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810B1 - 도어 댐퍼 - Google Patents

도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810B1
KR100380810B1 KR10-2000-0060737A KR20000060737A KR100380810B1 KR 100380810 B1 KR100380810 B1 KR 100380810B1 KR 20000060737 A KR20000060737 A KR 20000060737A KR 100380810 B1 KR100380810 B1 KR 10038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fixing pin
impact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161A (ko
Inventor
김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0-006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8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닫아지는 도어로부터 입게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하우징 (20)과;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지지 설치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전진이동 및 일방향 회전력이 부가되어 있고, 도어가 어느 정도 닫히는 회전각도내에 들어오면 도어의 순간 충격력을 전달받는 작동축(30)과; 상기 작동축(30)의 2개소에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핀(41,42)과; 상기 작동축(3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원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작동축(30)이 받는 충격력의 강약에 따라 상기 제1고정핀(41)의 결합위치를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부(62)를 갖는 충격감지블록(60)과; 상기 충격감지블록(60)의 후방에 배설되어 상기 작동축(30)에 전달된 도어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에 의해 도어의 닫힘 동작과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이 멈춤된 후 도어가 계속해서 닫아질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핀(42)을 충격감지블록(60)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을 유도하는, 하우징(20)에 설치된 제1고정핀 해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댐퍼{Door damper}
본 발명은 스프링힌지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도어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사용자의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고, 도어 중량에 따른 완충이 적합하며 완충 작동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힌지로 설치되고, 이와 함께 도어의 닫힘을 자동으로 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적인 도어 클로저(door closer)를 사용하거나, 스프링힌지 (spring hinge)를 사용한다.
여기서 통상의 스프링힌지(일명, 스프링경첩)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열린 도어를 닫히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스프링힌지는 도어의 중량에 따라 적절한 탄성계수의 스프링을 사용하게 되는데, 중량이 수십 킬로그램(예로, 40㎏, 60㎏, 80㎏) 이상 나가는 도어의 경우 관성력이 커서 많이 열렸다 닫히는 경우 닫히는 순간에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예로, 신체의 일부가 끼이게 될 경우 큰 부상을 당하게 된다.
더욱이 도어가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열려진 창문을 통해 바람의 통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아지게 되면 그 위험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중량이 상당한 경우 도어가 닫아질때 이를 완충시킬 완충장치가 요구된다.
완충장치는 도어의 중량에 대응하는 적절한 완충 작동력이 기대되어야 하고, 일반 사용자가 설치하기가 간편해야 한다.
만일 전문가의 설치가 요구된다면 이는 제작사의 필요 이상의 설치비용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을 유도하기 때문이고, 이는 제품의 가격면에서 경쟁력을 잃어 결코 소비자가 외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일반 사용자의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고, 도어 중량에 따른 완충이 적합하며 완충 작동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한 도어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도어틀(5)에 힌지 설치된 도어(10)의 닫힘 동작을 완충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지지 설치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전진이동 및 일방향 회전력이 부가되어 있고, 도어가 어느 정도 닫히는 회전각도내에 들어오면 도어의 순간 충격력을 전달받는 작동축(30)과;
상기 작동축(30)의 2개소에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핀(41,42)과;
상기 작동축(3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원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작동축(30)이 받는 충격력의 강약에 따라 상기 제1고정핀(41)의 결합위치를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부(62)를 갖는 충격감지블록(60)과;
상기 충격감지블록(60)의 후방에 배설되어 상기 작동축(30)에 전달된 도어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에 의해 도어의 닫힘 동작과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이 멈춤된 후 도어가 계속해서 닫아질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핀(42)을 충격감지블록(60)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을 유도하는, 하우징(20)에 설치된 제1고정핀 해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댐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댐퍼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댐퍼의 완충 전의 작동상태도.
도 4b는 도어 댐퍼의 완충시의 작동상태도.
도 4c는 도어 댐퍼의 완충후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4a의 A-A선 단면도로서 제1고정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도어 댐퍼의 후방에서 본 제2고정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우징 23 : 눈금지시부
30 : 작동축 41,42 : 제1,제2고정핀
50 : 토션스프링 60 : 충격감지블록
62 : 위치제어부 81,82 : 스프링지지판
90 : 완충스프링 102 : 고정용 스톱퍼
102a : 걸림홈 104 : 가동용 스톱퍼
104a : 걸림턱 112 : 가이드봉
120 :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 122 : 회전유도면
150 : 홈레일 브래킷
본 발명은 도어가 닫히기 직전에 도어가 갖는 순간 회전관성력(이하 '순간 충격력'이라 함)을 감지하고, 이 순간 충격력이 설정된 힘 이상으로 강하게 감지되면 1차적으로 완충을 수행하여 일단 한 번 도어의 닫힘을 억제한 후 2차적으로 도어측에 약간의 반동을 주고 계속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힘때까지 서서히 도어의 닫힘을 유도하는 완충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습관상 또는 경우에 따라 도어가 세게 닫아질 경우 1차적으로 완충 정지시킨 후 반동 동작을 주어서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어떤 예기치 못한 장애물 예로, 동물이나 출입자 등의 큰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도어가 정상 상태(도어가 서서히 닫히게 될 경우)로 닫히게되어도 기존에 설치된 스프링힌지로 인한 도어의 닫힘에는 문제를 주지않으면서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도어틀(5)에 힌지 설치된 도어(10)의 닫힘 동작을 완충시키기 위한 도어 댐퍼(200)로서, 도 2내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20은 하우징이다.
상기 하우징(20)에는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먼저 도어 닫힘 동작을 감지하는 중공형태의 작동축(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작동축(30)은 부싱(132,134)에 의해 직선 운동을 안내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30)은 닫히기 직전의 도어의 순간 충격력을 하우징(20)에서 슬라이딩 후퇴 이동하면서 1차적으로 전달받는다.
상기 작동축(30)에는 2개소에 제1,2고정핀(41,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2고정핀(41,42)을 작동축(30)에 설치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핀홀더(40)가 사용된다.
핀홀더(40)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1,2고정핀(41,42)의 정밀 가공된 표면이 후술할 충격감지블록(60)에 조립시 긁힘 현상 등이 일어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핀홀더(40)는 작동축(30)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사출 제작되고, 판형부의 2개소에 각기 반원형태로 분할되어 일체화된 핀삽입공(40a,40b)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1,2고정핀(41,42)을 작동축(3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동축(30)내에 핀홀더(40)를 삽입시켜 놓고, 제1,2고정핀(41,42)을 작동축(30)의 핀삽입공 (30a,30b)과 핀홀더(40)측 핀삽입공(40a,40b)에 일치된 상태로 삽입시켜 조립된다.
한편, 상기 작동축(30)을 일정량 만큼 하우징(20)에서 돌출시켜 밀어내고 동시에 작동축(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부여하기 위해 작동축(30)에 삽입된 토션스프링(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50)의 비틀림력(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해 작동축(30)의 선단부에는 서로 맞물림하는 고정용 스톱퍼(102)와 가동용 스톱퍼(104)가 구비되어 있다.
가동용 스톱퍼(104)는 다수의 걸림턱(104a)을 가지고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토션스프링(50)의 타단은 상기 부싱(132)의 다수 돌출부 (132a)에 끼워맞춤된 스프링받이구(136)의 걸림턱(136a)에 걸어지고, 상기 고정용 스톱퍼(102)는 상기 걸림턱(104a)과 맞물리기 위한 동수의 걸림홈(102a)을 구비하여 작동축(30)에 핀(107)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용 스톱퍼(104)의 회전량을 조절한 후 고정용 스톱퍼(102)에 맞물림시키면 토션스프링(50)의 비틀림력이 결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용 스톱퍼(102)의 선단에는 도어(10)와 구면으로 접촉하기 위해 일부 노출된 강구(105)가 삽입되어 있다.
도면 부호 60은 충격감지블록이다.
상기 충격방지블록(60)은 상기 작동축(30)에 습동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제1고정핀(41)과 결합되어 작동축(30)에 가해진 도어의 순간 충격력을 감지한다.
충격감지블록(60)은, 순간 충격력의 강/약에 따라 제1고정핀(41)을 고정/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부(62)와, 양측에 지지축(61)을 갖고 하우징 (20)의 안내장공(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제어부(62)는 순간 충격력이 강할 경우 상기 제1고정핀(41)을 고정시키는 핀정지구멍(62a)과, 순간 충격력이 약할 경우 제1고정핀(41)을 핀정지구멍 (62a)에서 이탈시켜 대략 45도 위치에서 후퇴이동시키도록 핀정치구멍(62a)에서 연통된 핀후퇴안내장공(62b)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감지블록(60)의 후퇴동작 후 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충격감지블록(60)의 후방측에 리턴스프링(7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70)의 후방측에는, 하우징(20)의 일정한 완충구간(L)에 습동가능하게 완충 구간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된 전,후 스프링지지판(81,8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지지판(81,82)은 하우징(20)의 완충구간(L)에 형성된 상,하 장공 (21a,21b)에 걸림턱(81a,82a)으로 삽입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후 스프링지지판(81,82) 간의 완충구간 사이에는 상기 충격감지블록 (60)에 가해진 강한 순간 충격력을 완충시켜 정지시킴과 동시에 반동을 주는 완충수단으로 완충스프링(90)이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의 순간 충격력이 강할 경우 도 4b와 같이 제1고정핀(41)이 핀정지구멍 (62a)에 위치한 고정상태에서 충격감지블록(60)은 후퇴 이동하여 완충스프링(90)이 작동하고, 도어의 순간 충격력이 약할 경우 제1고정핀(41)이 핀정지구멍(62a)에서 이탈하여 도 4c와 같이 핀후퇴안내장공(62b)에 위치하고 충격감지블록 (60)은 리턴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완충스프링(90)의 완충작용을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완충스프링(90)의 후방에는 작동축(30)에 가해지는 순간 충격력이 약할 경우 제1고정핀(41)이 충격감지블록(60)의 핀정지구멍(62a)으로부터 이탈하여 핀후퇴안내장공(62b)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제 1고정핀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고정핀 해제수단은,
상기 후방측 스프링지지판(82)에 연결된 가이드봉(112)과, 상기 가이드봉 (112)에 슬라이딩이동 가능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작동축(30)의 제2고정핀(42)을 작동축(30)의 원주방향인 핀후퇴안내장공(62b)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회전유도면(122)을 갖는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와, 상기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를 스프링지지판(82)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1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축(30)이 후방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면(도어의 순간충격력이 약할 경우) 제 2고정핀(42)은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의 회전유도면(122)을 밀게 되고, 회전유도면(122)은 스프링(114)력으로 제2고정핀(42)을 반발하여 밀게 된다. 이에 의해 제2고정핀(42)은 작동축(30)과 일체로 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제 1고정핀(41)이 핀정지구멍(62a)에서 이탈하여 핀후퇴안내장공(62b)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부호 150은 홈레일 브래킷이다.
상기 홈레일 브래킷(150)은 도어 댐퍼(200) 즉, 상기 하우징(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조절볼트(161,162)가 삽입되기 위한 안내장공(1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장공(152)에 가까이 눈금과 숫자로 표시된 눈금표시부(154)가 구비되어 있고, 이 눈금표시부(154)는 설치사용서에 따라 이용자가 하우징(20)의 눈금지시부(23)를 이용하여 조절하고, 캡너트(163)로 체결 고정한다.
한편, 상기 완충스프링(90)은 본 실시예에서 토션스프링(70) 및 리턴스프링 (70) 보다 스프링상수(k)가 큰 것으로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유·공압, 고무 등을 이용한 수단으로 대체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 댐퍼(200)는 도 1과 같이 설치된다.
도 1,5에서 보이듯이 도어틀(5)의 상부에 홈레일 브래킷(150)을 체결구(나사못이나 볼트 등)로 고정하고, 조절볼트(161,162)를 안내장공(152)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하우징 고정구멍(24)에 각기 삽입한 후 캡너트(163)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하우징(20)의 고정 위치는 제품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여 도어의 중량에 따른 설정된 표시눈금을 맞추어 조립한다. 따라서 일반사용자가 간편히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설치된 도어댐퍼는 다음과 같이 작동을 한다.
먼저, 도어(10)가 닫아져 있게 되면, 도어(10)의 통상적인 닫힘 유지력에 의해 도 4c와 같이 작동축(30)이 일정량 후퇴 이동하여 제1고정핀(41)이 충격감지블록(60)의 핀후퇴안내장공(62b)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동시에 토션스프링(50)의 비틀림력에 의해 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 되어 있고, 충격감지블록(60)은 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으로 전방측으로 밀어붙여져 있고, 토션스프링(50)은 수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완충스프링(90)은 완충구간을 확보하고 완충을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0)를 열고 나가게 되면, 작동축(30)에 가해지고 있던 힘이 제거되고 동시에 토션스프링(50)의 신장 복원력에 의해 작동축(30)은 충격감지블록(60)의 핀후퇴안내장공(62b)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결국 토션스프링(50)의 비틀림력으로 작동축(30)이 회전하여 제1고정핀(41)이 충격감지블록(60)의 핀정지구멍(62a)에 위치되는 순간 정지한다.(도 4b 참조)
다음, 열린 도어(10)가 닫아지게 되는 과정은 2가지로 나타난다.
그 첫번째는 열린 도어(10)가 사용자의 편의상 또는 습관상 또는 도어가 설치된 실내 환기력에 의해 강하게 닫아지는 경우이고, 그 두 번째는 도어(10)가 통상의 스프링힌지에 의해 스스로 닫아지는 경우이다.
먼저, 첫 번째로서 열린 도어(10)가 강하게 닫아지는 경우이다.
열린 도어(10)를 강하게 닫게 되면 도어가 닫히는 순간 속도는 증가한다. 즉, 도어(10)가 가속도를 받으면서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10)가 받은 가속력은 닫혀지기 직전에 먼저 도어 댐퍼의 작동축 (30)에 작용하게 된다. 즉, 작동축(30)을 강하게 치는 순간 충격력이 발생하고, 작동축(30)은 도 4b와 같이 후퇴 이동한다.
따라서 작동축(30)의 후퇴 속도는 순간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고정핀(42)이 제2고정핀 회전유도구(120)에 의해 회전될 시간의 여유를 받지 않게 된다.
이는 다시 말해서 제2고정핀 회전유도구(120)가 없는 상태에서 작동축(30)이 후퇴 동작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제1고정핀(41)은 충격감지블록(60)의 핀정지구멍 (62a)에서 고정된 상태로 도 4b와 같이 충격감지블록(60)을 후퇴시키고, 결국 전방 스프링지지판(81)을 후방으로 밀어 완충스프링(90)을 도 4b와 같이 압축시킨다.
이로서 완충스프링(90)은 수축되면서 도어가 급작히 닫히면서 발생되는 순간 충격력을 흡수한다. 충격 흡수가 일어난 후 완충스프링(90)은 다시 반발력에 의해 충격감지블록(60), 제1고정핀(41)을 매개로 작동축(30)을 밀어내는 반동을 주게 된다.
이때 제2고정핀(42)은 작동축(30)에 의해 후퇴 이동한 상태에서 함께 후퇴 이동한 제2고정핀 회전유도구(120)의 회전유도면(122)에 접하고 동시에 스프링 (114)력에 의해 작동축(30)을 회전시키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어는 일단 순간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열리는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 후 회전 관성력이 줄어들게 된다. 즉, 도어의 순간 충격력이 소멸된 상태에서 다시 통상의 스프링힌지가 가지고 있던 회전 관성력을 작동축(30)이 받게 된다.
이때 작동축(30)에 가해지는 회전 관성력은 약하고 서서히 후퇴이동하기 때문에 제2고정핀(42)에 가해지고 있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축(30)이 회전하여 제1고정핀(41)이 충격감지블록(60)의 핀정지구멍(62a)에서 이탈하여 핀후퇴안내장공 (62b)에 위치한다.(도4c 참조)
따라서 제1고정핀(41)이 핀후퇴안내장공(62b)의 후방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작동축(30)이 후퇴 이동하고 토션스프링(50)은 압축되면서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게 된다. 동시에 충격감지블록(60)은 리턴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 위치로 전진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힘이나 자연환풍에 의해 강하게 닫혀지게 될 경우 1차적으로 도어가 완충 정지된 후 다시 반동을 받고 계속해서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도어 사용자가 강하게 도어를 닫는 순간에 발생될 수 있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게 되더라도 도어가 일단 한번 완충 정지한 후 서서히 닫히기 때문에 부상이나 상처를 받는 일은 없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렇게 하여 도어가 안전하게 닫힘을 완료하게 되면 작동축(30)은 후퇴 이동상태에서 다음 동작을 기다리게 된다.
다른 한편, 두 번째로 도어(10)를 열어놓고 그대로 나두어 닫으려는 힘을 주지 않는 경우이다. 즉, 도어(10)가 통상의 스프링힌지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경우이다.
이때는 작동축(30)이 서서히 후퇴 이동하기 때문에 작동축(30)의 제2고정핀 (42)이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에 의해 작동축(30)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제1고정핀(41)이 충격감지블록(60)의 핀정지구멍(62a)으로부터 이탈하여 핀후퇴안내장공(62b)을 따라 후퇴한다. 동시에 충격감지블록(60)은 리턴스프링(70)의 반발력으로 원위치하고 결국 도어(5)가 정상적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스프링힌지와 병행하여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힌지를 사용하지 않는 도어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댐퍼에 따르면, 도어가 닫아지는 강한 힘을 감지하여 완충시켜 줌으로써 도어 개폐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 및 부상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댐퍼의 설치위치를 일반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전문가 없이도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도어 중량에 따른 완충이 적합하고, 작동축의 토션력을 조절할 수 있어 도어 댐퍼의 작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2고정핀이 작동축에 표면 긁힘 없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작동상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다.

Claims (7)

  1. 도어틀(5)에 힌지 설치된 도어(10)의 닫힘 동작을 완충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지지 설치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전진이동 및 일방향 회전력이 부가되어 있고, 도어가 어느 정도 닫히는 회전각도내에 들어오면 도어의 순간 충격력을 전달받는 작동축(30)과;
    상기 작동축(30)의 2개소에 설치된 제1 및 제2고정핀(41,42)과;
    상기 작동축(3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탄성력으로 원위치 복원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작동축(30)이 받는 충격력의 강약에 따라 상기 제1고정핀(41)의 결합위치를 고정/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제어부(62)를 갖는 충격감지블록(60)과;
    상기 충격감지블록(60)의 후방에 배설되어 상기 작동축(30)에 전달된 도어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에 의해 도어의 닫힘 동작과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이 멈춤된 후 도어가 계속해서 닫아질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핀(42)을 충격감지블록(60)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작동축(30)의 후퇴동작을 유도하는, 하우징(20)에 설치된 제1고정핀 해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30)에 부가된 탄성력은 일단이 하우징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작동축(30)의 선단측에 연결된 토션스프링(50)으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50)의 토션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작동축(30)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의 걸림홈(102a)을 갖는 고정용 스톱퍼(102)와;
    상기 작동축(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102a)에 맞물리는 적어도 1개의 걸림턱(104a)을 갖는 가동용 스톱퍼(10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충격감지블록(60)의 후방에 완충구간을 두고 하우징 (20)측에 슬라이딩 지지 설치된 전,후 스프링지지판(81,82)간에 압축 개재된 완충스프링(90)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핀 해제수단은,
    상기 후방측 스프링지지판(82)에 연결된 복수개의 가이드봉(112)과;
    상기 가이드봉(11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작동축(30)의 제2고정핀(42)을 작동축(3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1고정핀(41)을 상기 제어통로부(62)의 해제위치로 결정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면(122)을 갖는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와;
    상기 제1고정핀 회전유도구(120)를 스프링지지판(82)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문틀에 설치하기 위한 홈레일 브래킷(150)을 포함하고, 상기 홈레일브래킷(150)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눈금지지부(23)가 가리키는 설치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핀(41,42)은 상기 작동축(30)에 삽입되고, 각기 반원형태로 분할되어 일체화된 핀삽입공(40a,40b)을 포함한 핀홀더(40)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댐퍼.
KR10-2000-0060737A 2000-10-16 2000-10-16 도어 댐퍼 KR10038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737A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0-10-16 도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737A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0-10-16 도어 댐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763U Division KR200216909Y1 (ko) 2000-10-16 2000-10-16 도어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161A KR20020030161A (ko) 2002-04-24
KR100380810B1 true KR100380810B1 (ko) 2003-04-26

Family

ID=1969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737A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0-10-16 도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8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97B1 (ko) 2009-02-02 2010-12-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2-05-18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어스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591B1 (ko) * 2015-07-23 2016-11-11 장용운 문닫힘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완충구
KR101717999B1 (ko) * 2016-10-31 2017-03-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492726B1 (ko) * 2021-02-17 2023-01-27 이재효 도어 스토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671U (ko) * 1990-05-29 1992-02-05
US5095581A (en) * 1991-06-12 1992-03-17 J. Sarto Co. Variable position door holder and stop
JPH08326410A (ja) * 1995-06-02 1996-12-10 Nifco Inc 開閉扉用緩衝装置
JPH10140927A (ja) * 1996-11-07 1998-05-26 Kunihiro Miyake ドアー構造
KR200173750Y1 (ko) * 1999-09-22 2000-03-15 김경길 도어용 완충장치
KR200180767Y1 (ko) * 1999-12-07 2000-05-15 김경길 도어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671U (ko) * 1990-05-29 1992-02-05
US5095581A (en) * 1991-06-12 1992-03-17 J. Sarto Co. Variable position door holder and stop
JPH08326410A (ja) * 1995-06-02 1996-12-10 Nifco Inc 開閉扉用緩衝装置
JPH10140927A (ja) * 1996-11-07 1998-05-26 Kunihiro Miyake ドアー構造
KR200173750Y1 (ko) * 1999-09-22 2000-03-15 김경길 도어용 완충장치
KR200180767Y1 (ko) * 1999-12-07 2000-05-15 김경길 도어용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97B1 (ko) 2009-02-02 2010-12-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2-05-18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어스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161A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749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vable part of a piece of furniture
US6070839A (en) Stand
US20180209195A1 (en) Door component comprising a controllable damping device
EP1913301B1 (en) Safety unit
ITTO990381A1 (it) Manigli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JP2009543724A (ja) スプリングバイアスプロップアームを備える統合ヒンジアセンブリ
KR100380810B1 (ko) 도어 댐퍼
US7444713B2 (en) Closer arm assembly for an automatic door closer
CN108367773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20090083939A1 (en) Damper device for retarding pivotal advancement of a hinged wall piece towards a hinging wall piece
JP4847209B2 (ja) 開き戸の緩衝装置
KR200216909Y1 (ko) 도어 댐퍼
EP3027833B1 (en) Improved guide device for the opening and the support of doors of furniture
CN110709573B (zh) 用于家具的具有开启装置的铰链
EP2899350B1 (en) Carriage unit for sliding doors of buildings or furniture and the like
KR100816451B1 (ko) 여닫이 문 세트의 개폐반복성 시험장치
CN104727680A (zh) 用于滑动门的弹性摆动滚轮机构
JP6727030B2 (ja) 引戸用クローザ装置
CN113272514B (zh) 防手指挤夹
KR20180098828A (ko) 방화문의 개폐 조절장치
JP4631066B1 (ja) タッピングデバイス
KR20130051828A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US6009597A (en) Buffer device of door
JP2558073B2 (ja) マグネット式ドア衝撃保護具
US20240044196A1 (en) Furniture drive system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