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058A -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 Google Patents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058A
KR20030066058A KR1020020006213A KR20020006213A KR20030066058A KR 20030066058 A KR20030066058 A KR 20030066058A KR 1020020006213 A KR1020020006213 A KR 1020020006213A KR 20020006213 A KR20020006213 A KR 20020006213A KR 20030066058 A KR20030066058 A KR 20030066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shaft
torsion sp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이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성 filed Critical 이동성
Priority to KR102002000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6058A/ko
Publication of KR2003006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05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4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relating to the use of free balls as bearing-surfaces
    • E05D2011/045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relating to the use of free balls as bearing-surfaces located in line with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에 내설된 토션스프링의 상단부를 샤프트의 대경부에 하단부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도어가 완벽하게 닫히도록 한 스프링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정합홈에 내삽되는 하우징과 외주연에 토션스프링이 외삽되어 상기 하부관체에 삽입되어 상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텐션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Spring hinge}
본 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현관도어용 스프링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에 내설된 토션스프링의 상단부를 샤프트의 대경부에 하단부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토션스프링에 의해 일정한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도어가 완벽하게 닫히도록 한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주택이나 사무용 건물의 출입문의 원활한 개/폐를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압을 이용한 도어체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압식 도어체커만으로는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어 이에 부가하여 도어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가 부가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러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에 일정한 탄성을 부여하여 도어가 원위치로 정확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하여 도어의 작동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으로 대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현관도어용 스프링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측면에 취부판이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정합홈에 내삽되는 하우징과 외주연에 토션스프링이 외삽되어 상기 하부관체에 삽입되어 상부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텐션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토션스프링의 하단부는 하부커버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샤프트의 대경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취부판 2a,2b…나선부 3…가이드홈 4…하부관체
5…제1지지체 8…정합홈 10…하부커버 14…텐션하우징
15…토션스프링 20…샤프트 24…상부커버 25…탄성수단
26…취부판 28…상부관체 30…제2지지체 35…하부브라켓트
39…상부브라켓트 40…텐션조절수단 42…체결너트 45…보호캡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외주면의 일정부위에는 문틀에 고정되는 취부판(1)이 일체로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4)로 구성된 제1지지체(5)와, 상기 하부관체(4)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10)와, 상기 하부관체(4)에 내설되는 탄성수단(25)과, 슬라이드부시를 게재하여 상기 하부관체(4)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체(30) 및 상기 탄성수단(25)의 탄성력을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제1지지체(5)는 외주면의 일정부위에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a)이 다수 형성된 취부판(1)을 일체로 결합한 중공형상의 하부관체(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관체(4)의 내주연의 상/하부에는 하부커버(10)와 상부커버(14)를 결합하기 위한 나선부(2a,2b)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텐션하우징(14)에 형성된 돌기(11a)가 결합되는 가이드홈(3)이 수직선상으로 좌/우에 2개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관체(4)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부(2b)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0)는 외주연에 숫나선부(6)가 형성된 체결부(7)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텐션하우징(11)이 내삽되는 정합홈(8)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저부에 하부커버(10)가 일체로 결합된 하부관체(4)에 내설되는 탄성수단(25)은 상기 하부커버(10)에 내삽되는 텐션하우징(14)과 일정한 탄성을 갖는 토션스프링(15)과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15)의 내측에 삽입되는 샤프트(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텐션하우징(14)은 외주연에는 상부관체(4)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2개의 돌기(11a)가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두부(11)와, 상기 두부(11)의 저부에는 하부커버(10)의 정합홈에 결합되는 소경부(12)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두부(11)의 내측에는 토션스프링(15)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이 마련되고, 이 삽입홈(13)의 외측에는 토션스프링(15)의 하부연결편(15a)이 결합되는 체결공(13a)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토션스프링(15)은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코일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상/하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연편편(15a)과 하부연결편(15b)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15)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부커버(24)에 의해서 하부관체(4)에 일체로 결합되는 샤프트(20)는 하부에서부터 토션스프링(15)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편(16)과 저면에 체결공(17a)이 형성된 대경부(17)와, 상기 대경부(17)의 상부에는 상부브라켓트(39)의 저부에 형성된 다각홈(36a)이 결합되는 다각부(18)와 나사부(19)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20)를 하부관체(4)에 일체로 결합하는 상부커버(24)는 외주연에 나선부(21a)가 형성된 체결부(21)의 내측에는 샤프트(20)를 구성하는 대경부(17)가 내삽되는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2)의 중앙에는 통공(23)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체(5)의 상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제2지지체(30)는 도어에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결공(26a)이 형성된 취부판(26)과 내측에 중공부(27)가 마련된 상부관체(28)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부관체(28)의 하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부시(29)를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체(5)와 접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관체(28)에 형성된 중공부(27)에는 텐션조절수단(40)을결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텐션조절수단(40)을 구성하는 하부브라켓트(35)는 상부관체(28)의 중공부(27)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삽입부(31)와 상면에 등간격으로 기어(32)가 형성된 플렌지부(33)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39)는 삽입부(36)와 플렌지부(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샤프트(2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수직선상으로 통공(39a)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부(36)의 하부내측에는 상술한 샤프트(20)에 형성된 다각부(18)에 정합되는 다각홈(36a)이 형성되고, 프랜지부(38)의 저면에는 하부브라켓트(35)의 플랜지부(33)의 상면에 형성된 기어(32)에 치합되는 기어(37)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부브라켓트(39)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0)의 나선부(19)에는 체결너트(42)를 결합하고, 이의 외측에는 각종의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보호캡(45)을 씌운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제1지지체(5)를 구성하는 하부관체(4)의 외주연에 형성된 취부판(1)을 도어프레임(50)에 고정장착하고, 또 제2지지체(30)를 구성하는 상부관체(38)에 고정된 취부판(26)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도어(60)에 일체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제2하우징(30)이 회동함과 동시에 하부관체(4)에 내설되어 있는 샤프트(2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샤프트(20)의 대경부(17)에 마련된 체결공(17a)과 하부관체(4)에 삽입되는 텐션하우징(14)상에 형성된 체결공(13a)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하연결편(15a,15b)이 결합되는 토션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어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탄성이 부여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개방된 도어(60)는 도션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원되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정확하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15)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샤프트(20)의 다각부(18)에는 삽입부(36)의 하단 내측에 형성된 다각홈(36a)이 결합되는 상부브라켓트(39)를 도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렌지부(39)의 저부에 형성된 기어(37)를 다시 하부브라켓트(35)에 배설되어 있는 기어(32)와 치합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토션스프링(15)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탄성이 부여되어 도어의 원위치로 정확하게 복원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관문에 유압도어체커와 정지경첩과 함께 현관도어에 장착하여 도어가 개방된다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에 항시 일정한 탄성력이 부여됨으로써 도어의 원위치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하부관체를 포함하는 제1지지체와; 내측에 정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정합홈에 내삽되는 텐숀하우징과 외주연에 토션스프링이 외삽되어 상기 하부관체에 삽입되어 상부캡에 의해 고정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탄성수단과; 일측면에 취부판이 고정된 중공형의 상부관체로 구성된 제2지지체와; 상기 상부관체에 내삽되는 하부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샤프트의 다각부에 정합되는 상부브라켓트로 구성된 텐션조절수단과; 상기 상부브라켓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 및 보호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을 구성하는 텐션하우징은 하부관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2개의 돌기가 형성된 두부와, 상기 두부의 저부에는 하부커버의 정합홈에 결합되는 소경부와, 두부의 내측에는 토션스프링의 상부 연결편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외측에는 토숀스프링의 하부연결편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토션스프링의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편과 저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상부에는 상부브라켓트의 저부에 형성된 다각홈이 결합되는 다각부와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4. 제1항에 있어서, 토션스프링의 하부연결편은 텐션하우징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고 상부 연결편은 샤프트의 대경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삽입부와 상면에 등간격으로 기어가 형성된 플렌지부로 구성된 상부브라켓트와, 저부에 다각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저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수직선상으로 통공이 형성된 플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KR1020020006213A 2002-02-04 2002-02-04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KR20030066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13A KR20030066058A (ko) 2002-02-04 2002-02-04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13A KR20030066058A (ko) 2002-02-04 2002-02-04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058A true KR20030066058A (ko) 2003-08-09

Family

ID=3222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213A KR20030066058A (ko) 2002-02-04 2002-02-04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60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362B1 (ko) * 2002-02-06 2005-04-15 신유진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583081B1 (ko) * 2004-05-06 2006-05-25 배매동 경첩
WO2008100035A1 (en) * 2007-02-14 2008-08-21 Jong-Bok Jang 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79U (ja) * 1983-11-14 1985-06-0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蝶番
JPH09151663A (ja) * 1995-11-29 1997-06-10 Kuriki Seisakusho:Kk 自動閉止装置付き蝶番
KR20000050941A (ko) * 1999-01-13 2000-08-05 장종복 코일스프링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00051843A (ko) * 1999-01-27 2000-08-16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00056727A (ko) * 1999-02-25 2000-09-15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20006751A (ko) * 2000-07-13 2002-01-26 이원옥 자동 완충경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179U (ja) * 1983-11-14 1985-06-0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蝶番
JPH09151663A (ja) * 1995-11-29 1997-06-10 Kuriki Seisakusho:Kk 自動閉止装置付き蝶番
KR20000050941A (ko) * 1999-01-13 2000-08-05 장종복 코일스프링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00051843A (ko) * 1999-01-27 2000-08-16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00056727A (ko) * 1999-02-25 2000-09-15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20006751A (ko) * 2000-07-13 2002-01-26 이원옥 자동 완충경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362B1 (ko) * 2002-02-06 2005-04-15 신유진 현관도어용 유압경첩
KR100583081B1 (ko) * 2004-05-06 2006-05-25 배매동 경첩
WO2008100035A1 (en) * 2007-02-14 2008-08-21 Jong-Bok Jang Fre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3262A (en) Spring hinge
US7003851B2 (en) Hinge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AU769885B2 (en) Hinge for an opening door or window frame
EP1718832A1 (en) Scope of the invention
EP0066473A2 (en) Automatic return hinge
US20150096145A1 (en) Door Opening/Closing Device
KR200215984Y1 (ko) 오토힌지의 텐션조절장치
KR20030066058A (ko) 현관도어용 스프링 경첩
DE69629311D1 (de) Antriebs-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rolltor
KR100466846B1 (ko) 현관도어용 정지 경첩
JP3475307B2 (ja) 自動復帰型ヒンジ
KR200357309Y1 (ko) 도어용 자유경첩
KR0118517Y1 (ko) 양변기의 변기뚜껑이나 변기시트 등의 개폐장치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KR200294242Y1 (ko) 스프링식 도어힌지장치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CN109914955A (zh) 一种宠物窝双向开门铰链
KR100308168B1 (ko) 휴대용컴퓨터의힌지장치
JP2002048126A (ja) 連結機構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200368545Y1 (ko) 자동폐문 경첩
KR200173750Y1 (ko) 도어용 완충장치
KR920002154Y1 (ko) 경 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