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008B1 - 건축용 도어스토퍼 - Google Patents

건축용 도어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008B1
KR102388008B1 KR1020210100284A KR20210100284A KR102388008B1 KR 102388008 B1 KR102388008 B1 KR 102388008B1 KR 1020210100284 A KR1020210100284 A KR 1020210100284A KR 20210100284 A KR20210100284 A KR 20210100284A KR 102388008 B1 KR102388008 B1 KR 10238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head
stop bar
center
wir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순준기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0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스톱바(30)의 선단에 형성되는 반구형 지지부(31); 반구형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는 틸트헤드(40); 틸트헤드(40)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전방수용실(41); 전방수용실(41)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는 구형홈(42); 전방수용실(41)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스프링 가동핀(50); 스톱바(30)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링(60); 장력조절링(60)의 중심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구멍(61); 장력조절링(60)을 고정하는 세트스크류(62); 장력조절링(60)의 전면에 형성되는 후방수용실(63); 후방수용실(63)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핀(51); 스프링 고정핀(51)과 스프링 가동핀(50)에 양단에 걸려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인장스프링(5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도어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 개방시 도어와 벽면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도어손잡이 및 벽면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충돌면 기울기에 맞게 움직이면서 충격을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스토퍼는 도어가 개방될 때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손잡이가 벽면에 부딪치면서 파손되거나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 상단 또는 벽면에 설치하거나 바닥면에 설치하고 있다.
이 중에서 벽면에 설치하는 도어스토퍼는 환봉이나 파이프의 선단에 완충고무를 설치한 고정형 도어스토퍼와, 실린더와 로드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충격흡수형 도어스토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고정형 도어스토퍼에 관한 종래기술 1, 2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0)에 설치되는 스톱봉(11)의 단부에 캡(12)이 설치되고, 캡(12)에는 완충고무(13)(16)가 삽입되어 도어(14)로부터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고무(13)의 단부가 반구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14)의 표면(15)에 접촉하는 부분이 점 형태로 되어 충격이 도어(14)의 국부에 집중되면서 도어(14)를 감싸고 있는 피복 필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고무(16)의 단부가 평평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어(14)가 완충고무(16)의 접촉면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완충고무(16)의 접촉면이 도어(14)의 표면(15)에 전부 밀착되지 못하고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만 접촉되면서 충격이 국부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4713호(공고일 2012.05.1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19851호(공고일 2013.10.1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38584호(공고일 2017.05.2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65012호(공고일 2017.08.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의 기울기에 따라 움직이면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건축용 도어스토퍼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도어스토퍼는, 벽면에 지지되는 스톱바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록한 반구형 지지부; 반구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의 충돌면을 따라 기울어지는 틸트헤드; 틸트헤드의 후면 중심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스톱바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전방수용실; 전방수용실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고, 반구형 지지부에 밀착되는 구형홈; 전방수용실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가동핀; 틸트헤드와 축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스톱바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링; 장력조절링의 중심에 형성되고, 스톱바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구멍; 장력조절링을 스톱바에 고정하는 세트스크류; 장력조절링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스톱바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후방수용실; 후방수용실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핀; 스프링 고정핀과 스프링 가동핀에 양단에 걸려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틸트헤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반구형 지지부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스톱바의 중심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멍; 와이어 고정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틸트헤드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걸림구멍; 와이어 고정구멍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와이어 걸림구멍에 걸려서 틸트헤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와이어; 와이어 고정구멍과 동심을 이루도록 반구형 지지부와 스톱바의 중심에 형성되고, 리턴와이어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와이어 간섭방지구멍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틸트헤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 틸트헤드와 장력조절링의 외주면을 덮는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틸트헤드(40)가 반구형 지지부(31)의 중심을 기점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21)가 완충패드(80)에 경사지게 충돌하더라도 틸트헤드(40)가 도어(21)의 기울기에 맞게 회전되면서 완충패드(80)의 표면이 도어(21)의 충돌면(22)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도어(21)가 완충패드(80)로부터 떨어지면, 인장스프링(52)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지점으로 틸트헤드(40)를 자동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트스크류(62)를 풀고 장력조절링(60)을 스톱바(30)를 따라 움직여서 틸트헤드(40)와 장력조절링(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 인장스프링(52)의 장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틸트헤드(40)와 장력조절링(60)의 외주면을 덮는 플렉시블 튜브(8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틸트헤드(40)와 장력조절링(6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톱바(30)의 중심에 박힌 리턴와이어(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틸트헤드(40)의 자동복귀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틸트헤드(4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리턴와이어(70)의 전단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면서 틸트헤드(4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고정구멍(32)의 끝에 형성된 와이어 간섭방지구멍(33)에 의해 리턴와이어(70)가 휠 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턴와이어(70) 및 틸트헤드(40)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 2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헤드, 장력조절링, 인장스프링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반대편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링으로부터 스프링 고정핀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헤드로부터 스프링 가동핀을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부분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면(20)에 지지되는 스톱바(30)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록한 반구형 지지부(31); 반구형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21)의 충돌면(22)을 따라 기울어지는 틸트헤드(4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바(30)와 일직선을 이루는 중공관(39)을 스톱바(3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즉, 중공관(39)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홀(35)의 선단 내주면에 암나사부(37)를 형성하고, 스톱바(30)의 후단부에는 암나사부(37)에 결합되는 스터드볼트(38)를 형성해서 스톱바(30)와 중공관(39)을 서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중공관(39)의 후단부에는 벽면(20)에 밀착되는 납작한 베이스접시(34)를 형성하고, 베이스접시(34)의 중심에 체결공(36)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접시(34)와 중공관(39)을 벽면(20)에 설치하는 과정은, 스톱바(30)와 중공관(39)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중공관(39)의 후단부에 형성된 베이스접시(34)를 벽면(20)에 밀착시키고, 중공관(39)에 형성된 중공홀(35)을 통해 앵커못(24)을 진입시킨 다음 체결공(36)으로 앵커못(24)을 통과시킨 후 벽면(20)에 설치된 인서트(23)에 앵커못(24)을 결합하면 베이스접시(34)와 중공관(39)이 벽면(20)에 설치된다.
그 다음 분리되어 있던 스톱바(30)의 후단부에 형성된 스터드볼트(38)를 중공관(39)에 형성된 암나사부(37)에 결합하면 스톱바(30)와 중공관(39)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스톱바(30)와 중공관(39)은, 예를 들면 금속 환봉을 절삭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며, 스톱바(30)와 중공관(39)의 외경을 서로 동일한 외경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틸트헤드(40)의 후면 중심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스톱바(3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전방수용실(41); 전방수용실(41)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고, 반구형 지지부(31)에 밀착되는 구형홈(42); 전방수용실(4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가동핀(50)을 포함한다.
틸트헤드(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지지부(31)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의 충돌면(22)이 완충패드(80)와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경우 틸트헤드(40)가 충돌면(22)의 기울기에 따라 회전되면서 완충패드(80)가 충돌면(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어(21)로부터 완충패드(80)로 전달되는 충격은 도어(21)와 완충패드(80) 간의 면접촉에 의해 넓게 분산되어 전달되고, 결국 도어(21)는 정지 된다.
전방수용실(4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가동핀(50)과 하기의 인장스프링(52)이 스톱바(30)와 반구형 지지부(31)에 간섭없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구형홈(42)의 곡률반경은 반구형 지지부(31)의 곡률반경에 맞게 형성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용실(41)의 내주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탭구멍(44)을 형성하고, 탭구멍(44)에 결합되는 수나사부(50b)를 스프링 가동핀(50)의 단부에 형성해서 스프링 가동핀(50)을 틸트헤드(40)에 설치한다.
본 발명은 틸트헤드(40)와 축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스톱바(3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링(60); 장력조절링(60)의 중심에 형성되고, 스톱바(3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구멍(61); 장력조절링(60)을 스톱바(30)에 고정하는 세트스크류(62)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링(60)에 형성된 슬라이드 구멍(61)에 스톱바(30)를 헐겁게 결합해서 장력조절링(60)을 스톱바(3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장스프링(52)의 장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세트스크류(62)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링(60)의 외주면으로부터 슬라이드 구멍(61)을 향해 관통되는 스크류구멍(65)에 나사결합되며, 세트스크류(62)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장력조절링(60)에 의해 인장스프링(52)의 장력을 적절한 크기로 조절한 후 세트스크류(62)를 다시 조이면, 세트스크류(62)가 스톱바(30)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장력조절링(60)이 스톱바(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장력조절링(6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스톱바(3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후방수용실(63); 후방수용실(63)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핀(51); 스프링 고정핀(51)과 스프링 가동핀(50)에 양단에 걸려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인장스프링(52)을 포함한다.
후방수용실(63)은 스프링 고정핀(51)과 인장스프링(5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수용실(63)의 내주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탭구멍(64)을 형성하고, 탭구멍(64)에 결합되는 수나사부(51b)를 스프링 고정핀(51)의 단부에 형성해서 스프링 고정핀(51)을 장력조절링(60)에 설치한다.
인장스프링(52)은 예를 들면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52)의 양단에 고리부(53)를 형성하고, 스프링 고정핀(51)과 스프링 가동핀(50)의 외주면에 환형홈(50g)(51g)을 형성해서 고리부(53)를 환형홈(50g)(51g)에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구형 지지부(31)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스톱바(30)의 중심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멍(32); 와이어 고정구멍(32)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틸트헤드(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걸림구멍(43)을 포함한다.
와이어 고정구멍(32)에는 하기의 리턴와이어(70) 후단부가 압입되거나 접착될 수 있고, 와이어 걸림구멍(43)에는 리턴와이어(70)의 선단이 헐겁게 삽입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구멍(32)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와이어 걸림구멍(43)에 걸려서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와이어(70); 와이어 고정구멍(32)과 동심을 이루도록 반구형 지지부(31)와 스톱바(30)의 중심에 형성되고, 리턴와이어(7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와이어 간섭방지구멍(33)을 포함한다.
리턴와이어(7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직선형의 스프링 강선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틸트헤드(40)가 반구형 지지부(31)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탄성복원력을 갖고 휘게 되고, 도어(21)가 완충패드(80)로부터 이격되면서 외력이 제거되면, 리턴와이어(7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으로 펴지면서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와이어 간섭방지구멍(33)은, 리턴와이어(70)가 휠 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서 반구형 지지부(31)와 리턴와이어(70) 간에 간섭저항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틸트헤드(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80); 틸트헤드(40)와 장력조절링(60)의 외주면을 덮는 플렉시블 튜브(81)를 포함한다.
완충패드(80)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82)를 이용해서 틸트헤드(40)의 정면에 부착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1)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실리콘 고무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틸트헤드(40)와 장력조절링(60)의 사이의 공간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고, 틸트헤드(40)가 움직일 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플렉시블한 관절처럼 탄성복원력을 갖고 변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21)가 벽면(20)을 향해 개방되면서 도어(21)의 충돌면(22)이 완충패드(80)의 표면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진 상태로 완충패드(80)에 충돌되는 경우 틸트헤드(40)가 반구형 지지부(31)의 중심을 기점으로 회전되면서 완충패드(80)의 표면이 도어(21)의 충돌면(22)에 밀착된다.
이때 틸트헤드(40)의 회전에 의해 장력조절링(60)과 틸트헤드(40) 간의 간격이 좁아진 곳에 위치된 인장스프링(52)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되고, 장력조절링(60)과 틸트헤드(40) 간의 간격이 넓어진 곳에 위치된 인장스프링(52)은 신장되고, 동시에 스톱바(30)의 중심에 박혀 있는 리턴와이어(70)는 틸트헤드(4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후 도어(21)가 닫히면서 완충패드(80)로부터 떨어지면, 수축된 인장스프링(52)과 신장된 인장스프링(52)이 모두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틸트헤드(40)가 멈추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동시에 리턴와이어(7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으로 펴지면서 틸트헤드(40)의 복귀를 돕게 된다.
20 : 벽면 21 : 도어
22 : 충돌면 23 : 인서트
24 : 앵커못 30 : 스톱바
31 : 반구형 지지부 32 : 와이어 고정구멍
33 : 와이어 간섭방지구멍 34 : 베이스접시
35 : 중공홀 36 : 체결공
37 : 암나사부 38 : 스터드볼트
39 : 중공관 40 : 틸트헤드
41 : 전방수용실 42 : 구형홈
43 : 와이어 걸림구멍 44,64 : 탭구멍
50 : 스프링 가동핀 51 : 스프링 고정핀
50b,51b : 수나사부 50g,51g : 환형홈
52 : 인장스프링 53 : 고리부
60 : 장력조절링 61 : 슬라이드 구멍
62 : 세트스크류 63 : 후방수용실
65 : 스크류구멍 70 : 리턴와이어
80 : 완충패드 81 : 플렉시블 튜브
82 : 양면테이프

Claims (3)

  1. 벽면(20)에 지지되는 스톱바(30)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록한 반구형 지지부(31);
    상기 반구형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고, 도어(21)의 충돌면(22)을 따라 기울어지는 틸트헤드(40);
    상기 틸트헤드(40)의 후면 중심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바(3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전방수용실(41);
    상기 전방수용실(41)의 후면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지지부(31)에 밀착되는 구형홈(42);
    상기 전방수용실(4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가동핀(50);
    상기 틸트헤드(40)와 축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스톱바(3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링(60);
    상기 장력조절링(60)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스톱바(3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구멍(61);
    상기 장력조절링(60)을 상기 스톱바(30)에 고정하는 세트스크류(62);
    상기 장력조절링(6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바(3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후방수용실(63);
    상기 후방수용실(63)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스프링 고정핀(51);
    상기 스프링 고정핀(51)과 상기 스프링 가동핀(50)에 양단에 걸려서 일정한 장력이 부여되고, 상기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인장스프링(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도어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부(31)의 선단 중심으로부터 상기 스톱바(30)의 중심을 향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와이어 고정구멍(32);
    상기 와이어 고정구멍(32)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틸트헤드(40)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걸림구멍(43);
    상기 와이어 고정구멍(32)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 걸림구멍(43)에 걸려서 상기 틸트헤드(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와이어(70);
    상기 와이어 고정구멍(32)과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반구형 지지부(31)와 상기 스톱바(30)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리턴와이어(70)의 외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와이어 간섭방지구멍(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도어스토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헤드(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완충패드(80);
    상기 틸트헤드(40)와 상기 장력조절링(60)의 외주면을 덮는 플렉시블 튜브(8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도어스토퍼.
KR1020210100284A 2021-07-30 2021-07-30 건축용 도어스토퍼 KR10238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84A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도어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84A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도어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008B1 true KR102388008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284A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1-07-30 건축용 도어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0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23A (ja) * 1996-06-24 1998-01-13 Noriaki Nakakura 戸当り
JPH11256916A (ja) * 1998-03-16 1999-09-21 Miwa Lock Co Ltd ばね式戸当り
KR200231963Y1 (ko) * 2001-02-20 2001-07-19 윤승룡 충격흡수장치 및 2중 길이조절장치를 구비한 도어스톱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2-05-18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어스톱
KR101319851B1 (ko) 2013-04-26 2013-10-18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월마운트 도어스톱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7-08-03 김성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2050272B1 (ko) * 2018-12-28 2019-11-29 오세범 여닫이용 자동 닫힘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23A (ja) * 1996-06-24 1998-01-13 Noriaki Nakakura 戸当り
JPH11256916A (ja) * 1998-03-16 1999-09-21 Miwa Lock Co Ltd ばね式戸当り
KR200231963Y1 (ko) * 2001-02-20 2001-07-19 윤승룡 충격흡수장치 및 2중 길이조절장치를 구비한 도어스톱
KR101144713B1 (ko) 2011-10-07 2012-05-18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어스톱
KR101319851B1 (ko) 2013-04-26 2013-10-18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월마운트 도어스톱
KR101738584B1 (ko) 2016-02-15 2017-05-22 유권식 도어용 완충 스토퍼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7-08-03 김성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2050272B1 (ko) * 2018-12-28 2019-11-29 오세범 여닫이용 자동 닫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0784B (zh) 可调节传感器
CN101014090A (zh) 监视摄像机万向架机构
US6769851B2 (en) Captive fastener
JP2007333145A (ja) 構造体用免震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利用可能な免震装置
US5992122A (en) Attachment element
KR102388008B1 (ko) 건축용 도어스토퍼
EP3278002B1 (en) Anti-tilt spring mechanism and tension mounting mechanism for a ball and socket mounting device
US8334448B2 (en) Support for percussion instrument
KR101687663B1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EP3211282B1 (en) A connecting mechanism of a flexible pipe and an outlet device
TW201727085A (zh) 用於夾持膨脹部分的膨脹錨具
US20190145451A1 (en) Fixing element
AU647823B2 (en) Anchoring device
JP4668169B2 (ja) 調整時に機器を設置するための調整脚
GB2298436A (en) A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cable to a post or similar structure
KR20090067132A (ko) 앵커볼트
KR200473296Y1 (ko) 세트 앙카
US5490662A (en) Garage-door spring reinforcement and repair kit
JP5798802B2 (ja) 入力判別装置
KR102056922B1 (ko) 내진용 배관 지지 장치
JP2018084129A (ja) 免震具
CN113915214B (zh) 石材防坠倒吊螺丝及其安装方法
JP4126436B2 (ja) 構造体用耐震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利用可能な耐震連結装置
KR20200070964A (ko)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JP3192067U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付属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