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713B1 - 도어스톱 - Google Patents

도어스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713B1
KR101144713B1 KR1020110102205A KR20110102205A KR101144713B1 KR 101144713 B1 KR101144713 B1 KR 101144713B1 KR 1020110102205 A KR1020110102205 A KR 1020110102205A KR 20110102205 A KR20110102205 A KR 20110102205A KR 101144713 B1 KR101144713 B1 KR 10114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ock absorber
cylinder
nut
co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술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to KR1020110102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와 같은 완충장치를 이용 충격을 보다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체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스톱에 관한 것으로, 도어(10)에 설치된 팝너트(20)의 플랜지부(22)가 위치되는 원형홈(32)을 원추형와셔(30)의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주면에 제1암나사산(42)이 형성된 실린더(40)의 후단부와 원추형와셔(30)의 밀착면에 각각 위치결정보스(44)와 위치결정홈(34)을 형성하고, 팝너트(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4)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관통구멍(46)(36)을 실린더(40)와 원추형와셔(30)의 중심에 각각 형성하며, 실린더(40)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42)에 결합되는 쇽업소버(50)와 고정볼트(24)의 볼트머리부(26)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재(60)를 양면테이프(62)에 의해 쇽업소버(50)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내주면에 제2암사사산(72)이 형성된 슬리브너트(70)를 쇽업소버(50)에 나사결합하며, 쇽업소버(50)의 피스톤로드(52) 선단 헤드부(54)에 설치되는 완충러버(56)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추형시트(74)를 슬리브너트(70)의 선단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스톱{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 개방시 도어와 벽면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도어손잡이 및 벽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이용하는 도어스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와 같은 완충장치를 이용 충격을 보다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체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스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스톱은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손잡이가 벽면에 부딪치면서 파손되거나 벽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상단에 설치하거나 바닥면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도어 상단에 설치하는 도어스톱은 다시 환봉이나 파이프의 선단에 완충고무를 설치한 고정형 도어스톱과, 실린더와 로드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충격흡수형 도어스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도어스톱은 모두 전체길이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다만 정해진 길이의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적당한 길이의 도어스톱을 선정하여 도어에 장착하여도 도어와 벽면 사이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없어 충격초기에 도어스톱과 벽면이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약간 각을 이루며 힘을 받아 도어스톱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격흡수형 도어스톱의 경우 충격흡수가 압축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너지가 압축스프링에 고스란히 저장되어 충돌 후 일정거리 압축되면, 도리어 압축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도어스톱을 도어에 고정할 때 철제도어에는 주로 탭핑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고, 목제도어에는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는데, 철제도어의 경우 얇은 철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탭핑스크류가 결합되는 부위의 나사산이 쉽게 헐거워져 탭핑스크류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목제도어에 사용하는 나사못도 낡은 도어스톱을 교환하려고 분리한 다음 다시 조이게 되면, 목제의 특성상 결합력이 크게 약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와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 후 반발력이 거의 발생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충격흡수가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장착시 도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스톱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된 팝너트의 플랜지부가 위치되는 원형홈을 원추형와셔의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주면에 제1암나사산이 형성된 실린더의 후단부와 원추형와셔의 밀착면에 각각 위치결정보스와 위치결정홈을 형성하고, 팝너트에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관통구멍을 실린더와 원추형와셔의 중심에 각각 형성하며, 실린더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에 결합되는 쇽업소버와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재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쇽업소버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내주면에 제2암사사산이 형성된 슬리브너트를 쇽업소버에 나사결합하며, 쇽업소버의 피스톤로드 선단 헤드부에 설치되는 완충러버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추형시트를 슬리브너트의 선단에 형성하여 도어스톱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는 쇽업소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실린더 내측으로 진입시키거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어와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도어스톱의 전체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오일이 내장된 통상의 쇽업소버를 사용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너지는 소멸되고, 충격흡수 후 반발력은 매우 약한 리턴스프링에 의한 반발력 정도만 발생되기 때문에 도어스톱이 벽면에 충돌한 후 도어가 부드럽게 멈추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도어에 장착되는 팝너트에 의해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스톱 장착시 도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스톱의 교환 후 고정볼트를 재결합하여도 처음의 결합력과 거의 동일한 결합력으로 도어스톱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와 쇽업소버의 후단부 사이에 간격재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쇽업소버를 실린더에 결합할 때 간격재에 의해 도어스톱의 전체길이를 보다 쉽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슬리브너트의 선단에 형성된 원추형시트는 후퇴하는 완충러버를 지지해 줌으로써 피스톤로드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가 쇽업소버에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쇽업소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실린더에 나사결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 후 슬리브너트를 이용하여 쇽업소버를 로크너트와 같은 형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쇽업소버를 실린더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톱을 보인 도면 단면도
도 2는 도1의 상태로부터 압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톱을 보인 도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스톱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설치된 팝너트(20)의 플랜지부(22)가 위치되는 원형홈(32)을 원추형와셔(30)의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주면에 제1암나사산(42)이 형성된 실린더(40)의 후단부와 원추형와셔(30)의 밀착면에 각각 위치결정보스(44)와 위치결정홈(34)을 형성하고, 팝너트(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4)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관통구멍(46)(36)을 실린더(40)와 원추형와셔(30)의 중심에 각각 형성하며, 실린더(40)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42)에 결합되는 쇽업소버(50)와 고정볼트(24)의 볼트머리부(26)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재(60)를 양면테이프(62)에 의해 쇽업소버(50)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내주면에 제2암사사산(72)이 형성된 슬리브너트(70)를 쇽업소버(50)에 나사결합하며, 쇽업소버(50)의 피스톤로드(52) 선단 헤드부(54)에 설치되는 완충러버(56)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추형시트(74)를 슬리브너트(70)의 선단에 형성한다.
또한, 슬리브너트(70)의 양측 외주면에 몽키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물릴 수 있는 면취부(76)를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슬리브너트(70)를 편리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삭제
또, 실린더(40)와 슬리브너트(70)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암수의 환형맞춤턱(48)(78)을 형성하여 실린더(40)와 슬리브너트(70)를 연결할 때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간격재(60)는 예컨대 경질우레탄, 연질우레탄, 알루미늄,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판재를 피어싱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방화문, 방음문, 레자방음문, 방문, 욕실도어, 화장실도어 등 여닫이형 도어 또는 미닫이형 도어에 적용할 수 있으며, 주로 여닫이형 도어에 적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벽면을 나타낸 것이며, 100은 도어스톱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팝너트(20)를 장착할 수 있는 홀(도시 생략)을 천공한 다음 팝너트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팝너트(20)를 도어(10)에 설치한다.
이후 원추형와셔(30)의 중심을 팝너트(2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팝너트(20)를 도어(10)에 밀착시키게 되면, 원추형와셔(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홈(32)에 팝너트(20)에 형성된 플랜지부(22)가 위치된다.
그 다음 실린더(40)에 형성된 위치결정보스(44)를 원추형와셔(3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4)에 삽입한 상태에서 실린더(40) 내측으로 고정볼트(24)를 삽입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24)를 실린더(40)와 원추형와셔(30)에 형성된 볼트관통구멍(46)(36)으로 삽입하여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 고정볼트(24)를 팝너트(20)에 조립하게 되면, 원추형와셔(30)와 실린더(40)가 도어(1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때 실린더(40)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42)에 쇽업소버(50)를 결합하게 되면, 쇽업소버(50)가 실린더(40) 내측으로 진입되는데, 이후 쇽업소버(50)의 후단부에 접착되어 있는 간격재(60)가 고정볼트(24)의 볼트머리부(26)에 접촉하게 되면, 쇽업소버(50)가 멈추게 된다.
즉, 간격재(60)에 의해 쇽업소버(50)가 멈추는 지점에서 도어스톱(100)의 전체길이가 결정되며, 이러한 간격재(60)의 두께는 도어스톱(100)의 전체길이를 감안하여 제작된다.
위와 같이 쇽업소버(50)가 실린더(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너트(70)를 쇽업소버(50)에 결합하여 실린더(40) 선단에 밀착시키게 되면, 슬리브너트(70)가 로크너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동시에 쇽업소버(50)의 나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너트(70)에 형성된 면취부(76)에 몽키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물어서 조이게 되면, 슬리브너트(70)가 좀 더 강하게 조여지게 된다.
그 다음 쇽업소버(50)의 피스톤로드(52)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54)에 완충러버(56)를 끼우게 되면, 도어스톱(1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삭제
위와 같이 도어스톱(100)이 도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10)가 개방되면, 피스톤로드(52) 선단의 헤드부(54)에 설치된 완충러버(56)가 벽면(12)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때 쇽업소버(50)의 피스톤로드(52)가 후퇴되면서 충격이 흡수되며, 도어(10)는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
또, 도어(10)를 개방하는 힘이 과다하여 슬리브너트(70)의 선단에 형성된 원추형시트(74)에 완충러버(56)가 밀착되면, 피스톤로드(52)가 멈추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로드(52)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54)가 쇽업소버(50)에 부딪치는 것을 막아 쇽업소버(50)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원추형시트(74)에 구형의 완충러버(56)가 부딪칠 때 완충러버(56)가 중심방향으로도 힘을 받기 때문에 원추형시트(74)의 정지력이 향상된다.
이후 개방되어 있던 도어(10)를 닫게 되면, 쇽업소버(50)의 내부에 내장된 리턴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피스톤로드(52)가 돌출되어 다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10 : 도어 12 : 벽면
20 : 팝너트 22 : 플랜지부
24 : 고정볼트 26 : 볼트머리부
30 : 원추형와셔 32 : 원형홈
34 : 위치결정홈 40 : 실린더
42 : 제1암나사산 44 : 위치결정보스
46,36 : 볼트관통구멍 48,78 : 환형맞춤턱
50 : 쇽업소버 52 : 피스톤로드
54 : 헤드부 56 : 완충러버
60 : 간격재 62 : 양면테이프
70 : 슬리브너트 72 : 제2암사사산
74 : 원추형시트 76 : 면취부
100 : 도어스톱

Claims (1)

  1. 도어(10)에 설치된 팝너트(20)의 플랜지부(22)가 위치되는 원형홈(32)을 원추형와셔(30)의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주면에 제1암나사산(42)이 형성된 실린더(40)의 후단부와 원추형와셔(30)의 밀착면에 각각 위치결정보스(44)와 위치결정홈(34)을 형성하고, 팝너트(2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24)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관통구멍(46)(36)을 실린더(40)와 원추형와셔(30)의 중심에 각각 형성하며, 실린더(40)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42)에 결합되는 쇽업소버(50)와 고정볼트(24)의 볼트머리부(26)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재(60)를 양면테이프(62)에 의해 쇽업소버(50)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내주면에 제2암사사산(72)이 형성된 슬리브너트(70)를 쇽업소버(50)에 나사결합하며, 쇽업소버(50)의 피스톤로드(52) 선단 헤드부(54)에 설치되는 완충러버(56)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원추형시트(74)를 슬리브너트(70)의 선단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톱.
KR1020110102205A 2011-10-07 2011-10-07 도어스톱 KR10114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05A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1-10-07 도어스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05A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1-10-07 도어스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713B1 true KR101144713B1 (ko) 2012-05-18

Family

ID=4627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205A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1-10-07 도어스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2-04-19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스토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88A (ko) * 1998-11-02 2000-06-05 윤종용 반도체 임플랜터설비의 풀림방지용 쇽업저버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3-04-26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도어 댐퍼
KR100520764B1 (ko) 2003-06-27 2005-10-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체커
KR200415766Y1 (ko) * 2006-02-03 2006-05-08 오금배 도어 스톱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988A (ko) * 1998-11-02 2000-06-05 윤종용 반도체 임플랜터설비의 풀림방지용 쇽업저버
KR100380810B1 (ko) 2000-10-16 2003-04-26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도어 댐퍼
KR100520764B1 (ko) 2003-06-27 2005-10-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체커
KR200415766Y1 (ko) * 2006-02-03 2006-05-08 오금배 도어 스톱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2-04-19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713B1 (ko) 도어스톱
CN109372874A (zh) 一种偏轴式开槽法兰螺母
CA2716471A1 (en) Extreme offset nose assembly
CN209908080U (zh) 建筑施工用防护栏杆
CN204099378U (zh) 一种快速连接螺栓
CN101799055B (zh) 一种自动变阻力能耗式吸能器
CN203296532U (zh) 新型门吸
CN214784743U (zh) 一种钢管桁架拼接结构
CN204164186U (zh) 一种防松螺栓的螺杆
CN216407963U (zh) 一种带多向阻尼功能的抗震支架
CN205172247U (zh) 一种新型缓冲推拉门吊轮
KR101992606B1 (ko) 건축용 도어스톱
CN203779137U (zh) 限制防松式过载防护夹具
CN209892974U (zh) 一种柴油发电机组固定装置
CN202937178U (zh) 旋挖钻机动力头缓冲结构
CN107165976A (zh) 一种径向弹簧式无谐振峰隔振器及径向阻尼模块
CN112610796A (zh) 一种用于墙体内部水管暗孔堵漏的螺栓
KR101423076B1 (ko) 마그네틱 너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외장 패널의 풀림 방지장치
CN206111804U (zh) 一种防松螺栓
CN216340213U (zh) 一种墙体消能减震机构
CN217400661U (zh) 一种防撞性能好的掩门阻尼结构
CN105064833A (zh) 一种新型缓冲推拉门吊轮
JP2010274344A (ja) 油圧ブレ−カ
CN103769883A (zh) 限制防松式过载防护夹具
CN216830725U (zh) 俩用式防震反弹力橡胶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