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651B1 - 도어 클로우져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우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651B1
KR0166651B1 KR1019950000013A KR19950000013A KR0166651B1 KR 0166651 B1 KR0166651 B1 KR 0166651B1 KR 1019950000013 A KR1019950000013 A KR 1019950000013A KR 19950000013 A KR19950000013 A KR 19950000013A KR 0166651 B1 KR0166651 B1 KR 016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m
door closer
operating
clo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583A (ko
Inventor
문찬식
Original Assignee
문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찬식 filed Critical 문찬식
Priority to KR101995000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651B1/ko
Publication of KR96001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에 부착 사용되는 도어 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문이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노약자 특히 어린아이의 출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문을 자주 여닫아야 할 경우 항상 상기 도어 클로우져의 본체를 작동하게 되므로 도어 클로우져 내부장치인 피스톤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나 본 발명은 문이 열림상태에서 자동으로 문을 고정시킴과, 고정된 각도내에서 자유자재로 문을 여닫기가 가능하도록한 도어 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열림 작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몰 작동되는 출몰부재를 구비한 도어멈춤장치부에 의하여 유압클로우져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 클로우져의 작동 정지 후 작동아암과 중간에 수평절곡부를 갖는 절곡아암에 의해 자유자재로 절곡되는 작동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임.

Description

도어 클로우져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조립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작동뭉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주요부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a)는 도어멈춤상태이고,
(b)는 도어회동을 위한 역방향 압축상태이고,
(c)는 도어회동상태임.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도어 닫힘 상태이고,
(b)는 도어 열림 상태임.
제7도는 본 발명의 도어 클로우져 멈춤상태에서의 도어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a)는 절곡아암이 외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절곡아암이 내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멈춤장치부 110 : 작동뭉치
111 : 안내면 112 : 사각홈
113 : 중앙부몸통 113a : 출몰부재삽입홀
114 : 절개부 115 : 작동핀
120 : 작동편 121 : 걸림홈
130 : 출몰부재 140 : 작동커버
141 : 걸림돌기 142 : 조립편
150 : 커버 200 : 작동부재
210 : 작동아암 211 : 축수부착공
220 : 힌지부 221 : 힌지부베어링
230 : 굴절아암 231 : 장공
240 : 수평절곡부 250 : 길이조절부
260 : 고정브라켓트 300 : 유압클로우져 동체
310 : 회동축 311 : 피니언
320 : 스프링 330 : 피스톤
331 : 래크기어 332 : 걸림편
400 : 도어
본 발명은 여닫이문에 부착 사용되는 도어 클로우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을 열림상태에서 자동으로 문을 고정시킴기능과, 문이 정지된 각도내에서 자유자재로 문을 여닫기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 클로우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열림상태와 닫힘상태가 사용자의 임의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
그러나 건물의 외부 출입문의 경우 냉·난방시 열손실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나 기타 필요에 의해 항상 닫아야 하는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가 도어 클로우져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어 클로우져는 내부에 스프링의 탄성력과 완충기능을 주기 위한 유압라인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항상 문을 닫힘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해주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설치 사용할 때 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외부힘을 제거하면 항상 닫힘상태로 되므로 필요시 즉 혼자서 물건을 들고 입출할 때나 자주 출입하여야 할 때 또다른 어려운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종래에는 별도로 쐐기등을 문밑에 끼워 문이 스스로 닫히는 것을 방지 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주변에서 쉽게 쐐기를 구할 수 없는 경우 매우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톱장치로서 버팀대를 문의 하단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이 불편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며 특히 바닥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문이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노약자 특히 어린아이의 출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문을 자주 여닫아야 할 경우 항상 상기 도어 클로우져의 본체를 작동하게 되므로 도어 클로우져 내부장치인 피스톤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 특허 제94-5647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은 문을 일정각도로 연 다음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멈춤기능을 갖도록 하며, 또한 임의 각도 멈춤 상태에서 문을 자유자재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도어 멈춤기능과 회동 자재기능을 갖는 도어 클로우져장치에 관한 것이었다.
상기 선행 출원에서는 도어 클로우져 본체의 회동축을 임의의 위치에 멈춤기능을 하도록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는 회동축 결합구와 플렌지부 하측에 다각멈춤부를 갖는 멈춤부재와; 내부에 단턱과 상기 단턱의 일측에 멈춤돌기와 고정플렌지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의 단턱에 다수의 볼베어링과 용수철을 구비한 도어멈춤장치부와 상기 도어멈춤장치부의 멈춤기능시 임의 각도내에서 문을 자유자재로 여닫을 수 있도록 절곡 가능한 굴절아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도어의 임의 각도마다 정지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도록 한 것이다.
즉 도어스톱장치부를 별도로 임의 작동시켜 도어를 멈추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출원은 도어 멈춤기능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반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외부에 와이어와 같은 부수 부품이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 출원의 미비점을 개선하여 별도의 도어 멈춤을 위한 제반 동작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멈춤기능이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상기 도어멈춤장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미관이 좋도록 한 도어 클로우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 클로우져 동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도어의 열림 작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몰 작동되는 출몰부재가 구비된 작동뭉치와 상기 작동뭉치에 설치되어 출몰부재와의 작용으로 유압클로우져 동체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커버 내측의 걸림돌기가 걸려 회전 방지되어 걸림기능을 하도록 하는 작동편에 의하여 일정 각도에서 도어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동체내에 도어멈춤장치부가 삽입 설치되어 동체내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순차적 멈춤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어멈춤장치부가 도어 클로우져의 동체 외부에 설치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작동아암(210)과 굴절아암(230)과 길이조절부(250) 및 고정브라켓트(260)로 구성된 작동부재(200)와;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작동이 이루어 지는 유압 클로우져 동체(300)와; 상기 작동부재(200)의 작동아암(210)과 함께 동체(300)의 회동축(310)에 고정되어 도어의 정지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멈춤장치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본 발명의 각 부분을 분해하여 이해를 돕기 위한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유압클로우져 동체(300)는 내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20)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30) 및 다수의 유압라인과 상기 피스톤(330)에 형성되어 직선운동하는 래크기어(331)에 의하여 회전작동되는 피니언(311)기어의 측으로써 도어에 힘을 가해주는 회동축(310)이 상하 양단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동체(300)의 일측부 회동축(310)에는 작동부재(20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도어멈춤장치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200)는 일측에 고정브라켓트(260)가 연결된 길이조절부(250) 및 굴절아암(230)과 작동아암(210)으로 구성된다.
즉, 동체(300)의 회동축(31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작동부재(20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의 축수부착공(211)에 의해 회동축(310)에 고정 작동되는 작동아암(210)과 상기 작동아암(210)에 힌지부(220)로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수평절곡부(240)가 구비된 굴절아암(230) 및 길이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부(250)와 고정브라켓트(2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굴절아암(230)과 작동아암(210)의 힌지부(220)에는 힌지부베어링(221)이 삽설되어 있고, 굴절아암(230)에는 장공(231)이 천공 설치되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동체(300)의 타측에 설치된 도어멈춤장치부(100)는 작동뭉치(110)와 상기 작동뭉치(110)를 둘러싸고 있는 작동커버(140)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150)는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커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도어멈춤장치부(100)의 작동뭉치(110)를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작동뭉치(110)는 상·하 양측에 안내면(111)이 형성되고, 중앙부몸체(113)는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몸체(113)에는 출몰부재삽입홀(113a)이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면(111)은 작동뭉치(110)와 작동커버(140)와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안내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몰부재삽입홀(113a)에는 순차적, 반복적으로 출몰 작동되는 통상의 출몰부재(예; 볼펜심 작동장치)(130)가 끼워 설치되어 있고, 이와 대항되는 부위에는 작동편(120)이 작동핀(11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편(120)은 일측에 걸림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출몰부재(130)에 접촉되어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뭉치(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동체(300)의 회동축(310)에 끼어 결합 작동되도록 사각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멈춤장치부(100)는 내부 일측면에 걸림돌기(141)가 형성된 작동커버(140)에 의하여 씌워져 조립된다.
상기 작동커버(140)는 조립편(142)에 의하여 유압클로우져 동체(30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뭉치(110)의 작동편(120)에 형성된 걸림홈(121)과 작동커버(140)의 걸림돌기(141)의 작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주요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제4도는 본 발명 도어멈춤장치부(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면도로서 회동축(310)을 중심으로 작동커버(140)와의 각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a)는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이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도어(400)가 열리면 회동축(310)(도어멈춤장치부와 일체로 작동됨)과 작동커버(140)은 서로 상대적인 운동을 하여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도어멈춤장치부(100)의 작동편(120)과 작동커버(140)에 돌설된 걸림돌기(141)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작동편(120)에 의하여 출몰부재(130)가 늘려진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출몰부재(130)는 돌출되어 작동편(120)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c)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작동편(120)의 걸림홈(121)에 걸림돌기(141)이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됨을 방지하게 되며 도어가 열린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도어를 닫히도록 할 경우에는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약간 밀어주면 (d)도와 같은 상태가 되어 다시 출몰부재(130)가 눌려지게 되어 삽입상태가 되며, 따라서 작동편(120)은 안쪽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e)와 같이 걸림돌기(141)는 작동편(120)을 벗어나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는 도어클로우저의 힘을 받게되어 스스로 닫히게 된다.
제6도는 도어(400)의 여닫이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도이다.
(a)에서 (b)와 같이 도어(400)를 열 경우 상기 도어(400)에 고정 설치된 유압클로우져 동체(300)에 의한 도어멈춤장치부(100)는 제4도나 후술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작동이 이루어 진다.
(a)는 작동뭉치(110)의 출몰부재(130)가 수축된 상태로서 도어를 열면 작동커버(140)와 작동뭉치(110)가 서로 상대적 운동을 하면서 회전하여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작동커버(140)의 내면에 돌설된 걸림돌기(141)가 작동뭉치(110)의 작동편(120)에 닿게 되면 출몰부재(130)에 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력을 받은 출몰부재(130)는 돌출된 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작동편(120)을 밀어내게 된다.
(c)는 상기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작동편(120)이 밀려나 걸림홈(121)에 걸림돌기(141)가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유압클로우져 동체(300)와 회동축(310)의 상대적 운동이 정지되게 되어 도어(400)의 멈춤기능이 이루어 진다.
즉 동체(300)와 작동커버(140)가 일체로 운동하고, 작동뭉치(110)와 작동축(310)이 일체로 운동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400)는 작동부재(200)의 굴절아암(230)에 의하여 자유스럽게 여닫기가 이루어 진다.
이때 굴절아암(230)의 장공(231)은 원활한 작동을 돕는다.
다시 도어(400)를 닫고자 할 경우 도어(400)를 뒤로 밀어주면 (d)와 같이 걸림돌기(141)가 작동편(120)에 작용하여 출몰부재(130)에 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력을 받은 출몰부재(130)는 수축된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작동편(120)은 약간 후퇴된 상태가 되어 작동커버(140)의 걸림돌기(141)가 작동편(120)의 걸림홈(121)에 걸리지 않게 되어 (e)와 같이 벗어나 자유로이 회전이 되므로 도어(400)는 닫힘방향으로 유압클로우져의 힘을 받아 닫히게 된다.
다시 도어(400)를 열어 주면 순차적으로 상기의 과정이 이루어 지면서 도어의 멈춤기능과 닫힘기능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첨부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멈춤장치부(100)가 도어클로우저 동체(300)내에 삽입 설치되어 구성되어 피스톤(330)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도어클로우저 동체(300)의 내부에서 일측에 래크기어(331)가 형성되고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동축(310)과 일체로 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피니언(311)을 작동시키는 피스톤(330)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330)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편(332)과 동체(300)에 부설된 작동편(120)이 상호 작용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편(120)은 피스톤(330)의 직선운동에 따라 출몰부재(130)를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는 걸림상태로서 도어 멈춤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다시 도어를 닫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를 후퇴시킨 상태로서 피스톤(330)이 후퇴되어 걸림편(332)에 의해 출몰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어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c)도와 같이 피스톤은 도어멈춤장치부(100)로부터 자유로워져 스프링(320)의 탄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회동축(3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멈춤장치부(100)는 역으로 피스톤(330)에 설치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200)의 굴절아암(230)에 의하여 자유롭게 도어(400)의 개폐가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즉 유압도어클로우져 동체(300)에 의한 강제 닫힘 기능이 차단된 상태에서 굴절아암(230)의 굴절작용과 상기 굴절작용을 돕는 장공에 의하여 원활한 작용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여닫는 운동과정상 자동적으로 도어멈춤과 해제기능이 이루어져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
특히 도어를 일정한 각도로 열어 멈춤기능이 되도록 한 다음 열려 있는 범위내에서 절곡아암에 의해 자유스럽게 여닫기 작동이 이루어져 유압클로우져의 과도한 작동을 방지하므로 수명연장의 효과 및 자유스러운 출입이 가능하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삽설된 스프링의 탄성력과 완충기능을 주기 위한 유압작동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주어 도어의 닫힘 기능을 하도록 하는 동체로 구성된 유압 도어클로우져에 있어서, 작동아암(210)과 힌지부(220)로 연결되며 중간에 수평절곡부(240)를 갖는 절곡아암(2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체(300)의 일측 회동축(310)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작동부재(200)와; 상기 작동부재(200)와 연결된 회동축(310)의 회동력을 제제하도록 압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출몰되는 출몰부재(130)와 작동편(120)이 결합된 작동뭉치(110)를 구비한 도어멈춤장치부(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멈춤장치부(100)는 동체(300)의 외부에서 회동축(310)에 연결 작동되는 것으로 작동뭉치(110)는 동체(300)에 돌설된 회동축(310)에 끼어 일체로 운동되며, 상기 작동뭉치(110)의 작동편(120)과 작용되는 작동커버(140)는 유압클로우져 동체(300)와 일체로 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3. 제2항에 있어서, 도어멈춤장치부(100)의 작동뭉치(110)는 상·하 양측에 안내면(111)이 형성되고 중암몸통부(113)에 천설된 출몰부재삽입홀(113a)에는 순차적, 반복적으로 출몰 작동되는 통상의 출몰부재(130)가 끼워 설치되며, 이와 대항되는 부위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된 작동편(1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4. 제1항에 있어서, 도어멈춤장치부(100)는 동체(300)내에 삽입설치된 것으로써 동체(300)내에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330)의 걸림편(33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120)과 상기 작동편(120)의 후면에서 출몰작동되는 출몰부재(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5. 제1항에 있어서, 작동부재(200)의 작동아암(210)과 굴절아암(230)의 힌지부(220)에는 힌지부베어링(221)이 삽설되어 있고, 상기 굴절아암(230)에는 장공(231)이 천공 설치되어 수평절곡부(240)의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우져.
KR1019950000013A 1994-10-27 1995-01-03 도어 클로우져 KR016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013A KR0166651B1 (ko) 1994-10-27 1995-01-03 도어 클로우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4-27711 1994-10-27
KR19940027711 1994-10-27
KR1019950000013A KR0166651B1 (ko) 1994-10-27 1995-01-03 도어 클로우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83A KR960014583A (ko) 1996-05-22
KR0166651B1 true KR0166651B1 (ko) 1999-02-18

Family

ID=2663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013A KR0166651B1 (ko) 1994-10-27 1995-01-03 도어 클로우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85B1 (ko) * 2019-09-26 2021-03-26 이덕신 크랭크식 도어 클로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542B1 (ko) * 2005-07-25 2006-11-23 최영철 도어클로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885B1 (ko) * 2019-09-26 2021-03-26 이덕신 크랭크식 도어 클로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83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64977A (ja)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CN112218998A (zh) 多重铰接合页装置
JP2877438B2 (ja) 左右両開式扉装置
KR0166651B1 (ko) 도어 클로우져
US4435007A (en) Locking device for pivoting window
CN208480876U (zh) 一种滑轨锁定拆卸结构
KR100585277B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ITMI950038U1 (it) Cerniera di ridotte dimensioni per mobili
KR960014377B1 (ko) 도어멈춤기능과 회동자재 기능을 갖는 도어클로우져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102593129B1 (ko) 자동 닫힘이 가능한 경첩 장치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200173750Y1 (ko) 도어용 완충장치
JPH0744706Y2 (ja) 用心錠
KR101014516B1 (ko) 양방향 개폐식 경첩
KR200338732Y1 (ko)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JP2532661Y2 (ja) 引違い障子用施錠装置
KR200319081Y1 (ko) 창문 개폐용 연결암
KR200380537Y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JPH0544462Y2 (ko)
JPH0755394Y2 (ja) ステーダンパ
JPH0737019Y2 (ja) 掛金装置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JPS592288Y2 (ja) ヒンジ用カバ−
KR19990013165A (ko) 냉장고의 도어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