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964A -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964A
KR20200070964A KR1020190006540A KR20190006540A KR20200070964A KR 20200070964 A KR20200070964 A KR 20200070964A KR 1020190006540 A KR1020190006540 A KR 1020190006540A KR 20190006540 A KR20190006540 A KR 20190006540A KR 20200070964 A KR20200070964 A KR 2020007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joint
diameter
bal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하나
Original Assignee
오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하나 filed Critical 오하나
Publication of KR2020007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을 기준으로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로서,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101)과, 상기 제1 구간(1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102)과, 상기 제2 구간(1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구간(103)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10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1 구간(101)과 제2 구간(1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상기 제2 구간(1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101)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1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A)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11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2 구간(102)에 삽입되어 상기 볼(111)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3 구간(10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20)를 압박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전산볼트(B)가 체결되는 이탈방지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Multi-purpose anti-seize fastener}
본 발명은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을 기준으로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가스관, 상수관, 하수관, 소방설비관, 냉방설비관, 플랜트 배관 등과 같은 다수의 파이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들은 건물의 천장에 매달린 다수의 파이프 행거에 의해 지지된다.
파이프는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맥동, 수격, 지진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수시로 진동을 받게 되는데, 이 진동을 파이프 행거가 그대로 받게 되면, 파이프 행거가 변형·파손되면서 파이프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 유체가 누출되는 등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고, 그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832995호('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형 파이프 행거')가 있다.
종래의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형 파이프 행거'는 상브래킷의 하단과 스프링홀더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스프링홀더의 하단이 건물의 진동에 의해 파이프의 수평 2차원방향 중 제 1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건물의 진동 중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성분은 파이프에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되고, 스프링홀더의 하단과 하브래킷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브래킷의 하단이 건물의 진동에 의해 파이프의 수평 2차원 방향 중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건물의 진동 중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성분은 파이프에 거의 전달되지 않게 구성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2995호(2018년02월28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형 파이프 행거)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을 기준으로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진동에 의한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101)과, 상기 제1 구간(1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102)과, 상기 제2 구간(1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구간(103)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10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1 구간(101)과 제2 구간(1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상기 제2 구간(1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101)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1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A)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11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2 구간(102)에 삽입되어 상기 볼(111)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3 구간(10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20)를 압박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전산볼트(B)가 체결되는 이탈방지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130)는, 상기 관절이음구(100)에 체결되는 상반부(130a)와, 상기 상반부(130a)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반부(130b)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다른 일례는,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201)과, 상기 제1 구간(2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202)과, 상기 제2 구간(202)에서 연속되고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측방이 열린 형태로 개방홈(2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203)과, 상기 제3 구간(20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4 구간(204)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200);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1 구간(201)과 제2 구간(2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상기 제2 구간(2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2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201)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2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A)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210);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2 구간(202)에 삽입되어 상기 볼(211)에 밀착되는 탄성부재(220); 상기 탄성부재(22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캡부재(230); 및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3 구간(203)에 형성된 개방홈(203a)의 측면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이탈방지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또 다른 일례는,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과 연속되되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하단부까지 관통된 형태로 개방홈(3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303)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300);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1 구간과 제2 구간 사이의 단턱에 걸리도록 제2 구간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미도시);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2 구간에 삽입되어 상기 볼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미도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캡부재(미도시); 및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3 구간(303)에 형성된 개방홈(303a)에 삽입고정되는 이탈방지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따르면, 천장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비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관절부를 포함한 총 5개의 부품이 나사조립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제작이 용이한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가 다각 형태로 구성되고, 측면 인서트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풀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는 순간의 전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포함된 이탈방지구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렌더링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는 순간의 전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포함된 이탈방지구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천장을 기준으로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로서, 관절이음구(100), 구형관절부(110), 탄성부재(120)와 이탈방지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절이음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101)과, 제1 구간(1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102)과, 제2 구간(1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구간(103)으로 구분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관절이음구(100)는 육각 형상의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구형관절부(110)는 관절이음구(100)의 제1 구간(101)과 제2 구간(1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제2 구간(1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111)을 구비하고, 제1 구간(101)을 통과하도록 볼(111)의 상면부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스트롱 앵커(A)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탄성부재(120)는 관절이음구(100)의 제2 구간(102)에 삽입되어 볼(111)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이탈방지구(130)는 관절이음구(100)의 제3 구간(103)에 체결되어 탄성부재(120)를 압박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전산볼트(B)가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탈방지구(130)와 탄성부재(120) 사이에는 모자 형상으로 된 캡부재(135)가 재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산볼트(B)가 이탈방지구(130)에 체결된 후, 전산볼트(B)에 의해 캡부재(135)가 압박지지되면서, 탄성부재(120)는 예압이 걸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진동을 흡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산볼트(B)의 하단부에는 배관(P)을 지지하는 측면 행거(10)가 체결되고, 측면 행거(10)는 배관(P)의 맥동, 수격, 지진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하여 진동을 받게 된다.
이 상태에서, 측면 행거(10)가 흔들리게 되면,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탄성부재(120)가 신축됨과 동시에 관절이음구(100)가 회전되면서, 신축 변위(X1)와 각도 변위(X2)를 흡수하게 된다.
구형관절부(110)는 상단부가 천장에 매설된 스트롱 앵커(A)에 체결고정된 상태로서, 변위 흡수의 기준점이 된다.
측면 행거(10)가 상하로 진동되면, 구형관절부(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관절이음구(100), 이탈방지구(130) 및 캡부재(135)가 일체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구형관절부(110)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탄성부재(120)는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측면 행거(10)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면, 구형관절부(110)는 고정된 상태에서, 관절이음구(100), 이탈방지구(130) 및 캡부재(135)가 일체로 전후 또는 좌우로 관절운동을 하면서 구형관절부(110)에 대하여 상대운동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구형관절부(110)의 볼(111)이 탄성부재(120)에 밀착된 상태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각도 변위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천장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비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관절부(110)를 포함한 총 5개의 부품이 나사조립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제작이 용이한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탈방지구(130)의 나사조립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130)는 관절이음구(100)에 체결되는 상반부(130a)와, 상반부(130a)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관절이음구(100)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반부(130b)로 변형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구(130)의 하반부(130b)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돌리면서 보다 쉽게 조립·분해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의 제1 실시예와 내용상 겹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변형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관절이음구(200), 구형관절부(210), 탄성부재(220), 캡부재(230), 이탈방지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절이음구(200)는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201)과, 제1 구간(2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202)과, 제2 구간(202)에서 연속되고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측방이 열린 형태로 개방홈(2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203)과, 제3 구간(20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4 구간(204)으로 구분된다.
구형관절부(210)는 관절이음구(200)의 제1 구간(201)과 제2 구간(2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제2 구간(2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211)을 구비하고, 제1 구간(201)을 통과하도록 볼(2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스트롱 앵커(미도시)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탄성부재(220)는 관절이음구(200)의 제4 구간(204)을 통해 제2 구간(202)에 삽입되어 볼(211)에 밀착되는 코일스프링이다.
캡부재(230)는 탄성부재(22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모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탈방지구(240)는 관절이음구(200)의 제3 구간(203)에 형성된 개방홈(203a)의 측면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너트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홈(203a)은 육각 형태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탈방지구(240)는 육각 너트가 적용되나, 각이 지고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어떠한 부재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그대로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탈방지구(240)를 나사결합 방식이 아닌, 측면 인서트 방식으로 관절이음구(200)에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탈방지구(240)가 다각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 불가능하게 개방홈(203a)에 삽입됨으로써, 진동에 의해 이탈방지구(240)가 풀려 관절이음구(2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제1 실시예와 같이 이탈방지구(240)가 관절이음구(200)에 나사결합되면, 그 부분은 진동에 의해 풀릴 수 있는 취약한 부분이 된다.
진동에 의해 풀릴 수 있는 부분이 더 존재한다. 이탈방지구(240)와, 여기에 체결되는 전산볼트(B) 간에도 풀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이음구(200)의 개방홈(203a) 중, 바닥면(203a')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203a')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전산볼트(B)의 하중 및 탄성부재(220)의 탄성복원력을 받는 이탈방지구(240)가 경사진 방향으로 어긋나면서, 이탈방지구(240)의 회전이 억제된다. 이탈방지구(240)와 전산볼트(B) 간의 풀림 가능성도 낮아지게 된다.
풀림 방지 측면에서, 바닥면(203a')의 경사각(θ)은 전산볼트(B)의 피치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의 제1, 2 실시예와 겹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의 렌더링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관절이음구(300), 구형관절부(미도시), 탄성부재(미도시), 캡부재(미도시), 이탈방지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절이음구(300)는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과, 제1 구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과, 제2 구간과 연속되되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하단부까지 관통된 형태로 개방홈(3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303)으로 구분된다.
구형관절부(미도시)는 관절이음구(300)의 제1 구간과 제2 구간 사이의 단턱에 걸리도록 제2 구간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을 구비하고, 제1 구간을 통과하도록 볼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탄성부재(미도시)는 관절이음구(300)의 제2 구간에 삽입되어 볼에 밀착되는 코일스프링이다.
캡부재(미도시)는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구(340)는 관절이음구(300)의 제3 구간(303)에 형성된 개방홈(303a)에 삽입고정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 너트가 적용되었다.
본 실시예는 이탈방지구(340)의 풀림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보다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변형례로서, 관절이음구(300)의 개방홈(303a)에 이탈방지구(340)를 삽입한 다음, 관절이음구(300)의 양측면 중, 제3 구간과 대응되는 지점(화살표로 표시된 지점)을 기계로 누르면 이탈방지구(340)가 간단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는, 천장에 수직방향에 대하여 신축됨과 동시에 360도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비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관절부를 포함한 총 5개의 부품이 나사조립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조립·제작이 용이한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가 다각 형태로 구성되고, 측면 인서트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풀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쉽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특히, 구형관절부가 체결되는 천장은,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원으로, 이탈방지구에 체결되는 전산볼트 및 행거는, 진동이 저감되어야 하는 피진동원으로 확장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관절이음구
110 : 구형관절부
120 : 탄성부재
130 : 이탈방지구

Claims (4)

  1.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101)과, 상기 제1 구간(1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102)과, 상기 제2 구간(10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 구간(103)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10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1 구간(101)과 제2 구간(1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상기 제2 구간(1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101)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1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A)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110);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2 구간(102)에 삽입되어 상기 볼(111)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20); 및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제3 구간(10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120)를 압박하고,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전산볼트(B)가 체결되는 이탈방지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130)는, 상기 관절이음구(100)에 체결되는 상반부(130a)와, 상기 상반부(130a)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상기 관절이음구(100)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반부(130b)로 변형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3.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201)과, 상기 제1 구간(20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202)과, 상기 제2 구간(202)에서 연속되고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측방이 열린 형태로 개방홈(2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203)과, 상기 제3 구간(20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4 구간(204)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200);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1 구간(201)과 제2 구간(202) 사이의 단턱(t')에 걸리도록 상기 제2 구간(202)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2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201)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211)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A)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210);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2 구간(202)에 삽입되어 상기 볼(211)에 밀착되는 탄성부재(220);
    상기 탄성부재(22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캡부재(230); 및
    상기 관절이음구(200)의 제3 구간(203)에 형성된 개방홈(203a)의 측면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이탈방지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4. 제1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2 구간과, 상기 제2 구간과 연속되되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다각 형상을 이루면서 하단부까지 관통된 형태로 개방홈(303a)이 형성되는 제3 구간(303)으로 구분되는 관절이음구(300);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1 구간과 제2 구간 사이의 단턱에 걸리도록 제2 구간에 삽입되는 구형의 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간을 통과하도록 상기 볼에서 연장되어 천장에 매설된 앵커에 체결되는 구형관절부(미도시);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2 구간에 삽입되어 상기 볼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미도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캡부재(미도시); 및
    상기 관절이음구(300)의 제3 구간(303)에 형성된 개방홈(303a)에 삽입고정되는 이탈방지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KR1020190006540A 2018-12-10 2019-01-18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KR20200070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7852 2018-12-10
KR1020180157852 2018-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964A true KR20200070964A (ko) 2020-06-18

Family

ID=7114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540A KR20200070964A (ko) 2018-12-10 2019-01-18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09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19B1 (ko) * 2021-03-27 2021-11-18 김명열 천장재 설치용 내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95B1 (ko) 2017-08-07 2018-02-28 (주)광명이엔지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형 파이프 행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95B1 (ko) 2017-08-07 2018-02-28 (주)광명이엔지 3차원 면진 구조의 내진형 파이프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19B1 (ko) * 2021-03-27 2021-11-18 김명열 천장재 설치용 내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12B1 (ko) 내진 및 면진용 배관고정장치
JP6498198B2 (ja) アンカーボルト
JP3195374U (ja) 配管固定装置
KR101900397B1 (ko) 배관용 내진장치
KR20160041968A (ko) 앵커 볼트
JP2013164121A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KR20200070964A (ko)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JP2016108893A (ja) 連結構造
KR101862069B1 (ko) 방진 및 내진용 설비 거치대의 구조.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44480A (ko) 진자 고무 면진 장치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968688B2 (ja) 減震構造体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JP2016011504A (ja) アンカーボルトの施工方法
TWI682102B (zh) 錨定螺栓
JP2018145670A (ja) 木造建物土台のアンカーボルト貫通孔
KR102133119B1 (ko) 지진파 흡수기능을 갖는 탄성지지장치
KR101957174B1 (ko) 소화용 배관의 흔들림 방지 버팀 장치
KR200487550Y1 (ko) 내진용 유 클램프
KR101789663B1 (ko) 원통 지지대가 결합된 앵커 볼트 세트
JP7371837B2 (ja) 建築物の免震構造及び免震アンカー
JP4874691B2 (ja) 木質建築物における接合構造
KR102532942B1 (ko)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재
JP6527366B2 (ja) 座金付きね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