이 함께 회전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연결편(103)의 중앙실린더 (10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122)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체(122)와 회전방지연결부(116)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는 토션스프링(119)이 비틀리게 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력에 의해 비틀림 탄성력을 갖게 되는 토션스프링(119)은 그 회전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하면서 회전되었던 제2연결편(108)이 원위치되며, 원위치된 상태에서 고정체(122)의 완충홈(121)에 완충캡(124)의 완충돌기(123)가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면서 문의 폐쇄시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 완충경첩은 실린더의 내경이 한정되어 있어 토션스프링의 체적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제한되어서 문의 폐쇄속도를 조절하는 자동닫힘 기능이 미흡하였다.
또한, 문의 회전력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회전방지부, 회전방지연결부, 회전축, 완충캡, 고정기어 등의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되어지는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수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작비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고장이 쉽게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완충경첩의 부품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조립제작이 용이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로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고, 또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문의 폐쇄시 완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완충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날개의 일측 중앙부분에서 돌출되어 날개와 일체인 중앙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공을 형성한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중앙실린더를 수용하는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를 날개의 일측 상하부분에 형성하되, 상기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하측 외주면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측 내주면에는 테두리홈을 형성한 제2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의 하부실린더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테두리홈 상측에 중앙 작업공과 래치를 형성한 하부 래치구를 용착고정하되, 상기 하부 래치구의 상측으로 하부 래치구의 래치와 치합되는 래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 테두리면에 토션스프링의 하단고정돌기를 삽입하는 하단고정홈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상단 중앙에서 연장 성형된 축삽입돌기를 구비한 역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의 축삽입돌기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축과, 이 수용축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몸체를 구비하되, 원형몸체의 하측 테두리면에는 상단 고정홈을 형성하여 토션스프링의 상단고정돌기를 삽입하고, 상측 주면상에는 완충홈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실린더의 고정공에 핀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완충부를 더 구비시켜 완충효율을 더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을 제공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역회전부의 토션스프링 및 완충부의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스프링들의 단면형태를 각각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2a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b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3a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3b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4a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4b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1연결편 20:제2연결편 30:역회전부
40:토션스프링 50:고정부 60,70,80:완충부
61:완충홈 64:완충가이드 67:완충핀
68:완충구 69,79:압축스프링 71,75:수직완충홈
72:상부축 74:수직스톱볼 78:완충편
81:고정링 82:연장부 83:수평완충구멍
85:삽입구멍 86:스프링 87:수평스톱볼
W:와셔 B:압축조절볼트 F:문틀
D:문짝
상기한 바와 같은 본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2a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며, 도3a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3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a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4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완충경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자동 완충경첩은 대별하여 제1연결편, 제2연결편, 역회전부, 토션스프링, 고정부의 기본구성이외에, 완충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기본구성으로도 경첩 고유의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이며, 이후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편(10)은 문틀(F)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나사로 문틀에고정되는 나사구멍들이 형성된 날개(11)와, 이 날개의 일측 중앙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중앙실린더(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구조부로서, 이 중앙실린더(12)의 상측 외주면에는 고정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편(20)은 상기 제1연결편(10)의 중앙실린더(12)를 수용하면서 결합되어 문짝(D)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고정나사로 문짝에 고정되는 나사구멍들이 형성된 날개(21)와, 이 날개의 일측 상하부분에 상기 제1연결편(10)의 중앙실린더 (12)를 수용하는 상부실린더(22)와, 하측 내주면에 테두리홈(26)을 갖는 하부실린더(2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부실린더(22)는 그 상측 내주면에 나선(24)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면에 고정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하부실린더(23)의 테두리홈(26)의 상측으로는 하부 래치구(33)가 용착 고정되며, 하측으로는 하부캡 (C1)이 스냅형태로 결합되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회전부(30)는 하부실린더(23)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어지는 중앙부의 작업공(31)과 래치(32)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래치구(33)와, 이 하부 래치구 (33)의 상측으로는 하부 래치구의 래치(32)와 치합되는 래치(34)가 형성된 회전축 (35)과, 이 회전축(35)의 상측 테두리부 일측면에 토션스프링(40)의 하단고정돌기 (41)가 삽입되어지는 하단고정홈(36)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축삽입돌기 (37)가 회전축(3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을 게재하여 고정부(50)의 수용축 (51) 내부 공간부로 끼워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40)은 회전축(35)의 상측 테두리면과 원형몸체(52)의 하측 테두리면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역회전부의 하단고정홈(36)에 삽입되어지는 하단고정돌기(41)와, 고정부의 상단고정홈(53)에 삽입되어지는 상단고정돌기(42)와, 그 사이의 스프링부(43)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서, 상기 스프링부(43)는 그 비틀림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면의 형태를 원형보다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50)는 중앙실린더(12)에 고정되어지는 구조로서, 상기 회전축 (35)의 축삽입돌기(37)의 단부를 스프링(38)을 게재하여 내부의 공간부에 수용하는 수용축(51)과, 상기 수용축보다 큰 직경의 원형몸체(5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부로서, 이 원형몸체(52)의 하측 테두리부 일측면에는 토션스프링(40)의 상단고정돌기 (42)를 삽입하는 상단고정홈(53)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면상에 끼움공(54)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편(10)의 중앙실린더(12)의 고정공(13)을 통하여 이 끼움공(54)에 핀(55)으로 고정되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부(50)는 상기 중앙실린더(12)의 고정공(13)을 거쳐 이 끼움공(54)에 핀(55)으로 고정되는 부분의 하부 구조로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의 주요구성인 제1연결편(10), 제2연결편(20), 역회전부(30), 토션스프링(40) 및 고정부(50)의 구성은 모두가 동일한 구조임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경첩의 대표적인 실시예들로서, 완충부(60)의 구성이 제1실시예는 핀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이며, 제2실시예는 수직스톱볼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이고, 제3실시예는 수평스톱볼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이다.
본발명의 제1실시예는 핀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로써, 도2a 및 도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완충부(60)는 고정부의 상단 주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완충홈(61)들이 형성되어, 회전축(35)이 제2연결편 (20)과 함께 회전시 이 완충홈(61)상에 후술하는 1쌍의 완충핀(67)이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는 완충구조이다.
상기 완충부(60)는 1쌍의 가이드구멍(62)이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부실린더의 고정홀(25)을 경유하여 핀(65)으로 고정되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된 완충가이드 (64)와, 이 완충가이드의 상측에서 스프링(66)을 게재하여 1쌍의 가이드 구멍(62)을 경유하여 상기 완충홈(61)들에 면접촉되는 1쌍의 완충핀(67)이 하향돌출된 원판형 완충구(68)와, 상기 원판형 완충구(68)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하동되게 하는 압축스프링(69)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하는 압축조절볼트(B)가 상부실린더(22)의 내주면 나선(24)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원판형 완충구(68)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축스프링(69)은 토션스프링(40)과 마찬가지로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면의 형태를 원형보다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의 제2실시예는 수직스톱볼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로써, 도3a 및 도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부실린더(22)내에 끼워지는 완충편(78)은 그 중앙구멍(77)에 스프링(73)을 게재하여 상측으로 연장돌출된 중앙부의 상부축(72)이 끼워져서, 회전축(35)이 제2연결편(20)과 함께 회전시 상기 고정부의 상측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1)들과 완충편(78)의 하면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5)들 사이에서 다수의 수직스톱볼(74)들이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는 완충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70)는 상기 고정부의 상측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1)들과, 완충편(78)의 원활한 상하작동을 위하여 스프링(73)을 게재하여 상부축(72)에 축설되는 완충편(78)의 하측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5)들 사이에 다수의 수직스톱볼(74)들을 끼워, 상기 완충편(78)의 외주면 테두리에 돌출형성된 삽입돌기(76)가 상부 실린더(22)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 (27)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완충편(78)의 상측으로는 완충편을 가압하도록 압축스프링(79)을 설치하고, 이 압축스프링(79)의 상단에 지지되는 압축조절볼트(B)를 상부실린더(22)의 상측 내주면의 나선(24)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스프링은 압축의 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면의 형태를 원형보다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의 제3실시예는 수평스톱볼 구성에 의한 완충구조형태로써, 도4a 및 도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80)는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에 용착된 고정링(81)의 주면상에 일정간격으로 수평완충구멍(83)들을 형성하여, 회전축 (35)이 제2연결편(20)과 함께 회전시 이 수평완충구멍(83)상에 후술하는 연장부 (82)의 상단을 관통하여 끼워진 스프링(86)에 탄성지지되고 있는 1쌍의 수평스톱볼 (87)이 인입되었다가 인출되는 완충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80)는 외주면상에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다수의 수평완충구멍 (83)들이 형성되고, 상측 내면에 나선(84)이 형성된 고정링(81)을 상부실린더(22)의 상측 내주면에 용착시키고, 고정부의 상측으로 원형몸체를 연장시켜서 이 연장부(82)의 상단부근에서 연장부(82)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구멍(85)내에 스프링 (86)을 삽입하여, 이 스프링(86)의 양단부에 제2연결편(20)의 상부실린더(22)의 상측 내주면에 용착된 고정링(81)의 내주면에 면접촉되는 상기 수평스톱볼(87)들을 탄성지지하도록 설치하고, 고정링(81)의 상단 나선(84)에 착탈되는 상부캡(C2)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W는 중앙실린더와 상, 하부실린더 사이에 각각 끼워지는 와셔이고, C1은 하부실린더의 테두리홈(26)에 스냅식으로 착탈되는 하부캡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틀에는 자동 완충경첩의 제1연결편(10)을 장착 고정하고, 문짝에는 제2연결편(20)을 장착 연결한 다음, 문을 회전시켜 개방하게 되면 문짝에 장착된 제2연결편(20)의 상부실린더(22)와 하부실린더(2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실린더(22)와 하부실린더(2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실린더(23)의 하측 내주면에 용접 고정된 하부 래치구(33)의 래치(32)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래치구(33)의 래치(32)와 회전축(35)의 하단부에 형성된 래치 (34)가 치합되어 회전축(35)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35)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35)의 스프링 하단 고정홈(36)에 삽입되어 있는 토션스프링(40)의 하단고정돌기(4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토션스프링(40)의 상단고정돌기(42)가 삽입고정된 고정부(50)의 수용축(51)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토션스프링(40)이 비틀리면서 비틀림 탄성력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는 문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문짝(D)을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비틀림 탄성력을 갖고 있는 토션스프링(40)이 비틀림 탄성력이 해제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으로 문짝은 원위치되며, 문짝이 원위치될 때 상부실린더(22)내의 완충부에서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토션스프링(40)의 복원력을 단계적으로 완충시키면서 문짝을 서서히 닫히게 하여 문을 폐쇄상태로 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에서의 완충작용은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작용은 압축스프링(69)이 완충구(68)를 밀어서 압축함으로써 1쌍의완충핀(67)의 단부가 고정부의 상측 외주면에 형성된 완충홈(61)에 밀착되어 제2연결편(20)의 회전시 상기 1쌍의 완충핀(67)의 단부가 완충홈(61)내에 인입과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단계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작용은 도3a 및 도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79)이 완충편(78)을 가압시키면서 삽입돌기(76)가 외주에 형성된 완충편(78)과 상부실린더(22)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고정부의 상면 외주상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1)들과 완충편(78)의 하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수직완충홈(75)들 사이에서 수직스톱볼(74)들이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단계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작용은 도4a 및 도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실린더(22)의 상측 내주면에 용착된 고정링(81)은 주면상에 다수의 수평완충구멍(83)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을 연장 형성한 연장부(82)의 상측부 삽입구멍 (85)내로 스프링(86)을 삽입하여 이 스프링의 양단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 수평스톱볼(87)들이 상기 제2연결편(20)이 회전할 때 상부실린더(22)의 내주면에 용착된 고정링(81)의 수평완충구멍(83)들내에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단계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본발명은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닫힘 기능 및 닫힐 때의 완충기능을 겸하는 자동 완충경첩을 구현하였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발명을 특정의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통해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자동 완충경첩의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구성의 단순화로 인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높으며, 토션스프링의 탄성을 증가시킨 완충의 구조변형으로 인해 문의 폐쇄시 완충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자동 완충경첩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신뢰성을 제고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날개의 일측 중앙부분에서 돌출되어 날개와 일체인 중앙실린더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공을 형성한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의 중앙실린더를 수용하는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를 날개의 일측 상하부분에 형성하되, 상기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하측 외주면에는 고정홀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실린더의 하측 내주면에는 테두리홈을 형성한 제2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의 하부실린더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테두리홈 상측에 중앙 작업공과 래치를 형성한 하부 래치구를 용착고정하되, 상기 하부 래치구의 상측으로 하부 래치구의 래치와 치합되는 래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 테두리면에 토션스프링의 하단고정돌기를 삽입하는 하단고정홈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상단 중앙에서 연장 성형된 축삽입돌기를 구비한 역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의 축삽입돌기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축과, 이 수용축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원형몸체를 구비하되, 원형몸체의 하측 테두리면에는 상단 고정홈을 형성하여 토션스프링의 상단고정돌기를 삽입하고, 상측 주면상에는 완충홈들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실린더의 고정공에 핀으로 고정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탄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그 단면형태를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완충홈들에 면접촉되는 1쌍의 완충핀이 하향돌출된 원판형 완충구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핀이 삽입되어 상하동되는 완충가이드를 상기 상부실린더의 내부에 고정하되, 상기 원판형 완충구의 상측으로는 원판형 완충구를 가압하도록 압축스프링을 설치하여, 이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지지되는 압축조절볼트를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의 나선에 결합하여서, 제2연결편의 회전시 상기 1쌍의 완충핀들이 완충홈내에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완충시키게 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측 외주면상에 다수의 수직완충홈들을 형성하고, 중앙에 상부축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축에 축설되는 완충편의 하면 수직완충홈들내로 다수의 수직스톱볼들을 끼우고, 상기 완충편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삽입돌기가 돌출되어 상부 실린더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완충편의 상측으로는 완충편을 가압하도록 압축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지지되는 압축조절볼트를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의 나선에 결합하여서, 제2연결편의 회전시 상기 수직스톱볼들이 수직완충홈들 사이에서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완충시키게 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탄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그 단면형태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편의 상부실린더의 상측 내주면에 주면상에 다수의 수평완충구멍들이 형성되고, 상측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고정링을 용착시키고, 상기 고정부의 상측을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여, 이 연장부의 상단부근을 관통하는 삽입구멍내에 스프링을 삽입하고, 이 스프링의 양단부에 수평스톱볼들을 탄성지지하면서 고정링의 내주면에 면접촉시킴으로써, 제2연결편의 회전시 상기 수평스톱볼들이 수평완충구멍들내로 인입 및 인출동작을 반복하면서 완충시키게 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완충경첩.
KR10-2000-0040125A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KR10040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25A KR100406679B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KR2020000020065U KR200205937Y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125A KR100406679B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65U Division KR200205937Y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751A true KR20020006751A (ko) 2002-01-26
KR100406679B1 KR100406679B1 (ko) 2003-11-22

Family

ID=196777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25A KR100406679B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KR2020000020065U KR200205937Y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65U KR200205937Y1 (ko) 2000-07-13 2000-07-13 자동 완충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0667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940A (ko) * 2002-01-21 2003-07-28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66058A (ko) * 2002-02-04 2003-08-09 이동성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KR100443623B1 (ko) * 2002-04-03 2004-08-1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KR100466846B1 (ko) * 2002-02-04 2005-01-24 주식회사 정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현관도어용 정지 경첩
KR100874633B1 (ko) * 2008-04-01 2008-12-17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CN104875748A (zh) * 2015-06-04 2015-09-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联锁控制的站台门摆复式瞭望灯带
WO2021017596A1 (zh) * 2019-07-29 2021-02-04 福州澳诚实业有限公司 一种缓冲铰链
TWI760083B (zh) * 2021-01-26 2022-04-01 吉竣股份有限公司 用於彈簧鉸鍊之基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290A (ko) * 2002-09-19 2004-03-24 (주)대흥메탈 유압식 경첩
KR101108514B1 (ko) * 2004-09-03 2012-01-30 이미재 스프링경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79U (ja) * 1983-11-14 1985-06-0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蝶番
JP2505622Y2 (ja) * 1991-08-02 1996-07-31 チンチュアンチンミーコンイエユーシェンコンシー 自動戸閉め装置
JP2600454Y2 (ja) * 1993-09-24 1999-10-12 双葉金属工業株式会社 蝶番並びにその蝶番を用いた開閉体の取付構造
KR0131492Y1 (ko) * 1995-05-22 1998-12-15 김은규 문 반자동 닫힘과 멈춤 경첩
JP3063024B2 (ja) * 1995-07-27 2000-07-1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ダンパ機構
JP3781465B2 (ja) * 1995-11-29 2006-05-31 株式会社久力製作所 自動閉止装置付き蝶番
KR20000060278A (ko) * 1999-03-13 2000-10-16 장종복 래치형 스프링 경첩
KR200194674Y1 (ko) * 2000-04-20 2000-09-01 김정오 여닫이 문용 경첩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940A (ko) * 2002-01-21 2003-07-28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030066058A (ko) * 2002-02-04 2003-08-09 이동성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KR100466846B1 (ko) * 2002-02-04 2005-01-24 주식회사 정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현관도어용 정지 경첩
KR100443623B1 (ko) * 2002-04-03 2004-08-1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분리형 유압식 및 압축스프링식 오토 도어 클로져
KR100874633B1 (ko) * 2008-04-01 2008-12-17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CN104875748A (zh) * 2015-06-04 2015-09-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带联锁控制的站台门摆复式瞭望灯带
WO2021017596A1 (zh) * 2019-07-29 2021-02-04 福州澳诚实业有限公司 一种缓冲铰链
TWI760083B (zh) * 2021-01-26 2022-04-01 吉竣股份有限公司 用於彈簧鉸鍊之基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37Y1 (ko) 2000-12-01
KR100406679B1 (ko) 200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937Y1 (ko) 자동 완충경첩
JP3998651B2 (ja) 貯蔵庫用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KR101403295B1 (ko)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스프링 조립체
KR20040014235A (ko) 힌지
JP2006515653A (ja) ドア停止具
KR20080038014A (ko) 힌지장치 및 도어기구
CN217401622U (zh) 一种缓冲装置、缓冲组件、及门组件
KR102469188B1 (ko) 안전경첩
KR200426545Y1 (ko) 도어록
KR100773020B1 (ko) 도어록
US10563443B1 (en) Door hinge
CN220487298U (zh) 弹簧式门执手
CN215443502U (zh) 门把手装置及门把手
CN218476644U (zh) 一种电锤切换装置
CN216554934U (zh) 一种铰链
CN216197350U (zh) 一种双向阻尼铰链
CN219962774U (zh) 一种翻盖组件及清洁机器人
CN220101005U (zh) 一种弹性开闭稳定的铰链
JP5215930B2 (ja) 丁番の製造方法、対震丁番及びそれを用いた扉装置
KR200402393Y1 (ko) 밀폐도어 및 도어의 완충힌지장치
CN217106598U (zh) 一种改进的缓冲铰链连接结构
CN116856800A (zh) 弹簧式门执手
KR100812464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JPS61269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