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750Y1 - 도어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750Y1
KR200173750Y1 KR2019990020499U KR19990020499U KR200173750Y1 KR 200173750 Y1 KR200173750 Y1 KR 200173750Y1 KR 2019990020499 U KR2019990020499 U KR 2019990020499U KR 19990020499 U KR19990020499 U KR 19990020499U KR 200173750 Y1 KR200173750 Y1 KR 20017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e
closed
shock absor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길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경길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길, 김태훈 filed Critical 김경길
Priority to KR2019990020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힌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폐쇄시 도어가 완충된 후 폐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를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사용기간을 보다 연장시키고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단 밑면에 고정되도록 상단 양측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리이브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는 인입공이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장공형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충격완화부가 설치되어 폐쇄되는 도어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완충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완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일면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양단으로 절곡편을 형성하되, 이 절곡편에는 실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과 이 삽입공으로 탄성인출부가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완충장치{a buffer of the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힌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폐쇄시 도어가 완충된 후 폐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를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사용기간을 보다 연장시키고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개폐는 도어와 도어프레임(문틀)에 설치된 도어힌지에 의해 개폐되어 지는 데, 상기한 통상적인 도어힌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야만 도어가 개폐됨으로써, 수시로 사용되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여러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근래에 들어서는 도어힌지에 부수적인 여러 부품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도어힌지에 의해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작된 다양한 도어힌지등의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본출원인도 상기한 도어힌지에 관련된 특허, 실용신안 및 의장등에 대한 다수의 등록 및 출원한 바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도어를 개방시키면 도어힌지에 의해 자동적으로 도어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본원인이 선출원한(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761호 '도어힌지') 종래 도어힌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로, 문틀브라킷(101)과 도어브라킷(102)에 힌지축(103)과 롤링핀(107) 및 토션스프링(108)이 상호 결합되어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힌지(100)는 최초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전술한 문제점 즉,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최초의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도어가 개폐됨므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 도어힌지(100)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에 있어서는 최초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과정에서 특히,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에 도어의 자중과 스프링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어에 가속도가 부가되어 상당히 빠른 속도로 도어가 폐쇄됨으로써, 폐쇄되는 순간 사용자에게 특히 어린이등이 부상을 당하게 되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시키는 문제점과, 도어와 도어프레임이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잦은 충격으로 인하여 결국에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도어힌지가 가지는 기능 또한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한 도어힌지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경첩에도 상기한 도어힌지와 같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상기한 도어힌지와 같은 여러 문제점등을 그대로 가지고 사용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힌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폐쇄시 도어가 완충된 후 폐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를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사용기간을 보다 연장시키고,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도어프레 임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단 밑면에 고정되도록 상단 양측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리이브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는 인입공이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장공형상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충격완화부가 설치되어 폐쇄되는 도어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완충부재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완충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일면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양단으로 절곡편을 형성하되, 이 절곡편에는 실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과 이 삽입공으로 탄성인출부가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부는 전단에 접촉부가 설치되고 중간으로 가이드봉이 결합되는 작동샤프트와, 상기 작동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안내공과 가이드돌출턱이 형성된 완충구와, 상기 완충구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스프링과 완충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작동샤프트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도록 전면이 반구형상의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작동샤프트가 접하는 부분으로 씌워지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구에 형성된 안내공은 전방 측이 나선형으로 후방 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인출부는 양단에 스냅링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걸림봉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고안이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도어프레임으로 도어가 폐쇄되기 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b는 완충부재로 고정부재가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c는 완충부재로 고정부재가 충격이 가해져 충격이 완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d는 도어프레임으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e는 도어프레임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f는 완충부재의 작동샤프트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g는 완충부재의 작동샤프트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종래 도어힌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충부재 2 : 고정부재
10 : 몸체 11 : 지지편
11a : 지지공 11-1,35 : 실재
12,32 : 체결공 14 : 고정리이브
15,15a : 인입공 16 : 가이드공
17 : 지지판 17a : 삽입공
18 : 고정판 18a : 고정공
20 : 충격완화부 22 : 작동샤프트
23 : 가이드봉 24 : 결합공
25 : 안내공 26 : 가이드돌출턱
28 : 완충구 29 : 스프링
31 : 패드 34 : 절곡편
36 : 삽입공 38 : 탄성인출부
39 : 걸림봉 39a : 스냅링
340 : 탄성스프링 342 : 돌출턱
344 : 끼움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통상적으로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에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단 밑면에 다수의 고정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도록 상단 양측으로 체결공(12)이 형성된 고정리이브(14)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는 전방과 후방으로 후술하는 충격완화부(20)의 작동샤프트(22)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15)(15a)이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역시 후술하는 완충구(28)의 가이드돌출턱(26)이 결합되는 장공형상의 가이드공(16)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충격완화부(20)가 설치되어 폐쇄되는 도어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완충부재(1)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완충부재(1)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면으로 고무등과 같은 완충재인 패드(31)와 같이 고정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32)이 형성되고 그 양단으로 절곡편(34)을 형성하되, 이 절곡편(34)에는 장공형태로 실재(35)가 결합되어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36)과 이 삽입공(36)으로 탄성인출부(38)가 설치되는 고정부재(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충격완화부(20)는 전단에 도어의 내측면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접촉부(220)가 설치되고, 중간으로 가이드봉(23)이 직교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는 작동 샤프트(22)와, 상기 작동샤프트(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2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내공(25)과 상기 몸체(10)의 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6)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돌출턱(26)이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등으로 제조되는 완충구(28)와, 상기 완충구(28)의 후방으로 상기 작동샤프트(22)에 끼워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프링(29)과, 고무등으로 제조된 완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220)는 작동샤프트(22)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며 전면이 도어와 접촉시 원활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형성된 고정구(222)와, 상기 고정구(222)와 작동샤프트(22)가 접하는 부분에는 베어링(224)을 씌워지도록 형성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인출부(38)에서 작동샤프트(22)의 접촉부(220)가 원활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구(28)에 형성된 안내공(25)은 전방 측이 나선형으로 후방 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샤프트(22)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또, 상기 탄성인출부(38)는 양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냅링(39a)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걸림봉(39)이 결합되어 상기 삽입공(36) 내에서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한 작동샤프트(22)인 접촉부(220)의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림봉(39)의 양단은 절곡편(34)으로 형성되는 돌출턱(342)과 다 수의 끼움공(344)으로 그 끝단을 탄성력이 약한 탄성스프링(34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봉(39) 사이로 작동샤프트(22)의 접촉부(220)가 원활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벌어졌다 오므라 들어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내부 전방에는 전면 인입공(15)과 대응되는 지지공(11a)이 형성된 지지편(11)을 실재(11-1)와 같이 결합시키고, 후방 외측에는 후면 인입공(15a)과 대응되게 돌출된 삽입공(17a)이 형성되는 지지판(17)과 고정공(18a)이 형성된 고정판(18)을 고정스크류로 고정시킴에 따라 충격완화부(20)인 작동샤프트(22)의 중심축을 일직선상으로 정확하게 일치시켜 전, 후진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도어프레임으로 도어가 폐쇄되기 전을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의 일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32)을 이용하여 도어에 고정시키고, 상기 완충부재(1)는 몸체(10)의 상단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리이브(14)의 체결공(12)을 사용하여 도어프레임의 상단 밑면으로 고정시킨 후, 도어가 닫혀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완충부재로 고정부재가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a의 상태에서 도어가 도어프레임으로 닫혀지면서 상기 완충부재(1)의 몸체(10)로 내장되게 설치되어 돌출된 충격완화부(20) 작동샤프트(22)의 접촉부(220)가 상기 고정부재(2)의 탄성인출부(38)인 걸림봉(39) 사이로 인입됨과 동시에 내면으로 맞닿아 지고, 이때, 접촉부(220)의 접촉구(222)는 끝단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어와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완충구(28)의 안내공(25)인 나선형 부분으로 삽입되어 있는 작동샤프트(22)의 가이드봉(23)은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슬라이딩되지 않고 몸체(10)의 가이드공(16)으로 가이드돌출턱(26)이 결합된 완충구(28)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에 따라 그 후측의 스프링(29)이 수축됨과 아울러 완충재로 인해 충격이 완화되어 지는 것이다.
도 3c는 완충부재로 고정부재가 충격이 가해져 충격이 완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b의 상태에서 순간적인 충격으로 인해 완충구(28)의 후방으로 위치한 스프링(29)과 완충재에 의해 도어가 텐션을 받아 순간적으로 일정 거리(L) 만큼 후진되었다 도어힌지에 의해 다시 닫혀지게 되고, 즉 연속동작과 같이 이루어지며 이때, 완충구(28)의 안내공(25)으로 삽입되어 있던 작동샤프트(22)의 가이드봉(23)이 안내공(25)의 나선형태로 부터 점차 슬라이딩 회전되어 인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도어프레임으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c의 상태에서 작동샤프트(22)의 가이드봉(23)이 완충구(28)의 안내공(25) 상에서 나선형 부분으로 부터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되고 직선형 부분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점차 슬라이딩되면서 후진함에 따라 작동샤프트(22)가 인입되어 지고 완충구(28)는 스프링(29)의 복원력으로 인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도어힌지의 작용으로 도어가 작동샤프트(22)를 통하여 도어프레임으로 천천히 폐쇄되어 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e는 도어프레임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을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d의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도어프레임에서 개방시키고자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고정부재(2)의 탄성인출부(38)인 걸림봉(39) 사이로 삽입되어 인입된 접촉부(220)에 의해 작동샤프트(22)가 천천히 인출되어 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봉(39)의 양단이 고정부재(2)의 절곡편(34)에 형성된 돌출턱(342)과 탄성스프링(340)으로 체결되어 있는 관계로, 걸림봉(39)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작동샤프트(22)의 접촉부(220)가 바로 이탈되어 지지 않고 작동샤프트(22)를 인출시키는 것이다.
도 3f는 완충부재의 작동샤프트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e의 상태에서 작동샤프트(22)의 인출이 다 이루어지게 되면 즉, 작동샤프트(22)의 가이드봉(23)이 완충구(28)의 안내공(25) 상의 직선형 부분에서 슬라이드 된 후 나선형 부분에서 슬라이드 회전되어 인출이 완료되어 지면서 걸림봉(39)이 접촉부(220)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걸림봉(39)은 삽입공(36) 내에서 도어 개방에 따른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 하측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접촉구(222)와 작동샤프트(22)가 접하는 부분으로 회전자재케 씌워져 있는 베어링(224)이 걸림봉(39)으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회전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g는 완충부재의 작동샤프트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전술한 도 3f의 상태에서 접촉부(220)의 베어링(224)이 회전됨에 따라 걸림봉(39) 사이에서 작동샤프트(22)의 접촉부(220)가 원활하게 인출되어 작동샤프트(22)가 최초 완충역할을 하기 이전의 상태로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완충장치는 도어힌지에 의해 폐쇄되는 도어를 직접적으로 도어프레임으로 폐쇄시키지 않고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도어프레임으로 고정되는 완충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된 후 도어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폐쇄되는 도어를 완충시킨 후 폐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따른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시키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사용기간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도어가 도어프레임으로 직접적으로 폐쇄되면서 발생하였던 충격소음 또한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도어힌지가 설치되어 도어프레임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단 밑면에 고정되도록 상단 양측으로 체결공(12)이 형성된 고정리이브(14)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는 인입공(15)(15a)이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장공형상의 가이드공(16)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충격완화부(20)가 설치되어 폐쇄되는 도어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완충부재(1)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기 완충부재(1)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일면에 다수의 체결공(32)이 형성되고 그 양단으로 절곡편(34)을 형성하되, 이 절곡편(34)에는 실재(35)가 결합되어 형성된 한쌍의 삽입공(36)과 이 삽입공(36)으로 탄성인출부(38)가 설치되는 고정부재(2)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20)는 전단에 접촉부(220)가 설치되고 중간으로 가이드봉(23)이 결합되는 작동샤프트(22)와, 상기 작동샤프트(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안내공(25)과 가이드돌출턱(26)이 형성된 완충구(28)와, 상기 완충구(28)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스프링(29)과 완충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20)는 작동샤프트(22)에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고정되도록 전면이 반구형상의 형성된 고정구(222)와, 상기 고정구(222)와 작동샤프트(22)가 접하는 부분으로 씌워지는 베어링(2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28)에 형성된 안내공(25)은 전방 측이 나선형으로 후방 측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출부(38)는 양단에 스냅링(39a)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걸림봉(39)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완충장치.
KR2019990020499U 1999-09-22 1999-09-22 도어용 완충장치 KR20017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99U KR200173750Y1 (ko) 1999-09-22 1999-09-22 도어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99U KR200173750Y1 (ko) 1999-09-22 1999-09-22 도어용 완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901A Division KR20010028581A (ko) 1999-09-22 1999-09-22 도어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750Y1 true KR200173750Y1 (ko) 2000-03-15

Family

ID=1958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99U KR200173750Y1 (ko) 1999-09-22 1999-09-22 도어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7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10B1 (ko) * 2000-10-16 2003-04-26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도어 댐퍼
KR101738584B1 (ko) *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10B1 (ko) * 2000-10-16 2003-04-26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도어 댐퍼
KR101738584B1 (ko) *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3750Y1 (ko)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45152Y1 (ko) 가구용 힌지
KR20010028581A (ko) 도어용 완충장치
KR102469188B1 (ko) 안전경첩
JP3925887B2 (ja) 抽斗の閉止装置
CN210685662U (zh) 一种用于家具上翻支撑的可调节省力机构
CN214145145U (zh) 阻尼缓冲装置及推拉门
KR200180767Y1 (ko) 도어용 완충장치
CN208056894U (zh) 一种三维可调的天地铰链
KR20140114122A (ko)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US6836934B2 (en) Safety hinge
CN112144998A (zh) 一种重力自动闭合式单轨铰链
CN111997465A (zh) 一种重力自动闭合式单轨铰链
JPH09303038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開閉用ダンパー
CN221073865U (zh) 一种集成缓冲、静音功能的铰链
KR200251384Y1 (ko) 출입문의 충격 완충장치
JP3300981B2 (ja) 扉開閉動用ダンパー
CN220955160U (zh) 用于车辆的后备箱盖的铰链结构
KR20230073037A (ko) 도어 안전장치
CN208040144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冰柜铰链
KR101834869B1 (ko) 폴딩도어 고정구조
KR0166651B1 (ko) 도어 클로우져
KR100389419B1 (ko) 상자형 냉장고 도어 댐핑 구조
JP3394434B2 (ja) 開閉体用ダンパー
JP2001115729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